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4514B1 -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514B1
KR100554514B1 KR1020030097427A KR20030097427A KR100554514B1 KR 100554514 B1 KR100554514 B1 KR 100554514B1 KR 1020030097427 A KR1020030097427 A KR 1020030097427A KR 20030097427 A KR20030097427 A KR 20030097427A KR 100554514 B1 KR100554514 B1 KR 10055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hard mask
layer
buf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176A (ko
Inventor
류충렬
강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514B1/ko
Priority to US11/020,825 priority patent/US20050142497A1/en
Publication of KR2005006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14B1/ko
Priority to US12/146,092 priority patent/US7914973B2/en
Priority to US13/041,696 priority patent/US8409787B2/en
Priority to US13/845,851 priority patent/US8846304B2/en
Priority to US14/499,948 priority patent/US9111880B2/en
Priority to US14/818,198 priority patent/US20160005624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32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conducting part of electrode is difined by a sidewall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셀 영역에는 미세한 선폭을 갖는 반복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페리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큰 선폭을 갖는 패턴들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되고, 패터닝 대상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상의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을 남긴다.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사진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최소화하면서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pattern and gate electrode in semiconductor processing}
도 1a 내지 도 8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9a/b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2a/b 내지 도 20a/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4 : 게이트 산화막
16 : 폴리실리콘막 18 : 버퍼막
22a :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 24a :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
32 : 셀 게이트 패턴 34 : 페리 게이트 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는, 반도체 장치에서 셀 영역에는 미세한 선폭을 갖는 반복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페리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큰 선폭을 갖는 패턴들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 회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실리콘 기판 상의 작은 영역에 불순물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주입하고, 기판 상에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들이 상호 연결되어 소자 및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회로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불순물 주입 영역 또는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 영역 등을 정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진(photolithography)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진 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웨이퍼 또는 박막 상에 감광성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자외선, 전자선 또는 X-선 등을 설계된 마스크를 통해 포토레지스트막으로 조사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노광시킨 다음 현상하여 상기 마스크 패턴과 동일하거나 반대인 패턴을 갖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게 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기판을 보호하게 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은 웨이퍼 표면 또는 박막 상에 각종 부가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이 후에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에 의해 노출된 막을 식각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사진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 구조를 형성할 시에는 필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된다. 첫째,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시에 샷 내에서 노광 조건이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하여 각각 칩에서 선폭 차이(On Chip CD Variation)가 발생한다. 둘째,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시에 각 샷들 간에 노광 조건들이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하여 웨이퍼의 각 영역별로 선폭 차이(On Wafer CD Variation)가 발생한다. 셋째, 사진 공정 이 후 식각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불균일하게 식각됨에 따라 라인 가장자리가 거칠어지는 현상(line edge roughness)이 발생한다.
상기 설명한 문제들은 최근의 초고집적화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형성할 시에 각 셀의 패턴들 간에 선폭의 산포가 증가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 패턴들 간에 선폭이 불균일해짐에 따라, 칩 내 또는 웨이퍼 내에서의 각 단위 소자들의 특성 산포가 증가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불량을 유발시킨다. 또한,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불균일한 식각으로 인해 소자의 쇼트 채널 특성을 열화시키며, 이는 게이트 사이즈 축소에 의해 그 영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초고집적화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사진 공정을 이용하는 기술보다 더욱 미세한 제어가 가능한 패터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노광 기술의 해상도 한계보다 미세한 피치를 갖는 라인 엔드 스페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일본 공개 특허 2002-280388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막 패턴의 측벽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을 제거한후, 상기 제2 절연막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제2 절연막을 마스크로 하는 경우, 기판 전 영역에서 동일한 선폭을 갖는 패턴들이 형성되므로, 국부적으로 상기 제2 절연막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갖는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절연막 측벽 형상에 의해 제2 절연막 형상이 결정되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패턴을 구현할 수 없 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반도체 장치의 각 영역별로 다른 선폭을 갖는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반도체 장치의 각 영역별로 다른 선폭을 갖는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되고, 패터닝 대상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한다. 상기 버퍼 패턴 및 패터닝 대상막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 상기 셀 영역의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선택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을 남긴다.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 및 하드 마스크막에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 대상막을 식각하여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메모리 셀 영역은 메모리 장치의 단위 기억 소자들이 형성되는 부위이 므로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이 반복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페리 영역은 메모리 장치의 각 기억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 회로들이 형성되는 부위이므로 각 패턴들의 선폭이 동일하지 않으며 상기 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패턴의 선폭이 크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의 선폭은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패터닝되는 한계 선폭보다 더 작은 선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막은 상기 하드 마스크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상기 버퍼막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을 구분시키기 위해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을 더 증착시킨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은 게이트 전극막, 필드 영역의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배선 형성용 금속막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설명한 방법을 적용하여, 게이트 전극 패턴, 액티브/ 필드 패턴 또는 금속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이트 액티브를 갖는 I형 SRAM 장치의 셀 게이트 및 액티브/ 필드 패턴 및 금속 배선 을 형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은 상기 버퍼 패턴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되는 미세 패턴들은 한 쌍의 패턴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즉, 반도체 공정에서, 셀 영역에 형성되는 미세 패턴들이 한 쌍의 패턴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상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은 형상의 제약없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페리 영역에 요구되는 설계된 미세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되고, 패터닝을 수행하기 위한 패터닝 대상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한다. 상기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 및 측벽 스페이서의 소정 부위만이 식각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킨다. 상기 페리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은 패터닝하고,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는 전면 식각하여, 셀 하드 마스크 패턴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 대상막을 식각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의 선폭은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패터닝되는 한계 선폭 보다 더 작은 선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막은 상기 하드 마스크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상기 버퍼막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을 구분시키기 위해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을 더 증착시킨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패터닝 대상막은 게이트 전극막, 필드 영역의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배선 형성용 금속막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들에 의하면, 각 영역별로 서로 다른 선폭을 갖는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계 선폭 이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진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각 패턴의 선폭 산포 문제들을 최소화하면서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포토레지스트에 비해 균일한 식각 특성이 확보되므로, 불균일한 식각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라인 에지 러프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 역이 구분된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한다. 상기 버퍼 패턴 및 게이트 전극막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 상기 셀 영역을 선택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을 남긴다.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 및 하드 마스크막에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셀 게이트 패터닝을 위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페리 게이트 패터닝을 위한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막을 식각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된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도전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한다. 상기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측벽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 및 측벽 스페이서의 소정 부위만이 식각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킨다. 상기 페리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은 패터닝하고,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는 전면 식각하여, 셀 하드 마스크 패턴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도전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방법들에 의하면, 셀 영역에는 미세한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페리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진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각 패턴의 선폭 산포 문제 및 라인 에지 러프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8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각 a도는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고, 각 b도는 각 a도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단위 기억 소자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 및 단위 기억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회로들이 형성되는 페리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에서 P모스 트렌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에 선택적으로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N-웰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N-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통상의 소자 분리 공정에 의해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을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반사 방지막을 형성한다. 상기 반사 방지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한다.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 상에 노광 마스크를 개재한 후 노광 공정을 수행하고 현상하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사 방지막 및 실리콘 질화막을 식각하여 실리콘 질화막 패턴 및 반사 방지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질화막 패턴 및 반사 방지막 패턴을 하드 마스크로 이용하여 패드 산화막 및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여 필드 영역을 정의하는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 및 식각 공정 이 후의 세정 공정 시에 상기 반사 방지막 패턴은 제거된다. 상기 트렌치를 실리콘 산화막으로 매립한 후, 상기 실리콘 질화막 패턴이 노출되도록 연마하여 필드 산화막(1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실리콘 질화막 패턴 및 패드 산화막을 제거하여 액티브 및 필드 영역을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패턴(11)은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직선형 액티브 패턴(11)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 상에 10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게이트 산화막(1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14)상에 게이트 전극막으로 제공되는 폴리실리콘막(16)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폴리실리콘막(16)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16) 상에 버퍼막(18)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18)은 상기 폴리실리콘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막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버퍼막(18)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8)의 두께에 따라, 상기 폴리 실리콘막을 패터닝하기 위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의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 버퍼막(18) 상에 제2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한다. 상기 셀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막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막은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버퍼막 상에만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은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0) 양측 아래로 한 쌍의 게이트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게이트 패턴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버퍼막(18)을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폴리실리콘막(16)상에 라인형의 버퍼 패턴(18a)을 형성한다. 상기 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셀 영역에서 버퍼 패턴(18a)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는 나머지의 버퍼막(18)이 모두 제거되어 상기 폴리실리콘막(16)의 상부면이 노출된다. 상기 버퍼 패턴(18a)의 선폭 및 상기 버퍼 패턴(18a)들 간의 간격에 따라 상기 설계된 게이트 패턴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패턴(18a)의 선폭이 감소되면, 상기 버퍼 패턴(18a)의 양측 아래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게이트 패턴들 간의 간격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버퍼 패턴(18a)들 간의 간격이 감소되면, 상기 버퍼 패턴(18a) 양측 아래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게이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패턴군(group)들 간의 간격이 감소된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폴리실리콘막(16) 및 버퍼 패턴(18a)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폴리실리콘막(16)을 게이트 전극으로 패터닝하기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막이다. 따라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버퍼 패턴(18a)과 식각 선택비가 높을 뿐 아니라, 상기 폴리실리콘막(16)과의 식각 선택비도 높은 물질로서 형성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의 두께는 사진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패턴의 한계 선폭보다 더 작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착 공정은 사진 공정에 비해 공정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증착되는 막의 두께 및 특성 산포가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상에 제3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한다. 이어서, 상기 페리 영역을 마스킹하기 위해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을 남기고, 상기 셀 영역에는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막이 모두 제거되는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2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버퍼 패턴의 측벽에 선택적으로 스페이서(22)를 형성한다. 상기 이방성 식각 공정을 수행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18a)의 측벽에는 스페이서(22)가 형성되고, 상기 페리 영역은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21)에 의해 마스킹되어 상기 하드 마스크막(24)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 패턴(18a)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버퍼 패턴(18a)은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버퍼 패턴(18a)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면, 상기 셀 영역에는 상기 버퍼 패턴(18a)의 측벽에 형성되었던 스페이서(22)만이 남게된다. 또한,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 패턴(18a)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상기 하드 마스크막(24)이 그대로 남게된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2), 하드 마스크막(24) 및 폴리실리콘막(16) 상에 제4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한다. 이어서, 사진 공정에 의해, 상기 셀 영역에는 상기 스페이서(22)를 셀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4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하드 마스크막(24)을 상기 페리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를 패터닝하기 위하여 상기 제4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및 페리 영역에 제4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형성한다.
I형 SRAM의 셀 게이트는 하부의 직선형 액티브 패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섬 형 독립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스페이서(22)는 긴 라인 형상을 갖는다.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22)를 셀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로 패터닝하기 위해서는, 상기 라인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22)를 상기 액티브 영역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된 독립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소정 부위를 식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되는 제4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은 상기 라인형의 스페이서(22)가 섬형 독립 패턴을 갖는 셀 게이트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하기 위해 상기 라인형의 스페이서(22)가 분리되어야 할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페리 영역에는 설계된 페리 게이트 형상이 구현되도록 제4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형성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4 포토레지스트 패턴(30)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스페이서(22) 및 하드 마스크막(24)을 선택적으로 식각한다.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하면,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되어 있던 스페이서(22)는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2a)으로 형성되고, 상기 페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던 하드 마스크막(24)은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4a)으로 형성된다. 상기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2a)은 상기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4a)에 비해 작은 선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설명한 공정들을 수행하면, 사진 공정의 한계 선폭 이하의 선폭을 갖는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2a)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반복 패턴 형상을 갖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4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2a)의 경우 종래의 사진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증착 및 이방성 식각 공정을 주 공정으로 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사진 공정 시에 발생하는 패턴의 선폭 산포 문제 및 라인 에지 러프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셀 및 페리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막(22a, 24a)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폴리실리콘막(16)을 식각하여 셀 및 페리 게이트 패턴(32, 34)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남아있는 셀 및 페리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 패턴(22a, 24a)을 제거한다.
실시예 2
도 9a/b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 사이에 계면막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의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단위 기억 소자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 및 단위 기억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회로들이 형성되는 페리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에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은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직선형 액티브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 상에 10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게이트 산화막(1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14)상에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 폴리실리콘막(16)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 상에 계면막(40)을 형성한다. 상기 계면막(40)은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과 이 후에 상기 계면막(40) 상에 형성되는 버퍼막(42)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계면막(40)은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계면막(40)은 예컨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면막(40) 상에 버퍼막(42)으로서 제2 폴리실리콘막(42)을 형성한다. 즉, 상기 버퍼막은 하부의 게이트 전극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한다. 때문에,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과 상기 버퍼막으로 제공되는 제2 폴리실리콘막(42)을 구분하기 위한 계면막(40, interface layer)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42)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한다. 상기 셀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은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2 폴리실리콘막(42) 상에만 포토레지스트 패턴(44)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4)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44) 양측 아래로 한 쌍의 게이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게이트 패턴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한 것과 동일하게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계면막(40) 상에 상기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2a) 및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24a)을 동시에 형성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22a, 24a)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계면막(40) 및 제1 폴리실리콘막(16)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셀 및 페리 게이트 패턴(52, 54) 및 계면막 패턴(40a)을 형성한다. 이어서, 남아있는 하드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다.
이 후 상기 계면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계면막을 그대로 남겨둘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a/b 내지 도 20a/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제2 실시예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한다.
즉, 단위 기억 소자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 및 단위 기억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회로들이 형성되는 페리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에 통상의 소자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은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직선형 액티브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10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게이트 산화막(1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14) 상에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 폴리실리콘막(16)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 상에 실리콘 산화물로서 계면막(40)을 형성한다. 상기 계면막(40)은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과 이 후에 버퍼막으로 형성되는 제2 폴리실리콘막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형성되는막이다. 상기 계면막(40)은 실리콘 산화물 이외에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면막(40) 상에 버퍼막으로서 제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되는 막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는 상기 게이트 전극막 및 버퍼막을 폴리실리콘 물질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막 및 버퍼막이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계면막(40)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6)을 패터닝하기 위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의 두께가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상에 제1 포토레지스트막(미도시)을 코팅한다. 상기 셀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막은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제2 폴리실리콘막 상에만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 양측으로 한 쌍의 게이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게이트 패턴들 사이에 위치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계면막 상에 라인형의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을 형성한다. 상기 공정을 수행하면, 상기 셀 영역에서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 부위를 제외하고는 상기 계면막(40)이 표면에 노출된다.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선폭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들 간의 간격에 따라 후속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게이트 패턴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선폭이 감소되면,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게이트 패턴들 간의 간 격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들 간의 간격이 감소되면, 상기 한 쌍의 게이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패턴군(group)들 간의 간격이 감소된다.
도 13a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계면막(40) 및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 상에 스페이서 형성을 위한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막은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이면 가능하다.
상기 스페이서막의 두께는 사진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패턴의 한계 선폭보다 더 작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착 공정은 사진 공정에 비해 공정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증착되는 막의 두께 및 특성 산포가 상대적으로 작다.
이어서, 상기 스페이서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측벽에 선택적으로 질화막 스페이서(60)를 형성한다. 상기 이방성 식각 공정을 수행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 영역의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측벽에만 질화막 스페이서(60)가 형성되고, 상기 셀 영역의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 측벽 이외 부위 및 페리 영역에는 상기 스페이서막이 남아있지 않고, 상기 계면막이 노출된다.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는 이 후 공정을 통하여 셀 게이트 형성을 위한 하드 마스크 패턴으로 제공되기 위한 막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남아있는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은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면, 상기 셀 영역에는 상기 제2 폴리실리콘 패턴(42a)의 측벽에 형성되었던 질화막 스페이서(60)만이 남게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계면막(40)이 노출된다.
도 15a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 및 계면막(40) 상의 전면에,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 및 계면막(40)의 프로파일을 따라 하드 마스크막(62)을 형성한다.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상기 하드 마스크막(62)은 돌출되고, 그 외의 상기 계면막(40) 상에 형성되는 상기 하드 마스크막(62)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62)은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와 동일한 물질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와 식각 선택비가 거의 없는 절연 물질로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62) 및 질화막 스페이서(60)는 이 후 공정을 통하여 각각 페리 및 셀 하드 마스크 패턴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동일한 식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62)은 예컨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도 16a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마스크막(62) 상에 제2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한다. 이어서, 사진 공정에 의해, 상기 셀 영역에는 상기 셀 게이트 형성용 하드 마스크 패턴으로 패터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의 소정 부위가 노출되도록 트리밍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노출되는 부위가 없도록 마스킹되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64)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64)은 상기 I형 SRAM 셀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셀 게이트막 직선형 액티브 패턴에 수평 한 방향으로 절단되어야할 부위에 위치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형성한다.
I형 SRAM의 셀 게이트는 하부의 직선형 액티브 패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섬 형 독립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 형 독립 패턴은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셀 게이트 전극막을 식각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은 상기 액티브 패턴에 수직한 방향 및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식각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64)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62) 및 질화막 스페이서(60)를 식각하여 상기 계면막(40)을 표면에 노출시킨다. 상기 공정은 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일부의 과정으로, 상기 공정에 의해 상기 하드 마스크막(62) 및 질화막 스페이서가 상기 액티브 패턴에 수평한 방향으로의 트리밍된다. 이어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64)을 통상의 에싱 및 스트립 공정에 의해 제거한다.
도 18a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트리밍된 하드 마스크막(62a) 상에 제3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한다. 이어서, 사진 공정에 의해, 상기 셀 영역에는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62a)을 노출시키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페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로 패터닝되는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66)을 형성한다.
도 19a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66)을 식각 마 스크로 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막(62a)을 선택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에 하드 마스크 패턴(70, 72)을 형성한다. 이어서, 통상의 에싱 스트립 과정에 의해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66)을 제거한다.
즉,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하드 마스크막(62a)은 전면이 이방성으로 식각되면서,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 및 버퍼 산화막(40)이 노출된다. 이 때, 상기 셀 영역에 남아있는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60)는 이전의 트리밍 식각 공정에 의해 섬 형 독립 패턴 형상을 가지며, 셀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하드 마스크 패턴(70)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페리 영역에 형성된 하드 마스크막(62a)은 상기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페리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72)으로 제공된다. 상기 셀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70)은 상기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72)에 비해 작은 선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상기 셀 및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70, 72)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계면막(40) 및 제1 폴리실리콘막(16)을 식각하여 셀 및 페리 게이트 패턴(74, 76)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남아있는 셀 및 페리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70, 72)을 제거한다.
이 후, 상기 계면막은 제거하거나 또는 남겨둘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I형 SRAM 장치의 게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게이 트 전극막과 버퍼막을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지 않고, 이로 인해 계면막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상기 제3 실시예의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단위 기억 소자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 및 단위 기억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회로들이 형성되는 페리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에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은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직선형 액티브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 상에 10 내지 300Å 정도의 두께로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되기 위한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폴리실리콘막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 상에 상기 폴리실리콘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막으로서 버퍼막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3 실시예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한 것과 동일하게 공정을 수행하여, 셀 및 페리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셀 영역에는 미세한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페리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한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 형성을 위해 고비용이 요구되는 최근의 단파장 노광 장치 및 이에 따른 포토레지스트(예컨대 ArF 레지스트)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더구나, 사진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한계 선폭 이하의 선폭을 갖는 게이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 마스크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한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진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각 패턴의 선폭 산포 문제 및 라인 에지 러프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셀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액티브 패턴 형성 및 금속 배선 형성 시에도 동일한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반복 패턴들 및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패턴들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70㎚ 이하급의 패턴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고비용이 요구되는 사진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작은 비용으로 미세한 선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진 공정을 적용하여 패턴을 형성할 시에 발생하는 패턴의 선폭 산포 문제 및 라인 에지 러프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되고, 패터닝을 수행하기 위한 패터닝 대상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 대상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버퍼 패턴 및 패터닝 대상막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을 선택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을 남기는 단계;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측벽 스페이서 및 하드 마스크막에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상기 셀 영역 상에 독립된 섬 형상의 셀 하드 마스크 패턴과 상기 페리 영역 상에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하드 마스크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 대상막을 식각함으로서, 상기 셀 영역에 독립된 패턴과 페리 영역에 상기 셀 영역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상기 하드 마스크막과의 식각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상기 버퍼막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을 구분시키기 위해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대상막은 게이트 전극막, 필드 영역의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배선 형성용 금속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스페이서의 선폭은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패터닝되는 한계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은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보다 큰 선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0.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되고, 패터닝을 수행하기 위한 패터닝 대상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 대상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측벽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하는 독립된 셀 패턴들 사이 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 및 측벽 스페이서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페리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은 패터닝하고,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은 전면 식각하여, 셀 영역 상에 독립된 섬 형상의 셀 하드 마스크 패턴 및 페리 영역에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 대상막을 식각함으로서 셀 영역에 독립된 패턴과 페리 영역에 상기 셀 영역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상기 하드 마스크막과의 식각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상기 버퍼막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을 구분시키기 위해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패터닝 대상막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스페이서 및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패터닝 대상막 및 버퍼막과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측벽 스페이서와 동일한 물질 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 대상막은 게이트 전극막, 필드 영역의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배선 형성용 금속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17.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된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버퍼 패턴 및 게이트 전극막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을 선택적으로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셀 영역의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하드 마스크막을 남기는 단계;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측벽 스페이서 및 하드 마스크막에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켜 독립된 섬 형상을 갖는 셀 게이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 상에는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페리 게이트를 패터닝하기 위한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막을 식각하여, 셀 영역에 독립된 형상의 셀 게이트와 페리 영역에 상기 셀 게이트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페리 게이트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게이트 형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이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폴리실리콘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막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게이트 형성 방법.
  22. 메모리 셀 영역 및 페리 영역이 구분된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도전막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막을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상기 메모리 셀 영역에만 라인형의 버퍼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페리 영역에는 상기 버퍼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버퍼 패턴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남아있는 버퍼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측벽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상에,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셀 게이트들 사이 부위에 대향하는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 및 측벽 스페이서의 소정 부위만이 식각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라인형의 측벽 스페이서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페리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은 패터닝하고, 상기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는 전면 식각하여, 셀 영역 상에 독립된 섬 형상의 셀 하드 마스크 패턴 및 페리 영역에 상기 셀 하드 마스크 패턴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 및 페리 하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도전막을 식각하여 셀 영역에 독립된 형상의 셀 게이트와 페리 영역에 상기 셀 게이트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갖는 페리 게이트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게이트 형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막이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 전극막과 버퍼막 사이 계면에, 상기 폴리실리콘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막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형성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실리콘 산화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에서 게이트 형성 방법.
KR1020030097427A 2003-12-26 2003-12-26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5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427A KR100554514B1 (ko) 2003-12-26 2003-12-26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US11/020,825 US20050142497A1 (en) 2003-12-26 2004-12-22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US12/146,092 US7914973B2 (en) 2003-12-26 2008-06-25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US13/041,696 US8409787B2 (en) 2003-12-26 2011-03-07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US13/845,851 US8846304B2 (en) 2003-12-26 2013-03-18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US14/499,948 US9111880B2 (en) 2003-12-26 2014-09-29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US14/818,198 US20160005624A1 (en) 2003-12-26 2015-08-04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gat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427A KR100554514B1 (ko) 2003-12-26 2003-12-26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176A KR20050066176A (ko) 2005-06-30
KR100554514B1 true KR100554514B1 (ko) 2006-03-03

Family

ID=3469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4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4514B1 (ko) 2003-12-26 2003-12-26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20050142497A1 (ko)
KR (1) KR100554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6134B2 (en) 2012-02-15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ing modified rectangular mask patterns to increase reliability of contacts to electrically conductive l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514B1 (ko) * 2003-12-2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US7151040B2 (en) * 2004-08-31 2006-12-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increasing photo alignment margins
US7910288B2 (en) 2004-09-01 2011-03-22 Micron Technology, Inc. Mask material conversion
US7115525B2 (en) 2004-09-02 2006-10-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ing pitch multiplication
US7655387B2 (en) * 2004-09-02 2010-02-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to align mask patterns
US7253118B2 (en) 2005-03-15 2007-08-07 Micron Technology, Inc. Pitch reduced patterns relative to photolithography features
US7390746B2 (en) * 2005-03-15 2008-06-2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deposition for integration of spacers in pitch multiplication process
US7611944B2 (en) 2005-03-28 2009-11-03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7429536B2 (en) * 2005-05-23 2008-09-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orming arrays of small, closely spaced features
US7560390B2 (en) 2005-06-02 2009-07-1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spacer steps for pitch multiplication
US7396781B2 (en) * 2005-06-09 2008-07-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eature size and position
US7413981B2 (en) * 2005-07-29 2008-08-19 Micron Technology, Inc. Pitch doubled circuit layout
US8123968B2 (en) * 2005-08-25 2012-02-28 Round Rock Research, Llc Multiple deposition for integration of spacers in pitch multiplication process
US7816262B2 (en) 2005-08-30 2010-10-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lgorithm for random half pitched interconnect layout with constant spacing
US7829262B2 (en) 2005-08-31 2010-1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pitch multipled contacts
US7572572B2 (en) 2005-09-01 2009-08-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orming arrays of small, closely spaced features
US7776744B2 (en) * 2005-09-01 2010-08-17 Micron Technology, Inc. Pitch multiplication spac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7759197B2 (en) * 2005-09-01 2010-07-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isolated features using pitch multiplication
US7393789B2 (en) 2005-09-01 2008-07-01 Micron Technology, Inc. Protective coating for planarization
US7910289B2 (en) * 2006-01-06 2011-03-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se of dual mask processing of different composition such as inorganic/organic to enable a single poly etch using a two-print-two-etch approach
KR100672123B1 (ko) * 2006-02-02 2007-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KR100744683B1 (ko) * 2006-02-27 2007-08-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7842558B2 (en) 2006-03-02 2010-11-30 Micron Technology, Inc. Masking process for simultaneously patterning separate regions
US20070212892A1 (en) * 2006-03-07 2007-09-13 Dirk Caspary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using hardmasks
US7902074B2 (en) * 2006-04-07 2011-03-08 Micron Technology, Inc. Simplified pitch doubling process flow
US8003310B2 (en) 2006-04-24 2011-08-23 Micron Technology, Inc. Masking techniques and templates for dense semiconductor fabrication
US7488685B2 (en) 2006-04-25 2009-02-10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improving 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of integrated circuit arrays
US7795149B2 (en) * 2006-06-01 2010-09-14 Micron Technology, Inc. Masking techniques and contact imprint reticles for dense semiconductor fabrication
US7723009B2 (en) 2006-06-02 2010-05-25 Micron Technology, Inc. Topography based patterning
US8852851B2 (en) 2006-07-10 2014-10-07 Micron Technology, Inc. Pitch reduction technology using alternating spacer depositions during the form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s including same
US7611980B2 (en) 2006-08-30 2009-11-03 Micron Technology, Inc. Single spacer process for multiplying pitch by a factor greater than two and related intermediate IC structures
US7790357B2 (en) * 2006-09-12 2010-09-07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of forming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US7666578B2 (en) 2006-09-14 2010-02-23 Micron Technology, Inc. Efficient pitch multiplication process
KR100780652B1 (ko) * 2006-12-27 2007-1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7867912B2 (en) * 2007-02-20 2011-01-11 Qimonda Ag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tructures
KR100817089B1 (ko) * 2007-02-28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패터닝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US7923373B2 (en) 2007-06-04 2011-04-12 Micron Technology, Inc. Pitch multiplication using self-assembling materials
US20090011370A1 (en) * 2007-06-11 2009-01-08 Hiroko Nakamura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wo layers of resist patterns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US8563229B2 (en) 2007-07-31 2013-10-22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with mask overlay on pitch multiplied features and associated structures
US8021933B2 (en) * 2007-08-29 2011-09-20 Qimonda Ag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structures arranged at different densitie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914289B1 (ko) * 2007-10-26 2009-08-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페이서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US7737039B2 (en) 2007-11-01 2010-06-15 Micron Technology, Inc. Spacer process for on pitch contacts and related structures
US7659208B2 (en) 2007-12-06 2010-02-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high density patterns
US7790531B2 (en) * 2007-12-18 2010-09-0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isolating portions of a loop of pitch-multiplied material and related structures
KR100924193B1 (ko) * 2007-12-24 2009-10-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8030218B2 (en) 2008-03-21 2011-10-0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selectively modifying spacing between pitch multiplied structures
US7989307B2 (en) 2008-05-05 2011-08-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isolated active areas, trenches, and conductive lines in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structures including the same
US10151981B2 (en) 2008-05-22 2018-12-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structures supported by semiconductor substrates
WO2009150870A1 (ja) * 2008-06-13 2009-12-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076208B2 (en) * 2008-07-03 2011-12-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transistor with high breakdown voltage using pitch multiplication technique
US8492282B2 (en) * 2008-11-24 2013-07-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masking pattern for integrated circuits
US8796155B2 (en) 2008-12-04 2014-08-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247302B2 (en) * 2008-12-04 2012-08-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273634B2 (en) * 2008-12-04 2012-09-2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268543B2 (en) 2009-03-23 2012-09-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patterns on substrates
US9330934B2 (en) 2009-05-18 2016-05-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patterns on substrates
JP2011061003A (ja) * 2009-09-10 2011-03-24 Elpida Memory Inc 配線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343877B2 (en) * 2009-11-09 2013-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gle ion implant to re-shape sidewall image transfer patterns
KR101105431B1 (ko) * 2010-03-29 2012-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제조 방법
KR20110135136A (ko) *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극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방법
US8455341B2 (en) * 2010-09-02 2013-06-0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features of integrated circuitry
FR2972293A1 (fr) * 2011-03-04 2012-09-07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ircuit intégré sur la formation de lignes et de tranches
US8575032B2 (en) 2011-05-05 2013-11-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US9177794B2 (en) 2012-01-13 2015-11-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patterning substrates
US8697537B2 (en) * 2012-02-01 2014-04-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patterning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8629048B1 (en) 2012-07-06 2014-01-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US20140205953A1 (en) * 2013-01-22 2014-07-2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147911B1 (ko) 2013-07-02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177797B2 (en) * 2013-12-04 2015-11-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ithography using high selectivity spacers for pitch reduction
KR20160022637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9673051B1 (en) * 2016-01-14 2017-06-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High density patterned material on integrated circuits
US10475648B1 (en) 2018-05-01 2019-11-1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pattern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11502041B2 (en) * 2020-04-22 2022-11-15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attern
US11335568B2 (en) 2020-05-12 2022-05-17 Winbond 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CN114496741B (zh) * 2020-11-12 2024-10-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388A (ja) * 2001-03-15 2002-09-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472265B1 (en) * 2000-03-09 2002-10-29 Winbond Electronics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709B2 (ja) 1994-05-10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US6110837A (en) * 1999-04-28 2000-08-29 Worldwid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rp. Method for forming a hard mask of half critical dimension
US6458538B1 (en) * 1999-12-14 2002-10-01 Ptc Therapeutics, Inc. Methods of assaying for compounds that inhibit premature translation termination and nonsense-mediated RNA decay
KR100354440B1 (ko) * 2000-12-04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패턴 형성 방법
JP3820902B2 (ja) 2001-03-27 2006-09-13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KR100476924B1 (ko) * 2002-06-14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555518B1 (ko) * 2003-09-1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게이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514B1 (ko) * 2003-12-2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US7115522B2 (en) * 2004-07-09 2006-10-0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7115525B2 (en) * 2004-09-02 2006-10-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ing pitch multiplication
US7253118B2 (en) * 2005-03-15 2007-08-07 Micron Technology, Inc. Pitch reduced patterns relative to photolithography fea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2265B1 (en) * 2000-03-09 2002-10-29 Winbond Electronics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JP2002280388A (ja) * 2001-03-15 2002-09-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6134B2 (en) 2012-02-15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ing modified rectangular mask patterns to increase reliability of contacts to electrically conductive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1880B2 (en) 2015-08-18
US20160005624A1 (en) 2016-01-07
US20050142497A1 (en) 2005-06-30
US20150017804A1 (en) 2015-01-15
US20080261156A1 (en) 2008-10-23
US20110159443A1 (en) 2011-06-30
US7914973B2 (en) 2011-03-29
KR20050066176A (ko) 2005-06-30
US8846304B2 (en) 2014-09-30
US8409787B2 (en) 2013-04-02
US20130230979A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514B1 (ko) 반도체 장치에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형성방법.
US8334211B2 (en) Process for improving 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of integrated circuit arrays
US6620715B1 (en) Method for forming sub-critical dimension structures in an integrated circuit
KR20070076793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KR100682638B1 (ko) 나이트라이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고밀도의 메모리 셀들및 작은 간격들을 형성하는 방법
US7144690B2 (en) Photolithographic methods of using a single reticle to form overlapping patterns
US6376292B1 (en) Self-aligning photolithography an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7015148B1 (en) Reduce line end pull back by exposing and etching space after mask one trim and etch
WO2005048343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density flash memory and high performance logic on a single die
KR20040025289A (ko) 고밀도 스토리지 패턴 형성방법
US7029998B2 (en) Formation method of gate electrode in a semiconductor process
KR100715600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0944344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6835653B1 (en) Method of forming adjacent hole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6797635B2 (en) Fabrication method for lines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955184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7091077B1 (en) Method of directionally trimming polysilicon width
CN115775726A (zh)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KR100613277B1 (ko) 미세 게이트 전극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57899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314738B1 (ko) 반도체소자의게이트전극형성방법
KR20000003597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106917A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라인 제조 방법
KR19980045162A (ko) 반도체장치의 배선형성방법
KR2006007636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