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7263B1 -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63B1
KR100557263B1 KR1020007012184A KR20007012184A KR100557263B1 KR 100557263 B1 KR100557263 B1 KR 100557263B1 KR 1020007012184 A KR1020007012184 A KR 1020007012184A KR 20007012184 A KR20007012184 A KR 20007012184A KR 100557263 B1 KR100557263 B1 KR 10055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electrode shaft
electrode
connecting ro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240A (ko
Inventor
에르뼁쟝-필리쁘
라쏘앙드레
느봉쟝-삐에르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4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1/2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88Details of rotatable shafts common to more than one pole or switch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Landscapes

  • Break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재로 제조되고, 회로차단기의 개폐를 지시하는 작동기구(24)를 수용하는 전방구획(12)과 중간벽(20)에 의해 전방구획으로부터 분리된 후방구획(14)으로 분할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10)에 관한 것이다. 후방구획(14)은 분리용 칸막이(38)에 의해 개별 구획(36)으로 세분되며, 각각의 개별 구획(36)은 회로차단기의 전극(56) 중의 하나를 수용한다. 작동기구(24)는 모든 전극(56)에 공통적으로 전극 샤프트(78)를 연결시킨다. 전극 샤프트(78)는 후방구획(14) 내에 위치되고 또한 분리용 칸막이를 관통하는 베어링들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LOW VOLTAGE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HIGH ELECTRODYNAMIC RESISTANCE, WHEREOF THE POLE SHAFT IS ARRANGED IN THE COMPARTMENT HOUSING THE POLES}
본 발명은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고전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대형 전력설비에서의 수전기(incomer) 및 급전기(feeder) 용 베이스 스위치기어장치의 역할을 하는 고전류 회로차단기(630 A 내지 6300 A의 지시 용도)는 금속 프레임 상에 조립되는 복합요소로 형성되었으며, "개방식" 전력 회로차단기라는 명칭으로 불려졌다. 그러나, 점차로 저전력 회로차단기의 기술을 이용한 이러한 범위의 설비는 "주조 케이스(molded case)" 회로차단기로 명명되었는데, 그 이유는 자체 소호 챔버에 의해 전극을 수용하는, 일반적으로 강화 폴리에스테르로 성형된 절연용 보호덮개, 및 작동기구와 트립(trip) 장치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차단의 제한 및 자체 외부영향의 제한을 보장하는데 기여함으로써, 보호덮개, 전극들간의 일체적 분할, 및 전력회로와 보조물들간의 보다 나은 절연에 의하여 이러한 장치들의 전체 치수가 감소될 수 있었다.
문헌 EP-A-0,322,321 은 중간 케이스, 회로차단기 전방 패널을 형성하는 커버, 및 후방 패널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케이스를 구비한 상기 타입의 회로차단기를 개시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의 전면은 자체 표면과 커버에 의해 한정되는 전방구획, 및 전극을 수용하고 전방구획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후방구획으로 분할된다. 전방구획에는, 모든 전극에 공통되는 횡방향 스위칭 샤프트(전극 샤프트로 명명됨)에 작용하는 작동기구가 수용된다. 상기 샤프트는 중간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구획의 일부는 절연용 분리 칸막이에 의해 전극을 수용하기 위한 개별 구획으로 분할된다. 또한, 중간 케이스의 전방 벽은 각각의 전극에 대하여 대응 개별 구획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은 고정 접촉부 및 가동 접촉부를 갖춘 한 쌍의 개별 접촉부, 및 소호 챔버(arc extinguishing chamber) 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동 접촉부는 대응 접근용 개구를 경유하여 중간 케이스의 전방 벽을 관통하는 커넥팅로드에 의해 횡방향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가동 접촉부 중의 하나를 횡방향 샤프트에 연결시키는 각각의 로드는, 접촉부의 폐쇄 위치에서, 그리고 전극 샤프트의 피봇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커넥팅로드의 회전축을 관통하는 직선과 샤프트의 피봇축 사이의 거리가 작게 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전극 샤프트 상에 접촉부에 의해 가해진 힘들의 합력의 레버리지가 작아서, 큰 전기역학력이 전달될 때 커넥팅로드는 샤프트의 레벨에서 단지 낮은 토크만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접촉부의 폐쇄위치에서 정적 평형이 이루어질 때, 작동기구는 커넥팅로드에 의해 전달된 전기역학력에 대항하는 토크를 샤프트에 가한다. 이러한 토크는 작동기구의 레벨에서 낮은 힘을 발생시킬 뿐이다. 더욱이, 샤프트의 안내 베어링의 레벨에서의 반력의 합은 크며, 커넥팅로드와 작동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힘들에 대항한다.
이러한 구성은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회로차단기를 특징으로 한다. 전기설비에 있어서 시간 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당연히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접촉부를 분리시키려는 경향이 있는 큰 전기역학력을 발생시키는 설정 누전의 흐름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전극 샤프트, 가동 접촉부와의 커넥팅로드, 및 작동기구에 대한 커넥팅로드의 상대적 구성은 상기 힘들이 작동기구를 개방시키거나 접촉부를 분리시키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 경우, 선택된 구성은 이러한 힘들을 샤프트 베어링에 의해 케이스로 전달할 수 있어서, 작동기구는 너무 큰 힘이나 토크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전극 샤프트를 안내하고 회로차단기 케이스에 힘들을 전달하는 것이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실제로 횡방향 샤프트는 자체의 변형이 제한되고 자체의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치수설정되고, 배치되며 또한 지지되어야 한다. 또한, 전극 샤프트 베어링들은 이들이 고정되어 있는 중간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이들을 떼어낼 수 있는 큰 힘이 이들에 전달될 때에도 케이스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조립 강성체를 제작하려면, 고가이며 부피가 큰 고정부품과 베어링을 사용하고 케이스상의 보완적인 구성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회로차단기의 조립에는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며 설치가 까다롭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회로차단기의 소형화를 어렵게 한다.
더욱이, 전극 샤프트와 각각의 전극간의 커넥팅로드의 통로를 위한 다수의 개구가 소호 챔버의 기밀성을 저해시킨다. 그러나, 전기 아크 및 소호 챔버 칸막이의 특정 요소의 레벨에서 상기 아크에 의해 발생되는 흡열 증발은 적당한 필터를 갖춘 출구 오리피스쪽으로 유도되어야 하는 가스유동 및 과압을 증가시킨다. 아크가 소호 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소호 챔버의 바닥에 상기 출구 오리피스를 배치하는 것이 현명하다. 챔버의 입구에서 접촉부 바로 위에 커넥팅로드의 통로를 위한 개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출구 오리피스로 가스가 유동하는 것을 상당히 방해한다. 이에 따라, 어떠한 보호 필터도 거치지 않고, 제어되지 않은 가스 유동이 전방구획과 전면의 개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것이며, 특히 저비용으로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회로차단기의 메커니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절연재료로 제조된 케이스를 갖춘 높은 전기역학력의 저전압 회로차단기의 수단에 의해 해결되는데, 이 회로차단기는 케이스에 견고하게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전극 샤프트에 연결되는 작동기구와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극은 한 쌍 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고, 각 쌍의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하나인 가동 접촉부는 전극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샤프트, 작동기구 및 가동 접촉부는 각 쌍의 접촉부가 분리되 는 개방위치와 각 쌍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회로차단기의 케이스는 작동기구를 수용하는 전방구획과 중간벽에 의해 전방구획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용 칸막이에 의해 개별 구획으로 세분되는 후방구획을 포함하고, 개별 구획 각각은 회로차단기의 전극 중의 하나를 수용하며, 회로차단기에서 전극 샤프트의 회전축은 후방구획 내에 위치한다.
전극 샤프트가 전방구획 내에 놓여지는 기법의 장치에 있어서는, 개방위치에서 전극 샤프트와 가동 접촉부간의 거리가 최소이어야 한다. 실제로 가동 접촉부와 샤프트간의 연결은 전방구획과 후방구획 사이의 중간벽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샤프트와 접촉부 사이에 더 이상 아무런 부품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거리는 상당히 감소하거나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전체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접촉부에 가해지는 전기역학력은 중간 부품들에 큰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케이스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후방구획 내에 지지 베어링들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들 베어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간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면, 가동 접촉부에 가해지는 전기역학력에 응하여, 잡아뜯는 작업을 하지 않고 고정 부품들을 압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극 샤프트와 각각의 가동 접촉부 사이의 커넥팅로드의 통로를 위한 오리피스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구획의 오염이 감소하며 소호 챔버의 바닥의 출구 오리피스로의 차단 가스의 흐름이 향상된다.
중간 칸막이의 오리피스를 통해 전극 샤프트와 각각의 커넥팅로드를 연결시킬 필요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각각의 분리용 칸막이가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들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전극 샤프트는 상기 베어링 중의 하나의 레벨에서 각각의 칸막이를 관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립체의 전체 치수가 증가되지 않으면서 베어링들이 증가될 수 있으며 전극 샤프트를 따라서 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어링들을 자주적인 지지부 상에서 챔버의 분리용 칸막이들 사이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분리용 칸막이는 중간벽과 함께 주조된 칸막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부재의 단부에는 대응 베어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원통형부가 형성되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비용을 감소시키는 다기능 부품이 수득된다.
중간벽은 전극 샤프트와 작동기구 사이의 기계적 링크부의 통로를 위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이 유익하다.
바람직하게, 전극 샤프트의 외측면은 전기 절연재, 특히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극들 사이, 또한 작동기구와의 사이가 전기절연될 수 있다. 열경화성 재료는 차단 후에 양호한 유전 강도를 제공하므로 유익하다. 실제로, 샤프트는 벌크 열경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샤프트는 절연재로 피복된 금속성 본체를 가질 수도 있다.
유익하게는, 전극 샤프트와 각각의 가동 접촉부 사이에 하나 이상의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며, 커넥팅로드는 소위 조립위치인 샤프트와 커넥팅로드의 특정한 관 련위치에서 커넥팅로드가 피봇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피봇에 의해 전극 샤프트에 연결되며, 그리고 일단 커넥팅로드가 설치되어 자체 설치위치로부터 이동하면, 피봇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커넥팅로드의 병진운동을 방지하는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지며, 작동상태에서는 전극 샤프트와 커넥팅로드가 결코 상기 조립위치를 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타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전극의 레벨에서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케이스의 일부와 전극 샤프트의 분해도이고,
도 3 은 폐쇄위치에 있는 도 1 의 회로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개방위치에 있는 도 1 의 회로차단기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조립 직전 상태에 있는 전극 중의 하나에 대한 커넥팅로드 및 전극 샤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조립상태인 개별상태에 있는 전극 중의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로드 및 전극 샤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회로차단기가 개방되었을 때 서로에 대한 위치에 있는, 커넥팅로드가 설치된 전극 샤프트의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8 은 회로차단기가 폐쇄되었을 때 서로에 대한 위치에 있는, 커넥팅로드가 설치된 전극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높은 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비제한 회로차단기(10)가 전방구획(12)과 후방구획(14)으로 구성되는 주조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전방구획(12)은 전방 패널(16), 이 전방 패널(16)과 일체로 주조되는 측면 패널(18), 및 후방구획(14)으로부터 이 전방구획(12)을 분리시키는 중간벽(20)에 의해 제한된다. 회로차단기의 작동기구(24)인 개방 푸시버튼과 폐쇄 푸시버튼의 를 리셋팅하기 위한 피봇 핸들(22)의 통로를 위하여 전방 패널에 개구부가 포함된다. 작동기구(24)는 전방구획(12) 내에 수용된다.
후방구획(14)은 중간벽(20), 후방 패널을 구성하는 이면판(26), 및 측면 패널(28)에 의해 제한되며, 측면 패널(28)의 일부분은 이면판과 일체로 주조되고 다른 부분은 중간벽과 일체로 주조된다. 이면판(26)은 외부 전기회로에 회로차단기(10)를 접속시키는 접속 스트립(30)을 지지한다. 이면판(26)과 중간벽(20)은 고정나사(32)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이 고정나사(32)는 높은 전단력을 견딜 수 있는 치수로 설계된다. 중간벽(20) 내에는 윈도우(34)가 구성되어 있어(도 2 참조) 전방구획(12)과 후방구획(14)을 서로 소통시킨다. 후방구획(14)은 분리용 칸막이(38)들에 의해 개별 구획(36)으로 다시 분할된다. 각각의 칸막이(38)는 중앙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측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부는 이면판과 일체로 주조되는 칸막이부재(40) 및 중간벽과 일체로 주조되는 칸막이부재(42)를 포함하며, 이들 칸막이부재(40, 42)는 조립 유닛에서 결합된다. 중앙부는 인접한 측면 부재(40)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이면판과 일체로 주조되는 칸막이부재(44)를 포함한다. 이 칸막이부재(44)는 중간벽(20)에 견고하게 합체되어 있는 측면 칸막이부재(42)의 보완 홈(48)과 조립시 결합하는 리브(46)를 포함한다. 이면판의 중앙 칸막이부재(44)는 평탄한 반원통형면(50)을 포함한다. 중간벽(20)은 작은 높이의 보완 중앙 칸막이부재(52)를 포함하며, 또한 이면판에 견고하게 합체되어 있는 부재의 반원통형면에 면하는 평탄한 반원통형면(54)을 포함한다.
회로차단기의 전극(56)은 각각의 개별 구획(36)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전극(56)은 소호 챔버(58)와 분리가능한 접촉장치를 포함한다. 이 분리가능한 접촉장치는 절연 케이스의 이면판(26)을 통과하여 회로차단기의 접속 스트립(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촉부(60) 및 가동 접촉부(61)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접촉부(61)는 지지터널(66)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횡축(64)상에 피봇하면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접촉 핑거(finger; 62)를 구비한다. 각각의 핑거의 말단부는 금속성 편조 스트립으로 형성된 가요성 전도체(68)에 의하여 회로차단기의 제 2 접속 스트립(30)에 접속된다. 각각의 핑거(62)는 도 3 의 폐쇄상태에 있을 때 고정 접촉부(60)의 패드(72)와 협력하는 접촉 패드(70)를 포함한다. 터널(66)은 U-형상을 갖는다(도 5 참조). 제 2 접속 스트립(30)의 부근에 놓이는 터널(66)의 단부에는 절연 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 내에 수용된 축(74)이 설치되어 있어서, 도 3 에 도시된 전극(56)의 폐쇄위치와 도 4 에 도시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터널(66)이 피봇할 수 있다. 터널(66)의 노치 내에 접촉압력 스프링장치(76)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 1 축(64)을 중심으로 접촉 핑거(62)를 반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소호 챔버(58)는 전극이 분리될 때 유도되는 전기적 아크의 탈이온화 플레이트의 더미, 및 소호용 기체의 출구인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더 상세한 전극(56)의 구조는 문헌 FR-A-2,650,434 를 참조하면 된다.
전극 샤프트(78)는 조립시, 자체 축(7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78)를 지지하는 밀착 베어링을 형성하는 반원통형면(50, 54) 사이에 위치한다. 샤프트(78)는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각각의 터널(66)은 축(64)과 동일한 기하학적 축을 중심으로 피봇하는 한 쌍의 전동 로드(80)에 의해 전극 샤프트(78)에 연결된다. 각각의 로드(80)는 피봇(81)에 의해 전극 샤프트(78)에 연결된다.
작동기구(24)는 에너지 저장부 폐쇄장치 및 개방장치를 포함한다. 이 기구는 문헌 FR-A-2,589,626 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것은 이를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시키고자 하는 것은, 개방장치가 피봇축(86)을 관절로 하여 이어지는 두 개의 로드(82, 84)를 포함하며, 하부 전동 로드(82)는 샤프트(78)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크랭크(90) 내에 만들어져 있는 베어링과 함께 작동하는 피봇축(88)에 의해 전극 샤프트(78)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개방 스프링(92)은 축(88)과 고정식 걸이용 스피것(spigot) 사이에 고정된다. 도 3 에는, 폐쇄위치에서, 하부 전동 로드(82) 및 개방 스프링(92)이 중간벽(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윈도우(34)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폐쇄위치에서는, 전극 샤프트(78)상의 로드(80)의 지레 효력이 전동 로드(82)의 지레 효력보다 낮다. 환언하면, 로드(80)의 피봇의 축(64, 81)을 포함하는 평면과 전극 샤프트(78)의 축(79) 사이의 거리는 하부 전동 로드(82)의 피봇의 축(86, 88)을 포함하는 평면과 전극 샤프트(78)의 축(79)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실제로, 두 거리의 비는 0.3 이하이다.
도 3 에 도시된 폐쇄위치에서는, 각각의 전극(56)에 있어서 접촉 핑거(62)의 접촉 패드(70)가 고정 접촉부(60)의 패드(72)상에 가압된다. 접촉압력은, 기구의 임의의 움직임과 패드(70, 72)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 스프링장치(76)에 의해 제공된다. 접촉 핑거(62)상에 가해지는 전기역학력은 스프링(76)의 지지면과 축(64)에 의해 터널(66)의 레벨에서 흡수되며, 또한 터널(66)을 접촉부의 분리방향으로 피봇시키는 경향이 있는 터널(66)의 피봇축(74)을 중심으로한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 모멘트는 자체 관련 피봇축(64)의 레벨에서 터널(66)상에 로드(80)에 의해 가해지는 대향 모멘트에 의해 보상된다. 따라서, 동적평형시, 로드(80)는 터널(66)에 자신들을 연결시키는 자체 링크 피봇(64)의 레벨에서, 자신들을 전극 샤프트(78)와 연결시키는 자체 링크 피봇(81)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피봇(81)으로 전달된 이러한 힘은 전극 샤프트(78)의 축(79)을 중심으로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동일한 현상이 전극 각각에 대해 일어난다. 개방용 장치 토글의 하부 전동 로드(82)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는 모든 로드(80)와 전극 샤프트(78)상의 개방 스프링(92)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의 모멘트의 합에 대립된다. 로드(80), 전동 로드(82) 및 전극 샤프트(78)의 상대적 위치에 기인하여, 즉 전동 로드(82)의 지레작용에 비한 로드(80)의 지레작용의 약함에 기인하여, 전동 로드(82)의 레벨에서 합력은 적절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높은 전기역학력의 회로차단기의 특징은 접촉 부분들 상의 전기역학력만이 작동기구 상에 제한된 압력을 발생시켜 이 작동기구가 압력에 대항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평형시, 전극 샤프트(78)는 지지 베어링의 레벨에서 압력을 가하며, 이들 압력의 합은 로드(80)와 전동 로드(82)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합에 대항하는 반력이다. 이러한 비교적 높은 압력은 중간벽(2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면(54)에 주로 가해진다.
회로차단기가 개방되면, 로드(82)는 전극 샤프트의 대향 반시계방향 회전을 정지시킨다. 개방 스프링(92)에 의해 연대적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회전과 로드(80) 및 샤프트(78)의 링크 피봇(81)의 레벨에서의 전기역학력의 합력은 모든 터널(66)을 도 4 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구동시킨다. 이 위치에서, 전극 샤프트(78)의 크랭크(90)는 윈도우(34)로부터 약간 벗어난다.
도 5 내지 도 8 은 각각의 터널(66)을 갖춘 커넥팅로드(80)와 전극 샤프트(78) 사이의 피봇에 의한 링크의 조립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전극 샤프트(78)는 각각의 전극에 대하여, 전극 샤프트(78)의 피봇축(79)에 대하여 편심인 두 개의 동축 피봇(81)을 지지하는 아암(94)을 포함한다. 이들 피봇(81)은 아암의 측면(100)의 노치(98)상에 각각 놓인다. 노치(98)에서 돌출되는 태브(102)에 의해 홈(104)이 형성된다.
각각의 로드(80)는 샤프트(78)와 함께 작동하는 측면에, 피봇(81) 중의 하나를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원통형 보어(108) 및 편평부(110)를 포함한다. 조립 시, 도 6 에 도시된 관련 조립위치에서 편평부(110)가 태브(100)의 바닥 에지와 평행하게 되도록 로드(80)가 제공된다. 그 후에야, 피봇(81)이 보어(108)에 삽입될 수 있다. 일단 조립되면, 로드(80)와 전극 샤프트(78)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두 극단적인 위치 사이에서 변동하게 되며, 두 극단적 위치 중 하나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가 개방되는 위치이며 다른 하나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가 폐쇄되는 위치이다. 이들 두 위치는 물론 그 중간의 모든 위치에서, 로드(80)는 전극 샤프트(78)의 대응 홈(104)과 관련하여 작동하며, 이 홈은 피봇축(81)에 평행한 방향으로 로드(8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부수적인 중간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고도 확실한 링크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터널(66)상의 로드(80)의 피봇축이 핑거(62)의 피봇축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극당 하나의 로드(80)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칸막이를 관통하는 베어링의 레벨에서 긴밀성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샤프트의 보완적인 요철과 관련하여 중앙 환형 홈이 작동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베어링이 케이스의 외부 측벽의 레벨에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기술된 회로차단기는 에너지 저장기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극 샤프트의 작동기구는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러므로, 전술된 기구는 수동이든 모터피동으로 리셋되든지 간에 기타 공지된 기구로 교체될 수 있다.

Claims (6)

  1. 절연재료로 제조된 케이스를 갖춘 높은 전기역학력의 저전압 회로차단기(10)로서,
    상기 케이스에 견고하게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전극 샤프트(78)에 연결되는 작동기구(24)와 다수의 전극(56)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극(56)은 한 쌍 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촉부(60, 61)를 포함하고, 각 쌍의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하나인 가동 접촉부(61)는 전극 샤프트(78)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샤프트(78), 작동기구(24) 및 가동 접촉부(61)는 각 쌍의 접촉부(60, 61)가 분리되는 개방위치와 각 쌍의 접촉부(60, 61)가 접촉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차단기의 케이스는 작동기구(24)를 수용하는 전방구획(12)과 중간벽(20)에 의해 상기 전방구획(12)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용 칸막이(38)에 의해 개별 구획(36)으로 세분되는 후방구획(14)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구획(36) 각각은 회로차단기(10)의 전극(56) 중의 하나를 수용하는 회로차단기에서,
    상기 전극 샤프트(78)의 회전축(79)이 상기 후방구획(14)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칸막이(38) 각각은 상기 베어링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전극 샤프트(78)는 상기 베어링 중의 하나의 레벨에서 각각의 분리용 칸막이(38)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칸막이(38) 각각은 중간벽(20)과 함께 주조된 칸막이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부재(52)의 단부에는 대응 베어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원통형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 1 항 ∼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20)은 전극 샤프트(78)와 작동기구(24) 사이의 기계적 링크부(82)의 통로를 위한 윈도우(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 1 항 ∼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샤프트(78)의 외측면은 전기 절연재, 특히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 1 항 ∼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샤프트(78)와 각각의 가동 접촉부(61) 사이에 하나 이상의 커넥팅로드(8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로드(80)는 조립위치인 샤프트(78)와 커넥팅로드(80)의 특정한 관련위치에서 상기 커넥팅로드(80)가 피봇(81)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피봇(81)에 의해 전극 샤프트(78)에 연결되며, 그리고 일단 커넥팅로드(80)가 설치되어 그 설치위치로부터 이동하면, 피봇(81)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커넥팅로드 (80)의 병진운동을 방지하는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지며, 작동상태에서는 상기 전극 샤프트(78)와 커넥팅로드(80)가 상기 조립위치를 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20007012184A 1998-06-24 1999-06-07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KR100557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8174 1998-06-24
FR9808174A FR2780549B1 (fr) 1998-06-24 1998-06-24 Disjoncteur multipolaire basse tension de tenue electrodynamique elevee, dont l'arbre des poles est dispose dans le compartiment de logement des p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240A KR20010043240A (ko) 2001-05-25
KR100557263B1 true KR100557263B1 (ko) 2006-03-07

Family

ID=952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184A KR100557263B1 (ko) 1998-06-24 1999-06-07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6317019B1 (ko)
EP (1) EP1090404B1 (ko)
JP (1) JP4137380B2 (ko)
KR (1) KR100557263B1 (ko)
CN (1) CN1153238C (ko)
AR (1) AR019704A1 (ko)
AT (1) ATE247863T1 (ko)
AU (1) AU741762B2 (ko)
BR (1) BR9909406B1 (ko)
CA (1) CA2331013C (ko)
DE (1) DE69910575T2 (ko)
DK (1) DK1090404T3 (ko)
EA (1) EA002504B1 (ko)
ES (1) ES2207221T3 (ko)
FR (1) FR2780549B1 (ko)
HU (1) HU223295B1 (ko)
ID (1) ID27612A (ko)
IL (1) IL138743A (ko)
MY (1) MY122376A (ko)
NO (1) NO319127B1 (ko)
NZ (1) NZ509024A (ko)
OA (1) OA11638A (ko)
PL (1) PL190921B1 (ko)
PT (1) PT1090404E (ko)
TR (1) TR200003327T2 (ko)
TW (1) TW501156B (ko)
UA (1) UA54596C2 (ko)
WO (1) WO1999067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385B2 (ja) * 2001-01-19 2009-04-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開閉器の取付構造
DE10340226A1 (de) * 2003-08-28 2005-03-31 Siemens Ag Gegossene Schaltwelle für Leistungsschalter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FI116751B (fi) * 2004-01-19 2006-02-15 Abb Oy Kytkinlaite
JP4522362B2 (ja) * 2005-12-21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KR100764067B1 (ko) 2006-09-18 2007-10-1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스절연부하개폐기용 차단기
US7569784B2 (en) * 2006-10-13 2009-08-04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housing and integral pole shaft bearing assembly therefor
US7683276B2 (en) * 2006-10-13 2010-03-2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pole shaft assembly therefor
US8064499B2 (en) * 2006-11-17 2011-11-22 Comtech Mobile Datacom Corporation Spread-spectrum phase and channel tracking
FR2914118B1 (fr) * 2007-03-22 2009-04-17 Schneider Electric Ind Sas Pilier d'angle pour coffret electrique et coffret ainsi equipe
KR100928930B1 (ko) * 2007-07-12 2009-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몰드프레임 접합구조
CN101399137B (zh) * 2007-09-25 2011-06-29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低压塑壳断路器
US7911302B2 (en) * 2007-11-15 2011-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Secondary trip system for circuit breaker
US20090256659A1 (en) * 2008-04-15 2009-10-15 Mahesh Jaywant Rane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lose and latch performance
US8592709B2 (en) * 2008-04-15 2013-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path arrangement for a circuit breaker
CA2721976C (en) * 2008-05-07 2015-07-0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having a cradle with combined pivot and over-toggle reversing pin
EP2416332A1 (de) * 2010-08-06 2012-02-08 Eaton Industries GmbH Schalt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Niederspannungsschaltgerät
KR101677998B1 (ko) * 2010-12-16 2016-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FR2979744B1 (fr) * 2011-09-01 2015-05-01 Socomec Sa Appareil de coupure electrique a haut pouvoir de fermeture
KR101255475B1 (ko) 2011-11-1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1255472B1 (ko) 2011-11-1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FR2983003B1 (fr) 2011-11-22 2014-09-12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protection contre un arc electrique
KR102349754B1 (ko) * 2019-12-06 2022-01-1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79291D1 (de) * 1985-10-31 1991-06-20 Merlin Gerin Kinematische uebertragungskette zwischen dem steuermechanismus und den polen eines elektrischen lastschalters mit einem gespritzten isoliergehaeuse.
FR2624650B1 (fr) * 1987-12-10 1990-04-06 Merlin Gerin Disjoncteur multipolaire a boitier moule de calibre eleve
US5899323A (en) * 1998-05-07 1999-05-04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contact finger guide
US6002313A (en) * 1998-06-08 1999-12-14 Eaton Corporatio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pressure rele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1156B (en) 2002-09-01
EP1090404B1 (fr) 2003-08-20
NO20005626L (no) 2000-11-07
ES2207221T3 (es) 2004-05-16
HUP0101665A2 (hu) 2001-09-28
IL138743A0 (en) 2001-10-31
NO20005626D0 (no) 2000-11-07
TR200003327T2 (tr) 2001-03-21
CN1153238C (zh) 2004-06-09
DE69910575T2 (de) 2004-06-24
CA2331013A1 (en) 1999-12-29
UA54596C2 (uk) 2003-03-17
PL343929A1 (en) 2001-09-10
WO1999067800A1 (fr) 1999-12-29
ATE247863T1 (de) 2003-09-15
FR2780549A1 (fr) 1999-12-31
OA11638A (fr) 2004-11-22
HUP0101665A3 (en) 2001-10-29
DK1090404T3 (da) 2003-12-08
DE69910575D1 (de) 2003-09-25
CA2331013C (en) 2008-08-05
KR20010043240A (ko) 2001-05-25
ID27612A (id) 2001-04-12
FR2780549B1 (fr) 2000-09-08
JP4137380B2 (ja) 2008-08-20
BR9909406A (pt) 2000-12-12
NO319127B1 (no) 2005-06-20
JP2002519813A (ja) 2002-07-02
MY122376A (en) 2006-04-29
IL138743A (en) 2003-12-10
HU223295B1 (hu) 2004-05-28
NZ509024A (en) 2002-08-28
BR9909406B1 (pt) 2012-10-02
EA002504B1 (ru) 2002-06-27
EA200001051A1 (ru) 2001-06-25
AR019704A1 (es) 2002-03-13
EP1090404A1 (fr) 2001-04-11
CN1298547A (zh) 2001-06-06
AU4045799A (en) 2000-01-10
AU741762B2 (en) 2001-12-06
US6317019B1 (en) 2001-11-13
PT1090404E (pt) 2004-01-30
PL190921B1 (pl)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263B1 (ko) 자체 전극 샤프트가 전극 수용 구획에 위치하고 높은전기역학력을 갖춘 저전압 다중극 회로차단기
CA2080063C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single-pole units
US4649247A (en) Contact assembly for low-voltage circuit breakers with a two-arm contact lever
RU261574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EP2296160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101246696B1 (ko) 접지 차단기 및 이의 제조 방법
EP2037475A1 (en) Operating mechanism with adjustment of contact force
CN101911412B (zh) 用于中压面板的三位置隔离开关
US5486662A (en) Flexible connector for a circuit interrupter
EP0903764A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nd moving conductor assembly therefor
JP3274135B2 (ja) 各真空バルブごとに極操作ユニットを備えた多極真空遮断器
US4139747A (en) High voltage switch with molded support base
JP2793701B2 (ja) 開閉装置
GB204226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it interrupters
US5528009A (en) Vacuum switch with a current-loop assembly
US4678873A (en) Low-voltage circuit breaker having a switching mechanism arranged in a separate chamber
CZ20004078A3 (en) Low-voltage multipolar switch exhibiting great electrodynamic force, whose pole shaft is incorporated in a bay accommodating poles
JPH06260077A (ja) ヒューズ付開閉器
EP4432324A1 (en) Switchgear architecture
GB2027999A (en) Disconnecting switch arrangements
KR0140073B1 (ko) 회로차단기
JP2000149733A (ja) 多極真空スイッチ
JP2000067713A (ja) 開閉装置
GB2628190A (en) Switchgear architecture
MXPA00010763A (en) Low voltage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high electrodynamic resistance, whereof the pole shaft is arranged in the compartment housing the p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