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8901B1 -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 Google Patents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901B1
KR100568901B1 KR1020030080470A KR20030080470A KR100568901B1 KR 100568901 B1 KR100568901 B1 KR 100568901B1 KR 1020030080470 A KR1020030080470 A KR 1020030080470A KR 20030080470 A KR20030080470 A KR 20030080470A KR 100568901 B1 KR100568901 B1 KR 10056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elasticity
nonwoven
breathability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864A (ko
Inventor
이수영
심재헌
유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to KR102003008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9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작업복, 의류용, 일회용 패치류를 포함하여 신체 착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 부직포를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탄성필름은 무기재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폴리머 및 탄성 폴리머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신장성 부직포는 다양한 종류의 미가공 부직포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이 수축된 일축 신장성 부직포, 또는 일축 신장성 부직포의 수축된 폭을 조절폭으로 연신하여 2축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탄성필름과 부직포를 줄무늬로 부분 접착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일축 신장된 부직포와 이보다 큰 신장율로 신장된 탄성 필름을 접착하고, 이 복합체를 가열하여 수축시켜 복합체에 2축 탄성을 부여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ELASTICITY AND VENTILATION AND WATERTIGHT PROPERTY NONWOVEN COMPOSITION OBJECT}
도1은 부직포에 2축신장성을 부여하는 처리 개념도
도2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의 접착 상태 단면 예시도
도3은 2축 탄성을 지닌 부직포 복합체의 단면 예시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Ⅱ는 탄성필름; Ⅲ은 미가공 부직포; Ⅳ는 일축 신장성 부직포; Ⅶ는 접착수단; Ⅴ는 신장성 부직포;
본 발명은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저렴하고, 가볍고, 보온성이 좋고, 착색이 자유롭고, 양산이 용이 한 등 많은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직조되지 아니한 장섬유 자유결합 직포 로서 신장성과 탄성과 방수성을 보이지 아니한다. 이러한 특성은 의류용 또는 치료용 말착포와 같이 신체에 입고 착용하는 제품으로 이용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장애로 지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회용 아기 기저귀, 성인용 기저귀 제품에서도 방수성과 탄성을 가진 부직포 합지체가 요구되고 있다. 부직포에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직포에 폴리머 필름을 접착한 방수 부직포를 제조하고, 방수 부직포에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직포에 합지되는 폴리머 필름에 물 차단성과 공기 유통성을 보이는 통기성 필름을 접착한다. 폴리머 필름에 통기성과 물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해 무기재 함유 폴리머 중합체를 제조하고, 무기재 함유 폴리머 중합체를 압출기에서 녹여 필름을 성형한 후 필름을 연신하여 무기 입자와 폴리머사이에 통기성 및 물차단성 공극을 조성한다. 또한 부직포에 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직포를 넥킹, 크램핑, 샤링, 일축연신 하여 부직포에 신장성을 내재 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직포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24230 부직포 합지 천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24232 부직포와 저용량 필름의 라미네이션 합지체 및 그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21819 부직포가 합지된 압연 통기성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31514 통기성이 보존된 탄성 부직포 복합체;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37846 방수막이 합지된 천공 부직포;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48345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71201호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대한민국 특허공개 1990-7001510호 등에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부직포를 의류용 또는 신체 착용 제품류에 보편적으로 이용하자면 보다 적극적인 직물지의 특성을 부직포에 부여해야 한다. 의류용 부직포가 구비해야 할 특성으로 탄성, 통기성, 방수성이 중심이 된다. 예로써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과 물 차단성이 부여된 부직포를 패치 제품의 방수막으로 사용하면 착용 상태에서 앉고 서는 동작이 주어질 때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어 착용감이 매우 좋아진다. 이와 같은 신체 적응성 구현을 위해 탄성과, 방수성과, 통기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개발이 여러 나라에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작업복, 의류용, 일회용 패치류를 포함하여 신체 착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 부직포를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기재 및 폴리올레핀계폴리머를 포함하는 탄성 폴리머로 탄성필름을 제조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미가공 부직포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이 수축된 일축 신장성 부직포, 또는 일축 신장성 부직포의 수축된 폭을 조절폭으로 연신하여 2축 신장성이 내재되어 부드러운 성질이 증진된 부직포, 또는 넥킹, 크램핑, 샤링으로 신장성을 부여한 부직포에 의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필름과 부직포를 줄무늬로 부분 접착함하여 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축 신장된 부직포와 이보다 큰 신장율로 신장된 탄성 필름을 접착하고, 이 복합체를 가열하여 수축시켜 복합체에 2축 탄성을 부여한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Ⅱ)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Ⅴ)를; 접착수단(Ⅶ)으로 합지하여 제조되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Ⅱ)의 제조
통기성 필름의 제조기술은 개시 기술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옥텐, 헥센, 부텐,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모노머 한가지 이상을 중합한 폴리올레핀계폴리머에;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를 포함하는 무기재료를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녹이고, 다이스에서 필름으로 형성하고, 냉각시켜, 일축연신, 엠보싱에 의한 국부연신, 또는 일축연신과 엠보싱의 병행처리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필름은 연신 공정을 거치면서 폴리머와 무기재료 사이에 미세한 공극이 조성되어 수분과 및 공기는 투과시키나 물의 투과를 차단하는 통기성과 방수성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Ⅱ)은 상기 통기성 필름 제조과정에서 폴리올레핀계 폴리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 폴리머로 사용함에 의해 폴리머 필름에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부여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Ⅱ)의 제조방법을 다시 인용하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옥텐, 헥센, 부텐,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모노머 한가지 이상을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비탄성 일레스토머 0~95중량부와; 탄성 폴리머 5~100중량부에;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를 포함하는 무기재료 25~70중량부를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녹이고 다이스에서 필름으로 형성하고 냉각시켜; 일축연신, 엠보싱에 의한 국부연신 및 일축연신과 엠보싱의 병행처리 중의 어느 하나로 연신하여 필름에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폴리머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헥센, 옥텐, 알파올레핀 등 올레핀계 모노머들 한가지 이상이 중합되어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일레스토머, 상기 올레핀계 모노머들과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들이 공중합된 일레스토머, 스티렌과 상기 올레핀계 모노머들이 공중합된 일레스토머등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서 나일론일레스토머 폴리에르테르 일레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일레스토머 등도 탄성 폴리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일레스토머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탄성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탄성, 통기성, 방수성이 내재된 탄성필름(Ⅱ)의 제조과정에서 성형 및 냉각된 필름을 종축(기계축)으로 일축연신 하면 필름의 횡축(수축방향)으로 탄성이 내재 되고, 종축 연신방향(MD방향)으로 탄성이 소진된다. 상기 탄성, 통기성, 방수성 필름에 2축 탄성을 부여하는 한 방법은, 상기 연신 과정에서 필름을 국부 연신하는 것이다. 국부 연신법으로 엠보싱 연신법이 있다. 필름을 국부연신 처리하면 필름에 횡축 탄성과 함께 종축 탄성이 내재된다.
2. 신장성 부직포
본 발명 상기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이 내재된 탄성필름(Ⅱ)에 합지되는 부직포는 신장성 부직포이다.
미가공 부직포(Ⅲ)는 장섬유 자유 조직 부직포서, 신장성과 탄성과 방수성이 결여되어있어 신장성을 부여해야 한다. 미가공 부직포(Ⅲ)에 신장성을 부여하자면 부직포(Ⅲ)를 넥킹, 크랩핑, 샤링 하거나 일축 연신하여 신장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로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1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부직포중에서 선택한 용량 5~180g/㎡인 부직포가 있다.
도1은 2축 신장성을 부여하여 부드러운 성질이 증진된 부직포의 변화 상태도이다. 도1에서 주어진 폭(예, 2000mm)의 미가공 부직포(Ⅲ)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이 수축된 일축 신장성 부직포(Ⅳ)를 제조하고; 일축신장성 부직포(Ⅳ)의 수축된 폭(예, 1000mm)을 조절폭(예, 1500mm)으로 연신하여 부드러운 성질이 증진된 부직포(Ⅴ)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부직포를 상기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이 내재된 탄성필름(Ⅱ)에 합지하여 부드러움이 증진되고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부직포 처리의 특징은 넥킹, 크램핑, 샤링, 일축연신에 의해 신장성을 부여한 부직포가 처리 비용이 저렴하지만 감촉이 뻣뻣해지는 점에 유의하고, 뻣뻣해진 부직포에 다시 부드러운 성질을 증진시켜 고 품질 감촉을 부여하는 점에 있다.
3. 합지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이 내재된 탄성필름(Ⅱ)과 신장성 부직포(Ⅴ)의 합지는 엠보싱롤에서 열을 주어서 합지하거나 접착수단(Ⅶ)을 사용하여 합지한다. 합지 과정에서 탄성필름(Ⅱ)과 신장성 부직포(Ⅴ)의 전면을 접착하면 복합체의 통기성이 소실된다. 통기성 보존 하면서 탄성필름(Ⅱ)과 신장성 부직포(Ⅴ)를 합지 하자면 두 재료의 접착 면적이 부직포면적의 일부가 되게 배려하고, 접착부가 재료의 탄성작용에 걸림이 되지 않게 배려해야 한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액상 접착제와 핫멜트 접착제가 좋다.
4. 2축 탄성을 내재시킨 통기성 필름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이 내재된 탄성필름(Ⅱ)에 2축 탄성을 내재시키는 다른 방법은 종축 연신된 탄성필름을 횡축 신장성이 내재된 부직포와 합지한 후, 합지체를 가열하여 종축 연신된 필름을 일정량 수축시키는 것이다. 일축 연신된 필름은 열을 받으면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수축현상을 보인다. 예로서 100% 일축 연신된 통기성 필름을 80℃ 물에 1분간 두었을 때 5~35%의 연신 방향 수축이 이루어진다. 연신방향은 대체로 종축(기계방향)이다. 도2는 신장성 부직포(Ⅴ)와 와 탄성필름(Ⅱ)을 합지하는 실시 예시도 이다.
도2와 같이 횡축방향 줄무늬 모양으로 탄성필름(Ⅱ)과 신장성 부직포(Ⅴ)를 합지하고; 합지체에 열을 가하면 도3과 같이 탄성 필름이 종축 방향으로 수축되어 종축 방향의 탄성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 도2, 도3의 처리과정에 의하면, 종축 신장된 탄성 필름과 신장성 부직포를 횡축방향 줄무늬로 접착하고, 상기 탄성 필름과 신장성 부직포의 합지체에 열을 가하여 탄성 필름의 종축 수축을 유도함에 의해, 탄성필름의 종축 탄성을 내재시킨 결과를 얻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2와 도3의 과정은 일축 신장된 부직포와; 이보다 큰 신장율로 신장된 탄성 필름을; 접착하여 부직포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 복합체를 가열하여 수축시켜; 복합체에 2축 탄성을 부여 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다.
실시예 1
① 통기성 필름 : 탄산칼슘 48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이 공중합된 일레스토머 15중량부, 스티렌을 포함하는 일레스토머 (크레이톤사 제품명 : 크레이톤 D2122) 11.5중량부, 폴리에틸렌 20중량부, 에틸렌과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가 중합된 일레스토머로써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비닐아세테이트함량 28%) 5중량부, 분산제 및 첨가제 0.5중량부로 압출기 다이스에서 필름 성형 후에 냉각시키고, 종축 2.5배로 연신하였다.
② 신장성 부직포 : 18g/㎡의 3m폭의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 부직포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을 1.5m로 줄인 후, 폭을 다시 2.3m로 폭을 다시 늘여 신장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③ 상기 통기성 필름 ①과 상기 신장성 부직포 ②를 접착수단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합지 도2의 예와 같이 접착하여 탄성, 통기성, 방수성 부직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합지체를 50℃ 오븐에 6시간 넣어두었다.
실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체의 투습도와 방수성은 표1과 같다. 통기성 확인을 위하여 투습도를 측정 하였다.
표 1
투습도(ASTM-E96) 내수압(mbar)
실시예 1 1950g/㎡.day 73
실시예 2 1630g/㎡.day 75
실시예 1의 부직포 복합체를 양손으로 잡고 신축성을 내재시킨 방향으로 당겨보니 미가공 부직포와 달리 섬유직물에 유사한 신축 탄성이 확인 되었다. 신축량은 길이 10㎝ 부직포 복합체를 11㎝로 강제로 늘렸다 놓으니, 10.2㎝ 길이로 복원되었다.
실시예 2의 부직포 복합체에서 2축 탄성이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작업복, 의류용, 일회용 패치류를 포함하여 신체 착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 부직포를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탄성필름은 무기재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폴리머 및 탄성 폴리머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신장성 부직포는 다양한 종류의 미가공 부직포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이 수축된 일축 신장성 부직포, 또는 일축 신장성 부직포의 수축된 폭을 조절폭으로 연신하여 2축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탄성필름과 부직포를 줄무늬로 부분 접착하는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하고; 일축 신장된 부직포와 이보다 큰 신장율로 신장된 탄성 필름을 접착하고, 이 복합체 를 가열하여 수축시켜 복합체에 2축 탄성이 부여되고 부드러운 성질이 증진된 부직포 복합체를 제공한다.

Claims (8)

  1.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옥텐, 헥센, 부텐,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모노머 한가지 이상을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비탄성 폴리머 0~95중량부와; 탄성 폴리머 5~100중량부에;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를 포함하는 무기재료5~70중량부를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녹이고; 다이스에서 형성하고; 냉각시켜 얻은 필름을; 일축연신, 엠보싱에 의한 국부연신 및 일축연신과 엠보싱의 병행처리 중의 어느 하나로 처리하여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를; 접착부로 접착하여 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옥텐, 헥센, 부텐,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모노머 한가지 이상을 중합한 폴리올레핀계 비탄성 폴리머 0~95중량부와; 탄성 폴리머 5~100중량부에;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를 포함하는 무기재료5~70중량부를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녹이고; 다이스에서 형성하고; 냉각시켜 얻은 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를; 접착부로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 폴리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알파올레핀 등 올레핀계 모노머들 한가지 이상이 중합되어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일레스토머, 상기 올레핀계 모노머들과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들이 공중합된 일레스토머, 스티렌과 상기 올레핀계 모노머들이 공중합된 일레스토머, 나일론일레스토머 폴리에르테르 일레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일레스토머 중의 하나 이상인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5.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를; 접착부로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바이콤퍼넌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가 2층이상으로 열접착된 부직포, 폴리에틸렌부직포, 나일론부직포, 폴리에스테르부직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트원사와 폴리프로필렌원사와 폴리에틸렌원사와 비스코스원사와 폴리에스테르원사와 나일론 원사 중에서 1이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판레이스 부직포, 면사부직포중에서 선택한 용량 5~180g/㎡인 부직포인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6.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를; 접착부로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부직포는 미가공 부직포를 종축 연신하여; 횡축 폭이 수축된 일축 신장성 부직포를 제조하고; 일축신장성 부직포의 수축된 폭을 조절폭으로 연신하여 2축 신장성 부여하고 부드러운 성질을 증진시킨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7.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탄성필름과; 신장성을 내재시킨 부직포를; 접착부로 접착하여 제조되는;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에 있어서, 종축 신장된 탄성 필름과 신장성 부직포를 횡축방향 줄무늬로 부분 접착하고; 탄성 필름과 신장성 부직포의 합지체에 열을 가해 탄성 필름의 종축 수축을 유도하여 탄성필름의 종축 탄성을 내재시켜 제조된;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8. (삭제)
KR1020030080470A 2003-11-14 2003-11-14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KR10056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70A KR100568901B1 (ko) 2003-11-14 2003-11-14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70A KR100568901B1 (ko) 2003-11-14 2003-11-14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864A KR20050046864A (ko) 2005-05-19
KR100568901B1 true KR100568901B1 (ko) 2006-04-10

Family

ID=3724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70A KR100568901B1 (ko) 2003-11-14 2003-11-14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80B1 (ko) * 2007-10-31 2008-12-05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다층구조의 통기성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0062058A2 (ko) * 2008-11-03 2010-06-03 주식회사 금강폴드 피부친화력을 개선한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의 안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7924A1 (en) * 2006-04-10 2007-10-11 Tredegar Film Products Corp. Elastic laminates prepared by multiple stretching steps
KR200470747Y1 (ko) * 2011-10-31 2014-01-08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일회용 핫 팩 착용벨트
KR101527146B1 (ko) * 2014-08-29 2015-06-16 유피씨(주) 바이러스 방어용 합지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이러스 방어 의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70B1 (ko) * 1993-12-17 2003-10-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기성직물유사필름/부직포복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70B1 (ko) * 1993-12-17 2003-10-1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기성직물유사필름/부직포복합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75470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680B1 (ko) * 2007-10-31 2008-12-05 주식회사 현우기술연구 다층구조의 통기성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0062058A2 (ko) * 2008-11-03 2010-06-03 주식회사 금강폴드 피부친화력을 개선한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의 안감
WO2010062058A3 (ko) * 2008-11-03 2010-09-30 주식회사 금강폴드 피부친화력을 개선한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의 안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864A (ko)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4351B1 (en) An elastic laminated sheet of an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elastomeric film and method
KR100592003B1 (ko) 구역이 나누어진 통기성을 갖는 미공성 필름
CN100404247C (zh) 透气的弹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6776947B2 (en) Process of adjusting WVTR of polyolefin film
CN100430221C (zh) 具有可破裂表层的透气多层薄膜
KR101563043B1 (ko) 개구가 형성된 분할된 필름
CN1273285C (zh) 含有双面柔软弹性组件的吸收性制品
AU2003276145B2 (en) Nonwoven material with elastic properties, related produ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0723553B1 (ko)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통기성 엘라스토머 필름
KR100372067B1 (ko) 차단특성이개선된부직라미네이트
KR100714342B1 (ko) 착용자의 윤곽에 영구적으로 정합가능한 통기성 라미네이트
TWI491503B (zh) 含有聚烯烴組合物之層壓織物結構
US4353945A (en) Flocked, foam-coat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CN1427863A (zh) 具有由低横向拉伸诱导的高透气性的薄膜
WO1999019142A1 (en) Film and nonwoven laminate and method
CN1434767A (zh) 可与穿戴者轮廓永久共形的透气性层合物
KR100568901B1 (ko)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부직포 복합체
CN106103088A (zh) 具有增强的强度和弹性的微织构多层弹性层合物及其制备方法
AU763911B2 (en) Breathable elastic laminates
KR100554914B1 (ko)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통기성 필름
KR100533478B1 (ko) 신축성 부직포 합지체
GB2087262A (en) Flocked, foam-coat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MXPA01003976A (es) Laminados elasticos respirables
KR20170036314A (ko) 운동성이 확보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