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3471B1 -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471B1
KR100563471B1 KR1020030079223A KR20030079223A KR100563471B1 KR 100563471 B1 KR100563471 B1 KR 100563471B1 KR 1020030079223 A KR1020030079223 A KR 1020030079223A KR 20030079223 A KR20030079223 A KR 20030079223A KR 100563471 B1 KR100563471 B1 KR 10056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holder
holder assembly
terminal
lamp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237A (ko
Inventor
빈옥인
정운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4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4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3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공(32)이 형성된 램프하우징(30)과, 상기 통공(32)과 대응되는 통공(41')이 형성되고 이 통공(41')의 내주면에 걸림턱(46)이 형성되며 단자(45)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브라켓(40)과, 선단에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와 상기 단자(4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63)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46)과 결합되는 걸림돌기(62,72)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32,41')들을 관통하여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가 견고하게 되고 부품수가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램프홀더어셈블리, 단자브라켓, 장착

Description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A lamp holder assembly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가 램프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브라켓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램프홀더어셈블리를 램프하우징의 통공에 삽입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램프홀더어셈블리가 램프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램프하우징 32: 통공
40: 단자브라켓 41: 링형몸체
41': 통공 43: 체결리브
45: 단자 48: 장착가이드
50: 램프홀더어셈블리 60: 램프홀더
61: 원통몸체 62: 걸림돌기
63: 단자 67: 플랜지
68: 손잡이 69: 걸림턱
70: 프론트어댑터 71: 단자리브
72: 걸림돌기
본 발명은 램프홀더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홀더어셈블리를 램프하우징에 장착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램프홀더어셈블리는 빛을 발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램프를 구비한 램프홀더어셈블리가 램프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서 램프홀더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보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 램프홀더(3)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하우징(1)을 관통하여서는 통공(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의 내주면에는 결합턱(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램프삽입부(5)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선단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상기 램프삽입부(5)에는 단자(6)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6)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로 전달 하는 것으로,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으로 접촉부(6')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램프삽입부(5)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7)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8)는 상기 결합턱(2')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램프홀더(3)의 후단에는 플랜지(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는 상기 램프하우징(1)에 형성된 통공(2)의 직경보다 상기 램프홀더(3)의 외주면에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의 상기 램프홀더(3)측에는 실링부재(9)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9)는 램프홀더(3)가 램프하우징(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와 플랜지(8)의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 기능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3)의 상기 램프삽입부(5) 반대쪽에는 손잡이(1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작업자가 상기 램프홀더(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램프홀더(3)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의 일부를 둘러서 단자브라켓(12)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브라켓(12)은 상기 램프하우징(1)에 스크류로 체결된다. 상기 단자브라켓(12)에는 그 양단에 단자고정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고정부(14)에 단자(15)가 위치된다. 상기 단자(15)는 상기 단자브라켓(12)이 상기 램프하우징(1)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단자고정부(14)와 단자브라켓(12)의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15)의 접촉부(15')는 상기 통공(2)의 내주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램프홀더(3)의 단자(6)의 접촉부(6')와 접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램프홀더(3)의 램프 삽입부(5)가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7)가 램프하우징(1)의 통공(2)에 형성된 걸림턱(2')에 걸리도록 소정 각도 회전되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램프하우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랜지(8)가 실링부재(8)를 램프하우징(1)의 통공(2)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램프홀더(3)의 장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단자(6,15)의 접촉부(6',15')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단자(15)가 상기 단자브라켓(12)과 별개로 구성되어 조립라인에서 상기 램프하우징(1)에 장착된다. 따라서, 조립라인에서 관리해야 하는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단자(15)를 상기 단자고정부(14)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브라켓(12)을 램프하우징(1)에 장착하므로 장착작업이 번거롭다.
그리고, 상기 단자고정부(14)의 내부의 홈보다 상기 단자(15)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강제삽입시 상기 단자(15)나 단자고정부(14)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하우징(1)에 상기 램프홀더(3)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3)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턱(2')과 결합돌기(7)가 서로 접촉되어 상대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결합턱(2')이나 결합돌기(7)가 파손되면 램프홀더(3)가 램프하우징(1)에 제대로 장착되지 않고 심한 경우 단자(6,15)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램프하우징(1)과 램프홀더(3)를 상대적으로 단단한 고가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램프하우징(1)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부품이어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간소화한 램프홀더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내구성이 높은 램프홀더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의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브라켓과, 선단에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들을 관통하여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하우징의 통공 내주를 둘러서는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관통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통공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브라켓에는 상기 단자가 인서트몰드에 의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단자브라켓에는 상기 램프하우징에의 체결을 안내하는 장착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후단에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삽입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브라켓의 걸림턱과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걸림돌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재료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는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되고 전체 부품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자브라켓의 구성이 정면도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하우징(30)에는 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관통슬롯(3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33)은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어셈블리(50)의 삽입시 걸림돌기(62,7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램프하우징(30)은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요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로 상기 램프하우징(30)은 다수개의 통공(32)을 구비하고, 램프가 구비되는 부분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통공(32)에는 상기 관통슬롯(33)외에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45)의 접촉부(45')가 위치되는 단자홈(3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홈(34)은 상기 관통슬롯(33)의 사이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램프하우징(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브라켓(40)이나 램프홀더(6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통공(32)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램프하우징(30)의 일면에는 단자브라켓(40)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브라켓(40)을 구성하는 링형본체(4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형몸체(41)의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4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1')은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링형본체(41)의 양단에는 체결리브(4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43)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을 관통하여 상기 단자브라켓(40)을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s)가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체결된다.
상기 링형본체(41)에는 다수개의 단자(45)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단자(45)는 상기 링형본체(41)의 제작시에 금형내에 삽입되어 링형본체(41)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45)중 접촉부(4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형본체(41)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45)중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부(45c)는, 도 3a 및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45')가 구비되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노출되 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45c)에는 램프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선은 상기 램프하우징(3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램프하우징(30)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므로, 램프하우징(30)의 외부에는 전선이 어지럽게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링형본체(41)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4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6)은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60)와 프론트어댑터(70)의 걸림돌기(62,72)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회전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즉, 상기 걸림턱(46)에는 소정의 경사지게 가이드면(46g)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46g)의 끝부분에는 스토퍼면(46s)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6g)의 선단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를 이루는 진입안내면(4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6)은 본 실시예에서 4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적어도 2개에는 상기 가이드면(46g)에 체결돌기(4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7)는 상기 걸림턱(46)과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62)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브라켓(40)의 일측에는 장착가이드(4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가이드(48)는 상기 단자브라켓(40)이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하우징(30)에 장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50)의 구성을 살펴본다. 램프홀더어셈블리(50)의 골격을 램프홀더(60)가 형성한다. 상기 램프홀더(6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브라켓(40)의 링형본체(41)와 같이 같이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램프홀더(60)는 그 선단에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을 관통하는 원통몸체(61)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61)의 내부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장착공간(61')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61)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62)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몸체(61)에 걸림돌기(62)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2)에는 상기 걸림턱(46)의 가이드면(46g)과 대응되는 가이드면(62g)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2)의 가이드면(62g)에는 걸림턱(46)의 체결돌기(47)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체결요홈(62')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몸체(61)의 외주면에는 단자(63)의 접촉부(63')가 노출된다. 상기 단자(63)의 접촉부(63')는 상기 램프하우징(30)에 램프홀더어셈블리(5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단자브라켓(40)에 구비되는 단자(45)의 접촉부(45')와 접촉된다. 상기 단자(45)는 상기 장착공간(61')의 내부에서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원통몸체(61)의 후단에는 원통몸체(61)의 외주면을 둘러 플랜지(67)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67)가 형성된 원통몸체(61)의 후단에는 상기 원통몸체(61)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6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68)는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를 착탈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68)는 상기 원통몸체(61)의 회전중심축을 통과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60)의 원통몸체(61) 선단에 위치되게 상기 장착공간(61')에는 프론트어댑터(7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70)는 램프홀더(60)에 장착되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진 것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어댑터(70)의 가장자리에는 단자리브(71)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리브(71)에는 걸림돌기(7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72)는 상기 원통몸체(6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단자리브(71)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어댑터(70)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삽입가이드면(7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면(75)은 램프홀더어셈블리가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에 삽입될 때, 통공(32)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공(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상기 플랜지(67)와 램프하우징(30)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램프홀더어셈블리(50)는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홀더(60)의 원통몸체(61)가 상기 램프하우징(30)의 통공(32)을 통해 상기 단자브라켓(40)이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몸체(61)는 상기 단자브라켓(40)의 링형본체(41)의 통공(41')을 관통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프론트어댑터(70)의 안내경사면(75)은 상기 통공(32,41')을 램프홀더어셈블리(50)가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의 삽입위치는 상기 걸림돌기(62,72)가 관 통슬롯(33)을 통과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램프홀더어셈블리(50)가 상기 통공(32)을 관통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62,72)와 단자브라켓(40)의 걸림턱(46)이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a에 도시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68)를 잡고, 램프홀더어셈블리(50)를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62,72)가 상기 걸림턱(46)의 진입안내면(46')을 따라 가이드면(46g)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62,72)는 상기 가이드면(46g)을 따라 상기 스토퍼면(46s)에 걸릴 때까지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46)의 체결돌기(47)가 상기 걸림돌기(62)의 체결홈(62')에 안착된다. 따라서, 걸림턱(46)과 걸림돌기(62,72)사이의 결합상태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가 램프하우징(3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면(46g)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므로,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가 상기 통공(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실링부재(90)가 상기 플랜지(67)와 램프하우징(30)의 사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램프하우징(30)과 플랜지(67)사이의 수밀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50)를 상기 램프하우징(30)에서 분리하여 낼 때에는 상기 손잡이(68)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 위에서 설명된 것과 역순으로 조작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에서는 단자브라켓에 단자가 인서트몰딩되어 일체로 구비되므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면서 취급하게 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램프홀더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부품인 램프하우징에 형성하지 않고 단자브라켓에 형성하였다. 즉 단자브라켓의 링형몸체의 내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자브라켓과 램프홀더어셈블리를 상대적으로 고가의 경질재질로 형성하고 램프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저가의 재질로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동일한 램프하우징에 단자브라켓만 교체하면 다양한 종류의 램프홀더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어 램프하우징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통공이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의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단자브라켓과,
    선단에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램프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들을 관통하여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램프홀더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통공 내주를 둘러서는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관통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램프하우징의 통공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브라켓에는 상기 단자가 인서트몰드에 의해 일 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브라켓에는 상기 램프하우징에의 체결을 안내하는 장착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6.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어셈블리의 후단에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삽입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브라켓의 걸림턱과 램프홀더어셈블리의 걸림돌기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어셈블리 장착구조.
KR1020030079223A 2003-11-10 2003-11-10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Expired - Lifetime KR10056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23A KR100563471B1 (ko) 2003-11-10 2003-11-10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23A KR100563471B1 (ko) 2003-11-10 2003-11-10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237A KR20050045237A (ko) 2005-05-17
KR100563471B1 true KR100563471B1 (ko) 2006-03-27

Family

ID=3724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223A Expired - Lifetime KR100563471B1 (ko) 2003-11-10 2003-11-10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91B1 (ko) * 2009-05-08 2011-08-11 한국광기술원 Led 패키지 조명모듈
WO2013019976A3 (en) * 2011-08-02 2013-04-18 Automation 21, Llc Lamp with multiple combined light reflectors, lamp connector, and proximity sensor for the lamp
KR200469249Y1 (ko) 2011-12-19 2013-10-02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가전제품 조명용 led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78B1 (ko) * 2005-12-12 2008-01-08 우리산업 주식회사 중공형 회전스위치의 램프 회전부, 램프 회전부용 단자결합부 및 그 제조방법
KR100732722B1 (ko) * 2006-06-09 2007-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시그널램프 조립체
KR200449877Y1 (ko) * 2008-10-17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101644146B1 (ko) * 2011-12-26 2016-08-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CN105715966A (zh) * 2016-04-14 2016-06-29 浙江万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灯光源模组
KR102673379B1 (ko) * 2016-12-29 2024-06-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 홀더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91B1 (ko) * 2009-05-08 2011-08-11 한국광기술원 Led 패키지 조명모듈
WO2013019976A3 (en) * 2011-08-02 2013-04-18 Automation 21, Llc Lamp with multiple combined light reflectors, lamp connector, and proximity sensor for the lamp
KR200469249Y1 (ko) 2011-12-19 2013-10-02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가전제품 조명용 led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237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296B2 (en) Plug socket
JP7462741B2 (ja) 電気的プラグコネクタ
EP0612137B1 (en) Brush device
KR100563471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US625443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tive lamp
US5398532A (en) Modular wiring harness for electronic vehicle ignition lock
JP2017091968A (ja) 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US6347959B2 (en) Bracket for attaching interior equipment
US4299430A (en) Lamp holder for baseless lamp
JP4103093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416265Y1 (ko)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JP2003303651A (ja) 照明装置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EP1178574A1 (en) Industrial inline electrical socket/plug
JP5606089B2 (ja) コネクタ
JP3867040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JP4527525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50045240A (ko)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램프홀더어셈블리
JP4364720B2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用プラグ
JP2005135745A (ja) 電気コネクタ
JP6406961B2 (ja) 照明ユニット係止構造
US5752763A (en) Light bulb and a light device using the same
JPH0345426Y2 (ko)
JP4950695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3335854B2 (ja) 片口金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