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4491B1 -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491B1
KR100544491B1 KR1020040024214A KR20040024214A KR100544491B1 KR 100544491 B1 KR100544491 B1 KR 100544491B1 KR 1020040024214 A KR1020040024214 A KR 1020040024214A KR 20040024214 A KR20040024214 A KR 20040024214A KR 100544491 B1 KR100544491 B1 KR 10054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ipeline
water
drinking water
dete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691A (ko
Inventor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주)아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테크 filed Critical (주)아산테크
Priority to KR102004002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4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4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concrete reinforcement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내부 일측 또는 커버(20)에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센서(30)와,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과, 상기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30)의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a piping cleaning apparatus having water polluting sensing function}
도 1은 종래 관로세척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로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바디 20. 커버
30. 센서 40. 제어부
본 발명은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공장 등의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에 다수개의 관로가 매설된다. 이러한 관로의 내부에는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생성되거나 공사중에 유입되어, 주기적으로(3년 또는 5년) 이러한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관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관로상에 관로세척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이 관로세척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관로를 세척하게 된다. 즉, 도 1의 관로세척장치는 그 양단부가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설치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관로세척장치는 관로(5)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어, 일측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로 탄성피그(1)를 투입하여, 압축공기나 가압수에 의해 피그(1)를 타측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로 추진시켜 배출함으로써, 관로(5)의 내부에 쌓인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주기적인 세척작업을 통해 관로(5)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 하더라도, 이러한 세척 작업이 수년에 1회 정도 실시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신설 또는 노후 관로(5)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발생되어, 이 이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로(5) 부설후나 청소후 관로(5)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 작업이 행해지지 않더라도 물이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을 즉시 발견함으로써,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래도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탁도를 감지하여 물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즉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내부 일측 또는 커버(20)에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 정하도록 된 센서(30)와,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과, 상기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30)의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 또는 녹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탁도감지센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5)의 하측 둘레부에는 드레인밸브(50)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밸브(50)와 제수변(35)은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계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관로세척장치는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와 동일 하며, 상기 커버(20)에는 센서(3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15)의 단부에는 제수변(35)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30)에는 제어부(40)가 연결된다.
상기 센서(30)는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설치된 커버(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관로(5)로 공급되는 물에 접촉된다. 이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과 같은 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탁도감지센서(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탁도감지센서(30)로서, 상기 관로(5)로 공급되는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이물질 측정 신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센서(30)는 광센서(30)나 물의 PH 측정 센서(30)와 같이, 물의 오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30)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0)는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센서(30)의 이물질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이 제어부(4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수변(35)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30)의 측정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수변(35)을 폐쇄하여, 상기 관로(5)의 오염된 물이 수용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센서(3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가 센서(30)의 이물질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이렇게 수신된 센서(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40)가 명령을 내려, 상기 제수변(35)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로 공급되지 않 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5)의 하측 둘레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별도의 드레인밸브(50)가 설치되고, 이 드레인밸브(50)는 상기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30)에 의해 관로(5)의 물이 슬러지나 녹 등의 이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의해 제수변(35)이 폐쇄됨과 동시에 드레인밸브(50)가 개방되면서 오염된 물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수변(35)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니라, 수동 개폐식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40)에는 별도로 경보수단(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30)에 의해 물이 오염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55)에서 경보가 발생되어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출동하여 제수변(35)을 잠그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55)은 관리실에 연결된 전화벨이나 경보벨 또는 경보등과 같이 경보 신호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는 관로에 대한 주기적인 관리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시기라도,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내부 일측 또는 커버(20)에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센서(30)와,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과, 상기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30)의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 또는 녹의 농도를 측정하는 탁도감지센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하측 둘레부에는 드레인밸브(50)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밸브(50)와 제수변(35)은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KR1020040024214A 2004-04-08 2004-04-08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14A KR100544491B1 (ko) 2004-04-08 2004-04-08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14A KR100544491B1 (ko) 2004-04-08 2004-04-08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91A KR20050098691A (ko) 2005-10-12
KR100544491B1 true KR100544491B1 (ko) 2006-01-23

Family

ID=3727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491B1 (ko) 2004-04-08 2004-04-08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229A (ko) * 2008-03-05 2009-09-09 이현철 물 소독용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청소장치 및 이를이용한 물 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30B1 (ko) * 2008-06-05 2011-03-09 (주)아산테크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2174B1 (ko) * 2009-03-10 2011-06-20 김도경 관로세척장치
KR101042175B1 (ko) * 2009-03-10 2011-06-20 김도경 원통형 관로세척장치
KR101045111B1 (ko) * 2010-05-27 2011-06-30 (주)경동기술공사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CN116000214B (zh) * 2023-03-27 2023-08-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青县供电公司 电力电缆定距裁切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229A (ko) * 2008-03-05 2009-09-09 이현철 물 소독용 자외선램프가 삽입되는 석영관청소장치 및 이를이용한 물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91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700B1 (ko)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US10590640B2 (en) Automated plumbing system sensor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859669B1 (ko) 산업단지형 초기우수와 사고 유출수 분류시스템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638098B1 (ko)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US20120111799A1 (en)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water in a potable water network
JP6821690B2 (ja) 建築物用又は船舶用の真空式下水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US7362230B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KR100544491B1 (ko)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KR101864391B1 (ko) 하수관거의 자동모니터링 시스템
US20060085930A1 (en) Pipe cleaning tool
KR101979543B1 (ko) 하수관로 오염 감시 시스템
US20070063856A1 (en) Monitoring system for drain pipes and plumbing fixtures
KR101814743B1 (ko) 하수관거의 모니터링 데이터 구축 시스템
JP4637560B2 (ja) 下水道の水質監視装置
KR101151175B1 (ko) 배수 여과 장치
KR20110005582A (ko) 관로에 흐르는 수질을 계측하기 위한 안정적인 장치
KR101449989B1 (ko)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KR101555339B1 (ko) 유류저장시설에서 유출된 유류의 처리장치
KR20070060948A (ko) 3-way 수질 제어 밸브
KR100803700B1 (ko) 우수토실 감시경보시스템
RU2439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екущего контроля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и/или аэрации
KR102748045B1 (ko) 세차장 수처리시설 및 그 수처리방법
KR200289570Y1 (ko) 슬러지 계면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