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3655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655B1
KR100543655B1 KR1020030043624A KR20030043624A KR100543655B1 KR 100543655 B1 KR100543655 B1 KR 100543655B1 KR 1020030043624 A KR1020030043624 A KR 1020030043624A KR 20030043624 A KR20030043624 A KR 20030043624A KR 100543655 B1 KR100543655 B1 KR 10054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grain boundary
polysilic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255A (ko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4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655B1/ko
Priority to JP2003414932A priority patent/JP5093971B2/ja
Priority to US10/739,746 priority patent/US7199028B2/en
Priority to TW092137655A priority patent/TWI237318B/zh
Publication of KR2005000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6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Nitridation of silicon-contain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64/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 H10D64/0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comprising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층간 경계면에서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 구조가 서로 다른 막들로 적층된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통해 실시되는 스트립 공정 및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용액(예컨대, HF, BOE)이 폴리실리콘층의 하부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플래시 소자, 폴리실리콘층, N2 퍼지공정, 그레인 바운더리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폴리실리콘막 상부면의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 및 도 5에서 실시된 N2 퍼지공정에 의해 실리콘 원자(Si)가 질소 원자(N)로 치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2 : 하부층
14a 내지 14c : 제1 내지 제2 폴리실리콘막
14 : 폴리실리콘층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실시되는 스트립 공정(strip) 및 세정 공정(cleaning)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이 하부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시에는 스트립 공정(strip) 및 세정공정(cleaning)이 이루어진다. 스트립 공정 및 세정 공정은 화학용액으로 HF 및 BOE(Buffered Oxide Etchant; HF와 NH4F가 100:1 또는 300:1로 혼합된 용액)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액들은 식각(etch)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하부층으로 침투되는 경우 하부층을 손상시키게 된다.
일례로, 플래시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소자 분리공정으로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이 이용된다. 간략하게 STI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제1 폴리실리콘막(또는, 패드 산화막) 및 패드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아이솔레이션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 내에는 트렌치(trench)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월(wall)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에는 월 산화막이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을 증착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과, 패드 질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 공정(strip)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소자분리막이 형성된다. 이후, 플로팅 게이트용 제2 폴리실리콘막 증착공정이 진행된다.
통상, 공정상의 단순화를 위해 제1 폴리실리콘막은 단일층(mono layer)으로 증착된다. 이에 따라, 제1 폴리실리콘막의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의 구조는 일률적으로 칼럼(column)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패드 질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립 공정과 후속 전처리 세정공정(제2 폴리실리콘막 증착전)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이 제1 폴리실리콘막의 그레인 바운더리를 통해 터널 산화막과 반도체 기판으로 침투되기 쉽다. 이러한 화학용액의 침투에 의해 터널 산화막과 반도체 기판은 손상을 입게 된다. 이에 따라, F-N 터널링(Fouler Nordheim Tunneling) 방식에 의한 플래시 소자의 프로그램(program) 및 소거(erase) 동작시 터널 산화막의 손상으로 인해 채널 또는 접합층으로부터 플로팅 게이트로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쉽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소자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실시되는 스트립 공정 및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이 하부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용액의 침투에 의한 하부층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시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용액의 침투에 의한 터널 산화막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의 침투에 의해 발생하는 하부층의 손상에 기인한 반도체 소자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하부층 상부에 제1 프리 증착 단계, 제1 증착 단계 및 제1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1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제1 N2 퍼지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 내에 제1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제2 프리 증착 단계, 제2 증착 단계 및 제2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2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제2 N2 퍼지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내에 상기 제1 그레인 바운더리와 상이한 제2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제3 프리 증착 단계, 제3 증착 단계 및 제3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3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하여 상기 제1 그레인 바운더리 및 제2 그레인 바운더리와 상이한 제3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하기의 표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표 1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실시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정조건(recipe)이다.
단계 시간(분) 가스 압력 (Torr) 온도 (℃)
SiH4 N2
제1 공정 프리증착 단계 1 125cc 비사용 0.2 620
증착단계 X(변동) 250cc 비사용 0.2 620
펌핑단계 1 닫힘(차단) 비사용 비인가 620
퍼지공정 N2 퍼지단계 1 사용안함 열림 0.2 620
제2 공정 프리증착 단계 1 열림(공급) 닫힘 0.2 620
증착단계 X 열림 비사용 0.2 620
펌핑단계 1 닫힘 비사용 비인가 620
퍼지공정 N2 퍼지단계 1 사용안함 열림 0.2 620
제3 공정 프리증착 단계 1 열림 닫힘 0.2 620
증착단계 X 열림 비사용 0.2 620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하부층(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층(12)은 산화막, 질화막, 절연막 및 도전막이거나, 이 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막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 1에 기재된 제1 공정을 단계별로 실시하여 하부층(12) 상에는 제1 폴리실리콘막(14a)이 증착된다. 이때,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두께는 최종 목표치 폴리실리콘층(14; 도 6참조)의 두께의 1/3이 되도록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공정의 프리 증착단계는 증착공정을 실시하기에 앞서 증착챔버(도시되지 않음)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프리 증착단계는 압력이 0.1Torr 내지 0.5Torr, 바람직하게는 0.2Torr이고, 온도가 580℃ 내지 650℃, 바람직하게는 620℃에서 실시된다. 이런 조건에서 증착챔버 내로 SiH4 가스가 125cc로 공급된다. 여기서, SiH4 가스의 유입량은 125cc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정에 따 라 변동될 수 있다. 프리 증착단계는 SiH4 가스가 공급된 후 1분 이내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공정의 증착단계는 프리 증착단계의 공정조건에서 압력 및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SiH4 가스의 유입량을 250cc로 증가시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iH4 가스의 유입량이 250cc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표치 두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증착단계의 공정시간 또한 목표치 두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정의 펌핑단계는 하부층(12) 상에 제1 폴리실리콘막(14a)이 증착된 후 반응되지 않고 증착챔버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실시된다. 펌핑단계는 증착챔버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가스가 모두 배출될때까지 실시한다. 여기서는 공정의 진행을 고려하여 1분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프리 증착단계, 증착단계 및 펌핑단계를 실시하여 제1 공정이 완료된다. 이로써, 하부층(12) 상에는 제1 폴리실리콘막(14a)이 증착된다. 이렇게 증착된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리콘 원자(Si)가 존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폴리실리콘막(14a)에 대하여 N2 가스를 이용한 퍼지공정(purge)이 실시된다. 상기 퍼지공정은 도 2에서 설명한 제1 공정과 지연시간없이 인-시튜(in-situ)로 실시된다. 상기 퍼지공정의 증착조건은 상기 제1 공정에서 사 용된 압력 및 온도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N2 가스를 공급하여 1분 동안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지공정에 의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에서 실리콘 원자(Si)와 질소 원자(N)가 서로 치환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에는 실리콘 원자(Si)보다 질소 원자(N)가 더 많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에서 그레인 바운더리의 구조가 변화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공정과 동일한 공정조건으로 제2 공정을 실시하여 제1 폴리실리콘막(14a) 상에는 제2 폴리실리콘막(14b)이 증착된다.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공정과 마찬가지로 프리 증착단계, 증착단계 및 펌핑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표면에서는 제2 폴리실리콘막(14b)이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14a) 상부면의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증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실리콘막은 동일한 그레인 바운더리로 성장되면서 증착된다. 그러나,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에는 질소 원자(N)가 더 많이 포함됨에 따라, 제2 폴리실리콘막(14b)이 제1 폴리실리콘막(14a) 상부면과 결합되어 성장되지 않게 된다. 이는, 제2 폴리실리콘막(14b)의 실리콘 원자(Si)가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을 이루는 질소 원자(N)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 폴리실리콘막(14b)의 하부면과 제1 폴리실리콘막(14a) 상부면은 완전결합되지 않고, 부분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실시된 N2 퍼지공정과 동일한 공정조건으로 제2 폴리실리콘막(14b)에 대하여 퍼지공정이 실시된다. 이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에서 실리콘 원자(Si)와 질소 원자(N)가 서로 치환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리실리콘막(14b)의 상부면에는 실리콘 원자(Si)보다 질소 원자(N)가 더 많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폴리실리콘막(14a)의 상부면과 마찬가지로 제2 폴리실리콘막(14b)의 상부면에서 그레인 바운더리의 구조가 변화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공정 및 상기 제2 공정과 동일한 공정조건으로 제3 공정을 실시하여 제2 폴리실리콘막(14b) 상에는 제3 폴리실리콘막(14c)이 증착된다. 이로써,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가 서로 다른 막(14a 내지 14c)으로 이루어진 폴리실리콘층(14)이 형성된다.
상기 공정들을 통해 폴리실리콘층(14)은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가 서로 다른 막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후속 공정을 통해 실시되는 스트립 공정 및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용액(예컨대, HF, BOE)이 하부층(12)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각 막들(14a 내지 14c)이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서 서로 다른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용액이 침투하기가 동일한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를 갖는 막보다 어렵다.
지금까지 설명한 폴리실리콘층(14)은 3층막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지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리콘층(14)은 2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집적화 및 공정상의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는 다면, 4층막 이상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각 막의 증착공정후 N2 퍼지공정을 실시하여 각 막의 경계면에서 그레인 바운더리의 구조가 서로 달라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폴리실리콘층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2 퍼지공정을 통해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가 변화될 수 있는 막은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리콘층의 제조방법을 일례로 플래시 소자의 제조공정에 적용하는 경우에 설명한다. 터널 산화막(도시되지 않음)이 증착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고, 상기 터널 산화막 상부에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그 상부에 패드 질화막(도시되지 않음)을 증착한 후 STI 공정을 진행하여 소자 분리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패드 질화막 스트립 공정과 세정 공정(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막 증착전)을 실시한다. 이 경우 스트립 공정과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HF 및 BOE 등의 용액이 터널 산화막으로 침투되는 것을 적층막을 갖는 폴리실리콘층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계면에서 그레인 바운더리 구조가 서로 다른 막들로 적층된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통해 실시되는 스트립 공정 및 세정 공정시 사용되는 용액(예컨대, HF, BOE)이 폴리실리콘층의 하부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시 사용되는 화학용액의 침투에 의해 발생되는 하부층의 손상에 기인한 반도체 소자의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하부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층 상부에 제1 프리 증착 단계, 제1 증착 단계 및 제1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1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제1 N2 퍼지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 내에 제1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제2 프리 증착 단계, 제2 증착 단계 및 제2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2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제2 N2 퍼지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내에 상기 제1 그레인 바운더리와 상이한 제2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제3 프리 증착 단계, 제3 증착 단계 및 제3 펌핑 단계를 실시하여 제3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하여 상기 제1 그레인 바운더리 및 제2 그레인 바운더리와 상이한 제3 그레인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N2 퍼지 공정은 상기 하층막 증착공정과 인시튜로 실시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N2 퍼지 공정은 N2 가스로 0.1Torr 내지 0.5Torr의 압력과 580℃ 내지 650℃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또는 제3 프리 증착 단계는,
    SiH4 가스로 0.1Torr 내지 0.5Torr의 압력과 580℃ 내지 650℃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증착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산화막, 질화막, 절연막 또는 도전막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또는 제3 증착 단계는
    상기 프리 증착 단계의 압력 및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250cc의 SiH4 가스로 실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펌핑 단계는
    증착 챔버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가스를 모두 배출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30043624A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24A KR10054365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3414932A JP5093971B2 (ja) 2003-06-30 2003-12-12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10/739,746 US7199028B2 (en) 2003-06-30 2003-12-18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092137655A TWI237318B (en) 2003-06-30 2003-12-31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624A KR10054365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255A KR20050002255A (ko) 2005-01-07
KR100543655B1 true KR100543655B1 (ko) 2006-01-20

Family

ID=3682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6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365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99028B2 (ko)
JP (1) JP5093971B2 (ko)
KR (1) KR100543655B1 (ko)
TW (1) TWI2373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196A (ko) * 2007-09-27 2009-04-01 주성엔지니어링(주) 폴리실리콘막 및 그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플래쉬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035390A1 (en) 2010-01-13 2013-02-07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EP2597674B1 (en) * 2010-11-08 2017-03-29 Imec Method for producing a floating gate memor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360A (en) * 1987-12-09 1990-01-3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olysilicon thin film process
US4990997A (en) * 1988-04-20 1991-02-05 Fujitsu Limited Crystal grain diffusion barrier structu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5347161A (en) * 1992-09-02 1994-09-13 National Science Council Stacked-layer structure polysilicon emitter contacted p-n junction diode
US5349325A (en) * 1993-05-18 1994-09-2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layer low modulation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resistor
US5441904A (en) * 1993-11-16 1995-08-15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forming a two-layered polysilicon gate electrode in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grain boundaries
JPH0922999A (ja) * 1995-07-07 1997-01-21 Seiko Epson Corp Mis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14840B1 (ko) 1995-12-22 1999-08-0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폴리실리콘막 형성 방법
US5767004A (en) * 1996-04-22 1998-06-16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forming a low impurity diffusion polysilicon layer
JP3598197B2 (ja) * 1997-03-19 2004-12-0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JPH1140501A (ja) * 1997-05-20 1999-02-12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US6228701B1 (en) * 1997-12-19 2001-05-08 Sei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diffusion in stacked capacitors formed on silicon plugs
JPH11307765A (ja) * 1998-04-20 1999-11-05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58213B2 (ja) * 1998-11-19 2005-06-0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114196A (en) * 1999-01-11 2000-09-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abricating metal-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US6162716A (en) * 1999-03-26 2000-1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Amorphous silicon gate with mismatched grain-boundary microstructure
JP2001210593A (ja) * 2000-01-24 2001-08-03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多結晶シリコン膜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
TW455999B (en) * 2000-08-16 2001-09-21 Nat Science Council Method of raising the anti-penetration effects of boron for dual gate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DE10222083B4 (de) * 2001-05-18 2010-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Isolationsverfahren für eine Halbleitervorrichtung
JP3781666B2 (ja) * 2001-11-29 2006-05-31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ゲート電極の形成方法及びゲート電極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26657A (ja) 2005-01-27
US7199028B2 (en) 2007-04-03
KR20050002255A (ko) 2005-01-07
TW200501248A (en) 2005-01-01
US20040266212A1 (en) 2004-12-30
JP5093971B2 (ja) 2012-12-12
TWI237318B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5484B (en)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48267B2 (en) Method of forming isolation lay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4944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isolation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KR2011012066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53314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20050136686A1 (en) Gap-fill method using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device
KR20030053311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자기 정렬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US7892919B2 (en) Method of forming isolation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95621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TW202240661A (zh) 基板處理方法
KR1005436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4595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80307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100586006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구조물 형성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9459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6539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5489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1205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유전체막 형성방법
US6605517B1 (en) Method for minimizing nitride residue on a silicon wafer
KR101025730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 방법
KR10060904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31682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89839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50064670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61062A (ko) 반도체장치의 트렌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