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5901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901B1
KR100535901B1 KR10-2003-7004731A KR20037004731A KR100535901B1 KR 100535901 B1 KR100535901 B1 KR 100535901B1 KR 20037004731 A KR20037004731 A KR 20037004731A KR 100535901 B1 KR100535901 B1 KR 10053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towing rope
hoistway
predetermined range
c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246A (ko
Inventor
시타미야코오지
요시카와마사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9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1)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4)의 활차(5)가 견인로프(3)에 대해 공전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인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 하려고 해도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을 미연에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1,3,4,8)에 변형,손상등의 불편을 발생 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권양기로 견인로프를 구동해서 승차카와 균형추의 승강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최상층의 승차장보다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승차카가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 4를 사용해서 기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기지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주로 승차자가 승차해 승강로(10)내를 승강하는 카(1), 승차카(1)의 승강방향과 상반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2), 승차카(1)을 일단측에 현가하고 균형추(2)를 타단측에 현가하는 견인로프(37)(주삭), 활차(5)를 구비해 그 활차(5)에 견인로프(3)을 감아서 견인로프(3)를 구동하는 권양기(4)(권양모터), 승차카(1)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차카용의 가이드 레일(8), 균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은 균형추용의 가이드 레일등으로 구성된다. 또 권양기(4)는 승강기(10)의 정상부에 설치된 지지대(11)상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승차카(1)의 상부에는 롤러부를 갖는 상부 안내장치(7)(가이드 장치)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부 안내장치(7)의 롤러부가 가이드 레일(8)의 표면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승차카(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의 상단부에는 상부 안내장치(7)가 가이드 레일(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활차(5)에서의 마찰전동에 의한 견인로프(3)의 구동에 의해 승차카(1)는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승차카용의 가이드 레일(8)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되는 것은 도시하지 않은 최하층의 승차장으로부터 최상층의 승차장(6)까지의 승차카(1)의 통상의 승강범위를 말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권양기(4)의 브레이크계가 고장나서 활차(5)의 제동타이밍이 늦어진 경우에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부 안내장치(7)은 스토퍼(9)에 접촉해서 승차카(1)가 가이드 레일(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기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상부 안내장치(7)가 스토퍼(9)에 접촉했을 때에 장치의 구성부재에 좋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 가능성이 있었다.
예를 들면, 권양기(4)의 브레이크계가 전혀 기능하지 않았을 때에는 활차(5)는 회전속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통상의 승강시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부 안내장치(7)는 통상의 승차카(1)의 승강의 스피드와 등속도로 스토퍼(9)에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상부 안내장치(7)나 스토퍼(9)가 손상하거나 가이드 레일(8)이 변형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었다.
또, 상부 안내장치(7)와 스토퍼(9)와의 접촉에 의해 견인로프(3)에는 통상시 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어 권양기(4)나 견인로프(3)의 손상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불합리성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후의 승차카(1)의 승차감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근년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스페이스 생략화의 요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승강로내에서의 가이드 레일(8)의 길이를 필요 최소한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8)을 최상층의 승차장(6) 위치보다 약간 길게 설정함으로써 승강로(10)의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누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8)의 길이가 짧아지는 만큼 승차카(1)의 가이드 레일(8)로부터 이탈하는데 대한 여유도가 작아지므로 상술한 문제가 보다 한층 크로즈업 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는 경우라도 장치의 구성부재로 변형, 손상 등의 좋지 않은 일이 생기지 않는 고품질이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2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기지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의 활차가 견인로프에 대해 공전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소정의 범위를 초과한 승강을 미연에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를 변형, 손상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견인로프의 저마찰 영역을 권양기의 활차에 감도록 한 것이다.
이로인해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리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로 변경, 손상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초과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의 활차에 대한 견인로프의 감는 각도를 감소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초과해서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범위를 초과한 승강을 미연에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로 변경,손상 등의 불량한 것을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견인로프가 감합부를 이탈해서 요철(凹凸)부를 구비한 활차에 감기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할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연에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로 변형, 손상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의 활차에 대한 견인로프의 감는 작용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치의 구성부재에 변형, 손상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에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견인로프가 감합부를 이탈해서 요철(凹凸)부를 구비한 활차에 감기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지나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맞물림 전동은 되지 않으므로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연에 방지해서 장치의 구성부재로 변형,손상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주로 승강로(10)내를 승강하는 승차카(1), 승차카(1)의 승강방향과 상반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2), 승차카(1)을 일단측에 현가하고 균형추(2)를 타단측에 현가하는 견인로프(3), 활차(5)를 구비하고, 그 활차(5)에 견인로프(3)를 걸어서 견인로프(3)를 구동하는 권양기(4), 승차카(1)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차카용 가이드 레일(8), 균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은 균형추용의 가이드 레일등으로 구성된다.
또, 권양기(4)는 승강로(10)의 정상부에 설치된 지지대(11)상에 지지되어 있다. 또 승차카(1)의 상부에는 상부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안내장치(7)가 가이드 레일(8)에 접촉해 있다.
여기서, 견인로프(3)는 길이방향(로프길이에 상당하는 방향이다)의 일부에 마찰계수가 낮은 저마찰영역(3a)을 가지고 있다.
즉, 견인로프(3)은 활차(5)에서의 마찰전동에 필요한 통상의 마찰계수를 갖는 영역과, 그 영역의 마찰계수 보다도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저마찰영역(3a)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저마찰영역(3a)을 갖는 견인로프(3)는, 예를 들면 통상의 견인로프(3)의 소망의 위치에 저마찰부재를 피복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 저마찰영역(3a)은 견인로프(3)의 길이방향에서의 승차카(2)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마찰영역(3a)의 마찰계수는 저마찰영역(3a)이 활차(5)에 감겼을 때에 활차(5)를 공전시키는 데 충분한 값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차카 (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견인로프(3)의 저마찰영역(3a)이 권양기(4)의 활차(5)에 감기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저마찰영역(3a)이 권양기(4)의 활차(5)에 감긴 경우에는 활차(5)는 견인로프(3)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견인로프(3)에 마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려고 해도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위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동해도 약간의 거리만 이동하게 되고 승차카(1)가 카이드 레일(8)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하면 활차(5)가 견인로프(3)에 대해 공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8), 승차카(1), 권양기(4), 견인로프(3) 등의 구성부재에 변형, 손상 등의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로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권양기(4)를 승강로(10)의 정상부에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권양기(4)를 그 이외의 장소, 예를 들면 승강로(10)의 저부에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견인로프(3)의 저마찰영역(3a)의 위치를 그에 대응한 위치로 하게되며 이로써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는 경우를 승차카(1)의 최상층보다 위로 이동하는 경우로 하였으나, 본 제1의 실시의 형태는 승차카(1)이 최하층보다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견인로프(3)의 저마찰영역(3a)의 위치를 균형추(2) 근처의 위치로하게 되어 이로 인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주로 승차카(1), 균형추(2), 견인로프(3), 활차(5)를 구비한 권양기(4), 승차카용의 가이드 레일(8), 도시하지 않은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 등으로 구성된다.
또, 승강로(10)내의 저부에는 균형추(2)의 하중을 받는 받는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는대(12)는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초과해서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위로 이동해서 이에 대응해서 균형추(2)가 소정범위 보다 아래로 이동했을 때에 그 균형추(2)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 받는대(12)는 균형추(2)가 접촉할때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예를 들면 방진고무 등의 충격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권양기(4)가 설치된 승강로(10)의 정상부에는 활차(5)와 균형추(2) 사이에서 견인로프(3)에 접촉하는 종동활차(16)와 종동활차(16)를 일단에서 지지해서 승강로(10)의 벽부에 타단이 지지된 인장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종동활차(16)를 지지하는 인장스프링(15)은 균형추(2)측의 견인로프(3)의 장력이 보통의 크기보다 작아졌을 때에 견인로프(3)를 승강로(10)내의 벽측으로 잡아당기는데 충분한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차카 (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승강하고 있을 때는 종동활차(16)가 소정범위(도면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이다)에서 견인로프(3)에 접해서 견인로프(3)의 활차 (5)에 대한 감는 각도는 약 180°로 보존된다.
이에 대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승강하고 있을 때는 인장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종동활차(16)가 소정위치로부터 이동(도면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화살표 방향의 이동이다)해서 견인로프(3)의 활차(5)에 대한 감는 각은 감소된다.
여기서, 감는 각이라는 것은 활차(5)에 감기는 견인로프(3)의 범위를 말하고 그 범위를 활차(5)의 회동 중심에서 본 각도로 표시한 것이다.
즉,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받는대(12)가 균형추(2)의 하중을 받아서 균형추(2)측의견인로프(3)의 장력을 감소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종동활차(16)가 장력이 감소한 균형추(2)측의 견인로프(3)를 활차(5)에 대한 견인로프(3)의 감는 각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탈시킨다. 그리고, 균형추(2)측의 견인로프(3)에는 승차카(1)측의 장력과 거의 동등한 장력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권양기(4)의 활차(5)에 대한 견인로프(3)의 감는 각이 감소된 경우에는 활차(5)와 견인로프(3)와의 접촉면은 통상시보다 작아지므로 활차(5)는 견인로프(3)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견인로프(3)에 마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려고 해도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위로는 이동하지 않든가, 이동해도 약간의 거리만 이동하게 되어 승차카(1)가 가이드 레일(8)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하면 활차(5)가 견인로프(3)에 대해 공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8), 승차카(1), 권양기(4), 견인로프(3)등의 구성부재에 변형, 손상 등의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로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표시한바와 같이 본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같이 주로 승차카(1), 균형추(2), 승차카(1)와 균형추 (2)를 양단측에 각각 현가하는 견인로프(19), 견인로프(19)를 감는 활차(18)를 구비한 권양기(4), 승차카용의 가이드 레일(8), 도시하지 않는 균형추용의 가이드 레일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권양기(4)의 활차(18)는 원주방향으로 등피치로 형성된 요철(凹凸)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스프로켓이다.
또, 견인로프(19)는 길이방향의 일부에 활차(18)의 요철(凹凸)부에 맞물리는 감합부(19b)를 구비한, 예를 들면 스프로켓의 톱니형상에 대응한 톱니부착 벨트이다.
그리고, 견인로프(19)의 승차카(1)쪽 부분에는 활차(18)의 요철(凹凸)부와는 감합하지 않는 비감합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차카 (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승강하고 있을 때에는 견인로프(19)의 감합부 (19b)가 활차(18)의 요철(凹凸)부에 감합해서 맞물림 전동에 의해 활차(18)가 견인로프(19)를 구동해서 승차카(1) 및 균형추(2)의 승강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최상층의 승차장 (6)보다 위쪽으로 이동할 때는 견인로프(19)의 비감합부(19a)가 권양기(4)의 활차 (18)에 감기게 되어 있다. 그리고, 비감합부(19a)가 권양기(4)의 활차(18)에 감겼을 때는 견인로프(19)는 활차(18)의 철(凸)부에 접촉하는 것만이므로 활차(18)는 견인로프(19)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견인로프(19)에 맞물림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려고 해도 최상층의 승차장(6)보다 위로는 이동하지 않으나, 이동해도 약간의 거리만 이동하게되어 승차카(1)가 가이드 레일(8)에서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승차카(1)가 승강로(10)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하면 활차(18)가 견인로프(19)에 대해 공전되게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8), 승차카(1), 권양기 (4), 견인로프(19) 등의 구성부재에 변형,부상 등의 불편함이 생기지 않는 고품질의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각 실시의 형태중에서 시사(示唆)한것 외에도 각 실시의 형태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한 일이다. 또, 상기 구성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구성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의 활차가 견인로프에 대해 공전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소정의 범위를 넘는 승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부재에 변형,손상 등의 불편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이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는 견인로프의 저마찰영역을 권양기의 활차에 감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안되고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부재에 변형,손상 등의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이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의 소정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권양기의 활차에 대한 견인로프가 감기는 각을 감소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로부터 견인로프에의 마찰전동은 되지 않고 소정의 범위를 넘은 승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부재에 변형,손상 등의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로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견인로프가 감합부를 벗어나 요철(凹凸)부를 구비한 활차에 감기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승차카가 승강로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 승강하려고 해도 활차에서 견인로프에의 맞물림 전동은 되지 않고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의 승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부재에 변형,손상 등의 불편함이 생기지 않는 고품질이고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 장치로 유용하다.

Claims (3)

  1. 승강로 내의 소정의 범위를 각각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차카와 균형추를 양단측에 각각 현가하는 견인로프와, 회동 가능한 활차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로프를 상기 활차에 감아서 상기 견인로프를 구동하는 권양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로프는 길이방향의 일부에 마찰계수가 낮은 저마찰영역을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상기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상기 견인로프의 저마찰영역이 상기 활차에 감김으로써, 상기 활차가 상기 견인로프에 대해 공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의 소정의 범위를 넘어서 상기 승차카가 승강할 때에, 상기 균형추의 하중을 받아서 상기 균형추측의 상기 견인로프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받는대와, 상기 장력이 감소된 균형추측의 상기 견인로프를 상기 활차에 대한 상기 견인로프의 감는 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탈시키는 종동활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04731A 2001-07-13 2001-07-13 엘리베이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6079 WO2003008321A1 (en) 2001-07-13 2001-07-13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246A KR20030034246A (ko) 2003-05-01
KR100535901B1 true KR100535901B1 (ko) 2005-12-09

Family

ID=1173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7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5901B1 (ko) 2001-07-13 2001-07-1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07997B1 (ko)
JP (1) JP4862244B2 (ko)
KR (1) KR100535901B1 (ko)
CN (1) CN1206153C (ko)
WO (1) WO2003008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3219A2 (en) * 2003-06-18 2004-12-29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Sheave for elevator
TW200710013A (en) * 2005-07-25 2007-03-16 Inventio Ag Installation with support means for driving a lift cage, and corresponding support means
ES2294944B1 (es) * 2006-09-25 2009-02-16 Orona S. Coop Elemento de suspension y traccion para aparatos elevadores y aparato elevador.
EP2985255B1 (en) * 2014-08-11 2021-11-17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08996374A (zh) * 2018-10-06 2018-12-14 湖州巨创电梯部件有限公司 防偏移牵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573A (ja) * 1989-09-07 1991-04-18 Canon Inc ベルト駆動装置及び前記ベルト駆動装置を用いた記録装置
JPH05262469A (ja) * 1992-03-18 1993-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152001B2 (ja) * 1993-03-26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237853A (ja) * 1994-02-24 1995-09-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方法
JP3137832B2 (ja) * 1994-05-11 2001-02-26 帝人株式会社 ロープ状物
JPH08217366A (ja) * 1995-02-13 1996-08-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駆動装置
JP3494507B2 (ja) * 1995-06-14 2004-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免震建物のエレベータピット構造
JP3485802B2 (ja) * 1998-07-31 2004-01-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部材駆動装置
JP2000118914A (ja) * 1998-10-08 2000-04-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の張力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246A (ko) 2003-05-01
JP4862244B2 (ja) 2012-01-25
EP1407997A4 (en) 2010-02-17
CN1469838A (zh) 2004-01-21
EP1407997B1 (en) 2011-10-19
CN1206153C (zh) 2005-06-15
WO2003008321A1 (en) 2003-01-30
JPWO2003008321A1 (ja) 2004-11-04
EP1407997A1 (en)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7075B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US20090114487A1 (en) Elevator arrangement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6305499B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JP2012246116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非常止め試験方法
JP2012225102A (ja) 昇降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KR10053590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0975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KR1010168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022863A (ja)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EP2574584A1 (en) Frictional drive for an elevator and operating method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CN100534887C (zh) 电梯装置
JP507652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非常止め装置の試験方法
WO2009147749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042211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CN109952262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的检查方法
JPWO2019073560A1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釣合車ガイドシュー
JP7446194B2 (ja) 搬器の昇降駆動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CN221543761U (zh) 一种电梯轿厢用防冲顶保护装置
KR10079209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4803783B (en) Traction machine underneath type elevator
CN115180486A (zh) 一种轿厢自张紧的自爬升电梯系统
WO202422444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68846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非常止め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