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649B1 -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49B1
KR100573649B1 KR1020040031580A KR20040031580A KR100573649B1 KR 100573649 B1 KR100573649 B1 KR 100573649B1 KR 1020040031580 A KR1020040031580 A KR 1020040031580A KR 20040031580 A KR20040031580 A KR 20040031580A KR 100573649 B1 KR100573649 B1 KR 10057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door
outdoor
unit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767A (ko
Inventor
다께다유우이찌
가미무라쯔요시
구보따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전원 시스템,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콘덴서 입력형의 실외 전원 장치(31)를 갖는 실외기와, 콘덴서 입력형의 실내 전원 장치(32)를 갖는 실내기를 구비하고, 실외 전원 장치(31)와 실내 전원 장치(32)를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하여 각각의 부하에 전력 공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실외 전원 장치(31) 및 실내 전원 장치(32)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44)와, 전류 검출부(44)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54)를 구비하였다.
실내 전원 장치, 실외 전원 장치, 전류 검출부, 고주파 억제부

Description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Power Source System and Air Condition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된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기 회로도.
도3은 도2의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된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기 회로도.
도5는 도4의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7은 도2의 실외 전원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도4의 실내 전원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공기 조화 장치
11 : 실외기
12, 12-1, 12-2 : 실내기
16 : 압축기
16A : 압축기 모터(부하)
19 : 실외 열교환기
21 : 실내 열교환기
23A : 실내 팬 모터(부하)
30, 130, 200 : 전원 시스템
31, 131, 231 : 실외 전원 장치(전원 장치)
32, 132, 232 : 실내 전원 장치(전원 장치)
33 : 교류 전원
36a, 36b, 136a, 136b : 접속 단자
37a, 37b, 137a, 137b : 접속점
41a : 제어부
42d : 송수신부(송신부)
44, 144 : 전류 검출부
51a, 51b, 171a, 171b : 전원 단자
53, 73 : 정류 회로
54 : 고주파 억제부
55, 75 : 평활 콘덴서
58a, 58b, 78a, 78b : 전력 공급선
59 : 승압 컨버터 회로
59b : 승압용 스위칭 소자(스위칭 소자)
71a, 71b, 151a, 151b : 전력 입력 단자
242, 252 : 부하
본 발명은, 고주파 전류의 억제에 기여하는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에서는 전원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가진 고주파 전류가 생긴다. 그래서,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에는 이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고, 이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전원 장치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전원이 이 실외기의 전원 장치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압축기 등의 실외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하고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는 실외기의 전원 장치와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내기의 전원 장치의 전력 입력 단자는 실외기의 전원 장치의 전원 단자에 배선 접속된다. 이와 같이, 실외기의 전원 장치와 실내기의 전원 장치로 전원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47084호 공보
상기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든 전원 장치에 고주파 억제부를 설치하는 것은 부품갯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실내기의 전원 장치에는 고주파 억제부를 설치하지 않고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전원 시스템에서는, 실외기의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는 검출하고 있지만, 실내기의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지 않은 것이 된다. 따라서, 고주파 억제부는 실외기의 전원 장치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만으로 고주파를 억제하는 제어를 행하게 되므로, 교류 전원에 의해 전원 시스템 전체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억제하고 있지 않아, 고주파 전류의 억제 효과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전원 시스템,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복수대의 전원 장치를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 중, 어느 1대의 전원 장치에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이 전력 공급선과 다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다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 중, 적어도 1대의 전원 장치에 상기 고주파 억제부가 구비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에 전력 공급선으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선에 다른 전원 장치의 전력 입력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에 있어서의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해도 좋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에 전력 공급선으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에 있어서의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갖는 다른 전원 장치의 전력 입력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상기 전력 공급선에 설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전류 검출 결과를 상기 다른 전원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전원 장치를 갖는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전원 장치를 갖는 실내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외 전원 장치와 상기 실내 전원 장치를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하고, 상기 실외 전원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갖고, 상기 실내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실내 전원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구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갖고, 상기 실내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전원 장치 및 상기 실내 전원 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전원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실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선과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에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력 공급선의 상기 접속점에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대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전원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선과 상기 실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상기 실외 전원 장치에 구비되어도 좋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는 실외기(11) 및 실내기(12)를 갖고 있고, 실외기(11)의 실외 냉매 배관(14)과 실내기(12)의 실내 냉매 배관(15)이 연결 배관(24 및 25)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실외기(11)는 실외에 배치된다. 실외 냉매 배관(14)에는 압축기(16)가 배치되는 동시에, 이 압축기(16)의 흡입측에 어큐물레이터(17)가 배치되고, 압축기(16)의 토출측에 4방 밸브(18)가 배치되고, 이 4방 밸브(18)측에 실외 열교환기(19) 및 전동식 팽창 밸브(22)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실외 열교환기(19)에는 실외 열교환기(19)로부터 실외로 송풍하는 실외 팬(20)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외 팬(20)은 실외 팬 모터(20A)에 의해 구동된다. 이 실외 팬 모터(20A)는, 예를 들어 무브러시 DC 모터이다. 압축기(16)는 압축기 모터(16A)에 의해 구동된다. 이 압축기 모터(20A)는, 예를 들어 무브러시 DC 모터이다.
실내기(12)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 냉매 배관(15)에는 실내 열교환기(21)가 배치된다. 이 실내 열교환기(21)에는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실내로 송풍하는 실내 팬(23)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내 팬(23)은 실내 팬 모터(23A)에 의해 구동된다. 이 실내 팬 모터(23A)는, 예를 들어 무브러시 DC 모터이다.
공기 조화 장치(10)에는 실외기(11)에 설치되는 실외 제어 장치(41)와, 실내기(12)에 설치되는 실내 제어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제어 장치(41)는 압축기(16)의 운전 주파수(회전수)를 제어하고, 실외 팬(2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전동식 팽창 밸브(22)의 개방도를 제어하고, 운전 모드에 따라서 4방 밸브(18)를 절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실내 제어 장치(42)는 실내 팬(23)의 회전수의 제어를 행한다.
실내기(12)측의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서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 모드로 설정 가능하다.
이 실외 제어 장치(41)와 실내 제어 장치(42)는 직렬 통신을 행하도록 통신선(43)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 제어 장치(41)는 실내 제어 장치(42)에 이 통신선(43)을 거쳐서 실내 팬 모터(23A)의 회전수의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실내 제어 장치(42)는 실내의 공기 조절 부하의 정보나, 설정된 운전 모드의 정보, 실내 팬 모터(23A)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실외 제어 장치(41)로 송신한다. 실외 제어 장치(41)는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압축기 모터(16A), 실외 팬 모터(20A), 4방 밸브(18) 및 전동식 팽창 밸브(22)를 제어한다.
냉방 운전을 행하는 운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4방 밸브(18)가 냉방측으로 절환되고, 냉매가 실선 화살표와 같이 흐른다. 그리고, 압축기(16)의 운전에 의해 압축기(16)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4방 밸브(18)를 경유하여 실외 열교환기(19)에 이르고, 이 실외 열교환기(19)에서 응축되고, 전동식 팽창 밸브(22)를 경유하여 감압된 후, 실내기(12)의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냉방한다.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의 냉매는 실외기(11)측으로 흐르고, 이 실외기(11)의 4방 밸브(18) 및 어큐뮬레이터(17)를 경유하여 압축기(16)로 복귀된다.
또한, 난방 운전을 행하는 운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4방 밸브(18)가 난방측으로 절환되고, 냉매가 파선 화살표와 같이 흐른다. 그리고, 압축기(16)의 운전에 의해 압축기(16)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4방 밸브(18)를 경유하여 실내기(12)의 실내 열교환기(21)에 이르고, 이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되어 실내를 난방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기(11)의 전동식 팽창 밸브(22)로 감압되 어 실외 열교환기(19)에서 증발된 후, 4방 밸브(18) 및 어큐뮬레이터(17)를 경유하여 압축기(16)로 복귀된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된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기 회로도이다. 또한, 도3은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전원 시스템(3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1)의 전원 장치(이하,「실외 전원 장치」라 함)(31)와, 실내기(12)의 전원 장치(이하,「실내 전원 장치」라 함)(32)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전원 장치(31) 및 실내 전원 장치(32)는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이다. 그리고, 실외 전원 장치(31)는 교류 전원(33)에 접속되어 실외기(11)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실내 전원 장치(32)는 실외 전원 장치(31)에 접속되어 이 실외 전원 장치(31)를 거쳐서 실내기(12)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외 전원 장치(31)는 교류 전원(33)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51a, 51b)와, 초크 코일(52)과, 정류 회로(53)와, 고주파 억제부(54)와, 평활 콘덴서(55)와, 인버터부(56)와, 실외기(11)의 부하로서의 압축기 모터(16A)가 접속되는 출력 단자(57a, 57b, 57c)와, 전류 검출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단자(51a)와 정류 회로(53)는 전력 공급선(58a)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원 단자(51b)와 정류 회로(53)는 전력 공급선(58b)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공급선(58a)에는 초크 코일(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코일(52)은 고주파 전류를 억제하는 수동 소자이다.
정류 회로(53)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이 정류 회로(53)는 다이오드가 브릿지 접속되어 있고, 전파 정류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류 회로(53)의 출력측에는 평활 콘덴서(55)가 접속되어 있다.
고주파 억제부(54)는 승압 컨버터 회로(59)와, 실외 제어 장치(41)에 있어서의 제어부(41a)(도3)를 구비하고 있다. 승압 컨버터 회로(59)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 회로(53)와 평활 콘덴서(5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승압 컨버터 회로(59)는 승압용 반응 장치(59a), 승압용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IGBT)(59b)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59c)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류 회로(53)의 출력단부의 일단부와, 평활 콘덴서(55)의 일단부 사이에 승압용 반응 장치(59a)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59c)가 직렬로 설치되고, 승압용 반응 장치(59a)의 출력단부에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정류 회로(53)의 출력단부의 타단부에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부(56)는 인버터 회로(60)와 실외 제어 장치(41)의 제어부(41b)(도3)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60)는 브릿지 접속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IGBT)(Q1 내지 Q6)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 검출부(44)는 전류 센서(예를 들어, CT)(61)와, 실외 제어 장치(41)의 처리부(41c)(도3)를 구비하고, 전력 공급선(58a)의 교류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센서(61)는 전력 공급선(58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류 센서(61)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전력 공 급선(58a)의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전압치가 처리부(41c)에 의해 취득된다. 처리부(41c)는 취득한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전압치를 교류 전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교류 전류 데이터를 제어부(41a)로 송신한다.
제어부(41a)에는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를 구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승압용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승압 컨버터 회로(59)는 고주파 억제 회로로, 승압용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른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1a)는 고주파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전류 검출부(44)의 전류 검출 결과(교류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펄스폭 변조 신호로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41b)에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Q1 내지 Q6)를 구동하는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60)는 이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서, 압축기 모터(16A)에 인가하는 전압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압축기 모터(16A)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실내 전원 장치(32)는 교류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전력 입력 단자(71a, 71b)와, 초크 코일(72)과, 정류 회로(73)와, 평활 콘덴서(75)와, 인버터부(76)와, 실내기(12)의 부하로서의 실내 팬 모터(23A)가 접속되는 출력 단자(77a, 77b, 77c)를 구비하고 있다.
전력 입력 단자(71a)와 정류 회로(73)는 전력 공급선(78a)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력 입력 단자(71b)와 정류 회로(73)는 전력 공급선(78b)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공급선(78a)에는 초크 코일(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초크 코일(72)은 고주파 전류를 억제하는 수동 소자이다.
정류 회로(73)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이 정류 회로(73)는 다이오드가 브릿지 접속되어 있고, 전파 정류를 행하는 것이다. 이 정류 회로(73)의 출력측에는 평활 콘덴서(75)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부(76)는 인버터 회로(80)와 실내 제어 장치(42)의 제어부(42b)(도3)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80)는 브릿지 접속한 복수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IGBT)(Q11 내지 Q1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2b)에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Q11 내지 Q16)를 구동하는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80)는 이 스위칭 소자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서 실내 팬 모터(23A)에 인가하는 전압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실내 팬 모터(23A)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실외 제어 장치(41)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41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내 제어 장치(42)에는 송수신부(42d)가 구비되어 있다. 송수신부(41d)와 송수신부(42d)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전원 장치(31)의 송수신 단자(34) 및 실내 전원 장치(32)의 송수신 단자(35)를 거쳐서 통신선(43)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력 공급선(58a, 58b)과,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즉, 정류 회로(7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외 전원 장치(31) 및 실내 전원 장치(32)는 교류 전원(33)에 병렬로 접속되게 된다.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력 공급선(58a, 58b)에는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접속 단자(36a, 36b)는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력 공급선(58a, 58b)의 접속점(37a, 3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 전원 장치(31)의 접속 단자(36a, 36b)와,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가 접속선(38a, 38b)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초크 코일(52)은 접속점(37a) 및 정류 회로(53)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전류 센서(61)는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원 단자(51a)와 접속점(37a) 사이의 전력 공급선(58a)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류 검출부(44)는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원 단자(51a)와 접속점(37a) 사이의 전력 공급선(58a)의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즉, 전류 검출부(44)는 복수대(도2에서는 2대)의 전원 장치(31, 32)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주파 억제부(54)는 전원 시스템(30)에 있어서의 모든 전원 장치(31, 32)에 입력되는 합계의 교류 전류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원 시스템(3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게 되므로,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주파 억제부(54)를 하나의 전원 장치(31)에 설치하고, 다른 전원 장치(32)에는 고주파 억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류 전원(33)에 병렬로 복수대(도2에서는 2대)의 전원 장치(31, 32)를 접속하는 경우, 실외 전원 장치(31)가 전원 단자(51a, 51b) 및 접속 단자(36a, 36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원 단자(51a, 51b)에 교류 전원(33)을 접속하고, 나머지 전원 장치인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를 실외 전원 장치(3)의 전원 단자(36a, 36b)에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좋고, 간단한 배선 작업으로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전원 장치(31)에 접속되는 부하[압축기 모터(16A)]에 입력되는 최대 전류는 실내 전원 장치(32)에 접속되는 부하[실내 팬 모터(23A)]에 입력되는 최대 전류보다도 크다. 예를 들어, 실외 전원 장치(31)에 접속되는 부하[압축기 모터(16A)]에 입력되는 최대 전류(실효치)는 10[A]이고, 실내 전원 장치(32)에 접속되는 부하[실내 팬 모터(23A)]에 입력되는 최대 전류(실효치)는 1[A]이다. 따라서, 실외 전원 장치(31)의 정류 회로(53)와 평활 콘덴서(55) 사이에 고주파 억제부(54)의 승압 컨버터 회로(59)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고주파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전원 장치는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실외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실내 전원 장치는 실외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 이 실외 전원 장치를 거쳐서 실내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전원 장치는 교류 전 원에 접속되어 실내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실외 전원 장치는 실내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 이 실내 전원 장치를 거쳐서 실외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된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전기 회로도이다. 또한, 도5는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성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전원 시스템(13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전원 장치(131)와, 실내 전원 장치(132)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전원 장치(131) 및 실내 전원 장치(132)는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이다. 그리고, 실내 전원 장치(132)는 교류 전원(33)에 접속되어 실내기(12)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실외 전원 장치(131)는 실내 전원 장치(132)에 접속되어 이 실내 전원 장치(132)를 거쳐서 실외기(11)의 부하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내 전원 장치(132)는 교류 전원(33)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171a, 171b)와, 전류 검출부(144)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단자(171a)와 정류 회로(73)는 전력 공급선(78a)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원 단자(171b)와 정류 회로(73)는 전력 공급선(78b)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공급선(78a)에는 초크 코일(72)이 설치되어 있다.
전류 검출부(144)는 전류 센서(예를 들어, CT)(161)와, 실내 제어 장치(42) 의 처리부(42c)(도5)를 구비하고, 전력 공급선(78a)의 교류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센서(161)는 전력 공급선(78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류 센서(161)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 전력 공급선(78a)의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전압치가 처리부(42c)에 의해 취득된다. 처리부(42c)는 취득한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전압치를 교류 전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교류 전류 데이터를 송수신부(42d)로 이송한다. 이 송수신부(42d)는 교류 전류 데이터를 실외 제어 장치(41)의 송수신부(41d)에 통신선(43)을 거쳐서 송신한다. 실외 제어 장치(41)의 송수신부(41d)는 실내 제어 장치(42)의 송수신부(42d)로부터 수신한 교류 전류 데이터를 제어부(41a)로 이송한다.
제어부(41a)는 고주파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전류 검출부(144)의 전류 검출 결과(교류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펄스폭 변조 신호로 승압용 스위칭 소자(59b)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실외 전원 장치(13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입력 단자(151a, 151b)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 전원 장치(131)의 전력 입력 단자(151a)와 정류 회로(53)는 전력 공급선(58a)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력 입력 단자(151b)와 정류 회로(53)는 전력 공급선(58b)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공급선(58a)에는 초크 코일(52)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전력 공급선(78a, 78b)과, 실외 전원 장치(131)의 전력 입력 단자(151a, 151b)[즉, 정류 회로(5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 어 있다. 이에 의해, 실외 전원 장치(131) 및 실내 전원 장치(132)는 교류 전원(33)에 병렬로 접속되게 된다.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전력 공급선(78a, 78b)에는 실외 전원 장치(131)의 전력 입력 단자(151a, 151b)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136a, 136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접속 단자(136a, 136b)는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전력 공급선(78a, 78b)의 접속점(137a, 13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접속 단자(136a, 136b)와, 실외 전원 장치(131)의 전력 입력 단자(151a, 151b)가 접속선(138a, 138b)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초크 코일(72)은 접속점(137a)과 정류 회로(73)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전류 센서(161)는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전원 단자(171a)와 접속점(137a) 사이의 전력 공급선(78a)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류 검출부(144)는 실내 전원 장치(132)의 전원 단자(171a)와 접속점(137a) 사이의 전력 공급선(78a)의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즉, 전류 검출부(144)는 복수대(도4에서는 2대)의 전원 장치(31, 32)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이상,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억제부(54)는 전원 시스템(130)에 있어서의 모든 전원 장치(131, 132)에 입력되는 합계의 교류 전류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원 시스템(13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게 되므로,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 전원 장치(132)는 전류 검출부(144)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를, 고주파 억제부(54)를 갖는 실외 전원 장치(131)의 송수신부(41d)로 송신하는 송수신부(42d)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실외 전원 장치(131)의 고주파 억제부(54)에 의해 전원 시스템(13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기가 1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기가 복수대(예를 들어, 2대)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전원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1대의 실외기(11)와, 복수대(도6에서는 2대)의 실내기(12-1, 12-2)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기(11)와, 실내기(12-1, 12-2)는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외기(11)에는 실외 전원 장치(3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12-1) 및 실내기(12-2)에는 실내 전원 장치(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시스템(200)은 실외기(11)의 실외 전원 장치(31) 및 실내기(12-1)의 실내 전원 장치(32) 및 실내기(12-2)의 실내 전원 장치(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하는 실외 전원 장치(31)는 도2에 도시한 실외 전원 장치(31)의 전기 회로도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도6에 도시하는 실내 전원 장치(32)는 도2에 도시한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기 회로도와 같은 구성이다.
실외기(11)에 있어서의 실외 전원 장치(31)의 송수신 단자(34)와, 실내기(12-1) 및 실내기(12-2)에 있어서의 실내 전원 장치(32)와 송수신 단자(35)는 통신선(210)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외 전원 장치(31)의 접속 단자(36a, 36b)에는 실내기(12-1)의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 및 실내기(12-2)의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가 접속선(211a, 211b)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12-1, 12-2)에 있어서의 실내 전원 장치(32)의 정류 회로(73)(도2 참조)가 실외기(11)에 있어서의 실외 전원 장치(31)의 접속 단자(36a, 36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전류 검출부(44)(도2 참조)는 전원 시스템(200) 전체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즉, 전류 검출부(44)는 모든 전원 장치[실외기(11)의 실외 전원 장치(31) 및 실내기(12-1)의 실내 전원 장치(32) 및 실내기(12-2)의 실내 전원 장치(32)]의 정류 회로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실외 전원 장치(31)의 고주파 억제부(54)(도2 참조)는 이 전류 검출부(44)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원 시스템(20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전류를 억제하는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상,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대(예를 들어, 2대)의 실내기(12-1, 12-2)에 있어서의 실내 전원 장치(32)의 전력 입력 단자(71a, 71b)를 실외기(11)에 있어서의 실외 전원 장치(31)의 접속 단자(36a, 36b)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전원 시스템(20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조화 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나 실내기의 대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접속 단자(36a, 36b)와 전력 입력 단자(71a, 71b)의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것만으로 좋고, 시공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인버터부를 구비하고, 교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직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도2의 실외 전원 장치의 변형예이다.
실외 전원 장치(231)의 출력 단자(241a, 241b)에는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히터 등)(242)가 접속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원 시스템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8은 도4의 실내 전원 장치의 변형예이다.
실내 전원 장치(232)의 출력 단자(251a, 251b)에는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히터 등)(252)가 접속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원 시스템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부하로서 압축기 모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외기의 부하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실외 팬 모터 등이나 실외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전자 소자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전원 장치에 접속되는 부하로서 실내 팬 모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외기의 부하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실내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전자 소자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에 전원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 기기에 상기 실외 전원 장치에 상당하는 전원 장치를 적용해도 좋고, 전기 기기에 상기 실내 전원 장치에 상당하는 전원 장치를 적용해도 좋다. 이들 전기 기기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모니터, 통신 장치, 오디오 기기 등이라도 좋다. 요컨대, 콘덴서 입력형의 전원 장치를 갖는 복수대의 전기 기기가 교류 전원에 대해 병렬로 접속될 예정이 있는 것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류 검출부는 전류 센서를 갖고, 이 전류 센서를 전력 공급선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류 검출부는 전력 공급선에 마련되는 저항과, 이 저항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이 측정 결과를 전류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3)

  1.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복수대의 전원 장치를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 중, 어느 1대의 전원 장치에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이 전력 공급선과 다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다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전원 장치 중, 적어도 1대의 전원 장치에 상기 고주파 억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시스템.
  5.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에 전력 공급선으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선에 다른 전원 장치의 전력 입력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에 있어서의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7.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에 전력 공급선으로 접속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력 공급선에 있어서의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갖는 다른 전원 장치의 전원 입력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상기 전력 공급선에 설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전류 검출 결과를 상기 다른 전원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8.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전원 장치를 갖는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전원 장치를 갖는 실내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외 전원 장치와 상기 실내 전원 장치를 병렬로 교류 전원에 접속하고,
    상기 실외 전원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갖고, 상기 실외기의 부하에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실내 전원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이 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를 갖고, 상기 실내기의 부하에 전 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전원 장치 및 상기 실내 전원 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교류 전류의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주파 억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전원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실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선과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에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력 공급선의 상기 접속점에 접속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대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전원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이 전원 단자 및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접속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선과 상기 실외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실내 전원 장치의 정류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는 접속점과 상기 전원 단자 사이의 상기 전력 공급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상기 실외 전원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억제부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승압 컨버터 회로와, 상기 스위칭 소자를 펄스폭 변조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40031580A 2003-05-09 2004-05-06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1479 2003-05-09
JPJP-P-2003-00131479 2003-05-09
JP2004101598A JP2004364491A (ja) 2003-05-09 2004-03-31 電源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101598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767A KR20040096767A (ko) 2004-11-17
KR100573649B1 true KR100573649B1 (ko) 2006-04-25

Family

ID=3406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5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649B1 (ko) 2003-05-09 2004-05-06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64491A (ko)
KR (1) KR100573649B1 (ko)
CN (1) CN1003642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394A (ja) * 2005-01-05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2007205687A (ja) * 2006-02-06 2007-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電源システム
JP4866216B2 (ja) * 2006-11-22 2012-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JP5520478B2 (ja) * 2008-12-24 2014-06-1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313341B (zh) * 2011-10-09 2013-04-17 申小中 无线多联空调装置
KR102135086B1 (ko) * 2013-12-10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4633861B (zh) * 2015-01-31 2017-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变频空调及其供电控制电路
KR101720496B1 (ko) * 2015-08-27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6415732B2 (ja) * 2015-09-02 2018-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WO2017042889A1 (ja) * 2015-09-08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この電力変換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05737326A (zh) * 2015-10-30 2016-07-06 深圳市建滔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压缩机控制变频装置的智能控制器
WO2017109848A1 (ja) * 2015-12-22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この電力変換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6555389B2 (ja) * 2017-05-30 2019-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源品質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空気調和装置
KR102396563B1 (ko) * 2017-07-07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9405231A (zh) * 2018-10-17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化空调控制器的电源供电方法
CN117099295A (zh) * 2021-03-26 2023-11-2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机
JP7168884B2 (ja) * 2021-03-26 2022-1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4318915A4 (en) * 2021-03-26 2025-03-0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180A (en) * 1992-10-30 1994-09-27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Highly fault tolerant active power line conditioner
JPH08191569A (ja) * 1995-01-09 1996-07-23 Fuji Xerox Co Ltd 電源装置
JP3298450B2 (ja) * 1997-03-19 2002-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電力変換装置
JPH11252991A (ja) * 1998-03-05 1999-09-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CN1183654C (zh) * 1999-01-19 2005-01-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源装置及使用了该电源的空调机
JP2000324696A (ja) * 1999-05-14 2000-11-24 Hitachi Ltd 空気調和装置
JP2001263767A (ja) * 2000-03-17 2001-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3463675B2 (ja) * 2001-06-29 2003-11-05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64491A (ja) 2004-12-24
KR20040096767A (ko) 2004-11-17
CN100364223C (zh) 2008-01-23
CN1551475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649B1 (ko) 전원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장치
US8164292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101463360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냉동 공기 조화 장치
US7181923B2 (en) Inverter device
KR101566598B1 (ko) 역류 방지 수단, 전력 변환 장치 및 냉동 공기 조화 장치
JP2012231672A (ja) モーター駆動制御装置、圧縮機、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冷蔵庫又は冷凍庫
JP200013082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駆動制御ユニット
WO2015001618A1 (ja) 逆流防止装置、電力変換装置及び冷凍空気調和装置
JP2011120330A (ja) インバー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EP3133728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1509232B2 (en) Power convert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796255B1 (en) Air conditioner
WO2012114702A1 (ja) 空気調和機
JP5780982B2 (ja) 電力変換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圧縮機、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冷蔵庫
JP5391677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14009662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10139158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109222C (zh) 空调器
KR10039594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캐리어주파수제어방법
WO2016139795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888084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86795C (zh) 空调机的逆变器装置及空调机
JP2015023785A (ja) 電力変換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06363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JP6584689B2 (ja) 電力変換装置、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