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756B1 -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756B1
KR100573756B1 KR1020037011502A KR20037011502A KR100573756B1 KR 100573756 B1 KR100573756 B1 KR 100573756B1 KR 1020037011502 A KR1020037011502 A KR 1020037011502A KR 20037011502 A KR20037011502 A KR 20037011502A KR 100573756 B1 KR100573756 B1 KR 10057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microwave
cancer
micro
canc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632A (ko
Inventor
마사히데 이치카와
가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키
마사히데 이치카와
가로 마에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키, 마사히데 이치카와, 가로 마에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키
Publication of KR2003008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2Radiation therap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마그네트론(16)에 의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에 의해, 특히 인체 및 동물을 의료 치료의 대상으로 하여,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장 에너지로 가열 에너지를 발생시켜 암세포 등의 비세포성 조직을 괴멸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마그네트론(16)과 전자파 호온(1)으로 구성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에 의해 마이크로 전자파를 방사하여, 암세포 조직의 일부인 활성 산소와 주변부에 활동하는 혈액 등의 전해질을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장 에너지로 자기 진동시켜 가열하여 암세포만을 괴멸시키는 방법 및 장치이다.
마그네트론, 마이크로 전자파, 암세포, 비세포성 조직, 활성 산소

Description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METHOD OF BREAKING CANCER CELL TISSUE BY MICRO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MICROELECTROMAGNETIC RADIATOR}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magnetron)에 의한 전자파 발생기를 구비한 마이크로 전자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 및 동물을 의료 치료 대상으로 하여,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장 에너지로 활성 산소나 전해질을 가열하고, 열에너지로 암세포를 괴멸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구비한 암 치료 의료기는 여러 종류의 구조의 것이 존재하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으나, 현실에서는 동물 등을 사용한 임상 시험을 행하지 않고, 소위 탁상 논리인 것이 다수 존재한다.
실제로 구동할 수 있는 정도까지 개시되어 있는 과거에 주지된 마이크로 전자파 치료기의 구성은, 대형 구조의 설비 구성인 것이 존재하고, 그 조작도 복잡하여 전자파를 방사시키는 것만이 주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자파와 암세포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이 적고, 특히 전자파에 의해 암세포를 괴멸시키는 것에 대하여 상세히 해설한 것은 없다.
또한, 암세포 등을 괴멸하는 것에 대한 연구보고는 아직 전무하며, 신체에 대한 임상 시험 또는 동물 실험 등의 임상도 보고된 바가 없으며, 탁상 논의도 없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현시점에서는 마이크로 전자파 치료기로서, 종래와 같은 전자파 치료기의 구성의 것이 존재하며, 온열 요법으로서 설명되어 있는 것이 주지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물리 치료법 개념에서 탈피되지 않은 사상으로, 일반적으로 그 구조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의 마이크로 전자파를 동축 케이블이나 전선, 또는 공동 덕트 등의 전기회로를 통해 전자파 에너지를 방사하는 것으로, 장치도 그 조작도 매우 대규모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상피 조직에 발생하는 것으로, 위암·자궁암·유방암·폐암·간암·식도암·직장암 등의 상피성 암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피 조직을 솜을 넣어 만든 형태의 옷인 패딩을 예로 들면, 패딩의 외측은 상피에 해당하고, 내측은 피부의 점막에 해당한다.
내측은 인간의 내장이나 기관으로, 외측과 다른 피부와 같이 건조되지 않도록 점액이 보호하여 점질 상태이다. 그 점액이 방출되는 선에 발생하는 것이 선암이며, 패딩의 중간에 생기는 것이 악성 종양으로 육종이 된다.
혈관 육종이나 뼈 또는 근육의 육종 및 지방 육종 등도 잘 알려져 있다. 그 외에는 백혈병·악성 림프종 및 뇌종양 등이 있다.
또한, 암이 원시적으로 발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미분화 암은, 확실하지 않은 상태의 분화 암 등의 악성 암으로,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치료가 최선의 치료가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암의 진단에는 세포 진단의 단계 수치가 있다. ①②③④⑤의 단계로 나뉘어 진단된다. 이 단계 수치는, ②는 정상, ③은 경과를 관찰하는 정도, ④는 90%의 암 세포, ⑤는 100% 암세포로 이루어진다.
한편, 암세포를 박멸하기 위한 치료면에서도 수술이나 호르몬 요법·화학 요법·면역 요법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항암제의 사용은 부작용을 수반한다. 과거의 예에 의하면, 자궁암인 경우에 방사선 치료를 행한 직후 직장암이 된 사례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사선이나 항암제에 대해서는 유효성도 인지되어 있다. 또한, 부작용이 없는 면역 요법이나 한방약, 뜸 등도 있으나, 그 치료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근, 미국의 대학에서는 유방암에 마이크로 전자파를 이용해 성공한 사례도 있다.
그런데, 암세포는 체내에 발생하는 활성 산소가 체내의 세포에 악영향을 줌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라는 임상예로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활성 산소와 전해질에 주목한 것으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암 환자의 암세포의 조직 주변부를 향해 마이크로 전자파(전자에너지; 500W 전후)를 방사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세포의 주변부에는 활성 산소(02 -)가 대단히 많기 때문에, 이러한 라디칼인 활성 산소 및 전해질(40)은 마이너스 성분이므로,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계를 +-의 교류 성분으로 변동시키면, 그 +- 전장이 라디칼인 활성 산소를 진동(42) 작용시켜, 자기 자신이 자기 가열되어 열 에너지(41)가 되고, 그 결과 온도가 상승하여 42℃ 이상이 된다.
그렇게 하면, 암세포는 괴멸에 이르게 된다.
물론, 주변부에 있는 혈액 등의 전해질(40)도 동일하게 온도가 상승하여, 상승 효과가 발생한다. 이것은, 암세포는 온도에 약하기 때문에 의학계에서도 충분히 주지된 것이므로 암세포가 사멸되는 것은 당연하다.
삭제
또한, 일반적으로 원적외선 치료기도 인체의 표면에 있는 암세포의 괴멸에는 상당히 효과가 있지만, 체내의 심부에 있는 암세포를 괴멸하기 위해서는, 원적외선 전자파의 파장이 짧기 때문에 도달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마이크로 전자파(1.0∼5GHz)는 신체 내부로 충분히 관통한다.
따라서, 이 마이크로 전자파를 암세포 조직 주변을 향해 방사하면, 마이너스 활성 산소와 혈액의 전계 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곳은 모두 가열의 상승 효과가 나타나, 자기(自己) 가열 작용으로 정상 세포 이외의 암세포 등을 용이하게 괴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에 나타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전자파 호온(horn)으로 구성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에 의해 마이크로 전자파를 방사하여, 암세포 조직의 일부인 활성 산소와 주변부에 활동하는 혈액 등의 전해질을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장 에너지로 자기 진동시켜서 가열하여, 암세포만을 괴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 괴멸 방법.
(2) 마그네트론과 전자파 호온으로 구성된 복수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신체의 측면에 대향 배치하고, 상기 대향 배치한 각각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마이크로 전자파를 방사하여 신체 내의 심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3) 상기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가 일체 구조의 가변 개구 조정 호온부의 마이크로 전자기파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기재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장치.
(4) 상기 대향 배치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 또는 신체의 어딘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로부터 마이크로 전자파를 방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또는 (3) 기재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스위치 관계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의 앞면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체에 마이크로 전자파를 방사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6은 활성 산소나 +-의 전해질에 마이크로 전자파의 전장이 작용했을 때의 영향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복수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대향 배치하고, 회전 대좌상의 신체에 측면으로부터 마이크로파를 방사하여 치료하는 모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체중을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체온을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백혈구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적혈구, 헤모글로빈을 그래프로 나타낸 실 험 결과이다.
도 12는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혈소판 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3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총단백, T-Bil을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4는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GOT, GPT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5는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LDH, ALP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6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아밀라아제(Amylase), CPK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7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글루코오스(Glucose), NH3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8은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BUN, Cr를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19는 실험에 사용한 비글개의 백혈구 분획을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20은 1대의 마이크로파를 표본을 향해서 30cm의 거리에서 3초간 조사한 후 5분 후의 형태의 변화기를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의 실험에서 30분 후의 형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현미경 사 진이다.
도 22는 정상인의 손끝에서 채취한 1방울의 혈액에 1대의 마이크로파를 향해 30cm의 거리에서 3초간 조사한 뒤 30분 후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 괴멸 방법 및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 괴멸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는, 통상 약 4kVK의 고압이 필요하며, 마그네트론과 전자파 방사를 일체 구성한 가변 개구 조정 방사부를 가지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로, 방사기의 전자 호온 부분은 부분 개구부를 가동적으로 구비하고, 기계적인 핸들 등으로 조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는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동축 케이블 전선이나 공동 덕트를 통하여 전자파 에너지를 방사했었으나, 손실이 대단히 많았다. 또한, 치료자의 조작도 대규모이고 매우 위험한 상태이기도 했다. 개구부도 모두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에너지 방사면도 일정하여, 변경하는 데에는 별도의 기기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일체 구조의 가변 개구 조정 호온을 가지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이기 때문에, 안전하고, 또한 외관도 소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우수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는, 도 1∼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트랜스(17)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마이크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6)을 구비하며, 가변 개구 조정 호온부(11, 12)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호온부(1)를 일체 구조로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13)를 이용해, 가변 개구 조정 호온부(11, 12)를, 가동 기어 등의 톱니바퀴로 종방향과 횡방향의 변화시켜, 회전축(15a, 15b)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치료 환자의 체질에 맞춰 개구부(A∼A’·B∼B’)를 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개구부 앞면(18)의 전체면 틀을 절연체 부재(26)로 커버하여, 치료 환자에 대한 공포심을 억제하는 형상으로 불안감을 고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 방식으로 용이하게 개구부의 조정을 행하는 것은, 마이크로 전자파의 공간 방사 전기 임피던스의 정합이 특히 중요하기 때문이며, 환자의 체질에도 맞춘 전자기학적 임피던스와 상등하게 하는 것이 최대 조건이다. 치료 효과는 하기의 조건을 갖추었을 때 최선이 된다.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내부 임피던스) =
호온의 방사 전기 임피던스 + 인체의 내부 저항
또한, 개구부 A∼A’·B∼B’의 전자파 방사구가 극단적으로 좁으면, 마이크로 전자파가 발진 정지를 일으켜, 불안정한 발진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의 조작은 스타트-스위치(22)를 투입하고, 전원의 표시 램프(21)를 점등한다. 타이머-스위치(23)에 의해 세팅된 시간만큼 구동한다. 긴급 시에는 정지 스위치(24)를 누르면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16)과 전자파 호온부(1)를 일체 구조로 한 장치로, 개구부 전면을 인체나 동물의 암세포 주변부를 향하게 하고 마이크로 전자파(1.0∼5GHz)를 방사한다. 전원은 가정용 콘센트로부터 전원 입력(3)을 통하여 삽입한다.
여기서 전자파의 공간 방사 전기 임피던스의 정합이 특히 중요하고, 환자의 체질에도 맞춘 전자기학적 임피던스와 상등하게 하는 것이 최대 조건이기 때문에, 전자파 방사구는 호온형에 일치시켰을 때가 최선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내부 임피던스) = 호온의 방사 전기 임피던스 + 인체의 내부 저항] 의 관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임상 실험예에서는, 인체나 동물에 발생한 암세포에 대해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부작용도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참조예로서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낸 데이터를 열거한다.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1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2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3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4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5
Figure 112003032670869-pct00006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인체 주위에 대향 배치되도록 가동적으로 배치하여, 자유 자재로 리모트컨트롤 조작하여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를 수직의 폴(4)에 파지하고, 정착 손잡이(3)에 압접하여 고정한다. 또는, 압접하지 않고, 지속적인 상태로 유지하여, 리모트컨트롤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이들을 복수 배치할 때에는, 대향하는 방사 에너지가 강조되도록 배치한다.
치료 환자는 대향하는 중간에 회전 가능한 대좌상(7)에 직립한다. 또는, 앉는 대좌는 회전 기동 스위치(8)와 회전 대좌 속도 조정 손잡이(9)로 제어한다.
회전축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대좌상에 치료 환자를 직립시키고, 신체 환부에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를, 높이 방향의 리모트컨트롤 조작으로 위치 조정하여, 어떠한 환부라도 마이크로 전자파가 용이하게 방사되는 구성으로 한다. (5)는 수직 폴을 바닥에 고착하는 베이스이다.
또한, 환자의 병상이 가볍고 미소한 암세포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가동 방식을 복수로 이용하지 않고 단체로 사용하는 것만으로 좋고, 또한 단지 한 면의 마이크로 전자파 방사로 충분하다.
이어서, 상기에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이용해 실제로 암세포 등을 괴멸할 수 있는, 암에 대한 비침습성 하이 파워 마이크로파 장치(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의 기초적 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마이크로파 치료에 대하여,
현재 마이크로파는, 일반적으로는 작은 범위의 간암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바늘을 찔러 병소부까지 근접시키거나, 또는 전립선 비대에서는 요도를 통해 환부에 도달시키고, 그에 앞서 약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암조직을 열에 의해서 파괴시키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은 종양의 크기나 수에 제한이 있고, 대처 요법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암세포에는 정상 세포에는 존재하지 않는 자유 라디칼이 존재한다. 이러한 강한 마이크로파를 암에 조사하면, 자유 라디칼이 단시간에 초고속으로 진동을 반복하여 고열을 발생하고, 그 결과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고 하는 이론으로부터, 독자적으로 획기적인 소형 마이크로파 장치(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종래의 핀 포인트가 아니라 면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체외로부터 조사하여, 한번에 광범위한 암이나 전이소를 파괴하고, 또한 조사 시간을 수초의 단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 획기적인 비침습성 하이 파워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의 암에 대한 의료면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기초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이하에 발표한다.
실시예
실험 1: 동물 실험에 의한 안전성 테스트
생후 9개월∼11개월의 수컷 비글개 10마리(체중 10.9±0.91Kg)를 이용하여, 60cm 간격으로 2대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를 서로 마주하게 설치하고, 그 중간에 실험 동물을 눕힌 뒤, 간 부분을 중심으로 흉부나 복부가 1회의 조사로 피폭되도록 하여 전후 방향으로 2회 및 측면 방향으로 2회를 각각 2초 간격으로 쌍방의 마이크로파를 동시에 각각 3초간 조사하였다. 또한, 이 조작을 3일간 연속하여 동일하게 행하고, 조사 전, 조사 후, 1주일 후, 2주일 후, 3주일 후, 4주일 후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혈액 검사 등을 행하였다.
① 건강 상태의 체크 항목
체온, 체중, 전신 상태···(도 8, 도 9 참조)
전체 과정에서 실험 전과 변화 없이 양호한 전신 상태를 나타내었다. 발열, 체중 감소는 인지되지 않았다.
② 혈액 검사
WBC, 백혈구 분획, RBC, Hb, 혈소판 수, TP, T-Bil, GOT, GPT, LDH, ALP, 아밀라아제, CPK, 글루코오스, NH3, BUN, Cr 등의 검사를 행하였다.
결과: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 참조
조사 2주째에 WBC가 약간 저하되게 나타났으나, 그 후 회복되었다. 백혈구 분획에서는, 에오시노(Eosino)가 조사 후와 1주째에 28%, 3주째에 48% 감소하였으나, 4주째에 72%까지 회복되었다. RBC와 Hb에서는 조사 후부터 4주째에 걸쳐 10% 전후의 저하가 인지되었으나, 진행성 이상 값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험 2: 요 중의 8-OHdG(8-하이드록시데옥시구아노신)의 변동
DNA의 산화적 손상의 생물학적 표식(biomarker)인 8-OHdG를 조사하면, 마이크로파 조사 전후의 DNA의 산화적 손상의 수복 정도를 알 수 있다.
① 자연 발생된 암을 가지는 개 2마리의 요 중 8-OHdG의 변동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일간 행하였다.
a) 종류: 요크셔테리어, 체중: 3.2Kg, 거세 수컷, 1987년생, 간종양, 방광결석, 복수 저명.
b) 종류: 시츄, 체중: 4.3Kg, 피임 암컷, 1985년생, 유선암, 보행 곤란.
결과: a)에서는 원뇨의 8-OHdG 값의 평균값은 155, 조사 후의 요 중 8-OHdG 값의 평균값은 42.5, b)에서는 원뇨의 8-OHdG의 평균값은 24, 조사 후의 요 중 8-OHdG 값의 평균값은 13.0으로, 동시에 명확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삭제
삭제
삭제
실험 3: 살아있는 세포의 변동
① 살아있는 암세포의 변동
방법: 환자의 동의 하에서, 인체의 유방에 나타난 암성 궤양으로부터 직접 커버 글라스에 수득한 분비물을 1000배의 위상차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고형 암세포 집락이 인지되었다. 이 표본에 대하여 1대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로 3초간 조사 후, 형태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 조사 5분 후에는 세포막의 비대가 관찰되었고, 부분적으로 붕괴가 나타났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분 후에는 세포막이 완전히 파괴되어 소실되고, 세포질의 형태도 상실되어 있다.
형태적으로는 정상 세포에서는 이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② 정상 혈액과의 비교
방법: 대상으로서 정상인의 손끝에서 수득한 신선한 1방울의 혈액에, ①과 동일하게 1대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로 3초간 조사 후, 적혈구와 백혈구의 형태 변화를 1000배의 위상차 현미경으로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고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근래, 마이크로파에 의한 암 치료의 개념은, 물체 중의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로 암을 응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료면에서는 현재, 경피를 통해 간 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직경 2cm 이내의 간암을 응고시키고 있으나, 후출혈이나 1회 시의 치료 범위가 좁고, 치료 회수를 늘려야 한다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라디오파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요도를 통해 전립선 비대나 전립선암에도 응용되고 있으나, 조사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요도와 직장을 냉각해야 한다. 간세포암에 대해서는 Mming-de Lu, Jun-wei Chen 등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극의 수를 늘리면 6cm 이하의 간세포암에도 유효하게 작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Radiology 2001 Oct; 221(1): 167-172). 한편, 마이크로파는 수술 중에 뼈의 암에 조사하거나, 자궁 내막의 제거등 점차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더라도 라디오파를 이용하더라도 핀 포인트 치료가 가능하며, 이 방법으로는 물론 그 적응 범위가 한정되며, 암 치료의 면에서 말하면 대처 요법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삭제
전자파 치료의 발전을 기하는 데에는, 먼저 비침습성으로서, 조사 시간을 단축하고,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한도로 제한하는, 종래의 핀포인트 방식이 아닌 것이 바람직한 조건이 된다.
그렇게 되면 그 응용 범위가 획기적으로 확대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본 장치는 20여 cm2의 면에서 마이크로파가 동시에 조사되므로, 유효 범위가 점에서 면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종래의 장치에 비해 보다 하이 파워이고, 또한 2대의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를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고, 동시에 수초 단위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중심부에 비트 현상이 발생해, 그 출력 농도(power density)가 1W/cm2에 도달한다. 거기에 대상물을 배치하면, 체액의 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하기 이전에 암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자유 라디칼이 강렬한 전자파에 의해서 고속으로 진동을 반복해 발열하여,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이들은 실험 2 및 3으로부터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체외로부터 비침습적으로 수초의 단위로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한도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장치가 장래에 임상에 응용되면, 예를 들면 종양과 동시에 림프액, 수술 불가능한 광범위한 암 등, 체외로부터 또한 수초의 단위로 유효하게 작용 하기 때문에, 그 응용 범위는 현저하게 확대될 수 있을 가능성을 품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이, 전자파에 의한 생체로의 영향이지만, Ivancica Trosic의 실험에 의하면 래트의 전신에 2450MHz의 마이크로파를 5-15mW/cm2의 출력 농도로 설정하여 2시간 동안 조사 회수를 여러 가지로 바꿔 관찰한 결과에서는, 다핵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의 출현이 관찰되었고, 세포 내의 핵의 수적 상승은 조사 시간과 선량에 따라 좌우되고 있다(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1 Nov; 204(2-3): 133-138).
따라서, 이 현상만으로 병적 징후라고 즉단할 수는 없다. 전자파의 영향은 조사 시간과 출력 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당연하다. 가령 출력 농도가 1W/cm2이더라도, 조사 시간이 수초의 단위이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범위 내로 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예를 들면 강한 자외선 하에서도 단시간이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금후의 연구의 여지는 남아 있다.
Bruce Hocking은 마이크로파를 시종 취급하는 연구가들 중에 두통, 피로감, 자율신경 실조증 등의 증상(microwave sickness)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Occupational Medicine(Lond) 2001 Feb; 51(1): 66-69), 이는 알루미늄벽과 일부 통풍이 잘되는 개소(箇所)를 만들어 놓으면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장치의 안전성에 관한 동물 실험에서는, 살아있는 혈액에 의한 백혈구의 경시적인 변화를 보더라도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한편, 암에 대한 효과는 암을 둘러싸고 있는 자유 라디칼을 이용한 새로운 상정(想定)을 바탕으로, 유효하면서도 비침습적으로 단시간에 암을 파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임상 실험예에서는, 인체나 동물에게 발생한 암세포의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부작용도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임상에서 치료 환부인 체내부, 심부의 병원체 및 특히 암세포에 대한 병소를 열에너지로 괴멸시켜 제거할 수 있고, 이때 42℃ 이상의 온도에서 최선의 결과가 얻어진다.
환자의 동의 하에, 특히 말기 중증 암 환자를 대상으로 삼아, 그 임상 시험예로서, 1주일간에 효과가 나타나고, 회복의 조짐을 보이는 환자의 예나, 환자의 통증을 억제하는 것에도 성공한 예가 많다. 물론 몰핀을 투여하지 않아도 장시간의 고통을 잊는 것이 가능한 사례도 있었다.
또한, 동물 실험예에서 부작용과 같은 이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마그네트론(16)과 개구부의 개구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한 전자파 호온(1)이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를 신체의 측면에 대향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로서, 상기 대향 배치된 마이크로전자파 발생기(2) 또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회전시키면서, 대향 배치한 각각의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기(2)로부터 약 500 W의 전자 에너지를 가지는 1.0~5 GHz의 마이크로 전자파를 신체를 향해 동시에 수초간 방사하여 신체 내의 심부에 도달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37011502A 2001-03-12 2002-03-12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KR100573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6098 2001-03-12
JPJP-P-2001-00116098 2001-03-12
JP2001136683 2001-03-30
JPJP-P-2001-00136683 2001-03-30
JPJP-P-2001-00177766 2001-05-10
JP2001177766 2001-05-10
PCT/JP2002/002296 WO2002072198A1 (fr) 2001-03-12 2002-03-12 Methode de desagregation de tissus de cellules cancereuses par rayonnement microelectromagnetique et emetteur microelectromagn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632A KR20030087632A (ko) 2003-11-14
KR100573756B1 true KR100573756B1 (ko) 2006-04-24

Family

ID=2734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502A KR100573756B1 (ko) 2001-03-12 2002-03-12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60239B2 (ko)
EP (1) EP1371389B1 (ko)
JP (1) JPWO2002072198A1 (ko)
KR (1) KR100573756B1 (ko)
CN (1) CN1317045C (ko)
AT (1) ATE537876T1 (ko)
CA (1) CA2440139C (ko)
WO (1) WO2002072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071A (ko) 2022-10-31 2024-05-08 한국전기연구원 전자기파 치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1983B1 (en) * 2004-07-06 2005-12-06 Humberto Cancio Therapeutically beneficial movable magnetic fields
US20060259103A1 (en) * 2005-04-28 2006-11-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ablation using multi-point convergent RF beams
EP1887946A2 (en) * 2005-06-06 2008-02-20 The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ct using spectrally resolved bandwidth
US8125648B2 (en) 2006-06-05 2012-02-2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Polarization-sensitive spectral interferometry
CN101836127B (zh) * 2007-11-12 2013-03-27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结合可调整喇叭型结构的超声波感测装置
US9707403B2 (en) 2007-12-12 2017-07-18 Neuro Code Tech Holdings, Llc Rapid destruction of malignant tumors by excitotoxicity and osmotic-shock medical tactics
WO2009089517A1 (en) 2008-01-10 2009-07-16 The Neuro-Signaling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ncer cell electrical signals for medical therapy
WO2009151783A1 (en) 2008-04-17 2009-12-17 The Neuro-Signaling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to elicit apoptosis in malignant tumor cells for medical treatment
US20100249678A1 (en) * 2008-12-01 2010-09-30 Charles Timberlake Zeleny Zeleny therapeutic sonosphere
US9764160B2 (en) 2011-12-27 2017-09-19 HJ Laboratories, LLC Reducing absorption of radiation by healthy cells from an external radiation source
KR101577322B1 (ko) 2014-08-08 2015-12-15 주식회사 에이치와이 의료용 투열치료기의 방사범위 조절장치
US11154238B2 (en) 2015-08-07 2021-10-26 Electroceutical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bioelectronic neurocode-based therapies to mammals
JP2017124994A (ja) * 2016-01-15 2017-07-20 靖彦 中村 癌治療及び癌再発防止のための装置並びにポルフィリン類含有製剤
CN106823152B (zh) * 2017-03-20 2019-06-04 界首市菁华科技信息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癌症治疗仪
CN113811350A (zh) * 2019-03-28 2021-12-17 万能量子飞跃技术有限公司 磁刺激设备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423A (en) * 1988-02-18 1992-02-25 Omron Corporation Local heating apparatus and cavity resonator for local heat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5345U (ko) * 1972-06-03 1974-03-04
US4537181A (en) * 1978-12-05 1985-08-27 Hydromagnetics, Inc. Hydromagnetic apparatus for non-surgical in vivo removal of calcium deposits
JPS5694229A (en) * 1979-12-28 1981-07-30 Aloka Co Ltd Measuring device for internal temperature of material to be examined
US4434341A (en) * 1980-02-20 1984-02-28 Busby Dennis L Selective, locally defined heating of a body
JPS5734867A (en) * 1980-08-12 1982-02-25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with microwave heater
JPS59105464A (ja) * 1982-12-10 1984-06-18 株式会社トキメック 温熱療法用電磁波発生器
JPS628770A (ja) * 1985-07-05 1987-01-16 チエスト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温装置
JPS62123383A (ja) * 1985-11-25 1987-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グ検出装置
JPS62172453U (ko) * 1986-03-31 1987-11-02
JPH01110755U (ko) * 1988-01-18 1989-07-26
JPH01300964A (ja) * 1988-05-31 1989-12-05 Shimadzu Corp ハイパーサーミア装置
JPH0277270A (ja) * 1988-09-13 1990-03-16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治療器
US5270616A (en) * 1989-09-25 1993-12-14 Ryohei Itatani Microwav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JPH04180776A (ja) * 1990-11-15 1992-06-26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照射装置
JP3872123B2 (ja) * 1996-03-08 2007-01-24 伊藤超短波株式会社 マイクロ波治療器
AU8397998A (en) * 1997-07-17 1999-02-10 Medlenniu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ation and hyperthermia therapy of tumors
ID27614A (id) * 1997-11-28 2001-04-12 Masayuki Matsuura Metode dan radas untuk terapi gelombang
JP4018268B2 (ja) * 1998-11-19 2007-12-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電波吸収可塑性材料又は電波吸収可塑性材料成形体を用いた加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電波吸収可塑性材料成形体
US6971983B1 (en) * 2004-07-06 2005-12-06 Humberto Cancio Therapeutically beneficial movable magnetic fiel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423A (en) * 1988-02-18 1992-02-25 Omron Corporation Local heating apparatus and cavity resonator for local he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071A (ko) 2022-10-31 2024-05-08 한국전기연구원 전자기파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1389B1 (en) 2011-12-21
JPWO2002072198A1 (ja) 2004-07-02
CN1317045C (zh) 2007-05-23
CA2440139C (en) 2009-01-27
CA2440139A1 (en) 2002-09-19
EP1371389A4 (en) 2009-10-21
US20040097781A1 (en) 2004-05-20
EP1371389A1 (en) 2003-12-17
CN1496276A (zh) 2004-05-12
KR20030087632A (ko) 2003-11-14
US7160239B2 (en) 2007-01-09
ATE537876T1 (de) 2012-01-15
WO2002072198A1 (fr)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556B2 (en)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1253718B2 (en) High power time varying magnetic field therapy
KR100573756B1 (ko) 마이크로 전자파에 의한 암세포 조직의 괴멸 방법 및마이크로 전자파 발생 장치
CN100553714C (zh) 使用近红外led治疗前列腺疾病的医疗器械
Hiraoka et al. Radiofrequency capacitive hyperthermia for deep‐seated tumors. II. Effects of thermoradiotherapy
Takook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yperthermia applicators to heat deep-seated brain tumors
Habash et al. Principles, applications, risks and benefits of therapeutic hyperthermia
RU2445134C1 (ru) Способ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биологические объекты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ми волн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9718473A (zh) 一种量子细胞共振仪
WO20131141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adiating biological tissue
Hunt Applications of Microwave, Ultrasound, and Radiofrequency Heating 1, 2
KR20190120091A (ko) 고주파 온열 치료 또는 제거 수술을 위한 암 세포의 이동 유도용 rf 마이크로 칩
CN110384868A (zh) 一种用于老年病预防和康复治疗的医疗设备
CN100459951C (zh) 消除皮下脂肪过热缺陷的射频热疗仪
RU2179465C1 (ru)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0571813C (zh) 粉碎电磁波治疗仪
Takook Optimizing Microwave Hyperthermia Antenna Systems
Zuo et 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Trend of Microwave Technology in Clinical Medicine
CN100542629C (zh) 水平电场射频热疗仪
CN201044769Y (zh) 消除皮下脂肪过热缺陷的射频热疗仪
CN1636609A (zh) 肿瘤癌症治疗机
Finger et al. A 5.8 GHz ophthalmic microwave applicator for treatment of choroidal melanoma
US20130172659A1 (en) Electromagnetic Deep Tissue Excitation
William Experimental Study of Heating effects of 27.12 MHz Diathermy unit on clay models for Hyperthermia applications in cancer treatment
Urdaneta Enhanced Microwave Hyperthermia using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