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93B1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Stand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5993B1 KR102025993B1 KR1020170179644A KR20170179644A KR102025993B1 KR 102025993 B1 KR102025993 B1 KR 102025993B1 KR 1020170179644 A KR1020170179644 A KR 1020170179644A KR 20170179644 A KR20170179644 A KR 20170179644A KR 102025993 B1 KR102025993 B1 KR 102025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fan
- motor
- air conditioner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킨 후 토출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스탠드형 본체, 및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구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 및 상기 팬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type air conditioner,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spaced up and down and discharged after cooling the suctioned air and discharged after cooling the sucked air And a plurality of blowers install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o discharge the cooled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each of the plurality of blowers rotating to face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 fan coupled to each other, a blowing motor for rotating the fan, and a rotating unit rotating the blowing motor and the fan in a conical direction to rotate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ed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 공기의 토출 방향이 회전하여 균일한 냉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토출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capable of uniform cooling by rota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and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d the angle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 heats an air or purifies the air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refrigeran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user.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데,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실내 공간에 세워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그리고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이 소개되어 있다. These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type, such as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wall,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ceiling.
도 1은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conventional stand type air condition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는 본체(2)와, 본체(2)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3), 본체(2)를 따라 승강하며 공기를 토출하는 전면토출구(8)가 형성된 승강유닛(7)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tand
본체(2)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a, 4b)가 구비되며, 이 흡입구(4a, 4b)는 베인(5a, 5b)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베인(5a, 5b)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토출구(6a, 6b)가 더 구비되어, 본체(2)의 측면으로도 공기를 토출시켰다.The
한편,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는 본체(2)의 내부에 송풍기(미도시)가 구비되었는데, 송풍기는 흡입구(4a, 4b)를 통해 유입한 공기를 압송하여 측면토출부(6a, 6b)나 전방토출부(8)를 통해 냉각 공기를 토출시켰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and-type air conditioner (1) was provided with a blower (not shown) inside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는 본체의 상부 및 측면을 통해 토출구(예: 전면토출구(8), 측면토출구(6a, 6b) 등)가 구비되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모터 구동되는 안내 깃 등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
다만, 보다 정밀하게 송풍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토출구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깃과 각도 조절 모터가 더 사용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비용 증가의 문제가 따를 수 있다. However, in order to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more precisely, at least one guide vane and an angle control motor should be used for each discharge port, and thus, the structure of the devic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blem of cost increase may follow.
나아가, 이와 같은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의 경우, 본체(2)의 전방 및 본체(2)와 가까운 위치에서 유동의 사각영역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and-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49692호(2012.05.17.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공기조화기용 송풍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Related prior art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9692 (2012.05.17. Publication Date), the prior art discloses a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공기의 토출 방향이 회전하여 균일한 냉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토출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be cooled evenly by rota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and the discharge direction and angle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킨 후 토출하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스탠드형 본체, 및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구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 및 상기 팬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shaped main body having a suction inlet for sucking the outside air,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spaced up and down and cooled and discharged after the suctioned air,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 plurality of blowers install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to discharge the air cooled through the plurality of blower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wers includes a fan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blowing motor, and rotating the blowing motor and the fan in the conical direction to rotat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ed air.
이때,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을 통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at both sides through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기 본체의 내부유로를 경사지게 가로막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heat exchanger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obliquely block an internal flow path of th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blowers. Can be.
또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의 후방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nd the filter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inlet.
또한,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팬과 대면하여 설치되며,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토출그릴을 더 포함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blowers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rill installed to face the fan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compressed by the fan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팬에 연동하여 원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grill may rotate in the con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an.
또한, 상기 팬은,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해 회전 축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fan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and a hu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e blower moto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through a center of the hub.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송풍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방향변환모터, 상기 방향변환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풍모터를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피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송풍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터의 원추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힌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unit, the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wing motor, the housing is fixed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the direction change motor provided on the top of the housing to rotate, provided from the direction conversion motor A spinner for rotating the blower motor in a conical direction by using a rotational force, and a hinge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lower motor to enable conical rotation of the blower moto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킨 후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스탠드형 본체,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 및 상기 팬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type body having an inlet for inhaling the outside air, a discharge port for cooling the discharged air and then discharged, and discharges the coole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blower installed to rotate the fan, the blower being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discharge port, a blower motor for rotating the fan, and cooled by rotating the blower motor and the fan in a conical direction. It includes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본 발명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냉각 공기의 토출 방향이 회전하여 균일한 냉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토출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본체의 상부 및 측면을 통해 토출구(예: 전면토출구, 측면토출구 등)가 구비되며, 토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안내 깃 등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특히 보다 정밀하게 토출 바람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토출구마다 안내 깃과 모터를 설치하여야 했기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is rotated to allow uniform cooling, and the ejection direction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discharge port (for example, a front discharge port, a side discharge port, etc.) is provided through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collar driven by a motor is us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discharge wind. It became. In particular, in order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it was necessary to install the guide vane and the mot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was complicated, an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n increase in cost. .
나아가, 본 발명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달리 유동의 사각영역이 줄어들어 본체의 전방 또는 본체의 가까운 위치에서도 균일한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tand type air conditioner, the rectangular area of the flow is reduc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iform cooling performance can be ensured even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or near the main body.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pecific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스탠드형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회전유닛과 송풍모터 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터의 원추 방향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에 의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송풍방향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stand-typ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 front view briefly showing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ief blower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ry unit and the blower motor constituting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ical rotation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by the blower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blowing direction control function using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briefly illustrating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000)는 본체(600)와 복수의 송풍장치(100, 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송풍장치(100, 100′) 각각은 팬(200, 도 3 참조), 송풍모터(300, 도 3 참조), 회전유닛(400, 도 3 참조), 토출그릴(500,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2 and 3, the stand
본체(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상하로 세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1000)의 케이스를 말한다. 따라서, 도시된 본체(60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The
본체(600)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흡입구(610)는 본체(600)의 하단을 통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610)를 통해 실내의 공기는 본체(6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때 필요한 공기의 흡입력은 후술할 팬(200, 도 3 참조)의 회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한편, 본체(60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620, 도 3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heat exchanger 620 (see FIG. 3)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이러한 열교환기(620, 도 3 참조)는 본체(600)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heat exchanger 620 (refer to FIG. 3) serves to cool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s 610 (refer to FIG. 2) provided at both lower ends of the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620, 도 3 참조)는 흡입구(610, 도 2 참조)와 후술할 송풍장치(100, 100′) 사이에 마련된 본체(600)의 내부유로(630, 도 3 참조)를 경사지게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열교환기(620, 도 3 참조)는 본체(600)의 하단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r 620 (see FIG. 3) is an internal flow path 630 (see FIG. 3)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620, 도 3 참조)를 통과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냉각되며, 냉각된 공기는 내부유로(630, 도 3 참조)를 따라 본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냉각된 공기는 송풍장치(100, 100′)에 의해 압송되어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As su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610 (see FIG. 2)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620 (see FIG. 3) and is cooled to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and the cooled air passes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000)는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해 본체(6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
이러한 필터(미도시)는 흡입구(610, 도 2 참조)의 후방에 밀착 배치되어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과하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Such a filter (not shown)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inlet 610 (see FIG. 2) and serves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let 610 (see FIG. 2).
또한, 본체(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650, 650′)가 구비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러한 토출구(650, 650′)는 본체(600)의 상단을 통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체(600)에 2개의 토출구(650, 650′)가 형성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1000, 도 2 참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본체(600)에 구비된 2개의 토출구(650, 650′)에는 2개의 송풍장치(100, 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송풍장치(100, 100′)는 본체(600)의 내부유로(630)를 타고 유동하는 냉각된 공기를 2개의 토출구(650, 650′)를 통해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Two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송풍장치(10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2개의 송풍장치(100, 100′) 중 하나의 송풍장치(100)를 확대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ower of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one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00)는 팬(200), 송풍모터(300), 회전유닛(400)을 포함하며 본체(600)에 마련된 토출구(650, 도 2 참조)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the
특히, 송풍장치(100)는 팬(200)과 대면하여 설치되며 팬(200)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토출구(650, 도 2 참조)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토출그릴(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팬(200)은 본체(600)의 전면을 통해 형성된 원형 홀 형상의 토출구(650, 도 2 참조)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이러한 팬(200)은 전술한 흡입구(610, 도 2 참조), 필터(미도시), 열교환기(620, 도 3 참조)를 거쳐 냉각된 공기를 압송하여, 토출그릴(500)을 통해 본체(600)의 외부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The
예컨대, 팬(200)은 다수의 블레이드(210)와 다수의 블레이드(210)를 중앙에서 고정하는 허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한편, 팬(200)은 송풍모터(3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이를 위해 송풍모터(300)의 회전 축(310)은 팬(200)의 허브(220)에 마련된 축 체결 홈(22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송풍모터(300)는 팬(200)을 회전시키도록 팬(20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lowing
회전유닛(400)은 송풍모터(300)와 팬(200)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회전유닛(400)은 송풍모터(300)와 팬(200)을 원추 방향(도 6의 R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그 결과 토출그릴(500)을 통해 토출되는 냉각 공기의 송풍 방향은 360도로 회전 가능해질 수 있다. 회전유닛(40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토출그릴(500)은 본체(600)에 마련된 토출구(650, 도 2 참조)를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데, 원형의 그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토출그릴(500)의 외측에는 슈라우드(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이러한 토출그릴(500)은 팬(200)과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토출그릴(500)은 팬(200)과 송풍모터(300)의 원추 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다만, 이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팬(200)과 송풍모터(300)가 회전유닛(400)에 의해 원추 방향으로 회전하고, 토출그릴(500)은 팬(200)과 간격을 두고 위치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로서, 토출그릴(500)만이 회전하는 형태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회전유닛과 송풍모터 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터의 원추 방향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ry unit and the blower motor constituting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ical rotation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유닛(400)은 팬(200, 도 4 참조)과 회전 축(310)을 통해 연결된 송풍모터(300)를 원추 방향(도 6의 R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유닛(400)은 하우징(410), 방향변환모터(420), 스피너(430), 그리고 힌지(440)를 포함한다. 5 and 6, the
회전유닛(400)의 하우징(410)은 송풍모터(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본체(600, 도 4 참조)의 후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는 회전유닛(400)의 하우징(410)은 송풍모터(300)의 후단 일부(즉, 회전 축(310)의 반대 편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수용 홈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회전유닛(400)의 방향변환모터(420)는 하우징(410)의 중앙, 즉 하우징(410)에 마련된 수용 홈의 중앙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회전 방향 및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회전유닛(400)의 스피너(430)는 방향변환모터(420)와 송풍모터(300)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며, 방향변환모터(420)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송풍모터(300)(및 팬(200, 도 4 참조))를 원추 방향(도 6의 R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회전유닛(400)의 힌지(440)는 하우징(410)의 수용 홈 둘레 부위와 송풍모터(300)의 측면 부위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송풍모터(300)가 2자유도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여 원추 방향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터(300)는 회전유닛(400)에 의해 원추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이때, 팬(200, 도 4 참조)과, 송풍모터(300, 도 4 참조)는 회전유닛(400)의 하우징(4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스피너(430)는 방향변환모터(420)와 송풍모터(300) 사이를 연결하는데, 방향변환모터(420)의 단 방향의 회전을 이용하여 송풍모터(300)를 원추 방향(R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송풍모터(300)와 연결된 팬(200, 도 4 참조)은 원추 방향(R 방향)으로 회전하여 냉각 공기의 토출 방향을 360도로 회전시키며 균일한 냉각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an 200 (refer to FIG. 4) and the blowing motor 300 (refer to FIG. 4) are firmly supported by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의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by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100)는 송풍모터(300)의 회전력에 의해 팬(200)이 회전하면서 흡입력이 발생되며, 본체(600)의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구(610, 도 2 참조)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필터(미도시) 및 열교환기(630, 도 3 참조)를 통과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냉각된다. 한편, 냉각된 공기(a)는 본체(600)의 내부유로(630)를 따라 본체(600)의 상단으로 이동한다. 이후, 냉각된 공기(a)는 팬(200)의 회전에 의해 토출그릴(500)을 통과하여 토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한편, 회전유닛(400)의 작용에 의해 송풍모터(300)와 팬(200)은 원추 방향으로 회전하며 토출그릴(500)을 통해 냉각된 공기(a)를 토출하는 방향을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공기의 균일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the action of the
이때, 사용자가 회전유닛(400), 더 구체적으로는 방향변환모터(420)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할 경우 냉방이 필요한 위치에 집중적인 냉방을 실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angle and rotation speed of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송풍방향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blowing direction control function using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체(600)의 우측 방향(즉, 도 8의 좌측 방향)으로 냉각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동작 구현 예를 보여준다. 이때, 복수의 송풍장치(100, 100′)를 동시에 본체(600)의 우측 방향(즉, 도 8의 좌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줌으로써, 해당 영역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n operation implementation example of intensively discharging air cooled in a r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600 (that is, in a left direction of FIG. 8)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이와 반대로, 도 9를 참조하면, 본체(600)의 좌측 방향(즉, 도 9의 우측 방향)으로 냉각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동작 구현 예를 보여준다. 이때, 복수의 송풍장치(100, 100′)를 동시에 본체(600)의 좌측 방향(즉, 도 9의 우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줌으로써, 해당 영역에 대한 집중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referring to FIG. 9,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operation for intensively discharging air cooled in the left direction (ie, the right direction of FIG. 9)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냉각 공기의 토출 방향이 회전하여 균일한 냉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토출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cooling air is rotated to allow uniform cooling, and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that the ejection direction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본체의 상부 및 측면을 통해 토출구(예: 전면토출구, 측면토출구 등)가 구비되며, 토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안내 깃 등이 추가로 사용되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discharge port (for example, a front discharge port, a side discharge port, etc.) is provided through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collar driven by a motor is us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discharge wind. It became.
특히 보다 정밀하게 토출 바람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토출구마다 안내 깃과 모터를 설치하여야 했기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wind, it was necessary to install the guide vane and the mot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was complicated, an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n increase in cost. .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종래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달리 유동의 사각영역이 줄어들어 본체의 전방 또는 본체의 가까운 위치에서도 균일한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tand-type air conditioner, the rectangular area of the flow is reduc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of ensuring uniform cooling performance in front of or near the main bod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is also to be recognized.
1000: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100, 100′: 송풍장치
200: 팬
210: 블레이드
220: 허브
221: 축 체결 홈
300: 송풍모터
310: 회전 축
400: 회전유닛
410: 하우징
420: 방향변환모터
430: 스피너
440: 힌지
500: 토출그릴
510: 슈라우드
600: 본체
610: 흡입구
620: 열교환기
630: 내부유로1000: stand type air conditioner
100, 100 ′: Blower
200: fan
210: blade
220: hub
221: shaft fastening groove
300: blown motor
310: axis of rotation
400: rotating unit
410: housing
420: direction change motor
430: spinner
440: hinge
500: discharge grill
510: shroud
600: main body
610: inlet
620: heat exchanger
630: internal flow path
Claims (12)
상기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구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 및 상기 팬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송풍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방향변환모터;
상기 방향변환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풍모터를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피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송풍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터의 원추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A stand-type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outside ai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oling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And
And a plurality of blowers install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o discharge the cooled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Each of the plurality of blowers includes a fan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 blowing motor for rotating the fan; And
And a rotating unit rotating the blowing motor and the fan in a conical direction to rotate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ed air.
The rotating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wer motor, the housing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direction change mot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to rotate;
A spinner for rotating the blower motor in a conical direction by using a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irection change motor; And
And a hinge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lower motor to enable rotation of the blower motor in a conical direction.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을 통해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port,
It is formed on both sid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body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사이에 마련된 상기 본체의 내부유로를 경사지게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he heat exchanger,
It is arranged to obliquely block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blowers.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Stand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상기 복수의 송풍장치 각각은,
상기 팬과 대면하여 설치되며,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토출그릴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lowers,
And a discharge grill installed to face the fan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compressed by the fan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팬에 연동하여 원추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charge grill is rotated in the con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an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팬은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해 회전 축이 고정 결합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n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and a hu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ades,
The blower motor is fixed to the rotation axi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토출구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구에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 및 상기 팬을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송풍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방향변환모터;
상기 방향변환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풍모터를 원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피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송풍모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터의 원추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힌지;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A stand-type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external air and a discharge port for cooling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And
And a blower installed to discharge the coole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blower includes a fan rotatably coupled to face the discharge port;
A blowing motor for rotating the fan; And
And a rotating unit rotating the blowing motor and the fan in a conical direction to rotate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oled air.
The rotating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wer motor, the housing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direction change mot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to rotate;
A spinner for rotating the blower motor in a conical direction by using a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irection change motor; And
And a hinge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lower motor to enable rotation of the blower motor in a conical direction.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팬과 대면하여 설치되며,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마련된 토출그릴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blower is,
And a discharge grill installed to face the fan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compressed by the fan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팬은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해 회전 축이 고정 결합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fan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and a hub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ades,
The blower motor is fixed to the rotation axi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Stand type air conditio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644A KR102025993B1 (en) | 2017-12-26 | 2017-12-26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644A KR102025993B1 (en) | 2017-12-26 | 2017-12-26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003A KR20190078003A (en) | 2019-07-04 |
KR102025993B1 true KR102025993B1 (en) | 2019-09-26 |
Family
ID=6725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644A Active KR102025993B1 (en) | 2017-12-26 | 2017-12-26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59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23957A4 (en) | 2019-12-06 | 2023-03-01 |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 HEAT EXCHANGE DEVICE AND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
WO2021110145A1 (en) * | 2019-12-06 | 2021-06-10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Heat exchange device and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
CN114484596A (en) * | 2020-11-12 | 2022-05-1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CN112628866A (en) * | 2021-01-12 | 2021-04-09 | 滁州学院 | Air conditioner shell convenient to air conditioner air inlet area is adjusted |
CN115540306A (en) * | 2022-09-15 | 2022-12-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supply structure,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4717A (en) * | 1995-06-27 | 1997-01-17 | Sekisui Chem Co Ltd | Air direction changing air supplying device |
KR20140028191A (en) * | 2012-08-24 | 2014-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KR102379983B1 (en) * | 2014-08-04 | 2022-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644A patent/KR10202599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003A (en)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5993B1 (en)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
CN111630323B (en) | air conditioner | |
KR102541386B1 (en) | Air Conditional | |
KR101346834B1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US20160108928A1 (en) |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20040101528A (en) |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 |
CN105090073A (en) | Blower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102058064B1 (en) | Airconditioner | |
KR20190026325A (en) | Air conditioner | |
TWI654377B (en) | Air conditioner | |
US6343484B1 (en) | Air blow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KR101901303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80037514A (en) | An air conditioner | |
CN105805026A (en) | Air supply device | |
KR20230069898A (en) | Air Conditional | |
KR102029556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100714591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20080062890A (en) | Air conditioner | |
KR100331817B1 (en) |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
KR20050047623A (en) | Air conditioner | |
KR100714592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100925585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10252185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058859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50101773A (en) | Brower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