[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4855B1 - 분리형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855B1
KR100584855B1 KR1020030076628A KR20030076628A KR100584855B1 KR 100584855 B1 KR100584855 B1 KR 100584855B1 KR 1020030076628 A KR1020030076628 A KR 1020030076628A KR 20030076628 A KR20030076628 A KR 20030076628A KR 100584855 B1 KR100584855 B1 KR 10058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packaging
packaging machine
main body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453A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03007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8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8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식료품을 포장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 이를 봉합하여 보존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고, 진공포장지를 열봉합시킬 수 있는 열봉합수단이 설치된 진공봉합장치가 분리 형성되어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 진공챔버, 진공포장, 진공보관, 진공, 열봉합, 챔버식, 노즐식

Description

분리형 진공포장기{Vacuum packing machine with separated heat-sealing means}
도1은 종래의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를 나타낸다.
도2는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를 나타낸다.
도3은 종래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5는 도4에 나타난 진공봉합장치의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6은 도4에 나타난 본체가 그 바닥면의 벽걸이용 홈을 통해 벽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7은 도4에 나타난 본체의 진공펌프를 이용해 진공용기를 진공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본체, 110...진공펌프, 111...흡기구, 112...배기구, 113...흡음재, 120...제1펌프스위치, 130...공기통로,
200...진공봉합장치, 210...상부케이스, 211...상부오목부, 220...하부케이스, 221...하부오목부, 230...저장용기, 240...진공챔버, 250...상부패킹, 251...하부패킹, 260...열봉합수단, 261...히팅부, 262...누름고무, 270...공기유출입통로, 281...제2펌프스위치, 282...전자제어장치 스위치, 283...제2펌 프스위치 누름부, 284...전자제어장치 스위치 누름부,
300...전기케이블, 310...에어호스,
400...진공용기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식료품을 포장하여 진공상태로 만든 후 이를 봉합하여 보존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고, 진공포장지를 열봉합시킬 수 있는 열봉합수단이 설치된 진공봉합장치가 분리 형성되어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지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된 후 진공펌프를 통해 진공포장지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음식물 등을 진공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진공포장지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92-070099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에 기재된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가 있으며,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포장지(21)는 내부표면에 엠보싱(25)이 형성되어, 진공포장시에 엠보싱(25)에 의하여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었고, 도2에 도시된 진공포장기(20)에 의하여 진공되고 열봉합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진공포장기(20)는 베이스(32), 후드(33), 이들 사이에 형성된 진공챔버(34), 상기 진공챔버(34)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도시 안됨) 및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를 열봉합하는 열봉합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의하여 진공포장지(21)가 진공포장되는 경우에는, 식료품 등의 피포장물이 진공포장지(21) 내부인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진공챔버(34)의 내부에 위치된 후에 상기 후드(33)가 베이스(32) 위로 하강되어, 진공포장지와 진공챔버는 밀폐된다. 그런 후에 소정의 스위치가 작동되면 진공펌프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에 따라 진공챔버(34)가 진공되고, 이에 따라, 진공포장지(21)의 내부도 진공이 되고, 열봉합수단(50)에 의하여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열봉합되었다. 이때 진공포장지(21)의 내부 일측면에 도1에 도시되듯이 엠보싱(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25)에 의해 진공포장지(21) 내부의 공기가 잘 흡입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에 게시된 것으로, 발명의 명칭이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인 것과 같은 것도 있다.
반면, 도2와 같은 챔버식 진공포장기 이외에 발명의 명칭이 '진공포장기'로 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5428호에 게시된 도3과 같은 형태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도 있다. 도3에 보이는 진공포장기는 진공펌프와 연결된 공기흡입구(513)가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기에서는 진공포장지 안에 내용물을 넣고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공기흡입구(513)에 끼워 뚜껑(520)을 닫은 후, 내 부에 장착된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진공포장지 내의 공기를 빼내어 진공상태로 만들고 접합열선(512)에 전원을 공급시켜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접합함으로서 진공포장을 하게 된다.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나 노즐(도3의 공기흡입구(513)에 해당함) 및 진공펌프, 진공포장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 등 모든 구성품들이 하나의 몸체에 함께 포함된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진공펌프나 전자회로는 물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하므로 그 세척에 있어서도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 공간으로서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복잡한 식탁 등에 놓고 사용함에 있어 공간활용에 미흡하여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고, 진공포장지를 열봉합시킬 수 있는 열봉합수단이 설치된 진공봉합장치가 분리 형성되어 있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게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본체와 진공봉합장치가 분리되면 그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진공포장기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진공포장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진공봉합장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공간이 복잡하여 하나의 넓은 공간이 아니더라도 본체와 진공봉합장치를 분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 으므로 공간활용이 좋아 사용상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에어호스와; 상기 본체와 분리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진공펌프와 상기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할 수 있는 열봉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진공봉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포함된 본체와 진공봉합장치가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도2와 같은 챔버식 진공포장기는 물론 도3과 같은 노즐식 진공포장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노즐식 진공포장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진공봉합장치는, 상기 본체의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통하여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는 노즐-예컨대, 도3에서 공기흡입구(513)-과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를 열봉합시킬 수 있는 열봉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반면, 도2와 같은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진공봉합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고, 공기유출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기유출입통로의 일측으로 상기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통할 수 있으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공포장지의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를 봉합시킬 수 있는 열 봉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특히, 도2와 같은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으며, 도5는 도4에 나타난 진공봉합장치(200)의 열린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100)와 진공봉합장치(200)는 분리 형성되어 있으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기를 사용할 때에는, 바람직하게는 착탈가능한 에어호스(310) 및 전기케이블(300)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본체(100) 내부에는 진공펌프(110)가 내장되어 그 흡기구(111)가 본체(100)에 형성된 공기통로(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펌프(1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그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이하 제1펌프스위치(1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진공펌프(110)의 작동제어, 진공 완성여부 검출, 진공봉합장치(200)의 열봉합수단(260)으로 공급되는 전원 제어 등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자회로, 센서, 타이머 등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4 및 도5에 보이는 진공봉합장치(200)는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가 힌지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에는 상부오목부(211)와 하부오목부(2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오목부(211) 둘레에는 상부패킹(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오목부(221) 둘레에는 하부패킹(2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10)가 상기 하부케이스(220) 위로 닫히게 되면 상기 상부오목부(211)와 상기 하부오목부(221)가 만나 진공챔버(24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패킹(250)과 하부패킹(251)은 서로 맞닿아 상기 진공챔버(240)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10)에는 공기유출입통로(27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공챔버(240)와 상기 본체(100)에 내장된 진공펌프(110)가 에어호스(310)에 의해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진공챔버(240) 안에 설치한 후 상부케이스(210)를 닫고, 본체(100)의 진공펌프(110)와 진공챔버(240)를 에어호스(310)로 연결하여 통하게 한 후, 진공펌프(110)를 작동시키면 진공펌프(110)는 에어호스(310)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240) 및 진공포장지 내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밖으로 배기구(112)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서 상기 진공챔버(240)와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키게 된다.
또한, 진공봉합장치(200)에는 진공챔버(240) 전방으로 열봉합수단(260)이 형성되는데, 도6에는 이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220)의 하부오목부(221) 전방에 열선이 내장된 히팅부(2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210)에는 상기 히팅부(261) 위로 진공포장지를 누르기 위한 누름고무(2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진공봉합장치(200)가 전기케이블(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팅부(261)가 가열되어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킨 후 상기 히팅부(261)에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는 그 내부가 진공된 상태에서 봉합되게 되며, 이로써 그 내부의 피포장물을 진공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도6에 나타난 열봉합수단(260)은 도2와 같은 종래의 진공포장기에 포함된 열봉합수 단(260)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5에 보이는 진공봉합장치(200)에는 상기 본체(100)의 전자제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스위치(282)와 진공펌프(11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이하 제2펌프스위치(281))가 리미트스위치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상기의 상부케이스(210)를 닫으면 각 스위치 누름부(283,284)가 상기의 스위치들(281,282)을 온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100)의 전자제어장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진공챔버(240)내의 진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진공이 완료되었으면 진공펌프(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히팅부(261)에 일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압력센서는 진공챔버(24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진공펌프(110)의 흡기구(111)를 분기시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진공펌프(110)는 진공챔버(2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밖으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배출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110)의 배기구(112)에는 소음저감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음저감부재는, 예컨대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음재(113)를 설치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배기구(112)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진공봉합장치(200)에는 저장용기(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장용기(230)는 진공챔버(240) 안에서 하부케이스(2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때 그 안에 있던 국물이나 가루 등이 유 출되는 경우 이를 받아내게 된다. 국물 등이 유출된 경우에 상기 저장용기(230)만 빼내어 세척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진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진공포장기의 본체(100)에는 그 바닥면에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벽걸이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를 벽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주방 등에서 사용하더라도 공간의 제한을 덜 받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벽걸이용 홈은 진공봉합장치(200)의 바닥면에도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도7에는 도3에 나타난 본체(100)의 진공펌프(110)를 이용해 진공용기(400)를 진공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에어호스(310)를 이용해 본체(100)의 진공펌프(110)와 진공용기(400)를 연결한 후,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제1펌프스위치(120)를 이용해 진공펌프(110)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진공용기(400)를 진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도2와 같은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적용된 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3과 같은 노즐식 진공포장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노즐식 진공포장기에 대한 적용은 상기와 같이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적용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예를 통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봉합장치가 본체와 분리되어 있어 그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진공포장기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고, 제 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진공포장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진공봉합장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공간이 복잡하여 하나의 넓은 공간이 아니더라도 본체와 진공봉합장치를 분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이 좋아 사용상 편리하다.

Claims (5)

  1. 삭제
  2.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본체와;
    에어호스와;
    상기 본체와 분리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진공펌프와 상기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킬 수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할 수 있는 열봉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진공봉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봉합장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고, 공기유출입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기유출입통로의 일측으로 상기 진공펌프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통할 수 있으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공포장지의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진공포장지를 봉합시킬 수 있는 열봉합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공챔버 안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포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구에는 소음저감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포장기.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봉합장치는 착탈가능한 전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포장기.
KR1020030076628A 2003-10-31 2003-10-31 분리형 진공포장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628A KR100584855B1 (ko) 2003-10-31 2003-10-31 분리형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628A KR100584855B1 (ko) 2003-10-31 2003-10-31 분리형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453A KR20050041453A (ko) 2005-05-04
KR100584855B1 true KR100584855B1 (ko) 2006-05-30

Family

ID=3724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855B1 (ko) 2003-10-31 2003-10-31 분리형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906B1 (ko) * 2016-12-30 2018-01-30 이상문 식품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5837B1 (en) 2015-05-11 2019-10-09 Intropack. Co., Ltd. Vacuum low-temperature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906B1 (ko) * 2016-12-30 2018-01-30 이상문 식품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453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9033B (zh) 利用双封口的真空包装和密封器具
JP5468205B2 (ja) 容器から流体を抽出し、密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204067B2 (en) Vacuum packaging appliance with removable trough
KR100415070B1 (ko)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
KR100355703B1 (ko) 냉장고 장착형 진공포장기
KR20040045793A (ko) 진공포장기와 그 제어방법
KR100584855B1 (ko) 분리형 진공포장기
KR101335304B1 (ko) 진공 포장기
KR100584857B1 (ko)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100494053B1 (ko) 진공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708885B1 (ko) 진공포장기
KR100421195B1 (ko)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1519568B1 (ko) 진공포장기
KR20090025858A (ko) 진공 전열 씰러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235323Y1 (ko)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584864B1 (ko) 엠보싱부재 당김구조의 진공포장기
KR20110071584A (ko) 진공 흡입 장치를 구비한 밀봉기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20100056057A (ko)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US12129061B2 (en) Vacuum chamber for sealing storage bags and accessories therefor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0538520B1 (ko)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