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2063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063B1
KR100542063B1 KR1020000050998A KR20000050998A KR100542063B1 KR 100542063 B1 KR100542063 B1 KR 100542063B1 KR 1020000050998 A KR1020000050998 A KR 1020000050998A KR 20000050998 A KR20000050998 A KR 20000050998A KR 100542063 B1 KR100542063 B1 KR 10054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ove
contact
holding
groove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184A (ko
Inventor
와따나베사또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0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간단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압접접속을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촉부 (27) 를 갖는 금속제의 복수의 접촉자 (21) 를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 (1) 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 (27) 가 케이블의 심선 (C2) 과 접촉하는 형식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1) 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며 폐쇄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블을 상기 접촉부 (27) 로 누르는 가압부 (14) 가 형성된 덮개형상의 가압부재 (11) 를 가지고, 이 가압부재 (11) 는 회전운동시에 상기 접촉부 (27) 에 대향하는 면에 케이블의 수용홈 (1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 (13) 은 가압부재 (11) 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부와 대향하는 도입부 (13A) 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부 (27) 와 대향하는 유지부 (13C)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가압부재가 개방상태, (B) 는 도중 상태, (C) 는 폐쇄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커넥터의 가압부재를 나타내고, (A) 는 단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커넥터의 가압부재의 측면쪽에서 본 경사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가압부재이고, (A) 는 단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이다.
도 6 의 (A), (B), (C) 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5 의 (C) 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종래의 커넥터의 분리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커넥터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11 : 가압부재
13 : 수용홈 13A : 도입부
13B : 천이부 13C : 유지부
13C1 : 홈바닥면 14 : 가압부
21 : 접촉자 27 : 접촉부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자의 접촉부와 압접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압접접촉자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하여 접촉부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의 측단면에서 케이블의 심선에 접촉하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일례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55921 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지의 커넥터는 첨부도면의 도 7 및 도 8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하우징 (51) 내에 케이블 홀더 (52) 를 끼워넣고 다른 쪽의 하우징 (61) 에 접촉자 (62) 를 유지하고 있다.
한쪽의 하우징 (51) 은 각통형상을 하고 있고, 이것에 끼워넣어져 유지되는 케이블 홀더 (52) 는 피유지부 (53) 와 하우징 (51) 밖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54) 를 가지고 있다. 피유지부 (53) 의 상면에는 하우징 (51) 과의 사이에 케이블 배열부재 (55) 를 수납하는 공간 (5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배열부재 (55) 는 복수의 케이블 (C) 을 외피가 박리되어 노출되는 유전체부 (C1) 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홀더 (52) 의 돌출부 (54) 는 상면에서 하면에 걸쳐 각 케이블에 대응하여 케이블 안내홈 (56)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전체부 (C1) 에서 노출되는 케이블의 심선 (C2) 을 U 자형으로 감도록 안내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케이블의 심선 (C2) 의 선단부에는 각 심선 (C2) 이 불규칙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테이프 (57) 등으로 유지되어 있다.
다른 쪽의 하우징 (61) 에 유지되어 있는 접촉자 (62) 는 금속판이 그 평탄면을 유지하여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서 이 접촉자 (62) 는 지면과 평행인 면을 유지하고 있다. 이 접촉자 (62) 는 하우징 (61) 에 의해 유지되는 기부 (63) 와, 이 기부 (63) 에서 U 자형을 이루어 연장하는 탄성아암부 (64) 와, 하우징 (61) 밖으로 돌출하는 접속부 (65) 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부 (63) 에는 하우징 (61) 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파고 드는 돌기부 (63A) 가 형성되고, 또한 탄성아암부 (64) 의 선단내측에는 접촉부 (64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2 개의 하우징 (51, 61) 은 한쪽의 하우징 (51) 의 돌출부 (54) 에 타방의 하우징 (61) 의 개구부측이 끼워 맞춰지도록 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도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홈 (56) 내에서 케이블의 심선 (C2) 을 접촉부 (64A) 의 사이에 끼워 누르도록 하여 탄력접촉하여 접촉부 (64A) 의 측단면에서 심선 (C2) 과 압접접속된다.
도 7, 도 8 에 나타낸 공지의 커넥터에서는 압접부위에서 심선이 노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한쪽의 하우징 (51) 의 안내홈 (56) 내에는 심선 (C2) 뿐아니라 유 전체부 (C1) 도 존재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안내홈 (56) 의 홈폭은 유전체부 (C1) 의 직경 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 (56) 의 홈폭이 심선 (C2) 에 대하여 너무 크기 때문에 접촉자의 접촉부 (64A) 와의 압접시에 심선 (C2) 의 위치가 홈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정치 않아서 접촉이 불안정해진다. 또한, 상기 홈폭은 케이블 (유전체부)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직경 보다 크게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압접시의 심선위치는 더욱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여 압접시에 케이블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압접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접촉부를 갖는 금속제의 복수의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를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접촉시켜 압접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식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며 폐쇄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블을 상기 접촉부로 누르는 가압부가 형성된 덮개형상의 가압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가압부재는 회전운동시에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면에 케이블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홈은 가압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부와 대향하는 도입부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부와 대향하는 유지부를 갖고 있다.
이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심선을 피복으로부터 노출시키지 않고, 가압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을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하우징내로 삽 입배치된다. 그 때, 케이블은 가압부재에 형성된 수용홈의 도입부에 의해 안내된다. 그런 후에 가압부재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전운동시킨다. 가압부재의 상기 회전운동이 진행됨에 수반하여 케이블의 수용홈과의 걸어맞춤위치는 상기 도입부에서 유지부로 이행한다. 그 결과, 케이블이 가압부재의 가압부에 의해 접촉자의 접촉부로 눌려져 케이블심선과 압접접속될 때에는 케이블은 유지부에 확실히 유지되어 그 위치는 안정된다.
본 발명에서 가압부는 유지부에 있어서의 홈바닥면으로서 형성되고, 수용홈의 홈폭은 유지부에서 케이블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케이블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도입부에서 유지부의 홈폭 보다 크게 되어 있도록 한다. 케이블은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FPC) 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과 같은 평형 케이블로 할 수도 있고, 그 때에는 상기 홈폭은 이 평형 케이블의 폭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수용홈은 도입부와 유지부 사이에 천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천이부의 홈폭이 도입부의 홈폭에서 유지부의 홈폭으로 차츰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자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접촉부가 금속판의 평탄한 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부의 측단면에서 케이블 피복으로 파고들어 심선과 접촉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도입부와 유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홈폭방향 중앙을 향하여 홈이 깊어지는 거의 V 자형의 홈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면 케이블의 위치는 더욱 확실하게 일정해진다.
이하,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6 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A) 는 가압부재가 개방위치, (B) 는 도중 위치, (C) 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커넥터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본체 (1) 및 가압부재 (11) 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복수의 접촉자 (21) 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 (1) 는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 1 에서 세로길이로 연장되는 본체부 (2) 와, 이 본체부 (2) 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하는 지지아암부 (3) 및 장출부 (4)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 (2) 에는 후술하는 접촉자 (21) 가 복수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2) 에서 전후로 돌출되어 있다. 이 본체부 (2) 의 전방에는 덮개형상의 가압부재 (11) 가 위치하고 있고, 그 양단에 형성된 축부 (19) 에 상기 지지아암부 (3) 에 의해 축선 (19A)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11) 의 단부에는 지지아암부 (3) 의 테두리부와 걸리는 걸림돌기 (11A) 가 형성되어 있고, 도 1 에 나타내는 폐쇄위치에서 이 가압부재 (11) 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접촉자 (21) 의 판면과 평행인 면에서의 단면도인 도 2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 본체 (1) 의 본체부 (2) 에는 판상의 접촉자 (21) 를 끼워넣기 위한 슬릿상의 유지구멍 (5) 이 전후로 관통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 (21) 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지만, 그 평탄한 판면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 접촉자 (21) 는 상기 하우징 본체 (1) 의 유지구멍 (5) 에 압입되는 기부 (22) 와, 이 기부 (22) 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부 (2) 에서 돌출하는 접속부 (23) 와, 상기 기부 (22) 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거의 U 자형을 이루는 상부 아암부 (24) 및 하부 아암부 (25)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부 (22) 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유지구멍 (5) 내에서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걸림돌기 (22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아암부 (24) 의 선단부에는 원호상 가장자리부를 갖는 회전운동지지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지지부 (26) 의 원호상 가장자리부의 중심은 상기 가압부재 (11) 에 형성된 축부 (12) 의 축선 (12A) 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아암부 (25) 는 상하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선단부 내측 가장자리에 3 각형을 이루는 2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접촉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 (11) 는 도 2 내지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자 (21) 의 원호상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회전운동지지부 (26) 가 빗살과 같은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원호 기중상 엔벨로프면에 의해 회전운동안내되는 오목원호상의 회전운동 피안내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 (11) 는 상기 접촉자 (21) 의 접촉부 (27) 에 대향하는 부분에, 케이블 (C) 을 위한 수용홈 (13) 과 가압부 (14) 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 (11) 의 수용홈 (13) 은 도 3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입부 (13A), 천이부 (13B), 그리고 유지부 (13C) 를 가지고 있다. 도입부 (13A) 는 가압부재 (11) 가 도 2 의 (A) 의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자 (21) 의 접촉부 (27) 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유지부 (13C) 는 가압부재 (11) 가 도 2 의 (C) 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부 (27) 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이부 (13B) 는 상기 도입부 (13A) 와 유지부 (13C) 의 중간의 천이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입부 (13A) 는 그 홈폭이 케이블의 삽입이 쉽게 될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고, 도 3 예시의 경우, 천이부 (13B) 근처의 부분 (13A2) 은 케이블 삽입측 단부로 향하여 약간 홈폭이 넓어져 있다. 케이블 삽입방향에서의 안쪽부 (13A1) 에서는 홈폭은 일정하다. 여기서 케이블이란 도 2 에 도시된 실드선이 부착된 동축케이블인 경우에는 이 실드선을 제거하고, 심선 (C2) 의 위에 유전체 (C1) 의 층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의 것을 말한다. 즉, 상기 도입부 (13A) 는 이 유전체 (C1) 의 부분이 그 길이방향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홈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드선을 갖지 않는 통상의 케이블, 즉 심선의 위에 피복을 갖고 있을 뿐인 케이블에서는 이 케이블이 그대로 쉽게 삽입될 수 있을 만한 홈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 (13C) 는 상기 케이블 (유전체 (C1) 부분) 을 유지하는 정도의 홈폭치수, 즉 홈폭이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직경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천이부 (13B) 는 도입부 (13A) 에서 유지부 (13C) 를 향하여 홈폭이 차츰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감소하는 방식은 직선적일 수도 있고 곡선적일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천이부 (13B) 와 유지부 (13C) 의 홈바 닥이 가압부 (14) 를 형성하도록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유지부 (13C) 보다 뒤의 부분은 이 유지부 (13C) 보다 홈폭이 넓은 개방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케이블 압접접속이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이루어진다.
① 먼저, 케이블이 도 2 와 같은 동축케이블인 경우에는 외피 (C4) 및 실드선 (C3) 을 선단부에서 제거하여 유전체 (C1) 를 노출시킨다. 실드선을 갖지 않는 통상의 케이블일 때에는 그대로여도 좋다.
② 본 실시형태는 복수의 케이블의 실드선 (C3) 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면 및 하면측에서 각 실드선 (C3) 에 대하여 금속시트상의 유지부재 (C5) 를 납땜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을 일괄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이어서, 가압부재 (11) 를 개방상태로 하여 두고, 상기 케이블 (동축케이블에서는 노출되는 유전체 (C1) 부분) 을 선단에서부터, 가압부재 (11) 에 형성된 수용홈 (13) 의 도입부 (13A) 로 삽입하여 접촉자 (21) 의 접촉부 (27) 위에 배치한다. 그 때, 도입부 (13) 로의 케이블의 삽입은 천이부 근처 부분 (13A2) 을 거쳐 안쪽부 (13A1) 로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 (도 2 의 (A) 참조).
④ 그런후, 가압부재 (11) 를 회전운동하여 도 2 의 (B) 의 상태를 거쳐 도 2 의 (C) 의 폐쇄위치로 가져온다. 이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케이블은 천이부 (13B) 에 의해 지지된 (도2 의 (B) 참조) 후에, 유지부 (13C) 에 의해 유지된다 (도 2 의 (C) 참조). 유지부 (13C) 에서는 케이블은 홈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 으며 정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접촉부 (27) 가 케이블에 파고들어 심선 (C2) 과 접촉하게 되는데, 그 때 상기와 같은 케이블은 홈폭방향, 즉 접촉자의 판두께방향으로의 이동이 없으므로, 접촉부 (27) 는 확실하고 안정되게 심선과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은 커넥터의 접촉자 (21) 와 압접접속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압부재의 수용홈은 케이블을 홈폭방향으로 더욱 안정시키기 위하여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홈, 특히 그 유지부 (13C) 의 홈바닥면 (13C1) 을 V 자형상면으로 형성하여 가압부로서의 홈바닥면이 케이블을 누를 때에 이 홈바닥면의 쐐기형상부에서 생기는 힘에 의해 케이블을 중심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의 수용홈의 형태는 추가로 변형할 수 있고,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C1) 의 심선 (C2) 의 직경이 가는 직경일지라도 심선 (C2) 의 위치를 홈폭방향으로 안정시키기 위하여 유지부 (13C) 의 V 자형의 홈부에 편평한 홈바닥 (13D) 을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그럼으로써 접촉부 (27) 가 케이블 (유전체) (C1) 에 파고들 때에 도 5 의 경우 케이블은 직경이 가늘면 홈바닥으로 이탈하는 경우가 있지만, 도 6 의 (A) 의 편평한 홈바닥 (13D) 에 의해 이것이 회피되어 심선 (C2) 의 위치가 안정된다.
또한,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바닥의 중앙에서 케이블과 대향하도록 돌조 (13E) 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의 유전체 (C1) 가 돌조 (13E) 의 양측으로 이탈함으로써 심선 (C2) 을 홈폭방향으로 안정시킬 수 있 다.
또한, 도 6 의 (C) 는 가압부재를 일부 파단한 도면이다. 도 6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통상의 케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가요기판 (P) 에 회로부 (P1) 가 형성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또는 복수의 케이블이 일면을 이루도록 일체적으로 배열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등의 평형 케이블 (C') 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가압부재 (11) 의 수용홈 (13) 은 FPC 또는 FFC 를 수용하는 폭넓은 하나의 홈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압부재가 케이블 도입, 그리고 유지를 위한 수용홈을 가지고, 이 수용홈이 도입부에서 케이블을 쉽게 수용하여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케이블을 유지부에서 홈폭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유지하게 하였으므로, 접촉자의 접촉부는 매우 확실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심선과 압접되게 된다. 이 같이, 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이 쉬워짐과 동시에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안정된 압접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가 케이블 피복에 파고들어 압접하므로 심선을 덮는 피복의 일부제거라는 작업도 불필요해져서 이 점에서도 작업이 간단해진다.

Claims (7)

  1. 접촉부를 갖는 금속제의 복수의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재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형식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며 폐쇄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블을 상기 접촉부로 누르는 가압부가 형성된 덮개형상의 가압부재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운동시에 상기 접촉부에 대향하는 면에 케이블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은 가압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는 도입부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는 유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유지부에 있어서의 홈바닥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홈폭은 유지부에서 케이블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케이블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도입부에서 유지부의 홈폭 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평형 케이블이고, 상기 가압부는 유지부에 있어서의 홈바닥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홈폭은 유지부에서 평형 케이블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평형 케이블의 폭 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도입부에서 유지부의 홈폭 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도입부와 유지부 사이에 천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천이부의 홈폭이 도입부의 홈폭에서 유지부의 홈폭으로 차츰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접촉부가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측단면에서 케이블 피복으로 파고들어 심선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도입부와 유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홈폭방향 중앙을 향하여 홈이 깊어지는 거의 V 자형의 홈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도입부와 유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홈폭방향 중앙을 향하여 홈이 깊어지는 거의 V 자형의 홈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00050998A 1999-09-01 2000-08-31 전기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7574 1999-09-01
JP24757499A JP3621305B2 (ja) 1999-09-01 1999-09-01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84A KR20010030184A (ko) 2001-04-16
KR100542063B1 true KR100542063B1 (ko) 2006-01-10

Family

ID=1716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9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2063B1 (ko) 1999-09-01 2000-08-3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21305B2 (ko)
KR (1) KR100542063B1 (ko)
TW (1) TW4847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36A1 (ko) * 2012-11-28 2014-06-05 주식회사 조우테크 무탈피 다접점 전자 및 전기기구 접속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5940B1 (ja) * 2003-10-23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KR101152806B1 (ko) * 2011-09-23 2012-06-12 한경희 Usb 커넥터 플러그
DE102013206558A1 (de) * 2013-04-12 2014-10-16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ung mit fixierter Leitung
KR102172557B1 (ko) * 2020-06-03 2020-11-0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130A (ja) * 1993-11-18 1995-06-0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850968A (ja) * 1994-08-05 1996-02-20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8279378A (ja) * 1995-02-08 1996-10-22 Kiyousera Elco Kk Fpc/ffc用コネクタ
JPH0997655A (ja) * 1995-09-29 1997-04-08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130A (ja) * 1993-11-18 1995-06-02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850968A (ja) * 1994-08-05 1996-02-20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8279378A (ja) * 1995-02-08 1996-10-22 Kiyousera Elco Kk Fpc/ffc用コネクタ
JPH0997655A (ja) * 1995-09-29 1997-04-08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36A1 (ko) * 2012-11-28 2014-06-05 주식회사 조우테크 무탈피 다접점 전자 및 전기기구 접속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21305B2 (ja) 2005-02-16
TW484764U (en) 2002-04-21
KR20010030184A (ko) 2001-04-16
JP2001076795A (ja) 200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955B2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6386905B1 (en) Flat cable connector
JP2004528692A (ja)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の使用方法及び装置
EP0239422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KR100292632B1 (ko) 편평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시스템
JP2002175845A (ja) 電気コネクタ
JP3262198B2 (ja) コネクタ
US4705482A (en) Terminal connector assembly for multiconductor cable
EP0775374A1 (en)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KR100542063B1 (ko) 전기 커넥터
EP125532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exible flat cable
US7156688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7021958B2 (en) Connector assuring more reliable connection of a cable
KR920000714B1 (ko) 절연물 제거 접속기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JP3340325B2 (ja) 複数段にケーブル列を配する電気コネクタ
JP3377418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395874A (ja) ケーブル導体用コネクタ
US6132239A (en) Terminal for a conductor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266554B2 (ja) 圧接電気コネクタ
JP2001035554A (ja) 接触子、接触子対およびケーブル接続装置
JP3242605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