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6880B1 -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880B1
KR100566880B1 KR1020040018427A KR20040018427A KR100566880B1 KR 100566880 B1 KR100566880 B1 KR 100566880B1 KR 1020040018427 A KR1020040018427 A KR 1020040018427A KR 20040018427 A KR20040018427 A KR 20040018427A KR 100566880 B1 KR100566880 B1 KR 10056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mposition
nozzle
diameter
tray
ice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176A (ko
Inventor
윤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학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학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학식품
Priority to KR102004001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8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액체조성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트레이 하부에 유출구의 직경이 유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테이퍼된 노즐이 복수개 장착된 통상의 구슬아이스크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부트레이(31)와 하부트레이(23)로 나누어지며, 하부트레이(23) 하부에는 외부노즐(11)이 장착되고, 상부트레이(31) 하부에는 내부노즐(12)이 장착되며, 내부노즐(12)은 하부트레이(23)를 관통하여 외부노즐(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슬아이스크림, 이중분사노즐, 기능성 충전물, 외벽코팅

Description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Liquid composition dropping apparatus equipped a double spray nozzle and bead shaped ice cream made from this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중분사노즐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이중분사노즐의 단면도이고,
도3은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감압막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중분사노즐, 11 : 외부노즐, 12 : 내부노즐, 21 : 저장탱크1, 22 : 공급관1, 23 : 하부트레이, 24 : 최고수위센서, 25 : 최저수위센서, 26 :감압막1, 31 : 상부 트레이, 32 : 공급관2, 33 : 저장탱크2, 34 : 역류방지장치, 35 : 정량적하조절펌프, 36 : 감압막2
본 발명은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보다 큰 입경의 외부 노즐 속에 보다 작은 입경의 내부노즐이 위치하는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와 이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기능성 물질이 내부에 충전된 구슬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슬아이스크림은 방울방울 적하하는 액체조성물을 극저온에서 그대로 냉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아이스크림으로, 이러한 제품은 전문점이나 시장 또는 테마공원 내에서 매우 인기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신규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은 한국특허 제23933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테이퍼진 노즐의 끝에서 액체조성물이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방울져서 냉동실로 떨어지도록 한 후 이 상태에서 급속동결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구슬아이스크림은 아이스크림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배제되고 급속동결됨으로써 종래의 아이스크림과는 차별화되는 맛을 가지지만, 기능성 물질을 부여하기가 어렵고, 특히 보관 또는 유통시 약간의 온도편차가 있어도 녹아서 구슬끼리 서로 달라 붙기 때문에 극저온의 상태(영하 28℃ 이하)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극저온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의 냉동고로는 어렵고 이러한 용도에 맞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냉동고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구슬아이스크림은 아직도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비하여 널리 판매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구슬아이스크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편차에도 불구하고 잘 녹지 않는 구슬아이스크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한 외부층 내부에 유색의 충전부를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도가 향상된 구슬아이스크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분사노즐은 보다 큰 입경의 외부 노즐 속에 보다 작은 입경의 내부노즐이 위치하며, 외부 노즐 및 내부 노즐은 끝 부분이 테이퍼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슬아이스크림은 외부층 내부에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슬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은 외부노즐로 외부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공급함과 동시에, 내부노즐로 충전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공급하는 단계와, 충전부를 구성하는 물질이 외부노즐의 유출부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는 외부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밀면서 주기적으로 적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중분사노즐(10)의 단면도이다. 이중분사노즐(10)은 보다 큰 직경의 외부노즐(11) 내부에 보다 작은 직경의 내부노 즐(12)이 위치한다. 각 노즐은 보다 큰 유입구의 직경을 가지며, 보다 작은 유출구의 직경을 가진다. 외부노즐(11) 및 내부노즐(12)은 도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끝 부분만 테이퍼될 수도 있으며, 도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입구의 직경이 그대로 유지되다가 단계별로 줄어드는 다단계형일 수도 있다.
도3은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로서, 외부노즐(11)은 외부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1)과 공급관1(22) 및 하부트레이(23)를 통하여 연결되며, 하부 트레이(23) 하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공급관1(22)의 끝 부분에 최고수위센서(24) 및 최저수위센서(25)를 부착하고, 감압막1(26)을 설치하는 것이다. 공급물질이 최저수위센서(25) 이내로 떨어지게 되면 저장탱크1(21)의 개폐밸브(미도시)가 자동으로 열려서 공급물질이 공급되며, 공급물질이 최고수위센서(24)에 도달하게 되면 저장탱크1(21)의 개폐밸브가 자동으로 닫혀서 물질공급이 중단된다.
감압막1(26)은 공급물질이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외부노즐(11)의 끝 부분에 정지되어 있는 외부물질이 압력을 받아서 스스로 적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판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노즐(12)은 상부 트레이(31) 하부에 장착되며, 상부 트레이(31)와 공급관2(32)를 통하여 저장탱크2(33)에 연결된다. 저장탱크2(33)에는 충전물이 저장된다. 또한, 내부노즐(12)은 하부 트레이(23)를 관통하여 외부노즐(11)의 내부에 위치한다. 공급된 충전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관2(32)에 역류방지장치(34)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보다 규칙적인 적하를 위해서는 공급관2(32)에 정량적하조절펌프(35)를 설치하거나 외부에서 저장탱크2(33)로 규칙적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을 통하여 보다 균일한 크기의 구슬아이스크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급관2(32)의 유출구 부근에는 압력이 집중되므로 감압막2(36)를 사용하여 상부 트레이(31)에 걸리는 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감압막2(36)의 예로는 도4와 같이 공급관2(32)의 유출구가 위치하는 중앙부에는 작은 직경의 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큰 직경이 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트레이(23)와 상부트레이(31)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트레이(23, 31)에 공급된 물질들은 서로 섞이지 아니하며, 오로지 외부노즐(11)과 내부노즐(12)의 끝 부분에서 섞이게 된다.
외부노즐(11)의 적절한 크기는 유입구의 직경은 6-15mm이고, 유출구의 직경은 2.5-5.0mm인 것이다. 유출구의 직경이 이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작은 제품이 얻어지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장력이 적게 걸리게 되어 외부물질이 정지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적하하게 된다.
내부노즐(12)의 적절한 크기는 유입구의 직경이 3-10mm이며, 유출구의 직경이 1.0-2.5mm이다. 유출구의 직경이 이 보다 작을 경우에는 내부 충전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노즐을 외부노즐의 내부에 위치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내부노즐(12)의 끝 부분은, 외부물질의 액체조성물이 표면장력에 의하여 정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외부노즐(11)의 끝 부분에서 2-5mm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는 외부노즐(11) 및 내부노즐(12)을 편의상 한개씩 도시하였으나, 실제의 장치는 하부 및 상부 트레이의 저면 전체에 걸쳐 복수개 장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에, 외부물질과 내부 충전물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상부 트레이(31)에 공급된 충전물이 하부 트레이(23)에 공급된 외부물질 보다 더 높은 압력을 받도록 하게 되면 외부노즐(11)의 끝 부분에는 외부물질의 액체조성물이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되며, 내부노즐(12)을 통과한 충전물은 정지하고 있는 외부물질을 냉동실(미도시)로 밀어내면서 적하하게 된다.
적하되는 방물들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외부물질 및 충전물은 원형에 가깝도록 변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구슬아이스크림은 원형에 가까운 충전물 외부에 외부물질이 원형에 가깝도록 코팅된 상태가 된다.
충전물은 박하나 커피, 쟈스민 등과 같이 독특한 맛이나 향을 나타내는 물질이나 딸기, 포도 등의 과일 잼류 등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인산, 산삼, 가시오가피, 필수 아미노산 등과 같은 건강보조식품을 함유할 수도 있다.
외부물질은 통상의 아이스크림 제조용 액체조성물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조성 성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투명성을 높인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의 아이스크림 조성물은 유제품과 당류를 많이 함유함으로써 빙점이 비교적 낮고 접착력이 높지만 이러한 성분을 줄이게 되면 투명성이 증가하고 빙점이 상대적으로 높아짐과 동시에, 접착력이 저하하여 유통 또는 보관시 어느 정도의 온도편차가 생기더 라도 녹거나 입자끼리 서로 붙게 되는 현상을 상당부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이 내부에 충전된 구슬아이스크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충전물을 감싸는 외부물질을 빙점이 높고 접착력이 낮도록 조절가능하므로 극저온에서 유통 및 보관되어야 하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구슬아이스크림은 종래의 기술로는 적용이 불가능하였던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성 물질을 내부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액체조성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트레이 하부에 유출구의 직경이 유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테이퍼된 노즐이 복수개 장착된 통상의 구슬아이스크림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부트레이(31)와 하부트레이(23)로 나누어지며, 하부트레이(23) 하부에는 외부노즐(11)이 장착되고, 상부트레이(31) 하부에는 내부노즐(12)이 장착되며, 내부노즐(12)은 하부트레이(23)를 관통하여 외부노즐(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노즐(11)은 하부트레이(23)와 공급관1(22)를 통하여 저장탱크1(2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공급관1(22)의 끝 부분에 최고수위센서(24) 및 최저수위센서(25)를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공급관1(22)의 끝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감압막1(26)을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노즐(12)은 상부트레이(31)와 공급관2(32)를 통하여 저장탱크2(3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트레이(31)에는 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감암막2(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공급관2(32)에는 역류방지장치(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노즐(11)의 유입구 직경은 6-15mm이고, 유출구의 직경은 2.5-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내부노즐(12)의 유입구 직경은 3-10mm이며, 유출구 직경은 1.0-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내부노즐(12)의 유출구는 외부노즐(11)의 유출구 보다 2-5mm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분사노즐(10)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11. 보다 직경이 큰 외부노즐(11) 속에 보다 직경이 작은 내부노즐(12)을 위치시키고, 각 노즐(11, 12)에 서로 다른 액체조성물을 공급하며, 내부노즐(12)의 압력이 외부노즐(11)의 압력보다 높도록하여 내부노즐(12)을 통과한 액체조성물이 외부노즐(11)을 통과한 액체조성물을 밀어내면서 냉동실로 적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내부노즐(12)을 통과한 액체조성물은 외부노즐(11)을 통과한 액체조성물 내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040018427A 2004-03-18 2004-03-18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KR10056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427A KR100566880B1 (ko) 2004-03-18 2004-03-18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427A KR100566880B1 (ko) 2004-03-18 2004-03-18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76A KR20050093176A (ko) 2005-09-23
KR100566880B1 true KR100566880B1 (ko) 2006-03-31

Family

ID=3727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427A KR100566880B1 (ko) 2004-03-18 2004-03-18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97B1 (ko) * 2009-12-22 2012-02-15 한국기계연구원 3차원 세포 배양 지지체 제작용 세포 플로팅 장치
EP2347659B1 (en) 2010-01-22 2012-08-22 Unilever PLC Process for producing frozen particles
KR101318393B1 (ko) * 2011-06-15 2013-10-15 한국기계연구원 세포배양지지체의 제조장치 및 세포배양지지체의 제조방법
US9126366B2 (en) 2011-06-15 2015-09-08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ll culture scaf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76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7575B1 (en) Dropper assembly for liquid feed and method of feeding liquid composition to a freezing chamber
JP7123091B2 (ja) 飲料分配システム、容器、加圧装置および圧力調整器
KR101790816B1 (ko) 음료 및 액체 식료품 제조에서의 개선
FI60810C (fi) Anvaendning av en blandningsapparat i en dricksdoseringsanordning och foerfarande vid anvaendning av blandningsapparaten
RU2375908C2 (ru)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кондитерских продуктов в оболочке
CN108024655A (zh) 冷酿系统、方法和设备
US8789489B2 (en) Process for preparing, prior to filling, a wafer cornet, cornet thus obtained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JP2008503235A (ja) 組み合わされた粒状および一般的なアイスクリーム
KR20030031474A (ko) 자유유동 냉동품의 액상 공급 제조용 극저온 처리기를위한 제어시스템
KR100566880B1 (ko) 이중분사노즐이 장착된 액체조성물 적하장치 및 이장치로부터 제조되는 구슬 아이스크림과 그 제조방법
US7147884B2 (en) Method for making a novelty frozen food product
FR291453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article de dessert refrigere contenant une composition craquante disposee en couches superposees dans sa masse
GB2526770A (en) Dry Ice Dispensing Apparatus
CN110959745A (zh) 脆筒类冷饮巧克力凝冻装置及保持巧克力脆筒脆性的方法
KR101212542B1 (ko) 결합 미립자 및 전통적인 아이스 크림
EP1221864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alimentaire glace tel qu'une sucette
US20070065552A1 (en) Novelty frozen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316122B1 (en) Tray for producing particulate food products
US20060093719A1 (en) Particulate ice cream dot sandwich
KR100483329B1 (ko) 액체 동결물 형성장치
US11510421B2 (en) Apparatus for making texture controlled edible ice products instantly
KR20010076086A (ko) 구슬형태의 냉동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EP2853846B1 (en) Device for coating containers
JP2019508024A (ja) 飲料容器内で飲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飲料物品
WO2019125768A1 (en) System for cryogenic freezing of viscous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