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86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4286B1 KR100554286B1 KR1020040003499A KR20040003499A KR100554286B1 KR 100554286 B1 KR100554286 B1 KR 100554286B1 KR 1020040003499 A KR1020040003499 A KR 1020040003499A KR 20040003499 A KR20040003499 A KR 20040003499A KR 100554286 B1 KR100554286 B1 KR 1005542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wind direction
- vane
- air conditioner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6—Filtering elements with a vertical rotation or symmetry axis mounted on tanks or reservo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공기의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는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1연결축이 마련된 제1풍향날개와, 제1풍향날개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제1풍향날개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2연결축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풍향날개와, 제1연결축과 제2연결축을 연결하며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의 회동각도가 달라지도록 제1연결축이 연결되는 부분에 장공이 형성된 연결링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풍향날개가 각기 다른 각도로 회동하기 때문에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discharged air. The air conditioner of the disclosed air conditioner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the first wind direction blade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shaft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wind direction blad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t least on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 direction vane, and a second connection shaft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nd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shaft to the second connection shaft. And a connection link having a long hole formed at a portion at which the first connection shaft is connected such that the rotation angles of the wind vane and the second wind vane are different. Such an air conditioner has an effect of vary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stream because the plurality of wind vanes operating by one driving motor rotates at different angle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의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0F: 전면패널,10: main body, 10F: front panel,
10R: 후면패널, 11: 흡입구,10R: rear panel, 11: inlet,
12: 토출구, 20: 풍향조절장치,12: discharge port, 20: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21: 제1풍향날개, 21a: 제1연결축,21: first wind vane, 21a: first connecting shaft,
22: 제2풍향날개, 22a: 제2연결축,22: second wind vane, 22a: second connecting shaft,
23: 연결링크, 24,30: 구동모터,23: connecting link, 24,30: drive motor,
25: 장공, 26a,26b,31a,31b: 스토퍼.25: long hole, 26a, 26b, 31a, 31b: stopp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vary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그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공간으로 송풍하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한다. 또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 the room, and a discharge port for blowing air heat-exchanged therein back to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the airflow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er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to guide the discharged air in various directions.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는 토출구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풍향날개와, 복수의 풍향날개 중 어느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풍향날개가 회전을 할 때 다른 풍향날개들이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각 풍향날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로 구성된다. The air conditioner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plurality of wind direction vanes rotatably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nd direction vanes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and an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wind vane is rotated by the other wind vane to rotate together when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link connecting each wind van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 동작에 의해 연결링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풍향날개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풍향날개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모두 동일하여 토출기류를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nd direction blades inter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link are rotated at the same angle by one driving motor operatio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guided through each wind direction wing is all Similarly, there was a drawback that it was difficult to control the discharge airflow in various direction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 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풍향날개가 각기 다른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lurality of wind vane operating by one drive motor to be rotated at different angles to vary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조절을 위해 토출구에 장착되는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1연결축이 마련된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1풍향날개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풍향날개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2연결축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풍향날개와,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축을 연결하며 상기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의 회동각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제1연결축이 연결되는 부분에 장공이 형성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i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mounted to the discharge port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and rotated in the discharge port A first wind van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shaft at a position spaced from a center,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wind vane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and rotatably install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 vane At least on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having a second connection shaft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center, and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shaft and the second connection shaft to have different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wind direction blad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link formed with a long hole in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또한 상기 장공은 그 길이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연결링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in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풍향날개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제2풍향날개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wind direction wing.
또한 상기 제2풍향날개의 회전축은 자유회전이 제한될 수 있는 정도의 회전저항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wind va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have a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egree that free rotation can be limi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조절을 위해 토출구 에 장착되는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1연결축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풍향날개와, 상기 제1풍향날개와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제2연결축이 마련된 제2풍향날개와, 상기 제2풍향날개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축을 연결하며 상기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의 회동각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제1연결축이 연결되는 부분에 장공이 형성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mounted to the discharge port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At least one first wind van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shaft, a second wind vane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ind vane, and a second wind van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The first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ind direction blad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blade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shaft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link formed in the long hole in the portion to be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대부분과 상단에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토출구(12)가 형성된 전면패널(10F)과, 전면패널(10F)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후면이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후면패널(10R)을 구비한다.1 and 2,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면패널(10F)의 흡입구(11) 내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열교환기(13)가 설치되고, 열교환기(13)의 후방에 실내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팬(14)이 설치된다. 또 하측의 토출구(12)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20)가 설치된다.Inside the
토출구(12)의 풍향조절장치(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풍향날개(21)와 제2풍향날개(22), 두 풍향날개(21,22)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3), 그리고 두 풍향날개(21,22) 중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wind
제1풍향날개(21)와 제2풍향날개(22)는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구비한 상태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는 회전축(21a,22a)이 토출구(12)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4)는 제1풍향날개(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풍향날개(21)의 어느 한쪽 회전축(21a)에 연결된다. The
또 제1풍향날개(21)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21a)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연결축(21b)이 마련되고, 동일한 형태로 제2풍향날개(22)의 일측 단부에도 회전축(22a)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2연결축(22b)이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링크(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제1연결축(21b)과 제2연결축(22b)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연결링크(23)가 결합되는 제1연결축(21b)과 제2연결축(22b)에는 연결링크(23)의 이탈방지를 위한 스냅링(21c,22c)이 각각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모터(24)의 동작에 의해 제1풍향날개(2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풍향날개(21)의 회전력이 연결링크(23)를 통해 제2풍향날개(22)에 전달됨으로써 제2풍향날개(22)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또한 연결링크(23)는 제1풍향날개(21)의 제1연결축(21b)과 결합되는 부분에 소정각도로 굴절된 상태에서 연장된 굴절연장부(23a)를 구비하며, 이 굴절연장부(23a)에는 제1연결축(21b)이 결합되어 소정구간 움직일 수 있도록 굴절연장부(23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25)이 형성된다. 이때 장공(25)은 그 길이방향의 중심선이 연결링크(2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θ3)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풍향날개(21)가 회전을 할 때 제1연결축(21b)이 장공(25)의 길이 범위 내에서 소정구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24)의 동작에 의해 직접 회전을 하는 제1풍향날개(21)의 회전각도(θ1,회전범위)가 제2풍향날개(22)의 회전각도(θ2)에 비하여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1풍향날개(21)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토출방향과 제2풍향날개(22)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달라지도록 하여 토출기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링크(23)의 길이방향에 대한 장공(25)의 길이방향 중심선의 각도(θ3)가 30 ~ 60 범위 내의 예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연결링크(23)의 길이방향에 대한 장공(25)의 중심선 각도(θ3)가 90 에 가까울 경우 제1연결축(21b)이 장공(25)의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풍향날개(21)의 회전이 이루어져 두 풍향날개(21,22)의 회전 각도를 다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장공(25)의 중심선이 연결링크(23)의 길이방향과 일치할 경우 제1풍향날개(21)의 회동에 의해 제1연결축(21b)이 장공(25)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 제2풍향날개(22)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또한 제2풍향날개(22)의 힌지축(22a)이 결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위치의 양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풍향날개(22)의 회동각도(θ2)가 제1풍향날개(21)의 회동각도(θ1)보다 작아질 수 있도록 제2풍향날개(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6a,26b)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2풍향날개(22)의 회전축(22a)은 구동모터(24)의 동작에 의해서만 회전을 하도록 하고 자체의 자유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정도의 회전저항을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풍향날개(22)의 회전축(22a)이 결합되는 부분에 소정의 마찰저항을 유발하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된 마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rotation angle θ2 of the
다음은 이러한 풍향조절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verall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with such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송풍팬(14)이 구동되면 전면패널(10F)의 흡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송풍팬(14) 쪽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송풍팬(14)을 통해 토출구(12) 쪽으로 송풍되며,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풍향조절장치(20)의 동작에 의해 실내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로 안내된다.When the
풍향조절장치(20)는 구동모터(24)의 동작에 의해 제1풍향날개(2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링크(23)를 통해 연결된 제2풍향날개(22)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한다. 이때 제1풍향날개(21)의 제1연결축(21b)은 연결링크(23)의 장공(25) 내에서 소정구간 이동을 하게 되므로 제2풍향날개(22)의 회동각도(θ2)가 제1풍향날개(21)의 회동각도(θ1)에 비하여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풍향날개(21)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토출방향과 제2풍향날개(22)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달라지므로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 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24)를 통해 두 풍향날개(21,22)를 회전시키면서도 두 풍향날개(21,22)의 회동각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화 할 수 있다.Wi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풍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구동모터(30)가 제2풍향날개(22)의 회전축(22a)에 결합되고 제1풍향날개(21)의 양측에 스토퍼(31a,31b)가 설치된 경우를 보인 것이다. 이때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구동모터(30)의 동작에 의해 직접 회전하는 제2풍향날개(22)의 회동각도(θ4)가 제1풍향날개(21)의 회동각도(θ5)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화 할 수 있다.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풍향조절장치의 제1풍향날개와 제2풍향날개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면서도 각기 다른 각도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기류의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wind direction blad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wing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can be rotated at different angles while being operated by one driving motor,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vari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3499A KR100554286B1 (en) | 2004-01-17 | 2004-01-17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3499A KR100554286B1 (en) | 2004-01-17 | 2004-01-17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5832A KR20050075832A (en) | 2005-07-22 |
KR100554286B1 true KR100554286B1 (en) | 2006-02-24 |
Family
ID=3726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34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4286B1 (en) | 2004-01-17 | 2004-01-17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428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5903A (en) * | 2020-05-04 | 2022-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33261A1 (en) | 2015-02-18 | 2016-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JP2016153717A (en) | 2015-02-18 | 2016-08-25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Ceiling embedded type in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
KR102392956B1 (en) * | 2017-09-06 | 2022-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2053148B1 (en) * | 2018-04-03 | 2019-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N110319568B (en) * | 2019-08-09 | 2024-06-25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
2004
- 2004-01-17 KR KR1020040003499A patent/KR1005542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5903A (en) * | 2020-05-04 | 2022-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KR102706902B1 (en) * | 2020-05-04 | 2024-09-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5832A (en) | 2005-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08931C (en) | air conditioner | |
KR20120022248A (en) | Air conditioner | |
KR101085903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102025993B1 (en)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
KR100428689B1 (en) | Diagonal flow air jet fan | |
KR100554286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50004991A (en) | Wind adjusting apparatus | |
CN212005946U (en) | A cabinet air conditioner | |
KR0168254B1 (en) | Opening Angle Control Device of Automatic Suction Grill | |
KR101166375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131085B2 (en) |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
KR100512679B1 (en) | Air conditioner | |
CN111735188B (en) | Air outlet device and mobile air conditioner | |
KR102336631B1 (en) | Air-conditioner | |
JP2008138957A (en) |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therewith | |
JP4766168B2 (en) | Air conditioner | |
KR20190027273A (en) | Air Conditioner | |
KR20020063129A (en) |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 |
KR20220020209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100423978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45407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451313B1 (en) | Air Conditioner | |
CN223121519U (en) | Air conditioner | |
US12181174B2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JP2015169403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