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6671B1 -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671B1
KR100566671B1 KR1020037008943A KR20037008943A KR100566671B1 KR 100566671 B1 KR100566671 B1 KR 100566671B1 KR 1020037008943 A KR1020037008943 A KR 1020037008943A KR 20037008943 A KR20037008943 A KR 20037008943A KR 100566671 B1 KR100566671 B1 KR 10056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ver
side covers
frame sid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794A (ko
Inventor
야마구치마사아키
오츠보마모루
다나카쥰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 하강부에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에, 메인 프레임의 아래 쪽에 배치되는 엔진 유닛이 현가되고, 메인 프레임의 양 측방이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로써 덮혀지고, 메인 프레임의 윗쪽이 상부 커버로써 덮혀지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의 적어도 일부가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서 중합되어,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상부 커버(34)의 전방부가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커버의 적어도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측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테이가 불필요하여,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BODY COVER STRUCTUR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헤드 파이프(head pipe)로부터 후방 하강부에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아래 쪽으로 배치되는 엔진 유닛(engine unit)이 현가(懸架)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兩) 측방(側方)이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side cover)로써 덮혀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윗쪽이 상부 커버로써 덮혀지는 자동 2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차체 커버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16851호 공보로써 개시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스테이(stay)에,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 및 상부 커버를 부착하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테이의 개수가 많아져서,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점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뒤쪽으로 내려가면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엔진 유닛이 현가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측방이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로써 덮혀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위쪽이 상부 커버로써 덮혀지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上端)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 파이프의 후방에서 중합되어,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중합부에 상기 상부 커버의 전방부가 체결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특징의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적어도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측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테이는 불필요하여,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야 할 스테이의 개수를 적게 해서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헤드 파이프 근방에 배선되는 케이블 등의 배치의 자유도를 좁히는 스테이를 없애서 케이블 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 및 상부 커버의 전방부를 양호하게 맞추어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승차용 시트의 아래 쪽에서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 양측을 덮어서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차용 시트의 전방부 아래 쪽에서 중합되어, 상기 상부 커버의 후방부가,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의 중합부에 체결되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후방부를 차체 프레임측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테이를 차체 프레임에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부품 점수를 더한층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커버의 후방부 및 차체 프레임 사이에 전장품 등의 부품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특징에 추가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전방 상부 커버 및 후방 상부 커버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해서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고, 전방 상부 커버의 후방부가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에 체결되는 것을 제3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전후 방향 중앙 부근을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점화 유닛 등의 정비 시에 상부 커버 전체를 떼어내는 것이 불필요하고, 후방 상부 커버만의 떼어냄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3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후방 상부 커버의 전방부가, 전방 상부 커버의 후방부의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체결 개소를 덮어서 전방 상부 커버의 후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제4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방 상부 커버의 후방부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에의 체결 개소를 덮음으로써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방 상부 커버의 탈착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정비 작업을 더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이, 그것들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제5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전방부를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중합부에 체결할 때에,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 및 상부 커버의 전방부의 체결 상태를 강고(强固)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상부의 상기 메인 프레임에의 체결부의 윗쪽이 상기 상부 커버로써 덮혀지는 것을 제6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의 상부의 메인 프레임에의 체결부를 상부 커버로써 은폐하도록 해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승차용 시트의 아래 쪽에서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 양측을 덮어서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의 겉 표면이, 도장(塗裝) 영역 및 비도장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는 것을 제7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방 사이드 커버를 복수의 커버 부품으로 구성하지 않더라도, 후방 사이드 커버의 일부를 비도장 커버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해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의장적(意匠的)으로 우수한 색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처나 더러움이 눈에 뜨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장 영역 및 비도장 영역의 구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7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 내, 상기 승차용 시트의 전반부의 아래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비도장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제8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의 발이 닿기 쉬 운 부분에 비도장 영역을 배치하여, 후방 사이드 커버의 상처나 더러움 등을 눈에 뜨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7특징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의 하단 부분이 비도장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제9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의 발이 닿기 쉬운 부분에 비도장 영역을 배치하여, 후방 사이드 커버의 상처나 더러움 등을 눈에 뜨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2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자동 2륜차의 후방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차체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차체 커버의 전방부 측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전방 상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차체 커버의 전방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8화살표에서 본 확대도.
도 9는 도 4의 9-9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후방 상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차체 커버의 후방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11-11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12-12선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4의 13-13선 확대 단면도.
우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 자동 2륜차의 골격이 되는 차체 프레임 F는, 프론트 포크(front fork)(11)를 조향(操向)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 (12)와, 헤드 파이프(12)로부터 뒤쪽으로 내려가면서 연장되는 단일의 메인 프레임(13)과, 그 메인 프레임(13)의 후방부에 연결 설치되어 뒤쪽으로 올라가면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후방 프레임(14…)을 구비하는 것이며, 프론트 포크(11)의 하단에 전륜 WF가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고, 프론트 포크(11)의 상단에는 조향 핸들 (15)이 연결된다.
메인 프레임(13)은, 서로 평행하게 연직(鉛直)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측면을 좌우에 갖춘 횡단면이 4각형의 각(角) 파이프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메인 프레임(13)의 중간부 양 측면에, 행거 플레이트(hanger plate)(16…)가 각각 용접에 의해 직접 부착되고, 또한 메인 프레임(13)의 후방부 양 측면에 피벗 플레이트(pivot plate)(17)가 용접에 의해 직접 부착된다.
메인 프레임(13)의 아래 쪽에는 엔진 유닛 E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엔진 유닛 E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16…) 및 피벗 플레이트(17)로써 지지되도록 해서 차체 프레임 F에 현가된다. 이 엔진 유닛 E의 양측에는, 운전자가 발을 놓기 위한 풋 스텝(foot step)(18)이 설치된다.
피벗 플레이트(17)에는 원통 형상의 지축(支軸)(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지축(20)의 양 단부에 좌우 1쌍의 리어 포크(rear fork)(21…)의 전방 단부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양쪽 리어 포크(21…)의 후방 단부 사이에 후륜 WR이 축으로써 지지 된다.
후방 프레임(14…)의 후방 단부 사이는 테일 프레임(tail frame)(22)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3)의 후방부 양측에는 1쌍의 연결 파이프(2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들 연결 파이프(23…)의 일단(一端)은, 양쪽 후방 프레임(14…)의 중간부 하면(下面)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고, 양쪽 연결 파이프(23…)의 타단(他端)은, 피벗 플레이트(17)의 후면에 용접에 의해 공통으로 부착된다. 즉, 메인 프레임(13)의 양측에 배치되는 1쌍의 연결 파이프(23…)로써 양쪽 후방 프레임(14…)의 전방부 및 피벗 플레이트(17) 사이가 연결되고, 이들 연결 파이프(23…)의 중간부는, 메인 프레임(13)의 후방부 양 측면에 각각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후륜 WR의 윗쪽은 후방 프레임(14…)에 부착되는 리어 펜더(rear fender) (24)로써 덮혀지는 것이며, 이 리어 펜더(24)의 윗쪽에는, 후방 프레임(14…)으로써 지지되는 연료 탱크(25)가 배치된다. 또한 승차용 시트인 탠덤 시트(tandem seat) (26)가 연료 탱크(25)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후방 프레임(14…) 및 양쪽 리어 포크(21…)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27…)이 각각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아울러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 F는 합성 수지(樹脂)제의 차체 커버(30)로써 덮혀져 있으며, 이 차체 커버(30)는, 메인 프레임(13)의 양 측방을 덮는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와,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에 체결되는 좌우 1쌍의 이너 실드(inner shield)(39L, 39R)와, 운전자의 다리 부분을 전방에서 덮도록 해서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및 이너 실드(39L, 39R)에 체결되는 좌우 1쌍의 레그 실드(leg shield)(32L, 32R)와, 헤드 파이프(12)를 전방측에서 덮도록 해서 양쪽 레그 실드(32L, 32R)에 연결되는 프론트 톱 커버(33)와, 헤드 파이프(12)를 후방측에서 덮는 동시에 메인 프레임(13)을 윗쪽 측에서 덮도록 해서 프론트 톱 커버(33)에 연결되는 상부 커버(34)와,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버(37)와, 차체 프레임 F의 후방부를 연료 탱크(25)의 대부분과 함께 양 측방에서 덮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로서 구성된다.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는, 차체 프레임 F에 지지되는 것이며, 차체 프레임 F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13)에는,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가, 도 5에서 나타내는 지지 구조로써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메인 프레임(13)의 양 측면에는,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40, 40)이 고착(固着)되어 있으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에는, 브래킷(40, 40)에 대향하는 지지판부 (41, 41)가 일체로 설치된다.
브래킷(40, 40) 및 지지판부(41, 41) 사이에 탄성 부재(42, 42)가 장치되고, 양쪽 탄성 부재(42, 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브래킷(40, 40)에는 웰드 너트(weld nut)(43, 43)가 고착된다. 양쪽 탄성 부재(42, 42)는, 지지판부(41, 41)에 브래킷(40, 40)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맞닿는 턱부(42a, 42a)를 갖는 것으로, 그 턱 부(42a, 42a)을 지지판부(41, 41)와의 사이에 끼우는 턱부(44a, 44a)를 구비하는 금속제 원통 형상의 칼라(collar)(44, 44)가, 탄성 부재(42, 42)에 삽입된다. 그러나 칼라(44, 44) 및 지지판부(41, 41)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45, 45)를 상기 웰드 너트(43, 43)에 나사로 맞물려 체결함으로써,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가 브래킷(40, 40)을 통해서 차체 프레임 F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6∼도 8에 있어서,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은, 그 적어도 일부(이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 걸치는 부분)가, 예를 들면, 우측(右側)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를 좌측(左側)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 후방으로부터 중첩하도록 해서,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서 중합된다.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있어서, 좌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의 상부에는 자동 2륜차의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구형(矩形)의 걸림 구멍(46)이 설치되고,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는 상기 걸림 구멍(46)에 걸리는 걸림 돌기(47)가 돌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가 좌우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는 자동 2륜차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는 구형의 걸림 구멍(48)이 설치되고, 좌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는 상기 걸림 구멍(48)에 걸리는 걸림 돌기(49)가 돌출 설치된다.
즉,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은, 그것들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걸어 맞 추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부 커버(34)는, 전방 상부 커버(35) 및 후방 상부 커버(36)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해서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상부 커버(34)의 전방부, 즉 전방 상부 커버(35)의 전방부가 체결된다.
게다가 상부 커버(34)에 있어서의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은, 그 상부 커버(35)의 성형 후에 아무런 도장도 시행하지 않은 표피층인 채로의 비도장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상처나 더러움을 눈에 뜨이지 않게 하기 위한 미세한 요철(凹凸)로서 이루어지는 잔주름 무늬(86)(도 1∼도 3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냄)를, 성형 공정으로 붙이도록 해도 좋다. 한편, 후방 상부 커버(36)의 겉 표면에는,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와의 연속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측에서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있어서의 하부에서, 좌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는, 삽입 통과 구멍(50)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삽입 통과 구멍(50) 보다도 소직경의 나사 구멍(51)을 갖는 클립 너트(clip nut)(52)가, 삽입 통과 구멍(50)에 나사 구멍(51)을 동축(同軸)으로 줄을 세워 장착된다.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는, 상기 클립 너트(52)의 일부를 좌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그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 중합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구멍(51) 보다도 대직경의 삽입 통과 구멍(53)이 나사 구멍(51)과 동축 상에서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 설치된다.
또한 전방 상부 커버(35)의 전방부에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53)에 대응한 삽입 통과 구멍(54)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는 전방 상부 커버(35)의 전방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53, 54)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 부재(55)를 나사 구멍(51)에 나사로 맞추어서 체결함으로써,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체결된다.
게다가 나사 부재(55)는, 나사 구멍(51)에 나사로 맞추는 나사 축부(55a)와,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 및 전방 상부 커버(35)의 중합부의 두께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나사 축부(55a) 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서 삽입 통과 구멍(53, 54)에 삽입 통과되는 대직경 축부(55b)와, 전방 상부 커버(35)의 외면(外面)에 걸리는 확경(擴徑) 두부(頭部)(55c)를 일체로, 또한 동축으로 갖는 것이며,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 및 전방 상부 커버(35)의 중합부에의 과대한 체결 하중의 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자동 2륜차의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해서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 설치된 걸림 구멍(48)에, 좌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 돌출 설치된 걸림 돌기(49)가 걸려 있으므로, 상기 나사 부재(55)를 체결할 때에, 걸림 돌기(49)가 우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 맞닿는 것으로써,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나사 부재(55)를 체결하기 쉬워진다.
전방 상부 커버(35)의 양측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해서 아래 쪽으로 돌출하는 걸림 클로(claw)(56, 56…)가 1쌍씩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에는, 그것들 걸림 클로(56, 56…)를 걸리게 하는 걸림 구멍(57, 57…)이 설치된다.
그러나 전방 상부 커버(35)는, 그 전방부를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체결하는 동시에, 그 양측을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에 걸리도록 해서, 메인 프레임(13)의 전방부측 윗쪽을 덮는 것이지만,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의 메인 프레임(13)에의 체결부의 윗쪽도, 도 5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상부 커버(35)로써 덮혀진다.
도 9를 아울러 참조하면,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 양측에는 부착판부 (58, 58)가 일체로 설치되고, 좌우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후방부로부터 상단(上端)에는, 상기 부착판부(58, 58)에 아래 쪽으로부터 대향하는 지지판부(59, 59)가 일체로 설치된다.
지지판부(59, 59)에는, 삽입 통과 구멍(60, 60)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삽입 통과 구멍(60, 60) 보다도 소직경인 나사 구멍(61, 61)을 갖는 클립 너트(62, 62)가, 삽입 통과 구멍(60, 60)에 나사 구멍(61, 61)을 동축으로 줄을 세워서 장착된다.
부착판부(58, 58)는, 상기 클립 너트(62, 62)의 일부를 지지판부(59, 59)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구멍(61, 61) 보다도 대직경인 삽 입 통과 구멍(63, 63)이 나사 구멍(61, 62)과 동축 상에서 부착판부(58, 58)에 설치된다.
상기 삽입 통과 구멍(63, 63)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 부재(64, 64)를 나사 구멍(61, 61)에 나사로 맞추어서 체결함으로써,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 양측이 좌우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 체결된다.
게다가 나사 부재(64)는, 나사 구멍(61)에 나사로 맞추는 나사 축부(64a)와, 부착판부(58)의 두께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나사 축부(64a) 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서 삽입 통과 구멍(63)에 삽입 통과되는 대직경 축부(64b)와, 부착판부 (58)의 외면에 걸어 맞추는 확경 두부(64c)를 일체로, 또한 동축으로 갖는 것이며, 부착판부(58)에 과대한 체결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0을 아울러 참조하면,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방부는,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의 체결 개소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단(前端)에는,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1쌍의 걸림 돌기(68, 68)가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부착판부(58, 58) 보다도 윗쪽에서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단(後端)에는, 상기 양(兩) 걸림 돌기(68, 68)를 후방측으로부터 꽂아서 걸리게 하기 위한 1쌍의 걸림 구멍(67, 67)이 설치된다.
즉,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방부가,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의 체결 개소를 덮어서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에 걸어 맞추어진다.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방부로부터 양측에는, 아래 쪽으로 돌출하는 걸림 클로(69, 69)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후단 상부에는, 그것들 걸림 클로(69, 69)를 걸리게 하는 걸림 구멍(70, 70)이 설치된다. 또한 후방 상부 커버(36)의 후방부로부터 양측에는, 아래 쪽으로 돌출하는 걸림 클로(71, 71)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로부터 상단에는, 그것들의 걸림 클로(71, 71)를 걸리게 하는 걸림 구멍(72, 72)이 설치된다.
즉, 후방 상부 커버(36)는, 그 전방부를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그 양측을 좌우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 및 좌우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상부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된다.
후방 상부 커버(36)에 의해 윗쪽에서 덮혀지는 부분에, 차체 프레임 F 상에는 점화 유닛(8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점화 유닛(88)은, 차체 프레임 F 상에 부착되는 레귤레이터(regulator)(89)와, 그 레귤레이터(89)가 구비하는 스테이에 지지되는 점화 코일(90) 및 점화 제어 유닛(91)으로서 구성된다.
좌우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는, 상하 방향에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 F의 후방부의 측면을 따르도록 후방 상승부에 약간 경사되며, 게다가 후방을 향해서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1에 있어서,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후 방향 중간부의 상단에는, 전방 부착부(73, 73)가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차체 프레임 F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14…)의 외면에는, 전방 부착부(73…)에 대응한 스테이(74…)가 고착되어 있으며, 그 스테이(74…)의 내면측에는, 스테이(74…)를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너트(75…)의 일단의 턱부(75a)가 고착된다. 너트(75…)는, 스테이(74…) 및 전방 부착부(73…) 사이에 개재(介在)하도록 해서 전방 부착부(73…)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93…)를 관통하는 것이며, 탄성 부재(93…)의 일부를 전방 부착부 (73…)와의 사이에 끼우는 와셔(washer)(94…)에 삽입 통과되는 볼트(76…)를 너트(75…)에 나사로 맞추어서 체결함으로써,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후 방향 중간부가 차체 프레임 F의 후방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12에 있어서,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후방부 상단에는 후방 부착부(77, 77)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것들 후방 부착부(77, 77)는, 후방 프레임 (14, 14)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테일 프레임(22)에, 1쌍씩의 볼트(78, 78…)에 의해 그래브 레일(grab rail)(79)과 함께 같이 체결된다.
탠덤 시트(26)는,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상부에 배열 설치되는 것이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 상단에 힌지(hinge)(80)(도 4 참조)를 통해서 기복(起伏)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을 아울러 참조하면,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의 적어도 일부, 이 실시예에서는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 하단부가, 탠덤 시트(26)의 전방부 아래 쪽에서 중합된다.
즉, 우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R)의 전방 하단부가 좌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의 전방 하단에 전방측으로부터 중합되어 있으며, 그 중합부에서, 우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R)에는, 삽입 통과 구멍(80)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삽입 통과 구멍(80) 보다도 소직경인 나사 구멍(81)을 갖는 클립 너트(82)가, 삽입 통과 구멍(80)에 나사 구멍(81)을 동축으로 줄을 세워서 장착된다.
좌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는, 상기 클립 너트(82)의 일부를 우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R)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그 후방 사이드 커버(38R)에 중합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구멍(81) 보다도 대직경인 삽입 통과 구멍(83)이 나사 구멍(81)과 동축 상에서 좌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에 설치된다.
또한 후방 상부 커버(36)의 후방부는, 상기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중합부를 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방 상부 커버(36)의 후방부에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83)에 대응한 삽입 통과 구멍(84)이 설치된다. 그러나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중합부를 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는 후방 상부 커버(36)의 후방부가, 상기 삽입 통과 구멍(83, 84)에 삽입 통과되는 나사 부재(85)를 나사 구멍(81)에 나사로 맞추어서 체결함으로써,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 (38L, 38R)의 중합부에 체결된다.
게다가 나사 부재(85)는, 나사 구멍(81)에 나사로 맞추어지는 나사 축부 (85a)와, 좌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및 후방 상부 커버(36)의 중합부의 두께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동시에 나사 축부(85a) 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서 삽입 통과 구멍(83, 84)에 삽입 통과되는 대직경 축부(85b)와, 후방 상부 커버(36)의 외면에 걸리는 확경 두부(85c)를 일체로, 또한 동축으로 갖는 것이며, 좌측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및 후방 상부 커버(36)의 중합부에의 과대한 체결 하중의 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겉 표면은, 비도장 영역 Zl, Z2와, 도장 영역 Z3으로 구분된다.
즉,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 중, 탠덤 시트(26)의 전반부의 아래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1의 비도장 영역 Zl로 설정되고, 또한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 (38L, 38R)의 전방부의 하단 부분으로서 풋 스텝(18) 보다도 윗쪽 부분이 제2의 비도장 영역 Z2로 설정된다. 이것들 비도장 영역 Zl, Z2는,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성형 후에 아무런 도장도 실시하지 않는 표피층인 채로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처나 더러움을 눈에 뜨이지 않게 하기 위한 미세한 요철로서 이루어지는 잔주름 무늬(86)(도 1∼도 3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냄)를, 성형 공정에서 붙이도록 해도 좋다.
한편, 제1 및 제2의 비도장 영역 Zl, Z2를 제외하는 영역인 도장 영역 Z3은,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겉 표면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 도장 영역 Z3의 전방부의 윗쪽 및 아래 쪽에, 도장 영역 Z3을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비도장 영역 Zl, Z2가 나타난다.
그러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겉 표면을, 비도장 영역 Zl, Z2와, 도장 영역 Z3으로 구분하는 것에서는, 성형 소재에 착색재를 이용해서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성형체를 형성한 후에, 비도장 영역 Zl, Z2에 대응한 부분에 마스킹을 실시한 상태에서, 잔여 부분, 즉 도장 영역 Z3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당히 주체색의 도료를 도장하고, 그 다음에 마스킹을 제거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잔주 름 무늬(86)를 갖는 표피층인 채로의 비도장 영역 Zl, Z2가 나타난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차체를 덮는 차체 커버(30) 중, 메인 프레임(13)의 양 측방을 덮어서 차체 프레임 F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의 적어도 일부(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상단 전부)가,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서 중합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 (13)의 윗쪽을 덮는 상부 커버(34)의 전방부가,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 (31L, 31R)의 상기 중합부에 체결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상부 커버(34)의 적어도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 F측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테이는 불필요하여, 차체 프레임 F에 설치되어야 할 스테이의 개수를 적게 해서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헤드 파이프(12) 근방에 배선되는 스로틀 케이블(throttle cable)(95)이나 카뷰레터(carburetor)용 초크 케이블(96)(도 4 참조) 등의 케이블의 배치의 자유도를 좁히는 스테이를 없애서 케이블 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 및 상부 커버(34)의 전방부를 양호하게 맞추어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은, 그것들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상부 커버(34)의 전방부를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체결할 때에,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서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 및 상부 커버(34)의 전방부의 체결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의 메인 프레임(13)에의 체결부의 위쪽은, 상부 커버(34)로 덮혀져 있으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의 메인 프레임(13)에의 체결부를 상부 커버(34)로써 은폐하도록 해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탠덤 시트(26)의 아래 쪽에서 차체 프레임 F의 후방부 양측을 덮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가 차체 프레임 F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것들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의 적어도 일부(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의 하단)는, 탠덤 시트(26)의 전방부 아래 쪽에서 중합되어, 상부 커버(34)의 후방부가,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상기 중합부에 체결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상부 커버(34)의 후방부를 차체 프레임 F측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테이를 차체 프레임 F에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부품 점수를 더한층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부 커버(34)의 후방부 및 차체 프레임 F 사이에 전장품 등의 부품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34)는, 전방 상부 커버(35) 및 후방 상부 커버(36)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해서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가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34)의 전후 방향 중앙 부근을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점화 유닛(88) 등의 정비 시에 상부 커버(34) 전체를 떼어내는 것이 불필요하고, 후방 상부 커버(36)만의 떼어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방부가,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의 체결 개소를 덮어서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이므로,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의 체결 개소를 후방 상부 커버(36)로 덮음으로써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방 상부 커버(36)의 탈착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정비 작업을 더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겉 표면은, 도장 영역 Z3과, 제1 및 제2 비도장 영역 Zl, Z2로 구분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를 복수의 커버 부품으로 구성하지 않더라도,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일부를 비도장 커버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해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의장적으로 우수한 색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처나 더러움이 눈에 뜨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장 영역 Z3 및 비도장 영역 Zl, Z2의 구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비도장 영역 Zl은,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에 있어서 탠덤 시트(26)의 전반부의 아래 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으로 해서 설정되며, 또한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의 하단 부분으로서 풋 스텝(18) 보다도 윗쪽부분이 제2의 비도장 영역 Z2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것들 비도장 영역 Zl, Z2에는 잔주름 무늬(86)가 붙혀져 있다.
즉,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에 있어서, 승강(乘降) 시에 운전자의 발이 닿기 쉬운 부분에 제1 및 제2의 비도장 영역 Zl, Z2가 배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발이 제1 및 제2의 비도장 영역 Zl, Z2에 닿아서, 그것들 비도장 영역 Zl, Z2에 상처를 입히거나, 더럽히거나 하는 일이 있어도,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색이 변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처나 더러움을 눈에 뜨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탠덤 시트(26)에의 승강 시에는, 운전자의 발이 상부 커버(34)에 있어서의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에 닿기 쉽지만,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은, 잔주름 무늬(86)가 붙혀진 비도장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에 발이 닿아서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을 상처를 입히거나, 더럽히거나 하는 일이 있어도, 전방 상부 커버(35)의 색이 변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처나 더러움을 눈에 뜨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상부 커버(35)의 겉 표면의 상처나 더러움이 눈에 띄게 되었을 때에는, 전방 상부 커버(35)를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전방 상부 커버(35)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에 2개소의 비도장 영역 Zl, Z2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3개소 이상의 복수의 비도장 영역이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방 사이 드 커버(38L, 38R)가 합성 수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금속판 등의 다른 재료로 후방 사이드 커버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9)

  1. 헤드 파이프(12)로부터 뒤쪽으로 내려가면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3)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F)에,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엔진 유닛(E)이 현가(懸架)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양 측방(側方)이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로써 덮혀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위쪽이 상부 커버(34)로써 덮히고 상기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上端)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서 중합되어,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부에 상기 상부 커버(34)의 전방부가 체결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
    그것들의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기 중합부를 체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체결 부재 삽입 통과구멍(50)의 위쪽에 있어서, 한쪽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 걸림 돌기(49)가 설치되고, 다른쪽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는 자동 2륜차의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해서 걸림 구멍(48)이 설치되며, 그 걸림 구멍(48)에 상기 걸림 돌기(49)가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승차용 시트(26)의 아래 쪽에서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 양측을 덮어서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승차용 시트(26)의 전방부 아래 쪽에서 중합되고, 상기 상부 커버(34)의 후방부가,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중합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34)는, 전방 상부 커버(35) 및 후방 상부 커버(36)가 연결 해제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지고,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가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상부 커버(36)의 전방부가,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의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에의 체결 개소를 덮어서 전방 상부 커버(35)의 후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전방부 상단이, 그것들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 이러한 걸림 맞춤을 얻기 위해 상기 걸림 구멍(48) 및 걸림 돌기(49) 보다도 위쪽에 있어서, 한쪽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에는 자동 2륜차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별도의 걸림 구멍(46)이 설치되고, 다른쪽의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R)에는 상기 별도의 걸림 구멍(46)에 걸어 맞추어지는 별도의 걸림 돌기(4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메인 프레임 사이드 커버(31L, 31R)의 상부의 상기 메인 프레임(13)에의 체결부의 윗쪽이 상기 상부 커버(34)로써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승차용 시트(26)의 아래 쪽에서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 양측을 덮어서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되는 좌우 1쌍의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겉 표면이, 도장 영역(Z3) 및 비도장 영역(Zl, Z2)으로 각각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 중, 상기 승차용 시트(26)의 전반부의 아래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비도장 영역(Zl)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후방 사이드 커버(38L, 38R)의 전방부의 하단 부분이 비도장 영역(Z2)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륜차에 있어서의 차체 커버 구조.
KR1020037008943A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66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1323 2001-01-09
JP2001001323 2001-01-09
PCT/JP2001/006300 WO2002055370A1 (fr) 2001-01-09 2001-07-19 Structure couvercle de carrosserie d'une mo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794A KR20030066794A (ko) 2003-08-09
KR100566671B1 true KR100566671B1 (ko) 2006-03-31

Family

ID=1886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9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6671B1 (ko) 2001-01-09 2001-07-19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3535507B2 (ko)
KR (1) KR100566671B1 (ko)
CN (1) CN1239346C (ko)
AR (1) AR033853A1 (ko)
BR (1) BR0116733B1 (ko)
GR (1) GR1004682B (ko)
TW (1) TW565517B (ko)
WO (1) WO2002055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341B2 (ja) * 2004-08-30 2008-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カバー構造
CN101633376B (zh) * 2008-07-24 2011-06-08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覆盖件的连接结构以及前体覆盖件组合
JP5593131B2 (ja) * 2010-06-11 2014-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2167109A (zh) * 2011-04-11 2011-08-31 重庆南方摩托车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摩托车左右侧盖与挡风板的安装结构
JP2013136305A (ja) * 2011-12-28 2013-07-11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2013203083A (ja) * 2012-03-27 2013-10-0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CN104210587A (zh) * 2013-05-31 2014-12-17 上海黄燕模塑工程有限公司 车身盖板及其自行车
JP6656425B2 (ja) * 2016-05-30 2020-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ステップ周辺のカバー構造
KR20220149655A (ko) * 2019-12-27 2022-11-08 에디슨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모터사이클의 바디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체
JP2025012036A (ja) * 2023-07-12 2025-01-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における車体カバーの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96Y2 (ja) * 1987-10-19 1996-02-07 スズキ株式会社 オートバイの車体後部構造
JPH06156350A (ja) * 1992-11-20 1994-06-03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の燃料タンク
JP3751072B2 (ja) * 1996-05-15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リヤカバー取付構造
JP3451388B2 (ja) * 1996-07-05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JP3656390B2 (ja) * 1998-02-27 2005-06-08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カバー装置
JPH11310171A (ja) * 1998-04-27 1999-11-09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のスタンディングハンドル配設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16733B1 (pt) 2010-12-14
KR20030066794A (ko) 2003-08-09
TW565517B (en) 2003-12-11
BR0116733A (pt) 2004-12-21
AR033853A1 (es) 2004-01-07
CN1239346C (zh) 2006-02-01
CN1486261A (zh) 2004-03-31
GR20010100595A (el) 2003-09-09
JP3535507B2 (ja) 2004-06-07
WO2002055370A1 (fr) 2002-07-18
JPWO2002055370A1 (ja) 2004-05-13
GR1004682B (el) 2004-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671B1 (ko) 자동 2륜차용 차체 커버 구조
US7438350B1 (en) Vehicles having fastener extending into apertures of respective body panels and methods
US10279853B2 (en) Method for replacing a roll cage of an off-road vehicle
US7530629B2 (en) Panel assemblies, veh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7441818B2 (en) Removable vehicle seat cowl
IL128805A (en) Exhaust device for vehicles
KR19980064007A (ko)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US7510236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fender assembly
US7523981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seat with compression surface
US7597387B2 (en) All terrain vehicles and fender assemblies therefor
WO2003042026A1 (en) Atv with improved driver positioning and single or multiple passenger capacity
US7537271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swivel clip and methods
AU2010202017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fender assembly
US7591503B2 (en) All terrain vehicle having layered body panel configuration
US7527323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midpoint fastener and methods
US7527322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stay assembly
CN1111483C (zh) 二轮摩托车的座安装结构
US10899412B2 (en) Two wheeled vehicle
JP5593123B2 (ja) 鞍乗り型車両
JPH0649435B2 (ja) リヤバンパ−構造
DE102019214193A1 (de) Sattelfahrt-fahrzeug
JPH0139670Y2 (ko)
JP7212799B2 (ja) 2輪車両用のフットレストアセンブリ
JP2844212B2 (ja) 鞍乗型車両のフートレスト装置
JPH0627500Y2 (ja) フエンダ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