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6107B1 -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107B1
KR100566107B1 KR1020030022078A KR20030022078A KR100566107B1 KR 100566107 B1 KR100566107 B1 KR 100566107B1 KR 1020030022078 A KR1020030022078 A KR 1020030022078A KR 20030022078 A KR20030022078 A KR 20030022078A KR 100566107 B1 KR100566107 B1 KR 10056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fatty
cooking oil
oil
fatty acids
waste c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625A (ko
Inventor
이진석
김덕근
박순철
이준표
김성현
이근후
이관영
김학주
강보승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2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1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1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식용유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heterogeneous solid acid catalyst)를 이용하여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중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은 폐식용중의 유리지방산 제거에 있어서,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하에서 알콜과 유리지방산을 함유한 폐식용유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Removal method of free fatty acid in wasted edible oil}
본 발명은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균질계 무기 고체산 촉매(heterogeneous inorganic solid acid catalyst)를 이용하여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디젤엔진을 포함하는 산업기계들이 증가하고, 차량이 생활의 필수품이 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차량 생산의 증가에 따라 이들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디젤유에 대한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디젤유는 원유로부터 얻어지는 여러 가지 연료 중에서 연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며, 이산화탄소(CO2) 저감 측면에 대해 장점을 가지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 원유로부터 얻어지는 다른 연료에 비해 연소 후 대기오염 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젤유와 물성이 유사하며, 경제적인 비용 측면에서도 우수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연료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디젤유와 물성이 비슷하면서도 대기오염 발생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고, 나아가 CO2 저감 효과가 큰 자연 순환형 에너지인 바이오디젤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디젤유는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과 같은 유지 또는 재생가능한 폐식용유를 산 촉매 또는 알카리 촉매 존재 하에서 알콜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에스테르화 기름이다.
바이오디젤유는 차량의 연료에 사용하는 경유와 물성이 유사하여, 경유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경유를 대체하여 디젤엔진에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의 생산공정은 순수한 식용유와 같은 식물성 유지를 바이오디젤유의 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순수한 식용유는 바이오디젤유의 원료로서 좋지만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시 순수한 식용유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즉, 바이오디젤유은 위와 같은 장점에 비해 생산단가가 기존의 경유 보다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유의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순수한 식용유 보다 비용이 훨씬 저렴한 폐식용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바이오디젤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유의 원료 물질에 수분과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많으면 바이오디젤유 생산에 알칼리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촉매가 쉽게 비활성화될 수 있고,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유리지방산과 알칼리 촉매가 결합하여 생 성된 금속염에 의해 가수분해 반응이 더욱 촉진되게 된다. 또한, 바이오디젤유를 포함한 생성물에 금속염이 많이 생성되면 바이오디젤유로부터 이의 분리, 정제가 어려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바이오디젤유의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시 폐식용유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낮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미국 특허 제 4,363,590호, 제 4,608,202호 등에 대두유, 평지유, 옥수수유, 우지 등을 원료로 하여 바이오디젤유를 생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특허들은 바이오다젤유의 원료가 폐식용유가 아니라, 순수한 유지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에 대한 내용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999-0016815호(폐식용유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 제조방법)는 유리지방산의 제거에 관한 내용은 없고, 단지 균일계 염기 촉매를 사용하여 1단계의 반응으로 폐식용유에서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에 대한 내용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40693호(폐유 재생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촉매에 대한 내용은 없이 흡착제를 이용하여 폐유로부터 유리지방산의 물리적인 제거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유리지방산 제거 후 흡착제의 분리공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결국, 본원발명과 같이 불균질계 고체산 촉매를 사용하여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기술은 아직 실제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폐식용유중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반응식(1)과 같이 산촉매하에서 유리지방산과 알콜을 반응시켜 에스테르 물질과 수분을 생성하는 반응의 에스테르화법을 이용하여 폐식용유중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RCOOH + R`OH → RCOOR` + H2O.....(1)
유리지방산 + 알콜 → 에스테르 + 수분
상기 식(1)에서 R은 탄소수가 C12∼C24인 알킬기이고, R'은 탄소수가 1∼4인 알킬기이다.
한편 식(1)에서 유리지방산과 알콜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스테르 물질은 바이오디젤유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은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하에서 알콜과 유리지방산을 함유하는 폐식용유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촉매는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염기성 촉매 존재하에서 유리지방산의 제거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산촉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중에 생성물이 생긴 후 생성물로부터 촉매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의 일예로서 SO4 2-/ZrO2,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인 Amberyst-15(Rohm&Haas Inc, USA), H3PW12O40, H4PMo12O40, H4SiW12O40, H4GeW12O40와 같은 헤테로폴리산(Heteropolyacid, HPA), HPA에서 수소 대신 세슘(Cs)이 일부 치환된 Cs-HPA(Cs2.5H0.5PW12O40), Cs-HPA(Cs2.5H0.5PW12O40)에서 Cs의 일부분이 니켈(N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프란슘(Fr)과 같은 1A족으로 치환된 치환염(Cs1∼2.4A0.1∼1.5H0.5PW12O40, A는 1A족 원소), SO4 2-/SiO2, 제올라이트(Zeoli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HPA에서 세슘이 일부 치환된 Cs-HPA(Cs2.5H0.5PW12O40 )은 0.08M Cs2CO3(Sigma Aldrich) 수용액과 0.1M H3PW12O40 (일본무기화학공업주식회사) 수용액을 5:4의 몰비로 1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발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는 폐식용유 중량에 대하여 5∼20% 사용할 수 있다.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폐식용유 중량에 대해 5% 미만 사용하면 알콜과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의 반응속도를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20% 초과 사용하면 촉매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으므로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는 폐식용유 중량에 대하여 5∼2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리지방산을 함유하는 폐식용유와 알콜은 1:3~1:9의 몰비로 반응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폐식용유와 알콜은 1:3~1:9의 몰비로 하여 60∼80℃에서 0.5∼12시간 동안 100∼600rpm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킨다.
본 발명에서 반응물인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균일한 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반응온도, 반응시간, 유지와 알콜의 반응몰비로 알콜과 유리지방산을 함유하는 폐식용유를 반응시켜 에스테르를 제조한바 페식용유와 알콜의 반응몰비가 1:3~1:9이고, 60~80℃에서 0.5~12시간 동안 100∼600rpm으로 반응시 에스테르의 수율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폐식용유와 알콜은 1:3∼1:9의 몰비로 60∼80℃에서 0.5∼12시간 동안 100∼600rpm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폐식용유와 알콜의 에스테르화 반응이 종료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생성물 중에 함유된 수분은 증발을 통해서 제거한다. 생성물중에서 수분을 제거하면 에스테르와 폐식용유의 주성분인 트리글리세세리드가 남는데 이를 정치법, 원심분리와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하여 에스테르를 분리한다. 에스테르를 분리한 폐식용유는 유리지방산이 함량이 현격히 낮아지게 되어 이를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를 분리한 후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의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유리지방산의 감소여부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산가는 적정법으로 에스테르를 분리한 폐식용유 속에 남아있는 유리지방산을 측정함으로써 산가를 평가한다. 생성물 10g의 시료를 취하여 벤젠 25ml와 에탄올 25ml의 혼합용액과 섞은 다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한방울을 넣고 0.1N 수산화칼륨(KOH)으로 적정하여, 소요된 KOH양으로부터 산가를 계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유리지방산을 제거한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폐식용유로서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입수처:제일제당) 50g, 메탄올 2.2g 및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로서 SO4 2-/ZrO2를 2.5∼10g 첨가하고 75℃에서 2시간 동안 300rpm의 교반속도로 다음 반응식(1)과 같이 반응시켰다.
RCOOH + R`OH → RCOOR` + H2O.....(1)
유리지방산 + 알콜 → 에스테르 + 수분
상기 식(1)에서 R은 탄소수가 C12∼C24인 알킬기이고, R'은 탄소수가 1∼4인 알킬기이다.
반응종료 후 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와 에스테르를 차례로 분리하였다. 에스테르를 분리한 생성물 10g 시료를 벤젠 25ml와 에탄올 25ml의 혼합용액과 섞은 다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한방울을 넣고 0.1N KOH로 적정하여, 소요된 KOH양으로부터 산가가 계산하였다.
한편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를 알콜과 반응시키기 전에 위와 같은 조건으로 미리 산가를 측정하였다.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의 상기 반응식(1)과 같은 반응 전후의 산가에 대해 하기의 식 (2)와 같이 유리지방산의 제거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유리지방산 제거율(%) = ((A-B)/A×100)......(2)
상기 식(2)에서 A는 4% 유리지방산을 함유하는 대두유의 산가이고, B는 반응 후 대두유의 산가이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한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는 Zr(OH)4을 0.5M 황산에 5cc/g으로 담지하고, 1시간 동안 침전시킨 다음 여과한 후 150℃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고, 550℃ Air 분위기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 1. 촉매 사용량에 따른 유리지방산의 제거율
촉매 사용량 유리지방산 제거율(%)*
2.5g 47
5g 81
10g 93
<실시예 2>
폐식용유로서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입수처:제일제당) 50g, 메탄올 2.2g 및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로서 Amberyst-15(Rohm&Haas Inc, USA)를 5∼10g 첨가하고 75℃에서 2시간 동안 300rpm의 교반속도로 실시예 1의 반응식(1)과 같이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를 회수하고, 에스테르를 분리하였다. 에스테르를 분리한 생성물 10g 시료를 벤젠 25ml와 에탄올 25ml의 혼합용액과 섞은 다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한방울을 넣고 0.1N KOH로 적정하여, 소요된 KOH양으로부터 산가가 계산하였다.
한편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를 알콜과 반응시키기 전에 위와 같은 조건으로 미리 산가를 측정하였다. 4%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유의 상기 반응식(1)과 같은 반응 전후의 산가에 대해 실시예 1의 식 (2)와 같이 유리지방산의 제거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촉매 사용량에 따른 유리지방산의 제거율
촉매 사용량 유리지방산 제거율(%)*
5g 96
10g 98
*유리지방산제거율(%) = ((A-B)/A×100)
A: 4% 유리지방산을 함유하는 대두유의 산가
B : 반응 후 대두유의 산가
본 발명에 의해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낮아진 폐식용유는 이를 원료로 하여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시 염기 촉매의 비활성화를 감소시켜 바이오디젤의 생산수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바이오디젤유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7)

  1. 바이오디젤유의 제조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에 있어서,
    알콜과 유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 폐식용유를 SO4 2-/ZrO2, H3PW12O40, H4PMo12O40, H4SiW12O40, H4GeW12O40와 같은 헤테로폴리산(Heteropolyacid, HPA), HPA에서 수소 대신 세슘(Cs)이 일부 치환된 Cs-HPA(Cs2.5H0.5PW12O40), Cs-HPA(Cs2.5H0.5PW12O40)에서 Cs의 일부분이 니켈(N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프란슘(Fr)과 같은 1A족으로 치환된 치환염(Cs1∼2.4A0.1∼1.5H0.5PW12O40, A는 1A족 원소), SO4 2-/SiO2, 제올라이트(Zeoli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의 불균질계 무기 고체산 촉매하에서 60∼80℃, 0.5∼12시간 동안 100∼600rpm으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폐식용유와 알콜은 1:3~1:9의 몰비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불균질계 무기 고체 산촉매는 폐식용유 중량에 대하여 5∼20%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30022078A 2003-04-08 2003-04-08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6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78A KR100566107B1 (ko) 2003-04-08 2003-04-08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78A KR100566107B1 (ko) 2003-04-08 2003-04-08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625A KR20040087625A (ko) 2004-10-14
KR100566107B1 true KR100566107B1 (ko) 2006-03-30

Family

ID=3736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78A Expired - Lifetime KR100566107B1 (ko) 2003-04-08 2003-04-08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1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326B1 (ko) 2010-12-22 2013-01-10 한국화학연구원 산-염기 복합 촉매계를 이용하여 고산가 바이오 오일로부터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방법
KR20230174011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오에스 상압조건에서 저급알코올을 활용한 음폐유 에스테르화 장치
KR20230174004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오에스 상압조건에서 저급알코올을 활용한 음폐유 에스테르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27B1 (ko) * 2006-01-13 2007-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 촉매를 이용한 오일 중의 유리지방산의제거방법
JP5232139B2 (ja) 2006-04-28 2013-07-10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脂肪酸を利用した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798604B1 (ko) * 2006-09-18 2008-01-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균일 고체촉매를 이용한 유지 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KR100831072B1 (ko) * 2006-09-18 2008-05-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균일계 촉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정제방법
CA2712490A1 (en) * 2008-01-18 2009-07-23 Greenlight Biofuels Holdings, Llc Process and system for preparation of bio-fuels
EP2257518B1 (en) 2008-04-01 2016-03-09 SK Chemicals Co., Ltd. Method for preparing fatty acid alkyl ester using fatty acid
KR101554607B1 (ko) 2008-11-07 2015-09-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지방산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327852B1 (ko) 2013-07-22 2021-11-18 에스케이에코프라임 주식회사 지방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6770554B2 (ja) * 2018-07-23 2020-10-14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バイオ燃料の製造方法
CN114452988B (zh) * 2021-12-31 2024-06-11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负载型杂多酸纳米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芳基硬脂酸甲酯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326B1 (ko) 2010-12-22 2013-01-10 한국화학연구원 산-염기 복합 촉매계를 이용하여 고산가 바이오 오일로부터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방법
KR20230174011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오에스 상압조건에서 저급알코올을 활용한 음폐유 에스테르화 장치
KR20230174004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오에스 상압조건에서 저급알코올을 활용한 음폐유 에스테르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625A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41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osition of fatty acid esters useful as gas oil substitute motor fuel with hydrated ethyl alcohol and the resultant esters composition
KR100566107B1 (ko) 폐식용유중의 유리지방산 제거방법
de Lima et al. Heterogeneous basic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RU242846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топлива
CA2634819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odiesel
AU2003290414B2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fatty acid alkylesters using as biodiesel
EP2113019B1 (en) Use of fuels or fuel additives based on triglycerides of modified structure
RU2414299C2 (ru) Катализатор переэтерификации и споc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US774150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lcohol esters from triglycerides and alcohols using heterogeneous catalysts based on phosphate or an organophosphorous compound of a group 4 metal
US2007000459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ubricants
EP2049461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CZ285119B6 (cs) Zdokonalený postup výroby esterů z tuků přírodního původu
ZA200706614B (en) Liquid bio-fuel mix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aid mixture
WO2006081644A2 (en) Catalytic process for the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CN101139328B (zh) 环氧脂肪酸甲酯合成工艺
Yatish et al. Sodium phosphate synthesis through glycerol purification and its utiliza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dairy scum oil to economize production cost
BRPI1005904A2 (pt) processo de produÇço de Ésteres alquÍlicos a partir de àleo vegetal ou animal e de um monoÁlcool, alifÁtico com purificaÇço a quente em camada fixa
KR101068112B1 (ko) 텅스텐 옥사이드 알루미나 촉매의 제조 방법, 텅스텐 옥사이드 알루미나 촉매 및 이 촉매를 이용한 유리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는 폐식용유로부터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방법
KR102499622B1 (ko) 바이오디젤 제조용 고체 산 촉매, 바이오디젤 제조용 고체 염기 촉매,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 방법
WO2015069129A1 (en) Process and catalyst for obtaining fatty acid methyl esters
KR100782126B1 (ko) 오일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기 위한 텅스텐옥사이드 지르코니아 촉매 및 이의 용도
Cabrera-Munguia et al. Tailoring the Suitable Solid Catalyst for Biodiesel Production Using Second-Generation Feedstocks
KR101402473B1 (ko) 고순도 메틸에스테르의 정제 방법
Abbasov et al. Amine-containing complexes as catalysts for receiving alkyl esters of triglycerides, vegetable oils and their fatty acids
JP2010180379A (ja) 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ーゼル燃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00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