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1525B1 -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525B1
KR100541525B1 KR20030070401A KR20030070401A KR100541525B1 KR 100541525 B1 KR100541525 B1 KR 100541525B1 KR 20030070401 A KR20030070401 A KR 20030070401A KR 20030070401 A KR20030070401 A KR 20030070401A KR 100541525 B1 KR100541525 B1 KR 10054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umula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7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480A (ko
Inventor
김보영
이민구
박중건
이관재
표문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7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5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5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부금을 모금하고 기부 사실을 타인에게 전송하여 기부를 유도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기부금 적립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만족하는 착신 내역이 있는지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로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타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기부금 적립을 유도할 수 있고 기부금 적립에 따른 보람을 공유할 수 있다.
기부금, 이동통신, SMS

Description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ontributions Us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부금 모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20 : 이동통신 단말 30 : 기지국
40 : 기지국 제어기 50 : 교환기
60 : 홈위치 등록기 70 : 기부금 모금 시스템
80 : 단문 서비스 센터 90 : 고객 관리 시스템
100 : 착신내역 관리 시스템 710 : 제어부
712 : ARS 서버 714 : 이용 내역 관리 수단
716 : 과금 관리 수단 718 :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
720 : 착신 내역 조회 수단 722 :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
724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부금을 모금하고 기부 사실을 타인에게 전송하여 기부를 유도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삶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과거에 비해 많이 윤택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불우이웃 돕기, 각종 질환 환자 돕기, 재난 피해자 돕기 등을 위한 모금운동이 필요하고, 실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모금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기부금 모금은 다양한 언론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거리에서 모금함을 이용하여 모금하는 방법, 유선 전화를 이용하는 방법, 각종 이벤트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기부금을 내고자 하는 사람이 기부금을 내기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모금 운동의 효과를 파급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음성 통화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뿐 아니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확대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장점인 이동성을 이용하여 기부금을 모금한다 면 사용자의 참여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함에 따라 일정 금액의 기부금을 적립함으로써, 기부 행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부금 적립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기부자에게 착신을 시도하여 통화를 완료한 발신자를 지정된 착신내역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자에게 기부 사실을 통보함으로써, 모금운동 참여에 따른 보람을 공유하고 기부 행위를 유도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착신 내역을 저장하는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호 설정이 이루어져,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기부금 적립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상기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만족하는 착신 내역이 있는지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검 색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10, 20)과 이동통신망과의 무선구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채널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고 품질이 우수한 무선 호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송수신 신호 세기 조절, 상향 링크 품질 측정, 무선 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BTS; 30), 기지국(30)을 제어하고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셀간 핸드오프 처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유지/보수, 과금, 인증 등을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을 연결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40),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고 이동통신망과 고정망 사이의 연동, 타 사업자의 이동통신망 간의 연동을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MSC; 50), 이동통신 단말(10, 20) 사용자의 신상정보,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교환기(5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와 상호 작용하여 착신 가입자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홈위치 등록기(60), 교환기(50)를 통해 홈위치 등록기(60)와 접속되어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 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 8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계, 구축, 운용하는 고객중심 정보 시스템으로 고객관리, 청구, 빌링, 수미납 등을 관리하는 종합 정보 시스템을 의미하는 고객 관리 시스템 (Customer Oriented Information System; COIS, 90), 이동통신 단말(10, 20) 사용자에게 발신이 시도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10, 20) 번호별로 호 설정 시간, 호 종료 시간, 발신 단말 번호 등을 교환기(5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착신 내역 관리 수단(1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50)와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 20)이 지정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011)로 호를 시도하면, 이동통신 단말(10)의 호 시도 사실을 교환기(50)로부터 전송받아 호를 시도한 이동통신 단말(10)의 번호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기부금 적립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며,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에 기부금 적립 내역을 추가하여 청구하도록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을 더 포함한다.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은 또한,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100)과 접속되어, 기부금을 적립한 사용자(이하, '기부자'라 함)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특정 시간 내에,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착신이 있었는지 지정된 착신내역 검색 조건에 따라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자에게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통보한다. 여기에서, 착신내역 검색 조건은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내의 모든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조건 없이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10, 20)을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10)과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10)로 착신을 시도하여 통화를 수행한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20)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은 각 기능 수단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10),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함에 따라 기부금 적립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ARS 서버(712),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 등을 관리하기 위한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과금 관리 수단(716),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부금을 적립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718),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발신자 검색 조건에 따라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착신 내역 조회 수단(720), 착신 내역 조회 수단(720)의 조회 결과에 따라 기부자에게 발신한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20)로 기부 사실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전송 수단(722) 및 데이터베이스(724)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ARS 서버(712)는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지정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011)로 호를 시도함에 따라, 교환기(5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10)과 접속되어 기부금 적립을 위한 과정을 안내한다. 즉, 이동통 신 단말(10)과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의 ARS 서버(712) 간에 교환기(50)를 통해 호가 설정되면 기부금 적립을 위한 시스템에 접속했음을 알리고 기부금 적립을 위한 다양한 메뉴(기부금 적립 메뉴, 서비스 안내 메뉴, 기부금 적립 내역 메뉴, 상위 메뉴 등) 및 메뉴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번호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십니까. 기부금 적립 서비스입니다. 기부금 적립은 1번, 서비스 안내는 2번, 기부 내역 안내는 3번입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번호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적합한 안내멘트를 송출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1'에 해당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가 전송되면, '기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2'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전송되면, '본 ARS는 기부금 기부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한 통화당 ***원이 기부되며, 고객님께서 기부하신 금액만큼 저희 통신사에서 함께 기부금을 적립하여 비영리 복지재단과 사회봉사 단체에 기부하게 됩니다. 기부금 적립을 원하시면 1번을, 상위 메뉴로 가시려면 #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3'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전송되면 '고객님께서 지금까지 기부하신 내역에 대한 안내입니다'와 같은 안내멘트에 이어 적립 총액 및 내역, 또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적립 총액 및 내역을 안내멘트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은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최초로 기부금을 적립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접속 사실 및 기부금 적립 사실을 ARS 서버(712)로부터 전송받아, 이동통신 단말(10) 고유번호별 적립 내역,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으로의 접속 시각, 접속 종료 시각 등을 데이터베이스(724)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필드 이름과 데이터 타입/길이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724)에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데이터 타입 BCD, 길이 8), 접속 시각(데이터 타입 BCD, 길이 8), 종료 시각(데이터 타입 BCD, 길이 8), 기부 금액(데이터 타입 INTEGER, 길이 4)이 기록되며, 기부자가 추후에 기부 내역을 확인할 것에 대비하여 총 기부 내역, 기간별 기부 내역을 각각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드 이름, 데이터 타입 및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에서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별 기부금 적립 내역은 이동통신 단말(10)을 통해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선 인터넷을 통해 기부금 모금 시스템(70) 또는 이와 연계된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금 관리 수단(716)은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에 의해 데이터베이스(724)에 저장된 기부자의 기부 내역에 따라 향후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 납부시 적립된 기부금이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에게 청구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기부금액을 정해진 주기마다 COIS(90) 등으로 전송한다. 또한, 기부금 적립을 위한 통화 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용료를 면제시키기 위하여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으로의 접속 시각 및 종료 시각을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718)은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부금을 적립할 자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 기부금 적립 자격이 없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미성년자인 경우, 선불카드 사용자인 경우, 상한 요금제 이용 고객인 경우, 요금 연체자인 경우, 법인 고객인 경우 등 제3자의 동의를 요구하는 이용자인 경우이며,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718)은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접속함에 따라, ARS 서버(712)의 요청에 의해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60)로 확인 요청하고 응답 신호를 전송받아, 기부금 적립 불가자인 경우에는 기부금 적립을 허용하지 않도록 ARS 서버(712)로 통보한다.
착신 내역 조회 수단(720)은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따라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지 착신 내역 관리 수단(100)을 참조하여 확인하고,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착신 내역 관리 수단(100)으로부터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20)번호를 전송받는다. 여기에서, 착신내역 검색 조건은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내의 모든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조건 없이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722)은 착신 내역 조회 수단(720)에서 검색한 발신 번호를 메시지 수신자로 하여,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예를 들어, '***님께서 기부금 적립에 참여하셨습니다') SMSC(80)로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20)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기부사실을 통보하는 메시지는 단문, 장문,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모든 가능한 메시지 형식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경우라면 언제든지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하여 기부금을 적립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 전화를 수신한 경우 예를 들어, 반가운 친구와의 통화, 승진/합격 축하 전화 등의 기분 좋은 전화를 수신한 후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하여 기부금을 적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이동통신 단말(20) 사용자는 기부자에게 기분 좋은 전화를 발신한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부금 모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또는 기분 좋은 전화를 수신한 후,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의 ARS 서버(712)에 특정 전화번호(예를 들어, *011)로 호를 시도하여 접속한다(S100).
이에 따라,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의 ARS 서버(712)는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를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718)로 전송하여, 해당 접속자가 기부금 적립 자격이 있는 사용자인지 검색하도록 한다.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718)은 ARS 서버(712)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10) 번호에 따라 COIS(90)를 조회하여 해당 접속자가 기부금 적립 자격이 있는지 확인한 후(S102), 적립 가능자인 경우 이를 ARS 서버(712)로 알리며, 이에 따라 ARS 서버(712)는 이동통신 단말(10)로 적합한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DTMF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S104).
여기에서, 기부금 적립이 불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어, 미성년자인 경우, 선불카드 사용자인 경우, 상한 요금제 이용 고객인 경우, 요금 연체자인 경우, 법인 고객인 경우 등 제3자의 동의를 요구하는 이용자인 경우가 될 수 있으며, 단계 S102의 판단 결과 기부금 적립 불가자로 확인된 경우에는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편,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DTMF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S104)에서, ARS 서버(712)는 '안녕하십니까. 기부금 적립 서비스입니다. 기부금 적립은 1번, 서비스 안내는 2번, 기부내역 안내는 3번입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DTMF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DTMF 신호를 확인하는데(S106),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의 1번 버튼을 입력한 경우(case 1), ARS 서버(712)는 1번 버튼 입력 결과에 적합한 안내멘트 예를 들어, '기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S108), ARS 서버(712)와의 접속을 종료한다(S110).
이후, ARS 서버(712)는 기부금이 적립되었는지 확인 한 후(S112), 기부금이 정확히 적립된 경우에는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으로 이동통신 단말(10)의 접속 시각, 접속 종료 시각 및 적립금액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적립 내역이 데이터베이스(724)에 저장되도록 하며(S114), 과금 관리 수단(716)은 이용 내역 관리 수단(714)에서 저장한 사용자별 기부금 적립 내역을 참조하여, 추후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에 적립금이 추가되어 청구될 수 있도록 COIS 등에 보고한다(S116).
이후, 착신 내역 조회 수단(720)은 기부자가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하기 전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지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따라 착신 내역 관 리 시스템(100)을 조회한 후(S118),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발신 번호를 전송받아(S120) 이를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722)으로 통보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722)은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20)을 메시지 수신자로 하여 기부자의 기부 사실이 포함된 메시지를 작성한 후(S122), SMSC(80)로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S124).
여기에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은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내의 모든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거나,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조건 없이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ARS 서버(712)에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된 DTMF를 확인하는 단계(S106)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의 2번 버튼을 입력한 경우(case 2), ARS 서버(712)는 2번 버튼 입력 결과에 적합한 안내멘트 예를 들어, '본 ARS는 기부금 기부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한 통화당 ***원이 기부되며, 고객님께서 기부하신 금액만큼 저희 통신사에서 함께 기부금을 적립하여 비영리 복지재단과 사회봉사 단체에 기부하게 됩니다. 기부금 적립을 원하시면 1번을, 상위 메뉴로 가시려면 #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S200),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다시 DTMF 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재차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S202), DTMF 신호가 숫자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고 안 내멘트를 송출하는 단계(S108)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입력된 DTMF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202)에서 DTMF 신호가 숫자 1 이외의 버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최초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단계(S104)로 진행한다.
또한, ARS 서버(712)에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된 DTMF를 확인하는 단계(S106)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의 숫자 3에 해당하는 버튼을 입력한 경우(case 3), ARS 서버(712)는 3번 버튼 입력 결과에 적합한 안내멘트 예를 들어, '고객님께서 지금까지 기부하신 내역에 대한 안내입니다'와 같은 안내멘트에 이어 적립 총액 및 내역, 또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적립 총액 및 내역을 안내멘트 송출 후, '기부금 적립을 원하시면 1번을, 상위 메뉴로 가시려면 #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S300),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다시 DTMF 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한다. 사용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은 지정된 기간별, 총 적립 내역별로 안내가 가능하며 최근 적립 내역부터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재차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S302), DTMF 신호가 숫자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고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단계(S108)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숫자 2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단계S00로 진행한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입력된 DTMF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302)에서 DTMF 신호가 숫자 1 및 2 이외의 버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최초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단계(S104)로 진행한다.
만약, ARS 서버(712)에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된 DTMF를 확인하는 단계(S106)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의 숫자 1, 2, 3 이외의 버튼을 입력한 경우(기타), ARS 서버(712)는 접속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접속 종료 조건을 만족하면 이동통신 단말(10)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04로 진행하여 다시 DTMF 입력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접속 종료 조건은,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숫자 1, 2, 3) 이외의 버튼을 입력한 경우 또는 입력 시간이 초과된 경우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가 기부금 모금 시스템(70)에 접속하여 기부금을 적립 한 후,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기부자에게 착신을 시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 사실을 알림으로써, 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기부금 적립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기부자에게 착신을 시도한 발신자가 기부자에게 기분 좋은 전화를 발신한 경우에는 기부금 적립 유도는 물론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에 따른 보람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기부금을 적립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기부금을 적립할 수 있으므로 기부금 적립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타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기부금 적립을 유도할 수 있고 기부금 적립에 따른 보람을 공유할 수 있다.

Claims (23)

  1.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착신 내역을 저장하는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이 지정된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호 설정이 이루어져,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 번호별로 기부금 적립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상기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만족하는 착신 내역이 있는지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기부자의 기부 사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상기 기부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을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기부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내역과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내역 검색 조건은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범 위 내에서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내역 검색 조건은 상기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내의 모든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내역 검색 조건은 상기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지정된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어 기부금 적립을 위한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버튼 입력을 유도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된 버튼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한 후 이벤트 처리 결과에 적합한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ARS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최초로 기부금을 적립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접속 사실 및 기부금 적립 사실을 상기 ARS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 고유번호별로 적립 내역, 기부금 모금 시스템으로의 접속 시 각, 접속 종료 시각을 저장하는 이용 내역 관리 수단;
    상기 이용 내역 관리 수단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기부 내역을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에 합산 저장하도록 하는 과금 관리 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상기 기부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만족하는 착신 내역이 있는지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추출하는 착신 내역 조회 수단; 및
    상기 착신 내역 조회 수단에서 추출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메시지 수신자로 하여,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기부금 적립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착신 내역 조회 수단에서 추출한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RS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기부금 적립을 위한 버튼을 입력한 경우, 기부금 적립 사실을 알리는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서비스 안내 청취를 위한 버튼을 입력한 경우 기부금 적립 서비스를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안내멘트를 송출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자신의 기부금 적립 내역 확인을 위한 버튼을 입력한 경우 기부금 적립 내역을 안내멘트로 송출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안내멘트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내역 관리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별 기부금 적립 내역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RS 서버, 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 인터넷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관리 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에 더하여,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으로의 접속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상기 ARS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기부금을 적립할 자격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적립 자격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미성년자인 경우, 선불카드 사용자인 경우, 상한 요금제 이용 고객인 경우, 요금 연체자인 경우, 법인 고객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부금 적립 자격은 상기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의 고객 관리 시스템에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기부 가능 여부 판단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수단에서 생성하는 메시지는 단문, 장문,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
  13.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착신내역을 저장하는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과 접속되는 기부금 모금 시스템에서의 기부금 모금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지정된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하여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기부금 적립을 위한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DTMF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DTMF 신호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 기부금 적립 결과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접속을 종료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 번호의 기부금 모금 시스템으로의 접속 시각, 종료 시각 및 기부금 적립액을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기부금 적립 내역을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내역에 합산 저장하도록 하는 제 5 단계;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에 접속하기 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지정된 착신 내역 검색 조건에 만족하는 착신 내역이 있는지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여, 착신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착신 내역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발신 번호를 추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확인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메시지 수신자로 하여,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기부금 적립 사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후, 상기 안내멘트 송출 및 DTMF 입력을 요청하기 전, 상기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이 기부금 적립 자격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기부금 적립 자격이 있는 경우 안내멘트 송출 및 DTMF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기부금 적립 자격이 없는 경우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금 적립 자격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미성년자인 경우, 선불카드 사용자인 경우, 상한 요금제 이용 고객인 경우, 요금 연체자인 경우, 법인 고객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내역 검색 조건은 상기 기부금을 적립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내역 검색 조건은 상기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지정된 시간 내의 모든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내역 검색 조건은 상기 기부자가 기부금을 적립하기 전 가장 최근의 착신 내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 서비스 안내를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기부금 적립 서비스를 소개하는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DTMF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부금 적립 결과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접속을 종료하는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 이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최초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 내역을 요구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기부금 적립 내역을 안내멘트로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DTMF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부금 적립 결과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접속을 종료하는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된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 서비스 안내멘트를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기부금 모금 시스템은 기부금 적립 서비스를 소개하는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DTM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DTMF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부금 적립 결과 안내멘트를 송출하고 접속을 종료하는 상기 제 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을 요청하는 신호 이외의 신호인 경우에는 최초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가 기부금 적립 요구 신호, 기부금 적립 서비스 안내를 요청하는 신호, 기부금 적립 내역 요구 신호 이외의 신호인 경우, 접속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종료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종료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의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TMF 신호는 기부금 적립 요구 신호, 기부금 적립 서비스 안내 요청 신호, 기부금 적립 내역 요구 신호, 상위 메뉴로의 진행 신호 및 지정되지 않은 그 이외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종료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신호 전송 제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부금 모금 방법.
KR20030070401A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0401A KR100541525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0401A KR100541525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80A KR20050034480A (ko) 2005-04-14
KR100541525B1 true KR100541525B1 (ko) 2006-01-10

Family

ID=3723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04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1525B1 (ko) 2003-10-09 2003-10-09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5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80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9388B2 (en) Method for providing a collect call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76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irtime overdraft protection
JP2007124708A (ja) 無線アクセス・プロトコル・システムにおけるプリペイド無線電話アカウント再生成
CN101491119B (zh) 电子消息传递服务的家庭地带确定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20040100927A (ko) 이동 피호출 가입자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 호출 가입자가받는 통지
JP412718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移動体通信方法
US8886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vider awareness
KR100782052B1 (ko) 에스엠에스 콜백 서버를 이용한 국제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1178A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541525B1 (ko)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기부금 모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069039B1 (ko) 유선단말로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8842B1 (ko) 무선 통신망에서 선택적 수신자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82882A (ko)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89145A (ko) 선납된 통신 요금의 재충전 방법
KR100762808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의 이용 시간대에 따른 차등 과금 방법
KR100612670B1 (ko) 이동 통신망에서 국제 전화 자동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49685B1 (ko) 발신번호 메모 기능을 구비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및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방법
KR100754447B1 (ko) 보호자 동의를 전제로 한 콜렉트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WO2021080407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ацеленной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050055683A (ko) 단말기의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변경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