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129B1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8129B1 KR101268129B1 KR1020060069054A KR20060069054A KR101268129B1 KR 101268129 B1 KR101268129 B1 KR 101268129B1 KR 1020060069054 A KR1020060069054 A KR 1020060069054A KR 20060069054 A KR20060069054 A KR 20060069054A KR 101268129 B1 KR101268129 B1 KR 101268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body
- nozzle
- cleaner
- suction nozzle
- vacuum clean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4—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height adjustment of nozzles or dust-loose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닥면의 상태를 불문하고 이동이 자유로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nozzl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ree of movement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 본체; 청소기 본체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본체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ction nozzle of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nozzle body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A body coupler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nozzle body and the body coupling part, wherein the nozzle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청소 수행 중 상기 노즐 본체가 장애물 등을 만나는 경우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nozzle body meets an obstacle or the like during the cleaning, the nozzle body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nozzle body.
노즐 본체, 연결 부재, 회동 Nozzle Body, Connecting Member, Rota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입 노즐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상기 흡입 노즐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uction nozzle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노즐 본체가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노즐 본체 130 : 측면 커버100: nozzle body 130: side cover
150 : 본체 결합부 170 : 연결 부재150: body coupling portion 170: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닥면의 상태를 불문하고 이동이 자유로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nozzl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ree of movement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by using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vacuum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foreign matters inside the main body.
그리고,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크게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which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can do.
한편, 업라이드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모터 등이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상기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이물 등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와 흡입 노즐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graded vacuum cleaner is a suction body for suctioning foreign matter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built-in vacuum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 a rotatable manner below the cleaner body. It comprises a nozzle, a connection hose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nozzle,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는 바닥면의 청소 특히, 카펫등과 같은 바닥면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아지테이터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with an agitator rotated by an external drive sourc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bottom, in particular, the bottom such as a carpet.
상기되는 구성을 이루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청소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진공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잡고 상기 흡입 노즐을 전후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leaner body and the vacuum motor is driven, suction force is generated. Then, the user grabs the hand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the suction nozzle back and forth. Then,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by the suction force.
그리고,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연결 호스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이물이 분리되어, 분리된 이물은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저장되고,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And,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connection hose. Then,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cleaner body flows therein, and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stored in the cleaner body, and the sepa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그런데,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상기 본체와 흡입 노즐이 연결된 상태에서 흡입 노즐을 전후 이동시켜 이동시키므로 바닥면에 장애물이나 낮은 턱이 있는 경우 상기 흡입 노즐을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upright type vacuum cleaner, since the suction nozzle is moved back and forth while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nozzle are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nozzle cannot be moved when there is an obstacle or a low jaw on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본체와 결합된 흡입 노즐을 들어서 바닥면의 장애물이나 턱을 회피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avoid obstacles or jaws on the bottom surface by lifting the suction nozzles coupled with the main body, which is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user problem.
또한, 카펫 등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카펫의 모가 높은 경우 흡입 노즐에 구비되는 아지테이터가 상기 카펫의 모에 밀착되어 상기 아지테이터가 회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leaning the carpet or the like, when the carpet is high, the agitator provided on the suction nozz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ool of the carpet, which causes the agitator not to rotate.
따라서, 바닥면의 상태를 불문하고 상기 흡입 노즐의 이동이 자유로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이 요구된다. Therefore, a suction nozzle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free of movement of the suction nozzl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닥면의 상태를 불문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uction nozzl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at is free to mov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uction nozzle of an upright vacuum cleaner whose heigh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 본체; 청소기 본체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복수의 본체 결합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각 본체 결합부는 상기 각 연결 부재 및 상기 노즐 본체와 함께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복수의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와 상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와 상기 노즐 본체 상면 사이에는 상기 노즐 본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ction nozzle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nozzle body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body coupling parts rotat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nozzle body and the plurality of main body coupling parts, wherein the nozzle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nd the main body coupling part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members and the The nozzle body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leaner body together with the nozzle body, and the nozzle body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body coupling part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and the nozzle body upp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ng space for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nozzle body is form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1)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0)과,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하여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20)와, 상기 청소기 본체(20)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집진 유닛(40)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n upright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진공 청소기(1)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10)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20)로 흡입된 후 상기 집진 유닛(40) 내부로 유입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그러면, 상기 집진 유닛(40) 내부에서는 공기 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이물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20)로 배출되고, 분리된 이물은 상기 집진 유닛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20)로 배출된 공기는 본체 배출부(22)를 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Then,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separated from the
이하에서는 상기 흡입 노즐(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입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상기 흡입 노즐의 측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uction nozzle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도 3에는 본체 결합부의 외측 커버와 노즐 본체의 측면 커버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됨을 밝혀둔다. Here, FIG. 3 shows that the outer cover of the body coupling part and the side cover of the nozzle body are remov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흡입 노즐(10)은 바닥면의 이물을 청소하는 노즐 본체(100)와, 상기 노즐 본체(100)와 이격되며, 상기 본체(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본체 결합부(150)와, 상기 노즐 본체(100)와 상기 본체 결합부(150)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170)가 포함된다. 2 and 3, the
상세히, 상기 노즐 본체(100)는 피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노즐 본체(1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노즐 본체(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120)와, 상기 노즐 본체(100)의 측방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부재(170)가 결합되는 중간 커버(130)와, 상기 노즐 본체(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140)와, 상기 중간 커버(13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부재(170)가 상기 중간 커버(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커버(145)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110)에는, 외부 구동원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이물을 털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아지테이터(112)가 구비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외부 구동원으로서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아지테이터(112)로 전달시키는 동력 전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112) 및 구동원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 the external drive source may include a rotary motor for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ary motor to the
한편, 상기 본체 결합부(150)는, 좌측 결합부(150a) 및 우측 결합부(150b)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20)의 양측에 상기 청소기 본체(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상세히, 상기 좌측 결합부(150a)의 후측에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노즐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레버(160)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rea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우측 결합부(150b)의 후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 레버(169)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rotation lever 169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 레버(169)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0)를 잡고 상기 청소기 본체(2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청소기 본체(2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상기 청소기 본체(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grabs the
한편, 상기 본체 결합부(150)는, 상기 청소기 본체(20)와 결합되는 내측 커버(152)와, 상기 내측 커버(152)와 결합되는 외측 커버(156)가 포함된다. The main
여기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기 본체 결합부(150)에 대한 설명은 좌측 결합부(150a)와 우측 결합부(150b)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Herein, the description of the main
상세히, 상기 내측 커버(152)에는 상기 연결 부재(17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70)는 상기 내측 커버(152)에 두께 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내측 커버(152)에는 상기 연결 부재(170)가 체결되기 위하여 절개되는 절개홈(154)이 형 성된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내측 커버(152)에는 상기 연결 부재(170)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 돌기(153)가 돌출 성형된다. 이 때, 상기 내측 커버(152)와 연결 부재(170)는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 돌기(153)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부재(170)가 상기 내측 커버(152)에 완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
한편, 상기 외측 커버(156)는 상기 내측 커버(1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커버(156)에는 상기 체결 돌기(15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미도시)가 상기 체결 돌기(153)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외측 커버(156)에는 상기 내측 커버(152)의 절개홈(154)을 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170)가 상기 내측 커버(15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홈(154)을 차폐하는 차폐부(157)가 연장 성형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외측 커버(156)에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190)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연결 부재(170)는 일측이 상기 내측 커버(152)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 커버(145)와 결합된다. Meanwhile, one side of the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170)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 돌기(153)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홀(172)이 상기 체결 돌기(153)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In detail, a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170)가 상기 내측 커버(152)의 두께 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체결 돌기(153)가 상기 돌기 삽입홀(172)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 커 버(152)에 상기 연결 부재(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153)와 외측 커버(156)의 결합구(미도시)가 결합되므로, 상기 연결 부재(170)는 별도의 추가적인 체결 수단 없이도 상기 본체 결합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70)의 타측에는 상기 중간 커버(130)의 체결 돌기(132)와 결합되는 돌기 결합홀(173)이 하나 형성된다. On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170)의 타측에 돌기 결합홀(173)이 하나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기 연결 부재(17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노즐 본체(100)의 움직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중간 커버(130)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132)는 상기 노즐 본체(100)의 회동축 역할을 하게 된다. Here, one reason why the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70)가 상기 본체 결합부(150) 및 상기 노즐 본체(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170)의 타측과 상기 중간 커버(130)의 상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 이격된다. In addition, while the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70)의 타측과 중간 커버(130)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13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170)의 타측과 상기 중간 커버(130)의 상면 사이의 공간(134)은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 공간 역할을 한다.Accordingly, a
상세히,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기 연결 부재(170)에 대해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노즐 본체(100)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나 낮은 턱을 만나면 상기 흡입 노즐(10) 전체가 들려야 한다. 그러나, 상기 흡입 노즐(10)은 상기 청소기 본체(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상기 흡입 노즐(10)은 그 무게에 의해서 들리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장애물 등을 회피한 후에 청소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In detail, when the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기 연결 부재(17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70)와 노즐 본체(100) 사이에 회동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청소 수행 중 상기 노즐 본체(100)가 장애물 등을 만나는 경우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노즐 본체(10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owever,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노즐 본체(100)가 카펫 등과 같은 피청소면을 지나는 경우, 상기 카펫 모에 의해서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카펫 등을 지나게 됨으로써, 상기 노즐 본체(1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노즐 본체가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body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진공 청소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회동 레버(169)를 조작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20)가 상기 흡입 노즐(10)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후에 상기 흡입 노즐(1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20)의 진공 모터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노즐 본체(100)로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전달 호스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20)로 유입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vacuum motor of the
그리고, 상기 노즐 본체(100)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 하는 중 바닥면에 장애물 등이 있는 경우 상기 노즐 본체(100)는 장애물(5)을 지나면서 상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obstacle or the lik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즉, 상기 노즐 본체(100)는 상기 연결 부재(170)와 상기 측면 커버(145)의 결합 부위 즉, 체결 돌기(132)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다. 이 때, 상기 노즐 본체(100)는 상기 회동 공간(134)이 형성됨에 따라 회동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노즐 본체(100)가 장애물(5) 등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상기 노즐 본체(10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체결 돌기(132)를 회동축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동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상기 노즐 본체(100)가 상기 연결 부재(17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70)와 상기 중간 커버(130) 사이에 회동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청소 수행 중 장애물(5) 등을 만나는 경우에도 상기 노즐 본체(100)는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nozzl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와 노즐 본체 사이에 회동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청소 수행 중 상기 노즐 본체가 장애물 등을 만나는 경우 상기 노즐 본체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zzle body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 rot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nozzle body, the nozzle body encounters an obstacle or the like during cleaning. By rotating the nozzle body to the upper side, the movement of the nozzle body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카펫 등과 같은 피청소면을 지나는 경우, 상기 카펫 모에 의해서 상기 노즐 본체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노즐 본체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ozzle body passes through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the carpet, the nozzle body is rotated upward by the carpet wool, the movement of the nozzle body can be smooth.
또한, 상기 흡입 노즐이 노즐 본체와 연결 부재 및 본체 결합부로 나뉘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노즐 본체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노즐 본체를 보다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nozzle is divided into a nozzle body, a connecting member, and a body coupling part, the weight of the nozzle body is reduced, and thus the nozzle body can be moved more easil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054A KR101268129B1 (en) | 2006-07-24 | 2006-07-24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054A KR101268129B1 (en) | 2006-07-24 | 2006-07-24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456A KR20080009456A (en) | 2008-01-29 |
KR101268129B1 true KR101268129B1 (en) | 2013-05-27 |
Family
ID=3922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9054A KR101268129B1 (en) | 2006-07-24 | 2006-07-24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812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087B1 (en) * | 2003-06-26 | 2005-03-14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2006
- 2006-07-24 KR KR1020060069054A patent/KR10126812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087B1 (en) * | 2003-06-26 | 2005-03-14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456A (en) | 2008-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30713B2 (en) | Accessory equipment for cleaning equipment | |
US6374453B1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US7171723B2 (en) | Floor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 |
KR101148095B1 (en) | A floor tool has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such as a vacuum cleaner | |
JP2005323999A (en) | Robot cleaner | |
JP3937405B2 (en) |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09504311A (en) | Vacuum cleaner | |
CN101152066B (en) | Duct collector head and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 |
JP6800048B2 (en) | Suction port for bedding of vacuum cleaner | |
KR101054999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KR101223324B1 (en) |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
KR101268129B1 (en) | Suction nozzle for vaccum cleaner | |
KR100783155B1 (en) | robotic vacuum | |
KR101039491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CN101991387B (en) | Suction body of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electric dust collector | |
KR20090088547A (en) | Vacuum cleaner | |
KR101004544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JP4713958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1055910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KR101208559B1 (en) |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JP3882771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05334209A (en) | Suction tool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 |
JP2006034593A (en) | Vacuum cleaner | |
JP4129405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4444075B2 (en) | Vacuum cleaner inlet and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429 Appeal identifier: 2013101001425 Request date: 20130227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3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