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2722B1 - 시그널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그널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722B1
KR100732722B1 KR1020060052078A KR20060052078A KR100732722B1 KR 100732722 B1 KR100732722 B1 KR 100732722B1 KR 1020060052078 A KR1020060052078 A KR 1020060052078A KR 20060052078 A KR20060052078 A KR 20060052078A KR 100732722 B1 KR100732722 B1 KR 10073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lder
deflector
hoo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그널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통공을 가지고, 통공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통공들을 관통하여 홀더브라켓에 고정되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에서 나오는 광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램프홀더가 관통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홀더와 결합되는 디플렉터와, 상기 디플렉터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램프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는 램프와 디플렉터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램프에서 나온 광이 디플렉터에 의해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램프홀더와 디플렉터가 서로 결합되어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내구성이 좋아지고 광전달 성능이 더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시그널램프, 램프홀더, 디플렉터, 결합

Description

시그널램프 조립체{Signal lamp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램프하우징을 삭제한 상태로 램프홀더가 홀더브라켓과 디플렉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램프홀더에 착탈되는 프론트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램프하우징 53: 통공
55,55': 제1 및 제2 보스 57: 램프홀더
59: 홀더하우징 60: 터미널
61: 플랜지 63: 시일
65: 손잡이 67: 프론트홀더
68: 걸이후크 68': 걸이턱
69: 스페이서 70: 램프
72: 홀더브라켓 74: 통공
75: 걸림돌기 76: 터미널
80: 디플렉터 82: 반사부
84: 원통부 86: 결합슬롯
87: 입구부 88: 걸이부
90: 제1체결편 92: 제2체결편
94: 렌즈
본 발명은 시그널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주변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광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램프하우징(1)은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하우징(1)을 관통해서는 통공(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7)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램프하우징(1)에는 또한 제1보스(5)와 제2보스(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보스(5)와 제2보스(5')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22)과 디플렉터(30)를 램프하우징(1)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램프홀더(7)는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골격을 홀더하우징(9)이 형성한다. 상기 홀더하우징(9)은 대략 원통형상이고, 내부에는 터미널(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홀더하우징(9)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돌기(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9')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22)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홀더하우징(9)의 후단에는 상기 통공(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11)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1)는 상기 램프홀더(7)가 상기 램프하우징(1)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플랜지(11)의 일면에 대응되는 홀더하우징(9)을 둘러서는 시일(13)이 설치된다. 상기 시일(13)은 상기 플랜지(11)와 램프하우징(1)의 외면 사이에서 압착되어 방수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하우징(9)의 후단에는 손잡이(1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5)는 램프홀더(7)를 상기 램프하우징(1)의 홀더브라켓(22)에 장착하고 분해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하우징(9)의 선단에는 프론트홀더(17)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홀더(17)는 상기 홀더하우징(9)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홀더(17)에는 상기 홀더하우징(9)의 결합돌기(9')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홀더(17)의 결합돌기(17')는 상기 홀더하우징(9)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9')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홀더하우징(9)의 선단에 설치된 프론트홀더(17)에는 램프(20)가 장착된다. 상기 램프(20)는 상기 프론트홀더(17)를 포함하는 홀더하우징(9)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하우징(9) 내부의 터미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프론트홀더(17)를 상기 홀더하우징(9)에 착탈가능하게 한 것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20)를 램프홀더(7)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홀더브라켓(22)은 대략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하우징(1)의 내면에 상기 제1보스(5)를 통해 장착된다. 상기 홀더브라켓(22)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24)은 상기 램프하우징(1)의 통공(3)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브라켓(22)의 통공(24)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9',17')가 걸어지는 걸림돌기(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브라켓(22)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수개의 터미널(26)이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6)은 상기 램프홀더(7)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디플렉터(30)은 상기 램프(20)에서 나온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디플렉터(30)는 반사부(32)와 원통부(34)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32)는 실제로 광을 반사하는 부분이고, 상기 원통부(34)는 상기 램프(20)와 램프홀더(7)의 선단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디플렉터(30)의 반사부(32)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 및 제2 체결편(40,4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편(40)은 아래에서 설명될 렌즈(44)의 장착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체결편(42)은 상기 램프하우징(1)의 제2보스(5')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렌즈(44)는 상기 램프(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과 램프(20)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즈(44)는 광학적인 특성을 가져 광이 보다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렌즈(4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편(46)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편(4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램프조립체에서 상기 홀더브라켓(22)은 제1보스(5)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램프하우징(1)에 설치되고, 상기 디플렉터(30)는 제2체결편(42)이 상기 제2보스(5')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램프하우징(1)에 설치된다. 상기 렌즈(44)는 결합편(46)이 제1체결편(40)에 체결됨에 의해 디플렉터(3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홀더(7)는 램프(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하우징(1)의 외면에서 상기 통공(3)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램프홀더(7)는 상기 결합돌기(9',17')가 상기 홀더브라켓(22)의 걸림돌기를 지난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5)를 잡고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돌기(9',17')가 걸어져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램프홀더(7)는 상기 램프하우징(1)의 홀더브라켓(22)에 장착되고, 상기 디플렉터(30)는 상기 램프하우징(1)의 제2보스(5)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홀더(7)와 디플렉터(30)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단지 상기 램프홀더(7)에 장착된 램프(20)가 디플렉터(30)의 원통부(34)를 통해 반사부(32)내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램프하우징(1)에 각각 홀더브라켓(22)과 램프홀더(7)가 장착되면서 생긴 누적공차와 상기 디플렉터(30)가 램프하우징(1)에 장착되면서 생긴 누적공차에 의해 상기 램프(20)가 상기 디플렉터(30)의 반사부(32)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20)에서 나온 광이 설계된 대로 정확하게 외부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디플렉터(30)가 직접 램프하우징(1)에 장착되지 않고 상기 렌즈(44)를 통해 램프하우징(1)에 장착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누적공차의 발생이 더 커져 상기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그리고, 상기 램프홀더(7)와 상기 디플렉터(30)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서로의 결합상태가 틀어질 수 있고, 램프홀더(7)와 디플렉터(30) 사이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진동 등에 의해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외부로 정확하게 광을 조사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 디플렉터와 램프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 램프홀더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될 때, 디플렉터와도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통공을 가지고, 통공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통공들을 관통하여 홀더브라켓에 고정되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에서 나오는 광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램프홀더가 관통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홀더와 결합되는 디플렉터와, 상기 디플렉터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램프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홀더의 선단에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프론트홀더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상기 디플렉터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걸이후크가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의 원통부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결합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걸이후크의 연장방향과 직교하게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에는 상기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으로 원통부의 끝부분에서 시작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사이에 대칭으로 상기 디플렉터의 원통부 내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다.
상기 램프홀더의 골격을 구성하는 홀더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홀더브라켓의 통공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걸어지며, 상기 결합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론트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걸이후크와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의 동일한 가상직선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는 램프와 디플렉터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램프에서 나온 광이 디플렉터에 의해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램프홀더와 디플렉터가 서로 결합되어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내구성이 좋아지고 광전달 성능이 더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램프하우징을 삭제한 상태로 램프홀더가 홀더브라켓과 디플렉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램프홀더에 착탈되는 프론트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하우징(51)은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하우징(5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수개의 램프(70)가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램프하우 징(51)의 일부만을 보였다.
상기 램프하우징(51)을 관통해서는 통공(5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5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홀더(57)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램프하우징(51)에는 또한 제1보스(55)와 제2보스(5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스(55)와 제2보스(55')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72)과 디플렉터(80)를 램프하우징(51)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램프홀더(57)는 상기 램프하우징(51)의 통공(5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골격을 홀더하우징(59)이 형성한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돌기(5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9')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72)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내부에는 터미널(6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60)의 일부는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72)의 터미널(7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후단에는 상기 통공(5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61)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61)는 상기 램프홀더(57)가 상기 램프하우징(51)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플랜지(61)의 일면에 대응되는 홀더하우징(59)을 둘러서는 시일(63)이 설치된다. 상기 시일(63)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시일(63)은 상기 플랜지(61)와 램프하우징(51)의 외면 사이 에서 압착되어 방수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후단에는 손잡이(6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65)는 램프홀더(57)를 상기 램프하우징(51)의 홀더브라켓(72)에 장착하고 분해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선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론트홀더(67)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홀더(67)는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홀더(67)에는 상기 홀더하우징(59)의 결합돌기(59')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결합돌기(67')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홀더(67)의 결합돌기(67')는 상기 홀더하우징(59)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59')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외면 둘레에 홀더하우징(59)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결합돌기(59',67')들이 배치되도록 된다.
상기 홀더하우징(59)의 선단에 설치된 프론트홀더(67)에는 램프(70)가 장착된다. 상기 램프(70)는 상기 프론트홀더(67)를 포함하는 홀더하우징(59)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하우징(59) 내부의 터미널(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프론트홀더(67)를 상기 홀더하우징(59)에 착탈가능하게 한 것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70)를 램프홀더(57)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론트홀더(67)의 선단을 둘러서는 걸이후크(68)와 스페이서(69)가 램프홀더(57)의 전방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68)와 스페이서(69)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상기 걸이후크(68)와 스페이서(69) 각각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후크(68)는 선단에 걸이턱(6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8')은 상기 걸이후크(68)의 연장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중 원심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후크(68)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플렉터(8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후크(68)와 결합돌기(67')는 상기 램프홀더(57)가 상기 램프하우징(51)에 삽입되는 방향의 동일한 가상직선상에 각각 위치된다. 이는 상기 램프홀더(57)의 착탈시 상기 걸이후크(68)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브라켓(72)의 걸림돌기(7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페이서(69)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플렉터(80)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메워 램프홀더(57)와 디플렉터(80)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홀더브라켓(72)은 대략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하우징(51)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1보스(55)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홀더브라켓(72)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74)은 상기 램프하우징(51)의 통공(53)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브라켓(72)의 통공(74) 내면에는 상기 결합돌기(59',67')가 걸어지는 걸림돌기(7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75)는 상기 결합돌기(59',67')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홀더브라켓(72)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수개의 터미널(76)이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76)은 상기 램프홀더(57)의 터미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홀더브라 켓(72)의 터미널(76)은 일단은 전원측과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플렉터(80)은 상기 램프(70)에서 나온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디플렉터(80)는 반사부(82)와 원통부(84)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82)는 실제로 광을 반사하는 부분이고, 상기 원통부(84)는 상기 램프(70)와 램프홀더(57)의 선단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통부(84)에는 상기 걸이후크(68)의 걸이턱(68')이 걸어지는 결합슬롯(8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86)은 입구부(87)와 걸이부(88)로 구성되는데, 상기 입구부(87)는 상기 원통부(84)의 끝부분에서 시작하고, 상기 걸이부(88)는 상기 입구부(87)와 연통되고 입구부(87)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플렉터(80)의 반사부(82)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 및 제2 체결편(90,9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편(90)은 아래에서 설명될 렌즈(94)의 장착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체결편(92)은 상기 램프하우징(51)의 제2보스(55')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렌즈(94)는 상기 램프(7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과 램프(70)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즈(94)는 광학적인 특성을 가져 광이 보다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9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편(96)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편(90)에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램프조립체에서 상기 홀더브라켓(72)은 제1보스(55)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램프하우징(51)에 설치된다. 상기 디플렉터(80)는 제2체결편(92)이 상기 제2보스(55')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램프하우징(51)에 설치된다. 상기 렌즈(94)는 결합편(96)이 제1체결편(90)에 체결됨에 의해 디플렉터(80)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램프하우징(51)의 구성에 따라서는 상기 렌즈(94)가 램프하우징(51)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94)에 상기 디플렉터(8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램프홀더(57)는 램프(7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하우징(51)의 외면에서 상기 통공(53)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램프홀더(57)는 상기 결합돌기(59',67')가 상기 홀더브라켓(72)의 걸림돌기(75)를 지난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65)를 잡고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75)에 결합돌기(59',67')가 걸어져 장착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67)의 걸이후크(68)는 상기 결합돌기(67')에 앞서 결합돌기(67')가 통과할 위치를 지나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67',59')가 상기 걸림돌기(75)의 옆을 지나는 시점에서 그 걸이턱(68')이 상기 결합슬롯(86)의 입구부(87)에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5)를 잡고 램프홀더(57)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턱(68')은 상기 결합슬롯(86)의 걸이부(88)에 걸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결합돌기(59',67')들도 상기 걸림돌기(75)에 각각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램프홀더(57)가 램프하우징(51)에 장착된 것인데, 상기 램프홀더(57)는 결합돌기(59',67')에 의해 홀더브라켓(72)에 결합되고, 걸이후 크(68)에 의해 디플렉터(8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걸이후크(68)의 걸이턱(68')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스페이서(69)는 상기 디플렉터(80)의 원통부(84) 내부에 안착되어 디플렉터(80)와 램프홀더(57) 사이의 상대 유동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램프홀더(57)를 램프하우징(5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65)를 잡고 반대방향으로 돌린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이후크(68)가 상기 걸이부(88)에서 입구부(87)로 빠지고, 상기 결합돌기(59',67')가 걸림돌기(75)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램프홀더(57)를 램프하우징(51)에서 빼내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홀더(57)와 디플렉터(80)의 결합이 디플렉터(80)의 원통부(84)에서 이루어졌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반사부(82)의 배면에 램프홀더(57)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시그널램프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디플렉터와 램프홀더를 서로 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디플렉터와 램프홀더에 설치된 램프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에서 나온 광이 디플렉터에 의해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어 램프의 광을 사용하여 외부로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램프홀더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될 때, 디플렉터와도 결합되도록 하였고, 램프홀더와 디플렉터의 원통부 사이에 스페이서와 걸이후크가 위치되어, 그들 사이의 틈새가 없도록 했으므로,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그널램프 조립체의 내구성이 좋아지고 광전달 성능 역시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램프하우징과,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통공을 가지고, 통공들이 일치하도록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는 홀더브라켓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통공들을 관통하여 홀더브라켓에 고정되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에서 나오는 광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램프와 램프홀더가 관통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홀더와 결합되는 디플렉터와,
    상기 디플렉터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램프에서 나온 광을 외부로 전달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의 선단에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프론트홀더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상기 디플렉터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걸이후크가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의 원통부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결합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는 걸이후크의 연장방향과 직교하 게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롯에는 상기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으로 원통부의 끝부분에서 시작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사이에 대칭으로 상기 디플렉터의 원통부 내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더의 골격을 구성하는 홀더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홀더브라켓의 통공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걸어지며, 상기 결합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론트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프론트홀더의 걸이후크와 램프홀더의 장착방향의 동일한 가상직선 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램프 조립체.
KR1020060052078A 2006-06-09 2006-06-09 시그널램프 조립체 KR10073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78A KR100732722B1 (ko) 2006-06-09 2006-06-09 시그널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078A KR100732722B1 (ko) 2006-06-09 2006-06-09 시그널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722B1 true KR100732722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078A KR100732722B1 (ko) 2006-06-09 2006-06-09 시그널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302A (en) 1986-09-18 1989-04-18 Cibie Projecteurs Fastening means for a motor vehicle lamp
JP2005071818A (ja) 2003-08-25 2005-03-17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KR20050045237A (ko) * 2003-11-10 2005-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20060020278A (ko) * 2004-08-31 2006-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제동 표시기능을 갖는 리어램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302A (en) 1986-09-18 1989-04-18 Cibie Projecteurs Fastening means for a motor vehicle lamp
JP2005071818A (ja) 2003-08-25 2005-03-17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KR20050045237A (ko) * 2003-11-10 2005-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20060020278A (ko) * 2004-08-31 2006-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제동 표시기능을 갖는 리어램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52374A (ja)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US5562339A (en) Vehicular lighting unit having connector protected from vibration
EP1967787B1 (en) Projector type lamp
KR200483908Y1 (ko) Led 평판조명등
US20060152936A1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KR100732722B1 (ko) 시그널램프 조립체
CN220119248U (zh) 灯具
JP2017195167A (ja) 照明器具
CN217154051U (zh) 车辆用灯和车辆
JP2003162919A (ja) 照明灯ソケット
JP2017098057A (ja) 車両用灯具のコネクタ取付構造
JP2016046036A (ja) 照明装置
CN111145659B (zh) 点光源基座、点光源及显示屏
CN106958787A (zh) 方便维修的led雾灯
CN221944057U (zh) 射灯
KR101810129B1 (ko) 벌브홀더
KR200430539Y1 (ko) 차량용 벌브홀더 브라켓
CN109793318B (zh) 用于安全带的发光锁扣
JP2008181896A (ja)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JP2007128789A (ja) 埋込型照明器具の取付構造
KR20130002722U (ko) 벌브홀더용 터미널
CN210462745U (zh) 一种天花灯
KR20070048024A (ko) 차량용 포그램프 벌브홀더
JP2011187397A (ja) 車両用灯具のワイヤーハーネス保持構造
CN211083751U (zh) 导轨射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