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0668B1 -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668B1
KR100570668B1 KR1020030049679A KR20030049679A KR100570668B1 KR 100570668 B1 KR100570668 B1 KR 100570668B1 KR 1020030049679 A KR1020030049679 A KR 1020030049679A KR 20030049679 A KR20030049679 A KR 20030049679A KR 100570668 B1 KR100570668 B1 KR 10057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hone banking
banking service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425A (ko
Inventor
신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은행
Priority to KR102003004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6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6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뱅킹 서비스를 위한 접속 및 인증정보를 설치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인증키를 내장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과,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장착되고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여 폰뱅킹 서비스 사용자가 최소의 선택만으로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는 통상의 음성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폰뱅킹 서비스 이외에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정보에 의해 일괄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안내 및 서비스 제공을 하는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을 응용프로그램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폰뱅킹, 모바일 뱅킹, 스마트 카드, 인증

Description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Banking service using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폰 뱅킹 모듈과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폰 뱅킹 모듈
111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제어부
130 : 저장수단 인터페이스 200 :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제어부
230 : 금융정보 저장부 240 : 인증키 저장부
250 : 개인정보 저장부 300 : 통신망
400 :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 410 :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MOBILE PHONE, PDA)를 이용한 금융거래(이하, 뱅킹)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의 정보와 인증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에 착탈시킬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내장시켜 모바일 뱅킹을 위한 인증 절차를 원텃치 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고 정확한 신원 확인에 의한 인증으로 모바일 뱅킹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망을 이용한 온라인 폰뱅킹(텔레뱅킹) 서비스(online phone banking service)는 전화망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금융 처리 서비스로서, 고객이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은행의 호스트 컴퓨터의 ARS(Automated Response System)와 접속을 하고, 은행의 호스트 컴퓨터와 전화선을 통하여 각종 자료를 송수신함으로써 은행과의 거래를 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계좌 조회, 계좌 이체 등 금융 기관에서 오프 라인 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폰뱅킹 서비스는 고객이 매번 은행을 찾아야 하는 오프라인 방법에 비하여 매우 편리한 방법으로써 최근 그 사용빈도가 급신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텔레뱅킹 서비스는 이용자가 전화기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통하여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용자는 은행의 호스트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비스 방송을 따라 해당 번호를 눌러 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사용자는 안내방송을 청취한 뒤 그에 해당되는 버튼을 누르는 등 상기 사용자는 안내방 송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버튼을 여러 번 반복하여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폰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다단계의 번호 입력 과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폰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해당 금융 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전화 번호로 다이얼을 하고, 이어 금융 기관의 자동 응답 시스템에서 지시하는 각 단계에 따라 '서비스 번호 입력', '계좌 번호 입력', '비밀 번호 입력', '주민 등록 번호 입력' 등의 번거롭고 복잡한 번호 입력 과정을 통과해야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폰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잘못된 번호 입력을 한 경우 초기 입력 과정부터 반복해야하는 경우도 있어 번호 입력 과정에서 매우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폰뱅킹 서비스는 기존의 오프 라인 상에서 금융 기관을 이용하는 번잡함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고객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으나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번잡한 번호 입력 과정을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은 독자적인 전화번호 및 안내서비스에 해당되는 번호가 각각 상이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해당 금융기관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며, 텔레뱅킹 서비스 이용자는 안내방송을 다 듣고 그 해당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폰뱅킹 서비스중에서 모바일(이동전화)을 이용한 폰뱅킹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는 추세인데, 이는 모바일 폰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들어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폰뱅킹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여러 단계의 번호를 눌러야 하고, 자동응답 시스템의 음성을 듣고서 순서에 따라 입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반 유선 전화인 경우 주변에 각종 기억해야할 번호를 메모한 기록장이나 통장 등을 펼쳐두고서 입력할 수 있지만 모바일 뱅킹시에는 이를 항상 휴대하기도 불편하고, 은행 서비스 전화번호,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계좌 비밀번호, 폰뱅킹 비밀 번호, 인증키 번호 등등 기억해야 할 번호들이 너무 많아서 기억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휴대전화를 들고서 각종 번호들을 메모나 통장 또는 카드 등을 찾아서 보면서 음성 안내에 따라 시간을 놓치지 않고 입력하기란 대단히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긴 시간 통화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통신 요금이 증가되고, 모바일 통신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통신이 끊기는 경우가 종종 생겨 처음부터 다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안내방송을 듣고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입력시간을 놓치거나 잘못 눌러서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등의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이 상시 휴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핸드폰, PDA)에 뱅킹 서비스를 위한 접속 및 인증정보를 설치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인증키를 내장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폰뱅킹을 위한 접속정보와 인증정보를 스마트 카드에 내장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하여 보완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폰 뱅킹 거래 전화번호, 거래종류선택, 폰뱅킹 핀, 거래계좌 등의 소정의 단계까지 오프라인으로 사용자가 조작하여 선택하고 이후 은행 호스트에 연결하여 온라인으로 선택된 정보들을 전송하고 호스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연결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구불, 신탁/수익증권, 적립식, 거치식등의 예금조회/이체 서비스와, 대출조회/납입서비스와, 휴대폰 송금 서비스등의 오프라인 창구 업무를 모바일 뱅킹 서비스로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예금조회나 예금이체 그리고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 또는 수표를 조회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통장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과,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의 금융 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장착되고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폰뱅킹 서비스 사용자가 최소의 선택 만으로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는 통상의 음성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폰뱅킹 서비스 이외에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정보에 의해 일괄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안내 및 서비스 제공을 하는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을 응용프로그램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은, 모바일 단말기내에 착탈 가능한 형태의 착탈식 칩이나, 스마트 카드로 구성할 수 있고,
또, 모바일 단말기내에 임의의 저장영역을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영역으로 별도 할당하고, 통신연결을 통해서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시켜 해당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형태로 코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의 금융정보와, 폰뱅킹 인증을 위한 인증키 정보와, 개인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의해 이를 읽어서 선택된 거래 서비스 정보를 패키지 정보로서 호스트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키 및 정보저장 수단을 해당 금융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설치하여 두고,
폰뱅킹을 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의 메뉴 선택에 의해 폰뱅킹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폰뱅킹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폰뱅킹 메뉴에 따라 거래 금 융기관과 거래종류를 선택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거래 금융기관을 선택하고, 거래 종류를 선택한 후 핀(PIN) 입력을 하면 핀 검증을 하는 과정과; 핀입력에 의해 정보 저장수단의 억세스가 인증된 경우, 폰뱅킹 서비스 종류에 따른 계좌 및 금융정보 선택 또는 입력을 하는 과정과; 선택된 금융기관의 서비스 전화번호로 통신 연결하여 상기 선택된 정보들과 인증키 정보를 패키지로 폰뱅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 측에서 패키지로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면 해당 거래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서 거래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내고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미리 선택하여 일괄 처리된 정보로서 통신연결과 함께 전송되어올 때 이를 식별하여 일괄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수신 정보에 대한 인증키 인증 과정을 거쳐 그 일괄 정보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서비스 기능을 차례로 수행하면서 추가되는 정보 요청과 처리결과에 따른 거래 내역을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통신망(300)을 통해서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110)을 설치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 내에 장착되고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폰뱅킹 서비스 사용자가 최소의 선택만으로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200)을 더 구비하며 그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200)은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는 통상의 음성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ARS 폰뱅킹 서비스 이외에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200)의 정보에 의해 일괄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안내 및 서비스 제공을 하는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410)을 응용프로그램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폰뱅킹 모듈과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내에는 인증키 일괄 처리에 의한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를 인터페이스 하고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인 폰뱅킹 모듈(110)이 더 설치되며, 그 폰뱅킹 모듈(110)은, 통신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여 폰뱅킹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1)와, 상기한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200)과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인터페이스부(113)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11)(113)를 통해 정보 송수신 연결을 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 하여 폰뱅킹 메뉴를 제공하고 키 입력에 의한 선택 및 입력 정보에 의해 폰뱅킹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112)를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된다.
상기 인증키 및 저장수단(2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폰뱅킹 모듈(110)과 인터페이스하여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210)와, 해당 고객의 거래 은행의 폰뱅킹 전화번호 각 거래은행의 계좌정보와 금융 서비스 정보등을 저장하는 금융 정보 저장부(230)와, 각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버의 인증키 정보들과 개인 인증정보 등을 저장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240)와, 개인의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확인을 위한 개인 정보들을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250)와, 상기 각 저장부(230),(240),(250)의 정보들을 폰뱅킹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억세스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요청되는 폰뱅킹을 위한 인증 정보, 금융정보 및 개인정보등을 업로드시켜 주고 새로 수정 및 갱신하는 내용의 정보를 다운로드 시켜 저장을 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및 삭제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20)는 폰뱅킹 서비스 실행중에 거래은행, 거래 종류, 거래 계좌등의 정보를 차례로 선택하게 하고 서비스 거래를 위한 정보가 모두 오프라인 상태에서 선택된 후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통신연결하여 거래를 위해 선택된 정보들을 패키지 정보로서 전송하고,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인증키 일괄 처리모듈(410)은, 통상의 ARS에 의한 폰 뱅킹 서비스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미리 선택하여 일괄 처리된 정보로 서 통신연결과 함께 전송되어올 때 이를 식별하여 일괄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그 일괄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기능을 차례로 수행하면서 추가되는 정보 요청과 처리 및 처리결과 통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기(100)에 응용프로그램으로 폰뱅킹 모듈(110)을 설치하고,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는 인증키 일괄 처리모듈(410)을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모바일 폰 뱅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인증키 및 정보저장 수단(200)을 해당 금융기관으로부터 코딩 받는 과정(S10)이 필요하다. 코딩받는 방법으로는 스마트 카드를 발급받아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는 방법과, 모바일 폰에 저장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특정 코딩 작업에 의해 이동 전화 통신에 의해 해당 내용을 코딩시키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스마트 카드를 발급받아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하는 형태를 예로한다.
상기 저장 수단(200)에 저장하는 정보로는, 각 은행별 모바일 뱅킹 서비스 서버의 ARS 전화번호, 인증에 필요한 ID/PW, 인증키, 거래 계좌정보, 본 거래 전문 수취인의 성명, 계좌번호, 은행명 등을 저장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의해 이를 읽어서 자동으로 패키지 정보로서 호스트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바일 폰뱅킹을 위한 정보들이 저장된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200)을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모바일 폰 뱅킹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폰뱅킹을 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메뉴 선택에 의해 폰뱅킹 메뉴를 호출하는 과정(S20)을 수행한다. 이는 모바일 단말기(100) 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된 폰뱅킹 모듈(110)에서 지원하며, 폰뱅킹을 위한 각종 정보를 상기한 저장수단(200)으로부터 불러들여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어서 폰뱅킹 메뉴에 따라 거래 금융기관과 거래종류를 선택하는 과정(S30)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에게 차례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들을 임시 저장한다.
사용자가 거래 금융기관을 선택하고, 거래 종류(예; 예금 조회/이체)를 선택하면, 저장수단의 사용자를 확인 하기 위한 핀(PIN) 입력과정(S40)을 수행한다. 핀(PIN)입력은 저장수단을 억세스 할수 있는 비밀번호로서 이는 사용자 본인 확인을 위한 것이다.
핀입력에 의해 정보 저장수단(200)의 억세스가 인증된 경우, 폰뱅킹 서비스 종류에 따른 계좌 및 금융정보 선택과정(S50)을 수행한다. 상기 예금 조회/이체인 경우, 미리 저장시켜둔 통장의 종류와 그 예금계좌 및 이체거래를 위한 계좌등을 선택하고, 이체할 계좌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계좌 입력과정을 통해서 이체할 거래 계좌 번호를 모바일 폰 단말기의 키입력을 통해서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거래 은행과, 거래 종류, 거래계좌(출금/이체거래 계좌) 및 금액정보등을 입력하면, 현재까지의 선택 사항을 디스플레이시켜 확인하게 하고 사용 자가 이를 확인하게 되면, 선택된 금융기관의 서비스전화번호로 통신연결하여 상기 선택된 정보들과 인증키 정보를 패키지로 폰뱅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S60)을 수행한다. 즉, 앞에서의 각 과정(S20 - S50)들은 모두 오프라인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서 선택하고, 정보 전송과정(S60)에서 비로소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해당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번호로 통신연결하여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의 인증키 일괄 처리 모듈(410)의 제어를 받아 해당 정보들을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해당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서 패키지로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거래를 서비스하는 과정(S70)을 수행한다.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서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수신하여 먼저 인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인증 절차를 거친다. 인증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온 인증키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거래 종류, 거래 계좌 금액 정보등을 조회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서 거래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내고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S80)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필요한 경우 거래내역 정보 저장하고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폰뱅킹 모듈(110)을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하고,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400)에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410)을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은행에서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를 신청하는 고객에게 해당 고객의 금융정보와 개인정보 및 인증키 정 보를 스마트 카드에 코딩하여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 카드 형태의 저장수단(200)을 사용할수도 있고 꼭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칩 패키지나 기타 외장형 저장수단을 이용할수도 있으며, 단말기의 저장영역의 일부를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200)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장형 저장수단을 단말기에 연결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단말기를 제작할 때 미리 내부에 스마트 카드 장착 포트를 구비할수도 있고, 통상의 단말기에서처럼 구비되어 있는 외장 데이터 포트에 스마트 카드를 필요할 때만 장착하여 사용하고 사용후 탈착시켜 보관 하는 방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폰뱅킹 모듈(110)의 응용프로그램도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200)에 저장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하는 경우 자동으로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 통신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폰뱅킹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ARS 음성 안내에 따라 버튼조작을 하지 않고 오프라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조작하므로 조작 실수로 인해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이 빠르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자신의 금융거래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이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정보들을 기억하거나 통장이나 보안카드등을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금융기관 서버는 인증키 및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일괄처리함으로써 통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섯째,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을 사용하기 위한 핀 입력으로 인증키 및 억세스를 제어하고, 서비스 이용중에 필요한 비밀번호 입력등을 활용하여 보완성을 확보하므로 보완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폰 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과,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장착되고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폰뱅킹 서비스 사용자가 최소의 선택 만으로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는 통상의 음성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폰뱅킹 서비스 이외에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정보에 의해 일괄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그 일괄처리된 정보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면서 추가되는 정보요청과 처리결과에 따른 거래 내역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을 응용프로그램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은,
    모바일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형태의 착탈식 칩 또는 스마트 카드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저장수단의 임의의 저장영역을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영역으로 별도 할당하고, 해당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형태로 코딩시킬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및 저장수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해당 고객의 거래 은행의 폰뱅킹 전화번호 각 거래은행의 계좌정보와 금융 서비스 정보등을 저장하는 금융 정보 저장부와,
    각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버의 인증키 정보들과 개인 인증정보등을 저장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와,
    개인의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확인을 위한 개인 정보들을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와,
    상기 각 저장부의 정보들을 핀입력에 의해 억세스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요청되는 폰뱅킹을 위한 인증 정보, 금융정보 및 개인정보등을 업로드시켜 주고 새로 수정 및 갱신하는 내용의 정보를 다운로드 시켜 저장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은,
    통신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여 폰뱅킹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한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과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정보 송수신 연결을 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폰뱅킹 메뉴를 제공하고 키 입력에 의한 선택 및 입력 정보에 의해 폰뱅킹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은,
    폰뱅킹 서비스 메뉴를 실행중에 거래은행, 거래 종류, 거래 계좌등의 정보를 차례로 선택하게 하고 서비스 거래를 위한 정보가 모두 오프라인 상태에서 선택된 후,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통신연결하여 거래를 위해 선택된 정보들을 전송하고,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7.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폰 뱅킹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금융정보와, 폰뱅킹 인증을 위한 인증키 정보와, 개인 정보를 기록한 인증키 및 정보저장 수단을 모바일 단말기에 미리 설치하는 과정;
    상기 인증키 및 정보저장수단을 억세스하여 폰뱅킹을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는 과정과;
    오프라인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메뉴 선택에 의해 폰뱅킹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폰뱅킹 서비스를 선택하고, 핀입력에 의해 상기 인증키 및 정보저장수단을 억세스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키 및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거래종류와 거래를 위한 정보들을 선택한 후 온라인 연결하여 선택된 정보들을 해당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폰뱅킹 서비스 센터의 폰뱅킹 서비스 과정에 의해 거래가 확인되면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종료하는 과정;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의 폰뱅킹 서비스 과정은;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미리 선택하여 일괄 처리된 정보로서 통신연결과 함께 전송되어올 때, 수신 정보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그 일괄 정보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면서 추가되는 정보 요청과 처리결과에 따른 거래 내역을 사용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 뱅킹 서비스 방법.
  9.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응용프로그램으로 설치되어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과,
    금융기관에서 직접 코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두고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내에 장착되고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폰뱅킹 서비스 사용자가 최소의 선택 만으로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을 응용프로그램으로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은,
    모바일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형태의 착탈식 칩 또는 스마트 카드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저장수단의 임의의 저장영역을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영역으로 별도 할당하고, 해당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형태로 코딩시킬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및 저장수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해당 고객의 거래 은행의 폰뱅킹 전화번호 각 거래은행의 계좌정보와 금융 서비스 정보등을 저장하는 금융 정보 저장부와,
    각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버의 인증키 정보들과 개인 인증정보등을 저장하는 인증 정보 저장부와,
    개인의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확인을 위한 개인 정보들을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와,
    상기 각 저장부의 정보들을 핀입력에 의해 억세스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요청되는 폰뱅킹을 위한 인증 정보, 금융정보 및 개인정보등을 업로드시켜 주고 새로 수정 및 갱신하는 내용의 정보를 다운로드 시켜 저장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은,
    통신 모듈과 인터페이스 하여 폰뱅킹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한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과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각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정보 송수신 연결을 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폰뱅킹 메뉴를 제공하고 키 입력에 의한 선택 및 입력 정보에 의해 폰뱅킹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폰뱅킹 모듈은,
    폰뱅킹 서비스 메뉴를 실행중에 거래은행, 거래 종류, 거래 계좌등의 정보를 차례로 선택하게 하고 서비스 거래를 위한 정보가 모두 오프라인 상태에서 선택된 후, 금융기관의 폰뱅킹 서비스 서버와 통신연결하여 거래를 위해 선택된 정보들을 전송하고,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뱅킹 서비스 시스템.
  15.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메뉴제공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송수신을 위한 폰뱅킹 모듈과 해당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폰뱅킹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증키 및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하여 폰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폰뱅킹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통상의 음성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폰뱅킹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키 및 정보 저장수단의 정보에 의해 일괄 처리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그 일괄 처리된 정보를 분석한 후 해당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면서 추가되는 정보 요청과 처리결과에 따른 거래 내역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키 일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폰뱅킹 서비스 서버.
KR1020030049679A 2003-07-21 2003-07-21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7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79A KR100570668B1 (ko) 2003-07-21 2003-07-21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79A KR100570668B1 (ko) 2003-07-21 2003-07-21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425A KR20050010425A (ko) 2005-01-27
KR100570668B1 true KR100570668B1 (ko) 2006-04-12

Family

ID=3722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79A KR100570668B1 (ko) 2003-07-21 2003-07-21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38B1 (ko) * 2005-11-25 2006-12-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2354A (en) * 2006-11-17 2012-01-26 Firstrand Bank Ltd Authentication process for mobile banking service utilising wap.
KR100925229B1 (ko) * 2007-02-13 2009-11-06 (주)씽크에이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가능한 보조장치를 이용하여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425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790A (en) Graphical voice response system and method therefor
RU2242795C2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безналичных расчет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8831195B2 (en) Communicating with an automated interactive telecommunications service system
JP2005338964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US20100169182A1 (en) Mobile pay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156238A1 (en) User-friendly over-the-air personalization process for mobile telephone/proximity payment device
WO201108799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on a mobile device
WO2003001336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authentication using speaker verification
CN101661649A (zh) 自动交易装置以及自动交易系统
KR20080030723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관련 서비스 수행 방법
KR100570668B1 (ko)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958024B (zh) 金融交易系统、自动柜员机、与操作自动柜员机的方法
JP7404700B2 (ja) 取引装置、取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30019940A (ko) 전화기통장과 전화번호계좌
JP2005346129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KR100570666B1 (ko)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
KR100432838B1 (ko) 전자 화폐 처리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전자 화폐 카드의 처리 방법
US200900165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s automatic processing
KR20130088439A (ko) 본인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8948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응답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520601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2352299A (ja) 取引処理装置、取引処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処理方法
KR101016829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금융거래 방법
JP741984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34943B2 (ja) 音によるキー入力の確認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1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