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0787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787B1
KR100560787B1 KR1020030078120A KR20030078120A KR100560787B1 KR 100560787 B1 KR100560787 B1 KR 100560787B1 KR 1020030078120 A KR1020030078120 A KR 1020030078120A KR 20030078120 A KR20030078120 A KR 20030078120A KR 100560787 B1 KR100560787 B1 KR 10056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in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285A (ko
Inventor
서미숙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787B1/ko
Priority to JP2004316915A priority patent/JP4010554B2/ja
Priority to US10/976,275 priority patent/US7288888B2/en
Priority to CNB2004101005579A priority patent/CN100442946C/zh
Publication of KR2005004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7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구성된 배선과 전하 불균일 현상를 유도할 수 있는 더미패턴(Dummy Pattern)을 구성하여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전하 불균일에 의한 각 배선간의 단락(Short circuit)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인접된 복수개의 메탈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차지디퍼런스를 유도하는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종단이 연결되는 제 2 메탈라인과, 상기 제 2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을 지나치는 제 3 메탈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3 메탈라인에 비해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harge Difference, Charge Damage, Dummy Pattern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e display pannel}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스캔드라이버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41 : 게이트메탈라인
142 : 소스-드레인메탈라인 211 : 제 1 메탈라인
212 : 제 2 메탈라인 213 : 제 3 메탈라인
214 : 제 4 메탈라인 215 : 제 1 더미패턴
216 : 제 2 더미패턴 217 : 제 3 더미패턴
218 : 컨택홀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구성된 각 배선간의 차지디퍼런스(Charge Difference)를 유도할 수 있는 더미패턴(Dummy Pattern)을 구성하여 차지디퍼런스(Charge Difference)에 의한 각 배선간의 단락(Short circuit)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100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0은 상부전원전압라인, 120은 하부 전원전압라인, 130은 캐소드전압라인, 140은 스캔드라이버, 150은 데이타드라이버, 160은 화소영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00)는 중앙부에 일정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영역(160)이 구성되고, 상기 화소영역(160)의 외곽에서 전원전압을 상기 화소영역(160)에 전달하는 상부전원전압라인(110)과, 상기 화소영역(160)의 하측에서 전원전압을 전달하는 하부전원전압라인(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소영역(160)의 일측에는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캔드라이버(14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캐소드전압을 상기 화소영역에 출력하는 캐소드전압라인(130)이 배치되며, 아울러 상기 하부전원전압라인(120)의 하측에는 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타드라이버(15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각 배선의 입력단을 통해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스캔드라이버(140)와 데이타드라이버(150)는 선택신호와 데이타신호를 상기 화소영역(160)에 인가하므로 상기 화소영역(160)의 단위화소에 각각 구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온됨에 따라 상기 전원전압라인(110)으로부터 전원전압이, 캐소드전 압라인(130)으로부터 캐소드전압이 상기 화소영역(160)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화소영역(160)의 각 단위화소는 일정색상을 표시함으로써 화소영역(160)이 일정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100)는 기판위에 다수개의 전원라인 및 시그널라인을 통해 전원 및 제어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써, 상기 전원라인 및 시그널라인은 게이트메탈 및 소스-드레인메탈로 형성되며, 이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도 2 내지 도 3은 스캔드라이버의 레이아웃을 일예로 도시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종래의 배선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141은 게이트메탈라인, 142는 소스드레인 메탈라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드라이버(140)는 다수개의 게이트 메탈라인(141)과 소스 드레인메탈라인(142)이 배선되며, 상기 게이트 메탈라인(141)은 타 게이트 메탈라인과 컨택홀을 통해 연결되거나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라인(1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나가거나 또는 컨택홀(147, 도 3 참조)을 통해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라인(14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게이트 메탈라인(141)과 소스드레인 메탈라인(142)의 연결관계는 표시된 A부분과 같으며, 상세설명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연결관계는 게이트 메탈라인(141)이 횡방향에서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라인(142)의 하측으로 지나가거나 또는 컨택홀(147)을 통해 연결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게이트 메탈라인과 소스드레인메탈라인의 명칭을 제 1 내지 제 4 메탈라인으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143은 제 1 메탈라인, 144는 제 2 메탈라인, 145는 제 3 메탈라인, 146은 제 4 메탈라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탈라인(143)(144)은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 3 메탈라인(145)은 횡방향으로 배선되어 컨택홀(147)을 통해 상기 제 1 메탈라인(143)의 배면에 연결되고, 제 4 메탈라인(146)은 횡방향으로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143)의 배면을 지나서 제 2 메탈라인(144)의 배면에 컨택홀(147)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배선구조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스캔드라이버(140) 뿐만아니라 데이타드라이버(150)의 시그널라인도 상기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또한 드라이버에서 사용하는 두개의 대향전원인 전원전압과 캐소드전압라인도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메탈라인들이 서로 인접하고, 인접한 라인들에 전압들이 인가되는 경우, 배선을 이루는 메탈라인의 종단부에는 전하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도전체인 하나의 메탈라인이 등전위를 이루기 위해 컨택홀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전하가 집중된다. 전하의 집중은 컨택홀과 접촉되는 부위와 다른 부위 사이에 전하의 밀도가 불균일해지는 전하의 불균일 현상을 유발한다. 컨택홀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전하가 집중되면, 컨택홀 부위의 전계의 세기(Intensity of Electric Field)는 메탈라인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상당히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강한 전계는 컨택홀 부위에 인접한 다른 메탈라인에 전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서로 인접한 메탈라인 사이에는 절연물이 게재되거나, 절연성 코팅에 의해 서로 인접한 메탈라인들 사이의 전기적 단락(short)을 차단하는데, 상기 도3에 도시된 제3 메탈라인(145)의 컨택홀 부위의 강한 전계에 의해 상기 제4 메탈라인(146)의 B 부위에서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가 발생된다. 즉, 제3 메탈라인(145)과 제4 메탈라인(14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물 또는 절연성 코팅이 파괴되어, 제3 메탈라인(145)과 제4 메탈라인(146) 사이에 저항성 컨택(Ohmic contact)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계의 강도에 따라 상기 제3 메탈라인(145)의 컨택홀(147)에 인접한 제4 메탈라인(146)의 B 부위의 도선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제4 메탈라인(146)에 전압이 인가된 상황에서, B 부위에 과도한 전계가 집중되어 도선의 연결이 파괴될 수 있다. 상술한 현상들은 특히 인접한 메탈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조밀한 경우에 자주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차지(Charge)가 집중되는 배선의 패턴외곽과 근접된 위치에서 더미패턴(Dummy Pattern)을 구성하여 인접된 메탈라인과의 전하 불균일에 의한 전기적 손상을 상기 더미패턴(Dummy Pattern)으로 유도함으로써 연결되어서는 안될 메탈라인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인접된 복수개의 메탈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전하 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종단이 연결되는 제 2 메탈라인과, 상기 제 2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을 지나치는 제 3 메탈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3 메탈라인에 비해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메탈라인 의 일측패턴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메탈라인의 타측패턴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또는,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배선된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된 제 2 메탈라인과, 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제 3 메탈라인과, 상기 제 3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을 지나쳐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제 4 메탈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2 메탈라인에는 상기 제 3 및 제 4 메탈라인과 전하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4 메탈라인에 비하여 상기 제 3 메탈라인에 근접하여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3 메탈라인의 연결부 일측으로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3 메탈라인의 연결부에서 타측으로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메탈라인의 연결부와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형성된다.
또는,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소스드레인 메탈라인과, 상기 소스드레인메탈라인에 연결되는 복수개 이상의 게이트메탈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에서 상기 게이트메탈라인과의 전하 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게이트메탈라인의 전하집중도가 높은 패턴외곽에 근접하여 상기 소스드레인메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211은 제 1 메탈라인, 212는 제 2 메탈라인, 213은 제 3 메탈라인, 214는 제 4 메탈라인, 215는 제 1 더미패턴, 216은 제 2 더미패턴, 217은 제 3 더미패턴, 218은 컨택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탈라인(211)(212)은 종으로 평행하게 배선되고, 제 3 메탈라인(213)은 횡으로 배선되어 제 1 메탈라인(2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4 메탈라인(214)은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211)의 배면을 지나쳐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및 제 4 메탈라인(213)(214)은 컨택홀(218)을 통해 상기 제 1 메탈라인(211)과 제 2 메탈라인(212)의 배면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메탈라인(211)과 제 3 메탈라인(213)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양측에서 제 1 및 제 2 더미패턴(215)(216)이 상기 제 1 메탈라인(211)에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215)(216)은 상기 제 3 메탈라인(213)의 연결부와 근접하게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215)(216)은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동일한 적층 구조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2 메탈라인(212)과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의 연결부에 근접된 일측에제 제 3 더미패턴(21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더미패턴(217)은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 동일한 적층 구조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제 4 메탈라인(21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 1 메탈라인(211)에 제 1 및 제 2 더미패턴(215)(216)을 구성하여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제 4 메탈라인(214) 간의 전하 불균일 대신에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제 2 더미패턴(216)간의 전하 불균일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통상적으로 상기 제 1 메탈라인(211)과 제 3 메탈라인(213)의 연결 부위에서 전하가 집중된다. 따라서 제 3 메탈라인(213)에 인접하는 제 4 메탈라인(214) 사이에 전하의 불균일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 2 더미패턴(216)이 상기 제 4 메탈라인(214)보다 상기 제 3 메탈라인(21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의 전하의 불균일 대신에 상기 제 3 메탈라인(213)과 제 2 더미패턴(216)간의 전하의 불균일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 3 메탈라인(213) 또는 제 2 더미패턴(216)은 전하의 불균일에 의해 전계가 집중되고, 강한 전계에 의해 절연막이 파괴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211)과 단락(Short Circuit)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메탈라인(211)과 제 3 메탈라인(213)은 이미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제 1 메탈라인(211)과 제 3 메탈라인(213)의 단락은 불량이 아니며, 제 4 메탈라인(214)과의 전하 불균일에 의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더미패턴(216)에는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 3 메탈라인(213)의 전계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메탈라인(213)의 강한 전계가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에 미치는 전자기적 영향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은 제 2 메탈라인(212)의 배면에 컨택홀(218)을 통하여 연결되며, 그 연결부와 근접된 위치에서 제 3 더미패턴(217)이 상기 제 2 메탈라인(2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더미패턴(217)은 상기 제 2 메탈라인(212)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 인접하여 지나치는 타 메탈라인(도시되지 않음)과의 전하의 불균일에 의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3 더미패턴(217)은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의 패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의 패턴외곽에 집중되는 전하에 의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의 전계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 인접된 타 메탈라인의 전계의 집중에 따른 전기적 불량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 상기 제 3 더미패턴(217)의 전하의 불균일에 의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의 단락은 상기 제 4 메탈라인(214)과 제 2 메탈라인(212)이 연결될 예정이거나 또는 이미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불량이 아니다. 또한, 상기 제 3 더미패턴(217)에는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 4 메탈라인(214)의 전계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메탈라인(214)의 강한 전계가 다른 메탈라인에 미치는 전자기적 영향을 최소화한다.
도 5 는 스캔드라이버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241은 제 1 메탈라인, 242는 제 2 메탈라인 243은 제 3 메탈라인, 244는 제 4 메탈라인, 245는 제 5 메탈라인, 246은 제 6 메탈라인, 247은 제 7 메 탈라인, 248은 제 1 더미패턴, 249는 제 2 더미패턴, 250은 제 3 더미패턴, 251은 제 4 더미패턴, 252는 제 5 더미패턴, 253은 제 6 더미패턴, 254는 제 7 더미패턴이다.
도시된 도 5는 스캔드라이버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탈라인(241)(242)은 소스드레인메탈, 제 3 내지 제 7(243,..247) 메탈라인은 게이트메탈이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제 1 내지 제 7 메탈라인의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2 메탈라인(241)(242)은 상호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배선되며, 제 3 내지 제 7 메탈라인(243,..247)은 횡방향으로 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메탈라인(241)(242)의 배면에 연결 또는 지나치도록 배선된다.
즉, 제 3 메탈라인(243)은 상기 제 1 메탈라인(241)의 배면을 지나쳐서 상기 제 2 메탈라인(242)의 배면에 컨택홀을 통해 연결되며, 그 연결부의 일측에 제 5 더미패턴(252)이 형성된다. 또한 제 4 메탈라인(244)은 상기 제 1 메탈라인(241)의 배면에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248)(249)이 상기 제 4 메탈라인(244)의 연결부 양측에 형성된다. 아울러, 제 5 메탈라인(245)은 상기 제 1 메탈라인(241)의 배면을 지나쳐서 제 2 메탈라인(242)의 배면에 연결되고, 연결부의 일측에 제 6 더미패턴(253)이 형성된다. 또한 제 6 메탈라인(246)은 상기 제 1 메탈라인(241)의 배면에 연결되며, 그 연결부의 양측에 제 3 및 제 4 더미패턴(243)(244)이 형성된다. 또한 제 7 메탈라인(247)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탈라인(241)(242)의 배면을 지나쳐서 타 메탈라인에 컨택홀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더미패턴(248)은 상기 제 3 메탈라인(243)과 제 4 메탈라인(244)간의 전하의 불균일에 의한 메탈라인들 사이의 전기적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4 메탈라인(244) 사이에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한다. 또한, 제 2 더미패턴(249)은 상기 제 4 메탈라인(244)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4 메탈라인(244)과 제 5 메탈라인(245)간의 전계의 집중에 따른 전기적 불량을 방지하며, 제 3 더미패턴(250)은 상기 제 6 메탈라인(246)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5 메탈라인(245)과 상기 제 6 메탈라인(246)간의 전계의 집중에 의한 상기 제 1 메탈라인(241)과 제 5 메탈라인(245)간의 단락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4 더미패턴(251)은 상기 제 6 메탈라인(246)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6 메탈라인(246)과 제 7 메탈라인(247)간의 전계의 집중에 의한 상기 제 1 메탈라인(241)과 제 7 메탈라인(247)간의 단락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더미패턴(248~251)의 전하의 불균일의 유도에 의해서 상기 제 4 메탈라인(244)과 제 6 메탈라인(246)은 절연막이 파괴되어 단락되는 전계의 집중에 따른 전기적 불량이 발생하나 상기 제 4 메탈라인(244)과 제 6 메탈라인(246)은 상기 제 1 메탈라인(241)과 연결될 예정이므로 불량이 아니다.
또한, 제 5 더미패턴(252)은 제 3 메탈라인(243)과 상기 제 2 메탈라인(242)의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메탈라인(243)과 도시되지 않은 타 메탈라인의 간의 원하지 않는 도선의 단락이나 개방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6 더미패턴(253)은 상기 제 5 메탈라인(252)과 제 2 메탈라인(242)의 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5 메탈라인(245)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제 6 더미패턴(253)은 상술한 타 메탈라인과의 전기적 불량을 예방함을 물론이나, 동일배선내의 전기적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동일배선이라 할지라도 부분에 따라서 전하의 집중도에 따른 전하의 분포 편차가 발생되며, 특히 배선의 종단부인 엣지부 또는 복수개의 라인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전하가 집중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하의 불균일에 의해 라인이 절단되거나 또는 배선의 단면을 이루는 각구성층이 파괴되는 전기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6 더미패턴(253)은 상기 제 5 메탈라인(252)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5 메탈라인(245)의 강한 전계가 상기 제 6 더미패턴(253)에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제 7 더미패턴(254)은 상기 제 5 메탈라인(245)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여 상기 제 5 메탈라인(245)과 제 7 메탈라인(247)간의 전하의 불균일를 방지하여 상기 제 2 메탈라인(242)과 제 7 메탈라인(247)간의 전계의 집중에 따른 전기적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 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소스드레인메탈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메탈라인과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라인을 지나치는 게이트메탈라인사이에 더미패턴을 구성하여 차지디퍼런스를 유도함에 따라 원치않은 게이트메탈라인과 소스드레인간의 단락에 의한 불량이 방지된다.

Claims (11)

  1.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인접된 복수개의 메탈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종단이 연결되는 제 2 메탈라인과, 상기 제 2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을 지나치는 제 3 메탈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3 메탈라인에 비해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메탈라인의 일측패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메탈라인의 타측패턴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배선된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된 제 2 메탈라인과,
    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제 3 메탈라인과,
    상기 제 3 메탈라인과 평행하게 배선되어 상기 제 1 메탈라인을 지나쳐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연결되는 제 4 메탈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상기 제 2 메탈라인에는 상기 제 3 및 제 4 메탈라인과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4 메탈라인에 비하여 상기 제 3 메탈라인에 근접하여 상기 제 1 메탈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3 메탈라인의 연결부 일측으로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3 메탈라인의 연결부에서 타측으로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메탈라인의 연결부와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메탈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종과 횡으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메탈라인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소스드레인 메탈라인과,
    상기 소스드레인메탈라인에 연결되는 복수개 이상의 게이트메탈을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메탈라인과 연결되는 상기 소스드레인 메탈에서 상기 게이트메탈라인과의 전하의 불균일을 유도하는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게이트메탈라인의 전하집중도가 높은 패턴외곽에 근접하여 상기 소스드레인메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30078120A 2003-11-05 2003-11-0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0A KR100560787B1 (ko) 2003-11-05 2003-11-0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4316915A JP4010554B2 (ja) 2003-11-05 2004-10-29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0/976,275 US7288888B2 (en) 2003-11-05 2004-10-29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dummy pattern for preventing short circuiting
CNB2004101005579A CN100442946C (zh) 2003-11-05 2004-11-05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120A KR100560787B1 (ko) 2003-11-05 2003-11-0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85A KR20050043285A (ko) 2005-05-11
KR100560787B1 true KR100560787B1 (ko) 2006-03-13

Family

ID=3454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787B1 (ko) 2003-11-05 2003-11-05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88888B2 (ko)
JP (1) JP4010554B2 (ko)
KR (1) KR100560787B1 (ko)
CN (1) CN10044294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475B2 (en) 2018-02-12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having a notch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53B1 (ko) * 2005-02-03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45346B1 (ko) * 2005-09-20 2007-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방법
KR20070082685A (ko)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6576B1 (ko) * 2006-04-10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432126B1 (ko) * 2008-07-23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718848B1 (ko) * 2016-08-12 2024-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990A (ja) 1992-07-28 1994-02-25 Nippondenso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246150B2 (ja) 1993-12-27 2002-0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
JP3520396B2 (ja) 1997-07-02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と表示装置
TW543145B (en) * 2001-10-11 2003-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a method of the same
JP3818261B2 (ja) * 2002-01-24 2006-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4197233B2 (ja) * 2002-03-20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6885028B2 (en) * 2002-03-25 2005-04-26 Sharp Kabushiki Kaisha Transistor array and active-matrix substrate
JP3901127B2 (ja) * 2002-06-07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5475B2 (en) 2018-02-12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Sensing unit having a notch patter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92231B2 (en) 2018-02-12 2022-07-1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ing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85A (ko) 2005-05-11
JP2005141214A (ja) 2005-06-02
US7288888B2 (en) 2007-10-30
CN1615053A (zh) 2005-05-11
CN100442946C (zh) 2008-12-10
JP4010554B2 (ja) 2007-11-21
US20050093467A1 (en) 200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187B2 (en) Static electricity preventing assembly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388912B (zh) 製造陣列基板之方法
KR102424443B1 (ko) 표시 장치
CN108807492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检测方法和显示装置
KR10231931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05393B2 (en) Printed circuit board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83909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pair structure
US987567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56078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75060B1 (ko) 리페어를 위한 배선 구조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CN108172174A (zh) 像素阵列基板
CN111863885A (zh) 一种待切割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100736575B1 (ko) 디스플레이 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24157A1 (ja) 表示装置
KR20160114221A (ko) 표시 장치
KR20110074378A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085642A (ko) 표시장치
KR100318537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수리 방법
KR101061915B1 (ko) 배선 단자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259340B1 (ko) 표시장치, 표시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0403144C (zh) 用于显示器的薄膜晶体管阵列面板
US11205643B2 (en) Optoelectronic circuit assembly and method for repairing an optoelectronic circuit assembly
KR100752633B1 (ko) 어레이 기판과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054342B1 (ko)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065690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