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8922B1 -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922B1
KR100538922B1 KR10-2003-0020427A KR20030020427A KR100538922B1 KR 100538922 B1 KR100538922 B1 KR 100538922B1 KR 20030020427 A KR20030020427 A KR 20030020427A KR 100538922 B1 KR100538922 B1 KR 10053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visor
subnet
candidate
members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5649A (ko
Inventor
김용석
쩐빈
나니야뜨아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922B1/ko
Priority to US10/778,214 priority patent/US7613424B2/en
Priority to CNB2004100066240A priority patent/CN1317833C/zh
Priority to EP20040004720 priority patent/EP1465373A3/en
Priority to JP2004101602A priority patent/JP3825786B2/ja
Publication of KR2004008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Leader-follow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하나의 슈퍼바이저와 복수의 멤버를 갖는 블루투스 HR 서브넷에서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이전에 미리 후보슈퍼바이저를 선출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시 핸드오버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은, HR 서브넷의 멤버 중에서,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는 후보슈퍼바이저를 결정하는 단계,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면, 후보슈퍼바이저가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조회 메시지에 대해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가 응답하는 경우에는, 후보슈퍼바이저가 새로운 슈퍼바이저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Method for performing Bluetooth high rate supervisor handover}
본 발명은 블루투스 HR(Bluetooth High rate) 서브넷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HR 서브넷에서 슈퍼바이저가 갖고 있는 각 멤버의 정보를 이용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이전에 미리 후보슈퍼바이저를 선출함으로써,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시 핸드오버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를 탑제한 프린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FAX, 키보드 등 사실상 모든 디지털 기기들이 근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장치간에 필요한 복잡한 케이블 연결이 필요없게 된다. 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적 단위는 피코넷이라 불리며, 피코넷은 블루투스가 만드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교환을 초기화하는 블루투스 장치인 마스터와 마스터에 대해 응답하는 블루투스 장치인 슬레이브를 포함한다. 하나의 마스터는 최대 7개의 액티브한 슬레이브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피코넷의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를 마스터로 하는 또다른 피코넷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복수의 피코넷 네트워크를 스캐터넷(Scatternet)이라 한다.
블루투스 기술에 의하면 낮은 소비전력으로 상대적으로 빠른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실제로 10m 이내의 장치간에 있어서의 1Mb/s의 전송속도는 문자정보 중심의 전송에서는 충분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용량이 많은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하고 있어 보다 빠른 전송속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는 기존 블루투스 규격의 확장으로서 블루투스 고속 데이터 전송 규격(Bluetooth High data rate specification)을 제시하고 있다. 이하, 기존의 블루투스 버전 1.1을 "저속(Low rate:LR) 모드" 또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FH) 모드"라 칭하고, 고속 데이터 전송 규격을 "HR(High rate) 모드"라 칭한다. HR 모드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속도가 최고 12Mb/s 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HR 모드를 위한 HR 채널은 종래의 블루투스 FH 피코넷 채널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FH 피코넷의 서브넷으로서 HR 서브넷의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FH 피코넷에 속하는 장치는, HR 채널을 형성하여 블루투스 FH 피코넷 내에서 동시에 HR 서브넷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FH 피코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FH 피코넷은 마스터(M)와 슬레이브(S1 내지 S7)로 구성된다. 또한, 마스터(M)와 슬레이브(S1, S2)가 하나의 HR 서브넷을 구성하고 있으며, 슬레이브(S3, S4, S5)가 또다른 HR 서브넷을 구성하고 있다. FH 피코넷 상에는 2개 이상의 HR 서브넷이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HR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간에는 HR 채널을 통한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FH 피코넷의 마스터가 반드시 HR 서브넷에 참가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마스터는 HR 서브넷의 형성에만 관여한다. 대신에, HR 서브넷은 HR 슈퍼바이저를 갖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마스터(M)과 슬레이브(S1, S2)로 구성된 HR 서브넷에서는 마스터(M)가 슈퍼바이저이고, 슬레이브(S3, S4, S5)로 구성된 HR 서브넷에서는 슬레이브(S4)가 슈퍼바이저이다. 마스터가 속한 HR 서브넷의 경우에는 마스터가 주로 HR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스터와는 달리, HR 슈퍼바이저는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지 않는다. HR 슈퍼바이저의 역할은 FH 모드와 HR 모드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HR 채널에 새로운 장치의 유입등의 HR 네트워크의 구성 변화를 보고하고, HR 서브넷에서 액티브한 장치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등 링크를 관리하는 것이다.
HR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이하, "HR 멤버"라 칭한다)는 동시에 FH 피코넷에서의 역할도 유지한다. 피코넷 마스터는, HR 서브넷에 속하는 슬레이브가 파크(Park), 홀드(Hold), 스니프(Sniff) 등의 저전력모드인 것으로 인식한다. HR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는 FH 채널에서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기간동안에는 HR 채널에서 통신하며, FH 채널과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FH 피코넷 채널을 스캔한다. 따라서, 피코넷 마스터는 피코넷상의 전체 장치를 계속 제어하게 된다.
HR 채널 통신에서는 토큰 방식을 이용해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가 이루어진다. HR 채널상에서는 전송할 권리를 제공하는 우선순위 개념이 도입되어 QoS를 보장하고, 동기, 비동기 및 등시성 전송 서비스를 지원한다.
HR 장치는 토근 교환 방식을 이용하여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HR 슈퍼바이저의 개입없이 통신한다. 그러나, HR 슈퍼바이저는 FH 피코넷에서 액티브한 멤버의 주소를 항상 갖고 있어야 하며, 슈퍼바이저가 바뀌는 경우에는 종전 슈퍼바이저는 FH 피코넷에서의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HR 슈퍼바이저가 없는 경우에도 HR 네트워크상의 통신은 가능할 수 있으나, 네트워크의 동기 우선순위 슬롯이 어느 장치에도 속하지 않으므로, 어느 우선순위에 있는 슬롯에서든지 트래픽이 시작될 수 있고, 네트워크의 슬롯 구조가 손실되므로,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를 첨가하거나 새로운 로직 링크를 첨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FH 마스터는 주기적으로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현재의 HR 슈퍼바이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폴메시지(Poll message)를 HR 슈퍼바이저에게 전송하여 HR 슈퍼바이저가 타임아웃시간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슈퍼바이저의 부재를 검출하게 된다.
HR 네트워크에서는 어느 장치라도 HR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으며, HR 슈퍼바이저는 FH 마스터가 선출한다. 따라서, HR 슈퍼바이저의 부재가 검출되면, FH 마스터는 다른 모든 멤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멤버 중에서, 각 장치가 HR 네트워크에 접속한 순서대로 "1"부터 시작하여 오름차순으로 FH 마스터에 의해 주어지는 주소인 DCP(Device Control point) 주소값이 가장 작은 기기를 새로운 HR 슈퍼바이저로 선출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슈퍼바이저의 HR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끊어지거나(HR 동기화 타임아웃), 보다 성능이 뛰어난 장치가 HR 네트워크에 새로이 접속하게 되는 등의 이유로 LMP(Link Message Protocol) HR 핸드오버가 요청되는 등, 어떠한 이유로든 종전의 슈퍼바이저가 부재(absent)하게 되어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선출되는 과정을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Supervisor handover)라고 한다. HR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HR 멤버가 HR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므로, 어느 멤버든지 슈퍼바이저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현재의 HR 슈퍼바이저의 부재가 발생하면, 마스터는 다른 모든 멤버와 통신할 수 있는 멤버를 찾아서 그중에서 새로운 슈퍼바이저를 선출한다. 이과정에서, 마스터는 가장 작은 DCP 주소값을 갖는 멤버에게 슈퍼바이저핸드오버를 알리고, 해당 멤버는 다른 모든 멤버에 조회(Inquiry)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각 멤버의 응답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멤버가 모든 멤버와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된다. 어느 한 멤버라도 응답이 없으면, 해당 멤버는 슈퍼바이저가 될 수 없으므로, 마스터는 다음으로 작은 DCP 주소값을 갖는 멤버에게 슈퍼바이저핸드오버를 알리고, 이를 수신한 멤버는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은, 하나의 조회 메시지에 대해 모든 멤버가 응답하거나, 모든 멤버에 의해 조회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팅이 수행될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모든 멤버와 통신할 수 있는 멤버가 없는 경우에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하고, 모든 HR 멤버는 FH 피코넷으로 복귀한다.
DCP 주소는 단지 해당 장치가 FH 네트워크에 접속한 순서를 표시할 뿐이며, 해당 장치의 성능이나 HR 네트워크상의 위치 등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므로, DCP 주소값이 작은 장치가 반드시 슈퍼바이저로 적당한 장치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슈퍼바이저핸드오버시에 마스터가 새로운 슈퍼바이저를 선출하기까지는, 상기한 다른 모든 멤버와 통신가능한 멤버를 찾는 과정을 통상 복수회 반복하게 되며, 슈퍼바이저를 선출한 이후에야 비로소 새로이 선출된 슈퍼바이저에 의해 재동기화 과정이 수행되고 HR 네트워크가 정상화되게 된다. 결국, 슈퍼바이저의 공백기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HR 서브넷에서 슈퍼바이저가 갖고 있는, 각 멤버의 정보를 이용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이전에 미리 후보슈퍼바이저를 선출함으로써,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시 핸드오버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슈퍼바이저와 복수의 멤버를 갖는 제 1 HR 서브넷의 새로운 슈퍼바이저를 선출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멤버 중에서,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는 후보슈퍼바이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면, 상기 후보슈퍼바이저가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메시지에 대해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가 응답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보슈퍼바이저가 새로운 슈퍼바이저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로운 슈퍼바이저 결정단계는, 상기 조회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멤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보슈퍼바이저로부터 응답한 멤버에게 상기 응답하지 않은 HR 멤버를 색출하고 제 2 HR 서브넷을 구성하라는 색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색출 메시지를 수신한 멤버는 상기 응답하지 않은 멤버를 색출하여, 상기 색출된 멤버를 포함하고 자신이 또다른 슈퍼바이저가 되는 또다른 HR 서브넷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또다른 슈퍼바이저로부터 상기 후보슈퍼바이저에게 상기 색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하고, 상기 어느 HR 서브넷에도 속하지 않는 멤버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보슈퍼바이저 결정단계는,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각 멤버로부터 해당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을 상기 슈퍼바이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에 의해,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의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의 리스트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슈퍼바이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 리스트 및 상기 결정된 후보슈퍼바이저를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성능 기록은 해당 멤버의 배터리 잔여 용량 및 HR 서브넷상에서 지원가능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장치 기록에는 해당 멤버가 수신가능한 전파범위 내에 있는 타 HR 멤버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기 전에 HR 서브넷 각 멤버의 동작을 나타낸 메시지시퀀스챠트(Message Sequence Chart: MSC)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인 블루투스 HR 서브넷은 슈퍼바이저(100), 후보슈퍼바이저(110), 및 HR 멤버1 내지 n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 120은 HR 멤버1이고, 130은 HR 멤버n이며, 그외의 HR 멤버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각 HR 멤버(1 내지 n)는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을 슈퍼바이저(100)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한다(S200, S201, S202, S205, S206, S207). 장치성능은 각 HR 멤버가 보유하고 있는 기록으로서, 예를 들면 배터리 잔여 파워용량, HR 서브넷상에서 지원가능한 기능 등을 포함한다. 각 HR 멤버는 HR 서브넷 접속시 자신의 장치성능을 HR 슈퍼바이저(100)에 보고하고, HR 멤버의 지위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따라서, 슈퍼바이저(100)는 모든 멤버의 장치성능 리스트를 갖고 있다.
한편, HR 멤버는 동기를 유지하고 슬롯의 토큰 할당을 확인하기 위해, 자신이 수신한 패킷의 헤더를 스캔해야 한다. HR 패킷의 헤더에는 패킷을 송신한 장치의 송신지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송신지 주소가 발견되면, HR 멤버는 송신지 장치를 "인접장치"라고 기록하며, 이렇게 기록된 인접장치는 HR 멤버가 수신할 수 있는 전파범위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HR 멤버는 소정의 시간(Lifetime) 동안 해당 인접장치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인접장치의 기록을 삭제한다. 따라서, 각 HR 멤버는 자신의 전파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인접장치의 최신 기록을 갖고 있다.
각 HR 멤버의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을 보고받은 슈퍼바이저(100)는 장치성능 리스트와 인접장치 리스트를 작성하여, 모든 HR 멤버에게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S210, S211, S212). 장치성능 리스트와 인접장치 리스트에 기초하여, 슈퍼바이저(100)는 HR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적절한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는 "후보슈퍼바이저(110)"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각 HR 멤버에게 브로드캐스팅된다. 예를 들면, 후보슈퍼바이저(110)는 장치성능이 가장 뛰어난 멤버로서, 그 전파범위가 가장 넓은, 즉 가장 많은 인접장치를 갖는 멤버가 될 수 있다. 슈퍼바이저(100)는 장치성능 리스트와 인접장치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모든 HR 멤버에게 브로브캐스팅하므로, 모든 HR 멤버는 어느 HR 멤버가 후보슈퍼바이저(110)인지를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 수행시, 모든 경우에 따른 HR 서브넷 각 멤버의 동작을 나타낸 MSC이다.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HR 동기화 타임이 경과하거나, 슈퍼바이저(100)으로부터 LMP(Link Message Protocol) 핸드오버 요청이 있는 경우(S213)에 시작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보슈퍼바이저(110)가 미리 결정되어 모든 HR 멤버가 이를 인식하고 있으므로, 후보슈퍼바이저(110)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즉시 각 HR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15, S216).
도 3을 참조하여, 모든 슈퍼바이저가 조회 메시지에 응답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후보슈퍼바이저(110)가 브로드캐스팅한 조회 메시지에 대해 모든 HR 멤버가 응답한다(S219, S220). 따라서, 후보슈퍼바이저는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와 통신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응답을 수신한 후보슈퍼바이저(100)는 HR 동기화를 수행하고 비이콘을 구성하는 등 슈퍼바이저로서의 역할을 시작하고(S260, S261),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한다.
이하, 후보슈퍼바이저의 조회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은 HR 멤버(130)가 있어서, HR 스캐터넷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후보슈퍼바이저의 조회 메시지에 대해 HR 멤버(120)가 응답한다(S225). HR 멤버(130)는 응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보슈퍼바이저(110)는 장치성능 리스트와 인접장치 리스트를 고려하여 선출된, 가장 적절하게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멤버이므로, 다른 멤버를 슈퍼바이저로 고려할 필요는 없다. 후보슈퍼바이저(110)는 조회 메시지에 응답한 HR 멤버(120)에게 응답이 없는 HR 멤버(130)를 색출하여 스캐터넷을 구성하라는 색출 메시지를 전송한다(S227, S230). 색출 메시지를 수신한 HR 멤버(120)는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35). HR 멤버(120)의 조회 메시지에 대해, HR 멤버(130)이 응답하여(S240), HR 멤버(130)를 색출한 HR 멤버(120)는, 후보슈퍼바이저(110)에게 색출 메지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245). 색출 메시지에 응답하는 HR 멤버(120)는 후보슈퍼바이저(110)의 조회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은 멤버(130)를 인접장치로 기록하고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색출 메시지에 응답하는 HR 멤버(120)는 자신을 브릿지 노드로 하는 HR 스캐터넷을 구성한다. 브릿지 노드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적용하여 두개의 HR 서브넷에 모두 속하고, 새로이 구성된 HR 서브넷의 슈퍼바이저가 되며, 새로운 HR 스캐터넷/서브넷에 대응하는 FH 피코넷/스캐터넷상에서는 색출된 멤버(130)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가 된다.
만약 브릿지 노드가 되는 멤버(120)가 응답이 없는 모든 멤버를 색출하지 못하면, 새로운 브릿지 노드가 상기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응답한 멤버들 모두가 상기 단계를 수행하면,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한다.
도면 3을 다시 참조하여,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소정의 제한시간이 경과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종료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HR 서브넷을 유지할 실효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대해 소정의 제한시간을 설정한다. 따라서, 제한시간 내에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구성한 HR 서브넷 또는 스캐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멤버들은 FH 피코넷으로 복귀한다(S253). 결국, 어떤 경우이든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종료하면, 새로운 슈퍼바이저는 HR 네트워크를 동기화하고, 비이콘(Beacon)을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등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260).
본 발명에 따르면, 슈퍼바이저가 각 멤버로부터 장치성능과 인접장치를 수신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각 멤버에게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가장 절적한 후보슈퍼바이저를 미리 각 멤버에게 알린다. 이러한 리스트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시, 해당 후보슈퍼바이저는 즉시 각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응답하는 멤버에 대한 HR 서브넷 또는 응답하지 않는 멤버에 대한 HR 스캐터넷을 구성하여 보다 많은 HR 멤버가 HR 서브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보슈퍼바이저를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 이전에 미리 결정하여,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발생시, 해당 후보슈퍼바이저는 즉시 각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응답하는 멤버에 대한 HR 서브넷 또는 응답하지 않는 멤버에 대한 HR 스캐터넷을 구성함으로써,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슈퍼바이저핸드오버에 대한 제한시간을 설정하여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슈퍼바이저핸드오버를 종료한다. 따라서, 슈퍼바이저핸드오버 시간 지연에 따른 서비스 중단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블루투스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FH) 피코넷(Piconet)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기 전에 HR 서브넷 각 멤버의 동작을 나타낸 메시지시퀀스 챠트(Message Sequence Chart: MSC),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R 슈퍼바이저핸드오버 수행시, 모든 경우에 따른 HR 서브넷 각 멤버의 동작을 나타낸 MSC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마스터 S1 내지 S7: 슬레이브
100: 슈퍼바이저 110: 후보슈퍼바이저
120, 130: HR 멤버

Claims (5)

  1. 하나의 슈퍼바이저와 복수의 멤버를 갖는 제 1 HR 서브넷의 새로운 슈퍼바이저를 선출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멤버 중에서,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기 이전에 상기 새로운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는 후보슈퍼바이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가 시작되면, 상기 후보슈퍼바이저가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조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메시지에 대해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가 응답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보슈퍼바이저가 새로운 슈퍼바이저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슈퍼바이저 결정단계는,
    상기 조회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멤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보슈퍼바이저로부터 응답한 멤버에게 상기 응답하지 않은 HR 멤버를 색출하고 제 2 HR 서브넷을 구성하라는 색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색출 메시지를 수신한 멤버는 상기 응답하지 않은 멤버를 색출하여, 상기 색출된 멤버를 포함하고 자신이 또다른 슈퍼바이저가 되는 또다른 HR 서브넷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또다른 슈퍼바이저로부터 상기 후보슈퍼바이저에게 상기 색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슈퍼바이저핸드오버는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슈퍼바이저 결정단계는,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각 멤버로부터 해당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을 상기 슈퍼바이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에 의해,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의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의 리스트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슈퍼바이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성능과 인접장치 기록 리스트 및 상기 결정된 후보슈퍼바이저를 상기 제 1 HR 서브넷의 모든 멤버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성능 기록은 해당 멤버의 배터리 잔여 용량 및 HR 서브넷상에서 지원가능한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장치 기록에는 해당 멤버가 수신가능한 전파범위 내에 있는 타 HR 멤버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KR10-2003-0020427A 2003-04-01 2003-04-01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KR10053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27A KR100538922B1 (ko) 2003-04-01 2003-04-01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US10/778,214 US7613424B2 (en) 2003-04-01 2004-02-17 Method for performing bluetooth high rate supervisor handover
CNB2004100066240A CN1317833C (zh) 2003-04-01 2004-02-25 执行蓝牙高速监测器切换的方法
EP20040004720 EP1465373A3 (en) 2003-04-01 2004-03-01 Method for Bluetooth master selection
JP2004101602A JP3825786B2 (ja) 2003-04-01 2004-03-31 ブルートゥース高速サブネットにおけるスーパバイザハンドオー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27A KR100538922B1 (ko) 2003-04-01 2003-04-01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649A KR20040085649A (ko) 2004-10-08
KR100538922B1 true KR100538922B1 (ko) 2005-12-27

Family

ID=3284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427A KR100538922B1 (ko) 2003-04-01 2003-04-01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3424B2 (ko)
EP (1) EP1465373A3 (ko)
JP (1) JP3825786B2 (ko)
KR (1) KR100538922B1 (ko)
CN (1) CN13178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458B2 (en) * 2001-02-20 2007-02-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duced subset scan and dual frequency wakeup for bluetooth inquiry operation
KR101141222B1 (ko) * 2005-10-04 201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 방송메시지를 이용한이웃기기리스트 작성방법
JP4906315B2 (ja) * 2005-10-31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336398A (ja) * 2006-06-16 2007-12-27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601229B (zh) * 2006-08-04 2012-07-04 微软公司 在省电的同时在无线设备之间的同步
KR100846796B1 (ko) * 2006-10-0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782083B1 (ko) *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5293426B2 (ja) * 2009-06-09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026396B (zh) * 2009-09-11 2013-01-30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兼容于蓝牙协议且具有提升传输效率的轮询方法与系统
KR101690255B1 (ko) 2010-02-25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 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CN102884733B (zh) * 2010-05-11 2016-07-0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共存系统中选择主装置的方法
WO2016024234A1 (en) * 2014-08-13 2016-02-18 Tan Huey Meng Fail-safe electronic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0712B2 (en) * 1996-11-07 2001-03-15 Nec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parent terminal and ad hoc network for the same
US6751196B1 (en) 1997-08-27 2004-06-1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eer-to-peer link monitoring of a wireless network with centralized control
US6590928B1 (en) * 1997-09-17 2003-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equency hopping piconets in an uncoordinated wireless multi-user system
DE19930423A1 (de) 1999-07-01 2001-01-18 Siemens Ag Schnurloses Datenübertragungsnetzwerk und Verfahren zu seiner Verwaltung
KR100620289B1 (ko) 2000-07-25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이탈시 사설 간이 네트워크 운영 방법
US7222166B2 (en) * 2001-01-25 2007-05-22 Bandspeed, Inc. Approach for managing communications channels based on performance and transferring fun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a communications arrangement
US7310661B2 (en) * 2001-01-25 2007-12-18 Bandspeed, Inc. Approach for transferring fun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a communications arrangement
GB2379358A (en) 2001-08-28 2003-03-05 Toshiba Res Europ Ltd Channel selection based on quality of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5373A3 (en) 2008-04-16
EP1465373A2 (en) 2004-10-06
KR20040085649A (ko) 2004-10-08
CN1317833C (zh) 2007-05-23
CN1534885A (zh) 2004-10-06
JP3825786B2 (ja) 2006-09-27
US7613424B2 (en) 2009-11-03
US20040198358A1 (en) 2004-10-07
JP2004312729A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207B2 (en) Adaptive routing
EP1658698B1 (en) Distributed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847625B2 (e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dynamic role switching between radio modules to optimize service delivery
JP3673149B2 (ja) 無線lanの高速ローミング方法
EP256613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er-to-peer network discovery using multi-user diversity
JP4505454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性能全体を改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594493B1 (en) Paging arran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60089119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scatternet formation in ad hoc networks
US20030036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ervice access
KR100538922B1 (ko) 블루투스 고속 서브넷에서의 슈퍼바이저핸드오버 방법
WO2002025967A1 (en)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andoff performance
JP4734336B2 (ja) マスタ/スレーブノードを利用した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相互接続
CN1849779A (zh) 用于在微微网通信系统内发现邻者的方法和设备
KR102200775B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awamoto et al. A two-phase scatternet formation protocol for Bluetoo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8396422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ethod of determining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RU2705008C1 (ru) Аппарат связ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аппаратом и постоя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US20050152381A1 (en) Network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030013472A1 (en) Communications networks
US7664120B2 (en) Multiple-transceiver distributed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12468187B (zh) 一种电力载波通信设备的自组网方法
KR2006006601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그시스템
Sharma Major Challenges to Bluetooth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