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491B1 -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4491B1 KR100544491B1 KR1020040024214A KR20040024214A KR100544491B1 KR 100544491 B1 KR100544491 B1 KR 100544491B1 KR 1020040024214 A KR1020040024214 A KR 1020040024214A KR 20040024214 A KR20040024214 A KR 20040024214A KR 100544491 B1 KR100544491 B1 KR 100544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pipeline
- water
- drinking water
- detection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894 drinking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0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concrete reinforcement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having a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that can immediately detect the contamination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line to manage the pipe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내부 일측 또는 커버(20)에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센서(30)와,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과, 상기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30)의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bular body 15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a pipeline 5 embedded in the ground and having a pig inlet and outlet 12 formed thereon, and a pig inlet and outlet 12 of the body 15 ar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ipe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cover 20, the sensor 30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cover 20 of the body 15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contained in the water (30) And a dilution valve 35 provided at an end of the body 15 and a controller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30 to receive a concentration measurement signal of the sensor 30. Provided is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having a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관로세척장치의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ipeline wash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로세척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 바디 20. 커버15.
30. 센서 40. 제어부30.
본 발명은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having a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having a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capable of managing a pipeline by immediately detecting whether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eline is contaminat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공장 등의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에 다수개의 관로가 매설된다. 이러한 관로의 내부에는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생성되거나 공사중에 유입되어, 주기적으로(3년 또는 5년) 이러한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관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In general, a plurality of pipelines are buried in the ground to supply water to customers such as apartment houses or factories. In such pipelin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and rust are generated or introduced during construction, and the maintenance work to clean and remove these pollutants periodically (3 or 5 years) should be performed.
이에 따라, 관로상에 관로세척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이 관로세척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관로를 세척하게 된다. 즉, 도 1의 관로세척장치는 그 양단부가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설치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관로세척장치는 관로(5)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어, 일측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로 탄성피그(1)를 투입하여, 압축공기나 가압수에 의해 피그(1)를 타측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로 추진시켜 배출함으로써, 관로(5)의 내부에 쌓인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Accordingly, by separately installing a pipe washing apparatus on the pipe, the pipe washing apparatus periodically cleans the pipe. That is, in the pipe washing apparatus of FIG. 1, a
그런데, 종래에는 주기적인 세척작업을 통해 관로(5)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 하더라도, 이러한 세척 작업이 수년에 1회 정도 실시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신설 또는 노후 관로(5)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발생되어, 이 이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conventionally, even if the foreign matter in the pipeline 5 is removed through periodic cleaning operations, since such cleaning operations are carried out about once a few years, in the new or old pipeline 5 in which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When foreign matter is generated and the water is contaminated by the foreign mat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lut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nsumer as it is.
따라서, 관로(5) 부설후나 청소후 관로(5)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 작업이 행해지지 않더라도 물이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을 즉시 발견함으로써,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래도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even if periodic cleaning is not performed after laying the pipe 5 or after cleaning, the water is immediately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or rust, so that contaminated water is still supplied to the custome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way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탁도를 감지하여 물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즉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urbidity of water supplied through a conduit so that the water can be immediately detected whether or not the water has exceeded the pollution standard, and thus contaminated wa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line wash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from being supplied to the consumer.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관로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15)의 내부 일측 또는 커버(20)에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 정하도록 된 센서(30)와,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과, 상기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30)의 농도 측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 또는 녹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된 탁도감지센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5)의 하측 둘레부에는 드레인밸브(50)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밸브(50)와 제수변(35)은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계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관로세척장치는 양단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5)에 연결되고 그 상면에는 피그입출구(12)가 형성된 바디(15)와, 이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구비된 커버(20)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와 동일 하며, 상기 커버(20)에는 센서(3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15)의 단부에는 제수변(35)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30)에는 제어부(40)가 연결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pipe washing device is connected to a pipe 5 which is embedded at both ends of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센서(30)는 바디(15)의 피그입출구(12)에 설치된 커버(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관로(5)로 공급되는 물에 접촉된다. 이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과 같은 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탁도감지센서(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센서(30)는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탁도감지센서(30)로서, 상기 관로(5)로 공급되는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에 이물질 측정 신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센서(30)는 광센서(30)나 물의 PH 측정 센서(30)와 같이, 물의 오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30)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The
상기 제어부(40)는 센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센서(30)의 이물질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 이 제어부(4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5)의 단부에 구비된 제수변(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수변(35)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30)의 측정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수변(35)을 폐쇄하여, 상기 관로(5)의 오염된 물이 수용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센서(3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스케일나 녹 등의 이물질이 오염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가 센서(30)의 이물질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이렇게 수신된 센서(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40)가 명령을 내려, 상기 제수변(35)을 자동으로 폐쇄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로 공급되지 않 도록 한다.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15)의 하측 둘레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별도의 드레인밸브(50)가 설치되고, 이 드레인밸브(50)는 상기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30)에 의해 관로(5)의 물이 슬러지나 녹 등의 이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의해 제수변(35)이 폐쇄됨과 동시에 드레인밸브(50)가 개방되면서 오염된 물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Preferably,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of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수변(35)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가 아니라, 수동 개폐식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40)에는 별도로 경보수단(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30)에 의해 물이 오염된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40)의 명령에 의해 경보수단(55)에서 경보가 발생되어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출동하여 제수변(35)을 잠그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55)은 관리실에 연결된 전화벨이나 경보벨 또는 경보등과 같이 경보 신호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dilution valve (35) is not an electronic solenoid valve, but a manual closing valve,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는 관로에 대한 주기적인 관리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시기라도, 물의 오염 여부를 즉시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이 수용가에 그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wash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can immediately detect and manage water contamination even when periodic management work on the pipeline is not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consumer as it i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4214A KR100544491B1 (en) | 2004-04-08 | 2004-04-08 |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4214A KR100544491B1 (en) | 2004-04-08 | 2004-04-08 |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691A KR20050098691A (en) | 2005-10-12 |
KR100544491B1 true KR100544491B1 (en) | 2006-01-23 |
Family
ID=3727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4214A KR100544491B1 (en) | 2004-04-08 | 2004-04-08 |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44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5229A (en) * | 2008-03-05 | 2009-09-09 | 이현철 | Quartz Tube Cleaning Device inserting Utraviolet Rays Lamp for Water Sterilization and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Its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0830B1 (en) * | 2008-06-05 | 2011-03-09 | (주)아산테크 | Integrated pipeline wash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42175B1 (en) * | 2009-03-10 | 2011-06-20 | 김도경 | Cylindrical Pipe Washing Device |
KR101042174B1 (en) * | 2009-03-10 | 2011-06-20 | 김도경 | Pipe washing device |
KR101045111B1 (en) * | 2010-05-27 | 2011-06-30 | (주)경동기술공사 | Pipe washing inspection device for water conversion and water supply pipe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
CN116000214B (en) * | 2023-03-27 | 2023-08-18 |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青县供电公司 | Distance cutting device for power cable |
-
2004
- 2004-04-08 KR KR1020040024214A patent/KR10054449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5229A (en) * | 2008-03-05 | 2009-09-09 | 이현철 | Quartz Tube Cleaning Device inserting Utraviolet Rays Lamp for Water Sterilization and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Its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691A (en) | 2005-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3700B1 (en) | Water supply network automatic drain valve system based on ICT monitoring | |
US10590640B2 (en) | Automated plumbing system sensor warning system and method | |
KR100964219B1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utomatic water pollution measurement device for monitoring water pollution | |
US9725894B2 (en) |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1638098B1 (en) | IT based Water pipe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 |
US20120111799A1 (en) |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water in a potable water network | |
KR101193629B1 (en) | Water leakage and cut-off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
JP6821690B2 (en) | How to control a vacuum sewage system for buildings or ships | |
US7362230B1 (en) | Leak detection apparatus | |
KR100544491B1 (en) | Pipe washing equipment equipped with drinking water pollution detection function | |
US20060085930A1 (en) | Pipe cleaning tool | |
KR101979543B1 (en) | Sewer pipe pollution monitoring system | |
KR101864391B1 (en) | Automatic monitoring system of sewer pipe | |
JP4637560B2 (en) | Sewer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 |
KR101151175B1 (en) | A drain water filtering apparatus | |
KR20110005582A (en) | S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flowing through the pipeline | |
KR101449989B1 (en) | Detection apparatus for leakage of tap water pipe and processing method for detection leakage sign of tap water pipe | |
KR101555339B1 (en) | Oil storage tank spill treatment device | |
KR100803700B1 (en) | Excellent soil room alarm system | |
KR102748045B1 (en) | Car wash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its treatment methods | |
KR200289570Y1 (en) | Sludge Blanket Level Management System | |
KR200430473Y1 (en) | Leak detection system | |
KR20230138975A (en) | rain drain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 |
JP200417735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water quality | |
JP3875545B2 (en) | Sewerage equipment opera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