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788B1 -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788B1
KR100574788B1 KR1020040079829A KR20040079829A KR100574788B1 KR 100574788 B1 KR100574788 B1 KR 100574788B1 KR 1020040079829 A KR1020040079829 A KR 1020040079829A KR 20040079829 A KR20040079829 A KR 20040079829A KR 100574788 B1 KR100574788 B1 KR 10057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fixed
cam surface
cont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977A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788B1/ko
Priority to US11/239,049 priority patent/US7145419B2/en
Priority to MYPI20054685A priority patent/MY136853A/en
Priority to ES200502428A priority patent/ES2304271B2/es
Priority to JP2005293403A priority patent/JP4012226B2/ja
Priority to CNB2005101134273A priority patent/CN100442422C/zh
Publication of KR2006003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01H77/1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 H01H77/10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with a stable blow-off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Details concerning the elastic mounting of the rotating bridge in the r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5/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power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8Rotating bridge being assembled in a cassette, which can be placed as a complete unit into a circuit break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전기회로상 전원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1 고정접촉자와; 전기회로상 전기적 부하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2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를 각각 대향하는 접점을 양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양측면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샤프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중심과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진 캠판과, 여기서 상기 캠면은 상기 외주면을 기준으로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1 캠면과,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외측에 있는 제 2 캠면과, 상기 제 1 캠면과 상기 제 2 캠면사이에 구비되고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3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와 접속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에 접촉하고,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했을 때는 회동하는 상 기 가동접촉자를 따라서 함께 회동하여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을 벗어나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하다가,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 쪽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 캠면상에 접촉하여 소정시간동안 위치 유지하는 한 쌍의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 2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을 연결하는 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는 접압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이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할 때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간의 개리를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류동작시 접점개리가 신속하고 및 접점개리 상태에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쪽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소정시간이상 위치유지가 가능하며, 중심축이 없어도 셀프 센터링(Self Centering)이 원활히 되고, 스프링을 가동접촉자에 고정 및 접속된 핀에 고정한 스프링과 가동접촉자 조립체를 샤프트에 조립하므로 조립도 간편한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A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차단유니트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샤프트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샤프트의 반을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캠판과 제 2 스프링지지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접촉자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조립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동접촉자의 동작상태 단면도로서,
도 9는 폐극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10은 개극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11은 개극 완료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가동접촉자 4b : 가동접촉자의 접점
9 : 고정접촉자 9b : 고정접촉자의 접점
13 : 소호장치 19 : 이격핀
20 : 멈춤판 21 : 단극차단유닛
30 : 제 1 샤프트 30a : 중앙지지부
30b : 삽입 돌출부 30c : 후크(Hook)
32 : 제 2 샤프트 32b : 삽입홀
40 : 제 1 캠판 40a : 중앙지지부 홀
40b : 고정핀 홀 40c : 후크 홀
42 : 제 2 캠판 42a : 캠 홈
42b : 제 1 캠면 42c : 제 3 캠면
42d : 제 2 캠면 42e : 캠판 고정홀
42f : 후크 홀 50 : 제 1 인장스프링
52 : 제 2 인장스프링 54a,54b : 제 1 스프링 지지핀
64a,64b : 제 2 스프링 지지핀 60 : 링크
62 : 이(E) 링 66a,66b : 롤러
본 발명은 과부하 및 단락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Mold Cased Circuit Breaker; MCCB)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통상 정격 전류가 흐를 때에는 접촉력을 유지는 가압 수단에 의하여 폐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기적 단락과 같은 사고전류의 발생시에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빠르게 폐극 상태(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접촉하여 폐회로를 이루는 상태)에서 개극상태(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분리되어 회로를 개방하는 상태)로 변위 한다.
상기 한류형 차단기는 폐극 상태에 있을 때에는 과전류나 순시 영역 내에서의 전류가 흐를 때 접촉상태가 변함이 없도록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해 줘야 하며, 그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는 빠르게 반발하여 회로 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통과 에너지 값을 최대한 적게 하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전류 값이 적게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기 내의 트립요소에 의한 트립시간이 빨라야 하는데 이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구조에 의한 반발력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가동접촉자가 폐극 상태를 벗어난 후에는 빠르게 개극상태의 마지막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데 이는 가동접촉자를 구속하고 있는 스프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스프링은 가동접촉자가 개극상태로 진행할 때 가동접촉자의 개극방향(일명 개리방향으로도 불림)회전 모멘트(Moment)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이 가능한 작아야 하는데 이는 스프링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그 값이 상이할 수가 있다. 또한 가동접촉자가 완전 개리 된 후에는 완전 개리위치에서 어느 정도 위치를 유지하는시간지연을 가져야만 별도의 트립기구에 의한 트립이 이루어질 때 까지 아크에 의해 발생된 아크전압이 신장된 상태에서 소호 장치로 빠져 나감과 동시에 차단하지 못하고 통과시키는 전류의 크기와 양이 매우 적어질 수 있다. 이렇게 차단책무를 완성하면 단락사고발생시 실제 통과 전기에너지는 예상 통과 전기에너지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이 되면 차단기는 한류성능이 뛰어나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 등이 상이하여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케이스(10), 접 촉자{가동접촉자(4) 및 고정접촉자(9)}, 트립기구(11), 개폐기구(12), 소호장치(13), 단자(14)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되며,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 동작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드케이스(10)는 절연재료로 성형된 케이스와 커버로 구성되어 각 부품이 취부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부품이 케이스 내부에 취부되면 공히 상간을 절연하게 됨과 아울러 외부와의 절연 및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자는 가동접촉자(4)와, 고정접촉자(9)로 구성되며, 각 극(다시 말해 각 상)마다 설치되어 전로의 개폐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립기구(11)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개폐기구(12)를 동작시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개폐기구(12)는 상기 트립장치(11)의 동작에 의해 자동 차단하거나, 상기 개폐용 핸들(1)의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4)를 구동시켜 개폐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호장치(13)는 상기 가동접촉자(4)와 상기 고정접촉자(9)의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히 소멸시켜 접점 및 내부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단자(14)는 전원측과 부하측의 각 극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선과 내부 도체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2는 샤프트이고, 9b는 고정접촉자의 접점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4)가 샤프트 (2)의 회전축(2a)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인장스프링(15a)(15b)에 의해 상기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스프링(15a)(15b)은 일단부가 상기 가동접촉자(4)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샤프트(2)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가동접촉자(4)와 상기 고정접촉자(9) 간에 접촉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15a)(15b) 중 일측의 상기 인장스프링(15a)의 일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4)의 상측부에 고정(상세히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측 외주면상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의 상측 외주면상을 타고 슬라이드가능한 부호 미지정의 한 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샤프트(2)의 하측부에 고정(상세히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부상에 고정된 핀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타측의 상기 인장스프링(15b)의 일단부는 샤프트(2)의 상측부에 고정되고(상세히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부상에 고정된 핀에 고정) 타단부는 상기 가동접촉자(4)의 하측부(상세히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측 외주면상에 설치되어 가동접촉자의 하측 외주면상을 타고 슬라이드가능한 부호 미지정의 다른 핀에 고정)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정상적인 통전 시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가 좌측 전원측의 상기 고정접촉자(9)를 통하여 상기 가동접촉자(4)를 거쳐 우측 부하측의 상기 고정접촉자(9)로 흐르게 된다.
한편, 이상 전류 발생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4b)(9b)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4)가 양측의 상기 고정접촉자(9)로부터 밀려나면서 회전모멘트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4)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하측의 상기 가동접촉자(4)의 단부가 멈춤핀(18)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상기 가동접촉자(4)의 회전중심과 샤프트(2)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킬 수가 없었다. 즉, 상기 가동접촉자(4)의 접점(4b)과 상기 고정접촉자(9)의 접점(9b) 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접촉자(4)의 회동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15a)(15b)이 샤프트(2)의 가상의 회전축(2a)이 지나는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데, 만약 샤프트(2)의 가상의 회전축(2a)이 상기 가동접촉자(4)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실제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4)의 중심부를 지나게 된다면 상기 가동접촉자(4)의 접점(4b)과 상기 고정접촉자(9)의 접점(9b)의 개리시 상기 인장스프링(15a)(15b)이 상기 가동접촉자(4)의 중심부를 지나는 상기 회전축(2a)에 부딪혀 상기 가동접촉자(4)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되므로써,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9)로부터 분리되어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고정접촉자(9)에 접촉하게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그 구조적인 인장스프링(15a)(15b)특성상 상기 가동접촉자(4)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2a)을 설치하기가 불가능하여 회전축이 없으며,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접촉자(4)의 접점(4b)과 상기 고정접촉자(9)의 접점(9b)의 개리시 인장스프링(15a)(15b)의 일단부가 회동하는 가동접촉자(4)의 외주면상을 타고 슬라이드하는 핀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핀이 가동접촉자(4)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드하는 위치가 일정치 않아 상기 가동접촉자(4)의 회전중심이 일정하지 않게 가변하여 상기 가동접촉자(4)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가동접촉자(4)가 개리하면 상기 인장스프링(15a)(15b)의 복원력이 증가하여 상기 가동접촉자(4)에 다시 고정접촉자(9)측으로 되돌아가게 작용하는 힘이 커져서 상기 가동접촉자(4)가 상기 고정접촉자(9)로 되돌아 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아크의 지속발생 및 한류동작이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15a)(15b)은 샤프트(2)와 가동접촉자(4)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예컨대 저용량의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불과 직경이 3-4 센티미터에 불과한 샤프트내의 고정핀에 일단부를 고정하고 타단부는 가동접촉자의 외주면에 고정해야하는 스프링의 조립작업도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이 없어도 가동접촉자의 회동시 회전중심에 유동이 없고, 한류차단속도가 신속하며 접점개리 완료후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쪽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그 위치를 소정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한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기회로상 전원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1 고정 접촉자와;
전기회로상 전기적 부하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2 고정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를 각각 대향하는 접점을 양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양측면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샤프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중심과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진 캠판과, 여기서 상기 캠면은 상기 외주면을 기준으로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1 캠면과,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외측에 있는 제 2 캠면과, 상기 제 1 캠면과 상기 제 2 캠면사이에 구비되고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3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속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에 접촉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했을 때는 회동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따라서 함께 회동하여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을 벗어나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하다가,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 쪽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 캠면상에 접촉하여 소정시간동안 위 치 유지하는 한 쌍의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 2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을 연결하는 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는 접압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이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할 때는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의 개리를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과 종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한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의 단극차단유니트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샤프트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샤프트의 반을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캠판과 제 2 스프링지지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접촉자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각 상(일명 극)별로 마련되는 접촉자 어셈블리 및 소호장치를 하나의 절연재 몰드 케이스내에 유니트(Unit)화하여 수용한 배선용 차단기에의 적용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전기회로상 전원측과 접속되고 일단부에 접점(9b)을 구비하고 "U"자형으로 절곡된 한류형의 제 1 고정접촉자(9)와, 전기회로상 전기적 부하측과 접속되고 일단부에 접점(9b)을 구비하고 "U"자형으로 절곡된 한류형의 제 2 고정접촉자(9)를 포함한다.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9),(9)를 각각 대향하는 접점(4b)을 양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9),(9)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접촉자(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는 가동 접촉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한 가동접촉자(4)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부(33)를 구비하는 샤프트(30, 3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의미는 가동접촉자(4)가 회전하는 것은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 바 그 첫째는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핸들과 접속되어있는 개폐기구가 샤프트(30, 32)를 회동시켜 샤프트(30, 32)의 회동에 의해 가동접촉자(4)가 회전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트립기구의 사고전류 검출에 따른 동작에 의해 개폐기구가 연동하고 따라서 가동접촉자(4)를 지지하고 있는 샤프트(30, 32)가 회동함으로써 가동접촉자(4)도 결과적으로 회전하게되는 경우이며,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의 발생시 가동접촉자(4)가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9),(9)로부터 전자반발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인데 이때 가동접촉자(4)는 샤프트(30, 32)의 회전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샤프트(30, 32)에 개구(33)이 필요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도 4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3은 가동접촉자(4)와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9),(9)간의 접점개리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장치이고, 20은 가동접촉자(4)가 제 1 및 제 2 고정접촉자(9),(9)로부터 분리되어 회동할 때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이고, 21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가 적용되고 소호장치를 포함하는 상별로 유니트(unit)화되어 배선용 차단기에 조립되는 단극차단유니트이다.
상기 단극차단유니트(21)마다에 마련되는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을 접촉자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 5와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기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샤프트(30, 32)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샤프트 (30, 32)가 서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마련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샤프트(30) 및 (32)와 가동 접촉자(4)사이에는 중심과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진 캠판 (40)(42)이 샤프트(30, 3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캠판 (40) 및 (42)과 가동 접촉자(4)의 측면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4)의 양측면에 고정적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와, 한 쌍의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과,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과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을 연결하고 가동 접촉자(4)의 일측면당 한 쌍씩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링크(60)와, 가동 접촉자(4)의 일측면당 한쌍씩 마련되고 일단부는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에 지지되는 스프링(50, 52)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양단부에는 캠판(40)(42)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단부에 원활한 마찰을 위한 롤러(66a, 66b)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캠판 (40) 및 (42)와 가동 접촉자(4)사이에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와, 링크(60)와, 스프링(50, 5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양단부가, 다시 말해 롤러(66a, 66b)가 캠판 (40) 및 (42)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가지고 대칭적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캠판 (40) 및 (42)을 이격시키는 한 쌍의 이격핀(19)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캠판과 제 2 스프링지지핀의 구성을 상세히 부분 확대도로서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캠판과 제 2 스프링지지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캠판 (40) 및 (42)의 상기 캠면은 캠판 (40) 및 (42)의 상기 외주면을 기준으로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1 캠면(42b)과,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외측에 있는 제 2 캠면(42d)과, 상기 제 1 캠면(42b) 과 제 2 캠면(42d)사이에 구비되고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3 캠면(42c)을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42a는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양단부가, 다시 말해 롤러(66a, 66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며, 미설명 부호 62는 E링이다.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양단부, 다시 말해 롤러(66a, 66b)는 가동 접촉자(4)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와 접촉된 상태일 때 캠판(40) 및 (42)의 제 1 캠면(42b)상에 접촉하고,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의 발생으로 가동 접촉자(4)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했을 때는 회동하는 가동 접촉자(4)를 따라서 함께 회동하여 캠판(40) 및 (42)의 제 1 캠면(42b)상을 벗어나 제 3 캠면(42c)상을 슬라이드하다가, 가동 접촉자(4)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 (9),(9)쪽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 캠면(42d)상에 접촉하여 소정시간동안 위치 유지한다.
스프링(50, 52)은 가동 접촉자(4)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와 접촉된 상태일 때는 접압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가동 접촉자(4)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이 제 3 캠면(42c)상을 슬라이드할 때는 가동 접촉자(4)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간의 개리를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동접촉자 어셈블리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샤프트(30)의 내측면상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판(40)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2개의 후크(30c)(hook)가 서로 대향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제 1 캠판(40)에는 상기 후크(30c)가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후크 홀(40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 1 샤프트(30)의 내측면상에는 제 2 샤프트(32)와의 결합을 위하여 2개의 삽입 돌출부(30b)가 구비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에는 삽입 돌출부(30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32b) 이 구비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에는 제 2 캠판(42)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제 1 샤프트(30)의 후크(30c)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2개의 후크(미도시)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제 2 캠판(42)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 홀(42f)이 구비된다. 또한,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제 1 샤프트(30)의 삽입 돌출부(30b)를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2개의 삽입홀(32b)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30)(32)는 수지물과 같은 전기적 절연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샤프트(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 돌출부(30b)를 상기 제 2 샤프트(32)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32b)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제 1 샤프트(30)와 상기 제 2 샤프트(32) 사이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30b)에 의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캠판(40)(42)는 샤프트(30)(32)내에 고정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샤프트(30)의 내측면상의 중앙부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 1 캠판(40)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중앙지지부(30a)가 돌출하여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제 1 캠판(40)에는 중앙지지부(30a)를 삽입하여 안착하기 위한 중앙지 지부 홀(40a)이 중앙부에 구비된다. 제 1 캠판(40)의 중앙지지부 홀(40a)의 일측 및 타측에는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고 이격핀(19)을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이격핀 홀(40b)과 후크(30c)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후크 홀(40c)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캠판(42)에도, 중앙부에 중앙지지부 홀(42e)이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 중앙부위에는 제 2 캠판(42)을 고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중앙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제 2 캠판(42)의 중앙지지부 홀(42e)의 일측 및 타측에도 2개의 이격 핀(19)을 삽입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2개의 이격핀 홀(부호 미지정)과,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후크(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한 후크 홀(42f)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의 부호 42, 42e, 42f는 도면상 제 2 샤프트(32)의 내측면상에 인접하여 일부분만 보이고 있는 캠판(부호 미지정)에 지시되어야 옳으나, 도면상 나타나지 않아 설명의 편이상 제 1 캠판(40)에 해당하는 캠판에 지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방법은 도8의 좌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캠판(40)의 한 쌍의 후크 홀(40c)과 하나의 중앙지지부 홀(40a)에 맞추어 제 1 샤프트(30)의 2개의 후크(30c)와 중앙지지부(30a)를 삽입함으로써, 제 1 캠판(40)과 제 1 샤프트(30)의 조립체를 준비한다. 다음, 가동 접촉자(4)에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와,링크(60)와, E 링(62)과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과 롤러(66a, 66b)를 각각 설치하여 스프링을 설치할 준비를 한다.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은 가동 접촉자(4)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가동 접촉자(4)에 일체로 돌출하게 주조하여 구성할 수 있고, 별도로 가동 접촉자(4)의 일측면당 두개씩 삽입하는 구성 또는 두개의 관통 핀으로 가동 접촉자를 억지 관통하게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과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에 스프링(50, 52)을 지지시켜 가동 접촉자(4)와 스프링(50, 52)의 조립체를 얻는다. 다음,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일단부 또는 롤러(66a)가 캠판(40)의 제 1 캠면(42b)상에 위치하게, 가동 접촉자(4)와 스프링(50, 52)의 조립체를 캠판(40)과 조립한다. 다음, 두개의 이격핀(19)의 일단부를 제 1 캠판(40)의 이격핀 홀(40b)상에 삽입한 후,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타단부 또는 롤러(66b)가 제 2 캠판(42)의 제 1 캠면(42b)상에 위치하게 위치하고 이격핀(19)의 타단부를 제 2 캠판(42)의 이격핀 홀(40b)에 삽입하여 두개의 캠판(40, 42)사이에 가동 접촉자(4)와 스프링(50, 52)의 조립체를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제 2 캠판(42)의 한 쌍의 후크 홀(미도시)과 하나의 중앙지지부 홀(미도시)에 맞추어 제 2 샤프트(32)의 2개의 후크(미도시)와 중앙지지부(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어셈블리의 동작상태 단면도로서, 도 9는 패극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10은 개극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11은 개극 완료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촉자 어셈블리의 동작은 크게 3가지로 도 9와 같은 폐극상태, 도 10과 같은 개극 진행상태, 도 11과 같은 개극상태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폐극 상태를 살펴보면, 정상적 통전상태에서 전류가 전원측의 고정 접촉자(9)를 통해 고정접점(9b)을 통과하여 가동 접촉자(4)의 접점(4b)를 통해 반대편 가동접점(4b')를 통과하여 부하측의 고정 접촉자(9')의 고정접점(9b')을 통해 부하측으로 흘러나간다.
스프링(50)(52)의 초기 인장력이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을 통해 가동 접접촉자(4)에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로 작용하므로, 상기 가동 접촉자(4)는 고정 접촉자(9)와 일정한 접촉압력(줄여서 접압력)을 유지한다. 이때 접압력을 더욱 크게 해주기 위해서, 캠판(40)(42)을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샤프트(30, 32)에 고정하면, 접압력이 더욱 커지며, 회로의 단락사고 후 고온 고압의 아크발생으로 인해 접점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날라가거나 경년에 따른 접점의 마모가 있을 경우에도 소정이상의 접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은 캠판(40) 및 (42)의 제 1 캠면(42b)상에 접촉하는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접촉자(4)는 그 중심축이 없어도 샤프트(30, 32)에 고정지지되고 다수의 캠면을 외주면으로 갖는 캠판(40, 42)과, 스프링(50, 52)와, 가동 접촉자(4)에 고정된 제 1 스프링 지지핀(54a, 54b)와, 캠판(40, 42)의 캠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균형적 구조에 의해 회전중심을 스스로 맞출 수 있다.
만약, 회로상에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가동접점(4b)과 상기 고정접점 (9b)사이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반발력은 단락과 같은 큰 사고전류의 발생시 상기 접압력 보다 크므로, 가동 접촉자(4)는 상기 접압력을 극복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 2 스프링 지지핀(64a, 64b)의 양단부, 다시 말해 롤러(66a, 66b)는 회동하는 가동 접촉자(4)를 따라서 함께 회동하여 캠판(40) 및 (42)의 제 1 캠면(42b)상을 벗어나 제 3 캠면(42c)상을 슬라이드한다. 또한 이때 스프링(50, 52)은 가동 접촉자(4)와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9),(9)간의 개리를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접점의 개리는 순간적으로 신속히 실행된다.
개리의 마지막 단계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4)가 고정 접촉자(9, 9')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때, 스프링 지지핀(64a, 64b)이, 다시 말해서 롤러(66a, 66b)가 캠판(40, 42)의 원호의 중심이 캠판(40, 42)의 외주면 보다 외측 위치에 있는 제 2 캠면(42d)상에 안착하므로 이 제 2 캠면(42d)에 의해 정지되어, 결과적으로 가동 접촉자(4)가 고정 접촉자 (9),(9')쪽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 2 캠면(42d)상에 접촉하여 소정시간동안 위치 유지한다.
이후, 상기 개폐기구(12)가 상기 트립기구(11)로부터 트립신호를 받아 상기 샤프트(30)(32)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 시킴으로써 배선용 차단기는 트립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에 따르면,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동자의 양단에 접점을 부착하는 쌍접점형 가동접촉자 구조를 구성하여 전자 반발력을 증가 시키고, 폐극 상태에서 스프링의 초기 인장력이 제 2 스프링 지지핀을 통해 가동 접접촉자에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로 작용하므로, 가동 접촉자는 고정 접촉자와 일정한 접압력을 유지한다. 이때 접압력을 더욱 크게 해주기 위해서, 캠판을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샤프트에 고정함으로써, 접압력이 더욱 커지며, 회로의 단락사고 후 고온 고압의 아크발생으로 인해 접점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날라가거나 경년에 따른 접점의 마모가 있을 경우에도 소정이상의 접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접촉자는 그 중심축이 없어도 샤프트에 고정지지되고 다수의 캠면을 외주면으로 갖는 캠판과, 스프링과, 가동 접촉자에 고정된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캠판의 캠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제 2 스프링 지지핀의 균형적 구조에 의해 회전중심을 스스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지지핀이 접촉 및 슬라이드하는 캠판의 외주면을 그 원호의 중심이 외주면 보다 내측인 시작면과, 원호의 중심이 외주면 보다 내측이고 시작면과 연속되는 개리 가속면과, 원호의 중심이 다시 외주면 보다 외측인 정지면으로 구성하여, 정상통전시 접압력을 유지하게 작용하고, 전자반발력이 접압력을 초과하 는 사고전류 발생시에는 가동 접촉자의 개리를 가속화하게 작용하고, 한류동작의 최종단계에서는 일정시간동안 가동 접촉자가 다시 고정 접촉자에 접촉하게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여 차단기가 완전히 트립될 때 까지 가동접촉자의 개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에 스프링 지지핀들과 링크를 설치한 후, 스프링 지지핀들에 스프링을 조립한 다음, 그 조립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캠판을 조립하고, 이 캠판과 2개로 분리된 샤프트를 홀과 지지부재의 결합에 의해 조립하여, 가동 접촉자 조립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소용량의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하여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샤프트의 직경이 수 센티미터정도에 불과한 작은 부품들로 구성하여도 그 조립의 불량률이 매우 적게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각 상별 접촉자 어셈블리와 소호부를 포함하는 단극차단유니트, 나아가서 이들 단극차단유니트들로 구성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기술 보다 제품이 컴팩트화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 및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기회로상 전원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1 고정 접촉자와;
    전기회로상 전기적 부하측과 접속되고 한류형의 제 2 고정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를 각각 대향하는 접점을 양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의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가동 접촉자의 독립적 회전을 허용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양측면상에 서로 대칭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샤프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중심과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진 캠면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진 캠판과, 여기서 상기 캠면은 상기 외주면을 기준으로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1 캠면과,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외측에 있는 제 2 캠면과, 상기 제 1 캠면과 상기 제 2 캠면사이에 구비되고 원호의 중심이 상기 외주면 보다 내측에 있는 제 3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속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에 접촉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했을 때는 회동하는 상기 가동 접촉자를 따라서 함께 회동하여 상기 캠판의 제 1 캠면상을 벗어나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하다가,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 쪽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 캠면상에 접촉하여 소정시간동안 위치 유지하는 한 쌍의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제 2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과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을 연결하는 링크와;
    일단부는 상기 제 1 스프링 지지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에 지지되며,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와 접촉된 상태일 때는 접압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에 전자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이 제 3 캠면상을 슬라이드할 때는 상기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접촉자간의 개리를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 지지핀은 상기 캠판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단부에 원활한 마찰을 위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일 측면당 한 쌍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판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일 측면당 하나씩 2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판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2 체로 분리된 것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캠판은 서로 홀과 이 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20040079829A 2004-10-07 2004-10-07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29A KR100574788B1 (ko) 2004-10-07 2004-10-07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US11/239,049 US7145419B2 (en) 2004-10-07 2005-09-30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MYPI20054685A MY136853A (en) 2004-10-07 2005-10-05 A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ES200502428A ES2304271B2 (es) 2004-10-07 2005-10-06 Conjunto de contactor para disyuntor de circuito.
JP2005293403A JP4012226B2 (ja) 2004-10-07 2005-10-06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CNB2005101134273A CN100442422C (zh) 2004-10-07 2005-10-08 用于电路断路器的接触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29A KR100574788B1 (ko) 2004-10-07 2004-10-07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977A KR20060030977A (ko) 2006-04-12
KR100574788B1 true KR100574788B1 (ko) 2006-04-27

Family

ID=3614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8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788B1 (ko) 2004-10-07 2004-10-07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5419B2 (ko)
JP (1) JP4012226B2 (ko)
KR (1) KR100574788B1 (ko)
CN (1) CN100442422C (ko)
ES (1) ES2304271B2 (ko)
MY (1) MY1368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70B1 (ko) 2008-02-05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EP2472537A1 (en) 2011-01-03 2012-07-04 LSIS Co., Ltd.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urrent limiting type circuit breaker
WO2014098292A1 (ko) * 2012-12-23 2014-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압형 접점 고정 구조의 배선용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7140A1 (de) * 2006-06-12 2007-12-13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utzschalter
US7474179B2 (en) * 2006-10-13 2009-01-06 Eaton Corpor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movable contact assembly and contact spring assembly therefor
ITBG20060053A1 (it) * 2006-10-13 2008-04-14 Abb Service Srl Dispositivo di bassa tensione con equipaggio mobile ad alta tenuta elettrodinamica
KR100832325B1 (ko) * 2006-12-29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CN100466140C (zh) * 2007-01-01 2009-03-04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断路器的触头系统
KR100860530B1 (ko) * 2007-07-12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
KR100905021B1 (ko) * 2007-08-07 2009-06-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트립 장치 및 그의 트립 감도 조정 방법
KR100881365B1 (ko) * 2007-08-07 2009-0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보호장치의 트립 감도 조정 방법
US7977592B2 (en) * 2007-09-11 2011-07-12 Siemens Industry, Inc. Double break disconnect/contact system
RU2368975C1 (ru) * 2008-05-23 2009-09-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тактор" Контак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DE102008049602A1 (de) 2008-09-30 2010-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mit jeweils einer zwischen einer Nockenplatte und Zugfedern eines Drehkontaktsystems und zwischen einer zugehörigen Kontaktbrücke angeordneten Gehäusetrennwand
KR101463043B1 (ko) * 2009-09-01 2014-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슬라이드형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DE102009052965B3 (de) * 2009-11-12 2011-07-21 Eaton Industries GmbH, 53115 Rotativer Doppelkontakt
CN102103948A (zh) * 2009-12-16 2011-06-22 上海电器股份有限公司人民电器厂 一种塑壳断路器的动触头组件
DE102010035625A1 (de) 2010-08-24 2012-03-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chalt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chalteinheit eines elektrischen Schalters
DE102011075729A1 (de) * 2011-05-12 2012-1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chalter
DE102011076985A1 (de) * 2011-06-06 2012-1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chalter mit Rotor
JP5585550B2 (ja) * 2011-07-18 2014-09-10 アンデン株式会社 継電器
US8648270B2 (en) * 2011-09-20 2014-02-11 Schneider Electric USA, Inc. Interrupter module with floating protection for drive pins
CN103021745B (zh) * 2011-09-26 2015-03-25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模块化断路器的动触头联动结构
DE102011085606B4 (de) * 2011-11-02 2020-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torgehäuse eines elektrischen Schaltgerätes sowie elektrisches Schaltgerät
WO2013144686A1 (en) * 2012-03-28 2013-10-03 Larsen & Toubro Limited An improved double break contact system for moulded case circuit breakers
KR101318338B1 (ko) * 2012-07-10 2013-10-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단기
CN104465254A (zh) * 2013-09-24 2015-03-25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旋转双断点触头
KR101447041B1 (ko) * 2013-11-19 2014-10-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A2927229C (en) 2013-12-05 2023-08-15 Schneider Electric USA, Inc. Double make double break interrupter module with independent blades
CN104319205A (zh) * 2014-10-31 2015-01-28 博耳(无锡)电力成套有限公司 断路器旋转式双断点触头结构
DE102015200825B4 (de) * 2015-01-20 2022-03-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ägerwelle für eine elektromechanische Schaltvorrichtung sowie elektromechanische Schaltvorrichtung
US10811207B2 (en) * 2018-07-18 2020-10-20 Lsis Co., Ltd.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9036987B (zh) * 2018-10-01 2024-01-30 无锡新宏泰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双断点断路器n极单元的分合闸辅助机构及双断点断路器
CN111012275B (zh) * 2019-12-24 2021-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分液装置及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893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19990018444U (ko) * 1997-11-11 1999-06-0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8626B1 (fr) * 1992-03-13 1994-05-06 Merlin Gerin Disjoncteur a boitier moule a pont de contacts freine en fin de course de repulsion.
IT1292453B1 (it) * 1997-07-02 1999-02-08 Aeg Niederspannungstech Gmbh Gruppo rotante di contatti per interrutttori di alta portata
EP1098343B1 (en) * 1999-11-03 2005-09-21 AEG Niederspannungstechnik GmbH & Co. KG Circuit breaker rotary contact arm arrangement
US6403909B1 (en) * 2000-03-13 2002-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Trip override for rotary breaker
DE10056818A1 (de) * 2000-11-16 2002-05-23 Moeller Gmbh Kontaktanordung für strombegrenzende Schutzschalter
DE10056816A1 (de) * 2000-11-16 2002-05-23 Moeller Gmbh Kontaktanordnung für strombegrenzende Schutzschalter
DE10056820A1 (de) * 2000-11-16 2002-05-23 Moeller Gmbh Kontaktanordnung für strombegrenzende Schutzschalter
US6791440B2 (en) * 2002-08-02 2004-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electrically isolating circuit breaker rotor components
CN2640027Y (zh) * 2003-08-10 2004-09-08 周朝济 具有斥力机构的限流装置
US7005594B2 (en) * 2004-04-16 2006-02-28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Movable contacto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893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19990018444U (ko) * 1997-11-11 1999-06-0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70B1 (ko) 2008-02-05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EP2472537A1 (en) 2011-01-03 2012-07-04 LSIS Co., Ltd.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urrent limiting type circuit breaker
WO2014098292A1 (ko) * 2012-12-23 2014-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압형 접점 고정 구조의 배선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7022A1 (en) 2006-04-13
CN1758404A (zh) 2006-04-12
MY136853A (en) 2008-11-28
US7145419B2 (en) 2006-12-05
KR20060030977A (ko) 2006-04-12
ES2304271B2 (es) 2009-06-04
ES2304271A1 (es) 2008-10-01
JP4012226B2 (ja) 2007-11-21
CN100442422C (zh) 2008-12-10
JP2006108105A (ja)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78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CN100552856C (zh) 用于断路器的接触器组件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US6965292B2 (en) Isolation cap and bushing for circuit breaker rotor assembly
KR10057524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US5861596A (en) Dual baffle apparatus for electrical switching device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JP4232370B2 (ja) 回路遮断器
KR100990256B1 (ko) 4극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장치 및 이를 갖는 4극 배선용 차단기
KR10175230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KR10059546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0606424B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100676968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020271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부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10058586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장치
KR1025270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KR20049608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KR10101363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JP4540237B2 (ja) 回路遮断器
WO2024127422A1 (en) A cassette casing unit of a mou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KR10103698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 장치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