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155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155B1 KR100572155B1 KR1020040023101A KR20040023101A KR100572155B1 KR 100572155 B1 KR100572155 B1 KR 100572155B1 KR 1020040023101 A KR1020040023101 A KR 1020040023101A KR 20040023101 A KR20040023101 A KR 20040023101A KR 100572155 B1 KR100572155 B1 KR 100572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belt
- vacuum cleaner
- cleaner
- butt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원와 흡입된 먼지를 담아두는 집진용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된 흡입부 본체와, 상기 흡입부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회전 브러시에 부착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인접하게 위치한 공회전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 또는 공회전 풀리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진공원의 일 축에 위치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1위치 또는 상기 벨트를 상기 공회전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벨트 가이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toring a vacuum source and sucked dust, a suction unit body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leaner body, a rotary brush installed at the suction unit body, A drive pulley attached to a rotary brush, an idle pulley positioned adjacent to the drive pulley, any one of the drive pulley or the idle pulley and a belt positioned on one axis of the vacuum source, and connecting the belt to the drive pulley A belt guide unit having a guide member which is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to be moved or a second position to connect the belt to the idle pulley and the guide member to be moved to any on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member control device.
진공 청소기, 흡입부, 회전 브러시,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 가이드 부재. Vacuum cleaner, suction part, rotary brush, guide member control device, guide memb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벨트를 제외한 도 1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FIG. 1 excluding a belt;
도 3는 벨트를 포함한 도 2의 D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from different angles of part D of FIG. 2 including a belt;
도 4는 도 3의 벨트 가이드 유닛의 분해도,4 is an exploded view of the belt guide unit of FIG.
도 5은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의 선택노브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1의 저면도,5 is a bottom view of FIG. 1 when the selection knob of the guide member control device is in the drive position;
도 6은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의 선택노브가 비구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1의 저면도,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1 when the selection knob of the guide member control device is in the non-driven position;
도 7은 청소기 본체와 가이드 부재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body and the guide member;
도 8는 본체가 흡입부로부터 고정되었을때, 청소기 본체와 가이드 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body and the guide member when the main body is fixed from the suction unit;
도 9은 도 8 상태에서, 선택노브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도,9 is a bottom view when the selection knob is in the drive position in the FIG. 8 stat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guide memb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버튼 유닛의 상세도이다.11 and 12 are detailed views of the button unit of FIG. 10.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흡입부 본체 12. 회전 브러시10.
20. 청소기 본체 22. 청소기 본체 캠부재20. Vacuum cleaner
28. 진공원 축 30. 본체 고정/해제 레버 28.
42. 구동 풀리 44. 공회전 풀리42.
46. 벨트 50. 벨트 가이드 유닛46.
52. 가이드 부재 53. 제 1 부재52.
54. 제 2 부재 56. 스프링54.
63. 손잡이부 64. 캠부재 63.
70. 버튼 유닛 72. 버튼70.
76. 레버76. Lev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브러시의 동력 제어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power control device of a rotary brush.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을 내장하며, 그 진공원의 구동시 흡입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함으로써,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진공청소기가 피청소면의 오물을 단순하게 흡입하는 것만으로는 청소하기 어려운 피청소면의 오물의 청소를 위해 회전브러시를 더 구비하는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술한 회전브러시를 이용한 청소는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다 정숙한 청소작업을 위해 회전 브러시와 피청소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한다거나, 회전 브러시의 마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경우, 회전 브러시의 구동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런 경우, 회전 브러시의 구동을 멈추고 청소기 본체를 고정해서, 연장호스나 악세사리등을 사용하여 청소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청소면의 상태 또는 청소환경에 따라 회전 브러시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진공청소기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 특허공보 제6,044,520호에 개시된 발명은 이러한 회전 브러시의 구동을 제어하는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결국은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ypically, a vacuum cleaner has a vacuum source built in, and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sucking the dirt using the suction force when the vacuum source is driven. Recently, the vacuum cleaner has been released in the form of further equipped with a rotary brush for cleaning the dirt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ch is difficult to clean simply by simply suctioning the dir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However, cleaning using the above-described rotating brush is not always necessary. For example, to prevent noise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rotating brush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or to clean the surface to be damaged by the friction of the rotating brush, driving of the rotating brush becomes unnecessary. . In this case, stop the driving of the rotary brush, fix the cleaner body, and use the extension hose or accessories for cleaning. Therefore, in recent years, interest in vacuum cleaner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tating brush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or the cleaning environment is increasing. The invention disclosed in US Pat. No. 6,044,520 discloses a vacuum clean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such a rotating brus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the volume of the vacuum cleaner body becomes larg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회전 브러시의 구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asi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tary brus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원와 흡입된 먼지를 담아두는 집진용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된 흡입부 본체; 상기 흡입부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브러시; 상기 회전 브러시에 부착된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인접하게 위치한 공회전 풀리; 상기 구동 풀리 또는 공회전 풀리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진공원의 일 축에 위치하는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1위치 또는 상기 벨트를 상기 공회전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벨트 가이드 유닛;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bod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containing a vacuum source and sucked dust; A suction unit main body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cleaner main body; A rotary brush installed in the suction unit body; A drive pulley attached to the rotating brush; An idle pulley positioned adjacent to the drive pulley; A belt positioned on one of the driving pulley and the idle pulley and the vacuum source; A belt guide unit having a guide member which is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connecting the belt to the drive pulley or a second position connecting the belt to the idle pulley; And a guide member control device for moving the guide member to any on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그리고, 상기 벨트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1위치으로 지향케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lt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or directing the guide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는, 상기 흡입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회전노브인 것을 한다. 상기 회전노브는, 상기 흡입부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 및 반원 형상의 캠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손잡이부가 일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위치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control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ction unit main body, the rotation of the guide member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during the rotation. It is to be a rotary knob. The rotary knob includes a handle portion and a semi-circular cam member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body and rotatably installed, and the cam member contacts the guide member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 the guide member to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는, 상기 흡입부 본체에 설치되어,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의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버튼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mber control device may be a butt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main body and moves the guide member to on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by a button operation.
상기 버튼 유닛은, 상기 흡입부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 상기 버튼 하부에 접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과 연동하여 버튼의 누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누름 부재; 상기 누름부재 하부에 접하는 리턴 스프링; 일단이 상기 누름 부재의 하단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따라서,상기 레버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부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의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main body; A pressing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part of the button and moves in a pressing direction of the button in association with a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A return spring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And a leve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and fixed at the other end to the guide member. Therefore, the lever is linked to the lower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guide member to any one of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흡입부 본체와 경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는 캠부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가 실질적인 직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의 이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ner body is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the suction unit body, and a lower portion thereof has a cam member, and the guide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when the cleaner body is in a substantially upright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단이 상기 벨트를 구속하여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중 어느 한 곳으로 위치이동 시키며, 타단이 상기 흡입부 본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설치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가 실질적인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 캠부재과 접촉하여,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To this end,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first member whose one end restrains the belt and is moved to any on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uction part main body by a screw;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cleaner body is in a substantially upright position, it contacts the lower cam member of the cleaner body to move the first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It is to include the second member to suppr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중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벨트를 제외한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는 벨트를 포함한 D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며, 도 4는 벨트 가이드 유닛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00)는 바닥면의 진공청소 대상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10), 흡입부(10)에 경사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20), 흡입부(10)의 후단측에 위치하여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바퀴(26), 본체(20)의 하단에 형성된 본체 고정/해제 레버(30) 및 본체(20)의 상부에 연결된 핸들(24)을 포함한다.Figure 1 shows an upright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 본체(20)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진공원(미도시)과 흡입된 먼지를 담아두는 집진용기(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하며, 후단의 선회축(29)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10)에 대해 경사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청소기 본체(20)와 흡입부(10)는 연통 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원(미도시) 구동시 흡입력을 발생시켜, 그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오물이 주변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부(10)를 거쳐 청소기 본체(20)의 집진용기(미도시)로 들어감으로써, 피청소면의 청소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20)의 하단에는, 청소기 본체(20)가 상기 흡입부(10)에 대해 대략 직립위치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경사질 수 있도록 그 고정을 해제하는 본체 고정/해제 레버(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20)의 본체 고정/해제 레버(30)를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눌러서 청소기 본체(20)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진공 청소기(100)를 가동하여 작업을 한다. 그리고, 청소를 마치거나 또는 연장호스와 다른 악세서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0)를 거의 수직위치로 세워 고정하면 된다.And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청소기 본체(20)의 하부는 캠부재(22, 도 7 참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고자 한다.The lower part of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입부(10)는 흡입부 본체(14)와, 회전 브러시(12)와, 흡입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노브(27)와, 구동 풀리(42)와, 공회전 풀리(44)와, 벨트(46)와, 벨트 가이드 유닛(50) 및 가이드부재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1 and 2, the
회전 브러시(12)는 흡입부 본체(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복수의 솔부재(미도시)가 식모되거나 끼워진다. 이러한 회전 브러시(12)는 청소기 본체(20)에 장착된 진공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 특히 카페트상의 먼지나 오물을 털어내도록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 브러쉬(12)는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구동 풀리(42)는 상기 회전 브러시(12)에 부착, 고정되어서 상기 벨트(46)가 위치하였을때 회전 브러시(12)를 구동하며, 공회전 풀리(44)는 구동 풀리(42)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회전 브러시(12)에 대해 공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벨트(46, 도 3 참조)는 구동 풀리(42) 또는 공회전 풀리(44) 중의 어느 하나와, 진공원(미도시)의 축(28)을 연결한다. 따라서, 벨트(46)가 구동 풀리(42)에 위치하였을 경우, 진공원(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은 회전 브러시(12)는 회전하게 된다.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벨트 가이드 유닛(50)은 벨트(46)를 구속하여, 상기 벨트(46)를 구동 풀리(42)에 연결시키는 제1위치(A)(도 2에서의 점선표시)와 공회전 풀리(44)에 연결시키는 제2위치(B)(도 2에서의 실선표시) 사이에서 위치이동되는 가이드 부재(52) 및 스프링(56)을 포함한다. 2 to 4,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제1부재(53) 및 제2부재(54)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부재(53)는 벨트(46) 위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벨트(46)를 구속하여 제1위치(A) 또는 제2위치(B)로 위치이동 되며, 타단은 상기 흡입부 본체(14)에 스크류(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부재(54)는 제1부재(53)와 연결되어 청소기 본체(20)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스프링(56)은 가이드 부재(52)가 흡입부 본체(14)에 고정 설치되기 전에 먼저 설치되어, 벨트(46)가 항상 구동 풀리(42)에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52)를 제1위치(A)쪽으로 지향케 한다.The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는 상기 가이드 부재(52)를 제1위치(A) 및 제2위치(B)로 위치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63)와 캠부재(64)를 구비한 회전노브가 사용된다. 손잡이부(63)는 흡입부 본체(14)의 외부에 노출되고, 구동/비구동으로 선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캠부재(64)는 상기 손잡이부(63)와 연결되어 흡입부 본체(14) 내부에 형성되며, 반원 형상을 갖는다. The guide member controller control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상기 손잡이부(63)가 구동 위치에 선택되면, 캠부재(64)는 가이드 부재(52)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스프링(56)에 의해 가이드 부재(52)는 제1위치(A)에 위치하게 된다(도 2에서의 점선표시). 따라서,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되는 벨트(46)는 구동 풀리(42)에 감기게 되어,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64)가 비구동 위치에 선택되면, 손잡이부(63)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 캠부재(64)는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를 간섭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52)를 제2위치(B)로 이동시킨다(도 2에서의 실선표시). 따라서,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되는 벨트(46)는 비구동 풀리(44)에 감기게 되어,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When the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7은 청소기 본체(20)가 흡입부(10)로부터 그 고정이 해제 되었을때, 즉 청소기 본체(20)가 흡입부(10)에 대해 대략 직립위치가 아닌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5 to 7 show a state 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부(63)가 구동 위치로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캠부재(64)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스프링(56)에 의해 제1위치(A, 도2참조)로 위치이동된다. 따라서, 진공원 축(28)에 감기고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벨트(46)는 구동 풀리(42) 위로 감기게 되어, 상기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부(63)가 비구동 위치로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는 상기 캠부재(64)와 간섭되어, 가이드 부재(52)는 강제적으로 제2위치(B, 도2 참조)로 위치이동한다. 따라서, 진공원 축(28)에 감기고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상기 벨트(46)는 공회전 풀리(44) 위로 감기게 되어, 결국 상기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도 7은 청소기 본체(20)와 가이드 부재(52)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은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2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원주상으로 일정거리의 홈(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22a)은 일정 폭(C)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0)가 흡입부(10)에 대해 고정이 해제되어 경사지게 회전되면, 즉 흡입부(10)에 대해 대략 직립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있을 때는, 가이드 부재(52)의 제2부재(54)는 상기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홈(22a)과 대면하게 된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2)는 스프링(56)에 의해 제1위치(A, 도2 참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부재(52)의 제2부재(54)는 상기 홈(22a)의 일정 폭(C) 사이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 부재(52)는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52)는 손잡이부(63)의 구동/비구동 위치에 따라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위치(A) 및 제2위치(B)로 이동하므로, 가이드 부재(52)에 구속되는 벨트(46)는 손잡이부(63)의 구동/비구동 선택 위치에 따라 구동 풀리(42) 또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어, 회전 브러시(12)는 구동/비구동 하게 된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따라서, 바닥 청소를 위해 청소기 본체(20)의 직립 방향의 고정을 해제하고 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회전 브러시(12)는 손잡이부(63)의 구동/비구동의 선택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비구동하게 되므로, 작동자가 간단히 조작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releasing the fixing in the upright direction of the
도 8 및 도 9는 청소기 본체(20)가 흡입부(10)에 대해 대략 직립 위치로 고정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는 청소기 본체(20)와 가이드 부재(52)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9은 손잡이부(63)가 비구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1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8 and 9 illustrate a state when the
도 8을 도 7과 비교하여 참조하면, 청소기 본체(20)가 실질적인 직립 위치에 있을 때는, 가이드 부재(52)는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와의 간섭에 의해 제1위치(A)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은 청소기 본체(20)와 연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가이드 부재(52)의 제2부재(54)는 상기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벽면(22b)과 대면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52)의 제2부재(54)는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벽면(22b)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제1위치(A)로 이동을 할 수 없게 되고, 제2위치(B)에 있게 된다(도 2 참조). 결국, 가이드 부재(52)에 구속된 벨트(46)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므로, 상기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기 않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in comparison with FIG. 7, when the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63)가 구동으로 선택되어도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벽면(22b)과 상기 제2부재(54)와의 간섭으로 인해 제2위치(B)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가이드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벨트(46)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므로, 상기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63)가 비구동으로 선택되면, 상기 회전노브의 캠부재(64)와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와 간섭작용 및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벽면(22b)과 가이드 부재(52)의 제2부재(54)와의 간섭작용으로 인하여, 도 9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부재(52)는 제2위치(B)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벨트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어, 결국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even when the
따라서, 바닥 청소를 마치고 청소기를 보관할 경우, 또는 연장호스 및 각종 악세사리를 이용해 청소작업을 할 경우 청소기 본체(20)를 흡입부(10)에 대해 거의 직립 위치로 고정하는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63)의 구동/비구동의 선택 위치에 상관없이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진공원의 전원스위치를 켜놓았을때라도, 실질적인 직립위치로 있을 때면 회전 브러시는 구동하지 않으므로 급작스런 회전 브러시의 회전으로 인한 카펫이나 바닥이 상하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cleaner is stored after cleaning the floor, or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an extension hose and various accessories, the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to 12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앞선 제 1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청소기 본체(20)가 실질적인 직립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때는, 가이드 부재(52)와 청소기 본체 캠부재(22)의 간섭에 의해, 제2위치(B, 도 2 참조)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52)에 구속되는 벨트(46)는 항상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므로, 결국 회전 브러시(12)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20)가 실질적인 직립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 회전노브의 손잡이부(63)의 구동/비구동 선택 위치에 따라 가이드 부재(52)를 위치이동 시켜, 가이드 부재(52)에 구속된 벨트(46)를 구동 풀리(42) 또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유닛(70)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52)를 위치이동 시킨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leaner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 유닛(70)은, 상기 흡입부 본체(14)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72)과, 상기 버튼(72) 하부에 접하여, 상기 버튼(72)의 누름 조작과 연동하여 버튼(72)의 누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누름 부재(73)와, 상기 누름부재 하부에 접하는 리턴 스프링(74)과, 상기 리턴 스프링(74)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재가 일정 위치에 있을 경우 누름 방향으로 더 이상 유동을 못하게 하는 누름부재 멈춤 스프링(75)과, 상기 누름 부재(73)의 하단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누름 부재(73)의 하부 이동에 연동되어, 타단이 상기 벨트 가이드 유닛(50)의 가이드 부재(52)를 상기 공회전 풀리(4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76)와, 상기 버튼(72), 누름 부재(73), 리턴 스프링(74), 멈춤 스프링(75) 및 레버를 수용하는 하우징(77)을 포함한다.As shown, the
청소기 본체(20)가 실질적인 직립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스프링(56)에 의해 제1위치(A, 도 2 참조)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벨트(46)는 구동 풀리(42)에 감기게 되어, 결국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브러시(12)를 비구동하기 위해 버튼(72)을 누르면, 버튼(72)과 연동되는 누름 부재(73)는 버튼(72)의 하부 누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레버(76)는 축(78)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누름 부재(73)의 이동에 의해 레버(76)의 일단(76a)은 누름 부재(73)이 하부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52)에 연결된 레버(76)의 타단(76b)은 상기 가이드 부재(52)를 제2위치(B, 도 2 참조)(도 10의 실선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부재(52)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부재(52)의 제1부재(53)에 구속된 벨트(46)는 공회전 풀리(44)에 감기게 되어, 결국은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버튼(72)을 한번 더 누르면, 리턴 스프링(56)에 의해 누름 부 재(7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누름 부재(73)의 복귀에 의해 레버(76)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76)의 타단(76b)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52)는 다시 제1위치(A, 도 2 참조)(도 10의 점선위치)로 위치하게 되며, 벨트(46)는 구동 풀리(42)에 감기게 되어, 회전 브러시(12)는 구동하게 된다.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인 버튼 유닛(70)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20)가 고정이 해제되어 실질적인 직립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브러시(12)는 단순한 버튼 조작에 따라 구동/비구동하게 되므로, 작동자가 간단히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가이드 부재 제어장치에 의해 손쉽게 회전 브러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 및 진공 청소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of the rotary brush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 very simple guide member control device, the operation convenience and the size and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achieved. Will b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3101A KR100572155B1 (en) | 2004-04-02 | 2004-04-02 | Vacuum cleaner |
US11/010,910 US20050217069A1 (en) | 2004-04-02 | 2004-12-13 | Vacuum cleaner with controllable brush |
AU2005200091A AU2005200091A1 (en) | 2004-04-02 | 2005-01-11 | Vacuum cleaner with controllable brush |
GB0600029A GB2418599B (en) | 2004-03-29 | 2005-01-21 | Vacuum cleaner |
GB0501361A GB2414383B (en) | 2004-03-29 | 2005-01-21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3101A KR100572155B1 (en) | 2004-04-02 | 2004-04-02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7835A KR20050097835A (en) | 2005-10-10 |
KR100572155B1 true KR100572155B1 (en) | 2006-04-24 |
Family
ID=3427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3101A KR100572155B1 (en) | 2004-03-29 | 2004-04-02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217069A1 (en) |
KR (1) | KR100572155B1 (en) |
AU (1) | AU200520009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2156B1 (en) * | 2004-03-29 | 2006-04-24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Inlet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GB2468909B (en) * | 2009-03-27 | 2012-06-20 | Dyson Technology Ltd | Clutch assembly |
GB2468908B (en) * | 2009-03-27 | 2012-06-20 | Dyson Technology Ltd | Clutch assembly |
JP2011177332A (en) * | 2010-03-01 | 2011-09-15 | Panasonic Corp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US20120167334A1 (en) * | 2011-01-05 | 2012-07-05 | Dant Ryan T | Belt shifter mechanism |
US9723961B1 (en) * | 2013-01-18 | 2017-08-08 | Bissell Homecare, Inc. | Vacuum cleaner |
WO2017096718A1 (en) | 2015-12-10 | 2017-06-15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Upright vacuum cleaner |
KR102013681B1 (en) * | 2018-08-22 | 2019-08-23 | (주)유비테크 | Assembly device for drum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
CN109171572A (en) * | 2018-10-15 | 2019-01-11 | 樟树市飞凡设计服务有限公司 | A kind of round brush of sweeping robot |
CN112315372B (en) * | 2019-08-05 | 2024-05-28 |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 Dust collector with multiple cleaning mod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6713A (en) * | 1997-06-11 | 1999-03-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39727A (en) * | 1980-04-02 | 1981-10-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Upright type electric cleaner |
JPS57200120A (en) * | 1981-06-03 | 1982-12-08 | Hitachi Ltd | Upright type electric cleaner |
US4748714A (en) * | 1986-11-06 | 1988-06-07 | The Hoover Company | Cleaner with belt shifting |
US5331716A (en) * | 1993-01-08 | 1994-07-26 | Black & Decker Inc. | Vacuum cleaner with extendable hose and brush disengagement |
US5839160A (en) * | 1997-02-21 | 1998-11-24 | Kinergy Industrial Co., Ltd. | Clutch control mechanical device for the brush axle of a vacuum cleaner |
DE69806857T2 (en) * | 1997-06-11 | 2002-11-1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vacuum cleaner |
JP2003144359A (en) * | 2001-11-12 | 2003-05-20 | Sharp Corp | Vacuum cleaner |
JP2004173759A (en) * | 2002-11-25 | 2004-06-24 | Sharp Corp | Vacuum cleaner |
-
2004
- 2004-04-02 KR KR1020040023101A patent/KR10057215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13 US US11/010,910 patent/US200502170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
- 2005-01-11 AU AU2005200091A patent/AU200520009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6713A (en) * | 1997-06-11 | 1999-03-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acuum clean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10567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217069A1 (en) | 2005-10-06 |
AU2005200091A1 (en) | 2005-10-20 |
KR20050097835A (en) | 2005-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130268A1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KR100572155B1 (en) | Vacuum cleaner | |
US20060288520A1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JP2594810Y2 (en)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
KR102015320B1 (en) | Vacuum Cleaner | |
JP6800048B2 (en) | Suction port for bedding of vacuum cleaner | |
US6357076B1 (en) | Suction nozzle unit for vacuum cleaner | |
JP2014000137A (en) | Vacuum cleaner and suction opening body thereof | |
KR101322589B1 (en) | Automatic cleaner | |
US7107647B2 (en) | Apparatus of driving agitator of upright vacuum cleaner | |
KR101457959B1 (en) | Robot cleaner inlet of the supporting device | |
JP4713958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0222652B1 (en) | Suction device of omni-directional mobile cleaner | |
KR101306483B1 (en) | Automatic cleaner | |
KR20080043641A (en) | robotic vacuum | |
KR100953267B1 (en) | Vacuum cleaner | |
JP2693873B2 (en) | Vacuum cleaner suction body | |
KR100438114B1 (en) | Vacuum cleaner | |
JP5736019B2 (en) | Suction head and vacuum cleaner | |
GB2414383A (en) | Vacuum cleaner with selectively driven roller | |
KR20050061726A (en) | Device for determining the driving of a roll brush of a upright typed vacuum cleaner | |
KR101268129B1 (en)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
KR100569350B1 (en) | Wheel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20040100146A (en) | Brush height control apparatus of vacuum cleaner | |
AU2007203427A1 (en) | Vacuum cleaner with controllable brus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