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3650B1 -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 Google Patents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650B1
KR100533650B1 KR10-2003-0066646A KR20030066646A KR100533650B1 KR 100533650 B1 KR100533650 B1 KR 100533650B1 KR 20030066646 A KR20030066646 A KR 20030066646A KR 100533650 B1 KR100533650 B1 KR 10053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ntifreeze
low concentration
air
mois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701A (ko
Inventor
장영수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6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650B1/ko
Priority to JP2004278469A priority patent/JP3943102B2/ja
Priority to US10/950,768 priority patent/US6988374B2/en
Publication of KR2005003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6Preventing deposits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 열원 냉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갈 경우 공기 중의 수증기가 열교환기의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 고농도 부동액을 도포하는 부동액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상기 수증기가 과포화액을 거쳐 서리 결정핵으로 성장하기 이전에 미리 과포화액과 고농도 부동액을 혼합시킴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의 표면의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FROSTLESS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등과 같은 공기 열원 냉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갈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이 열교환기 표면에 착상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감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냉동기 관련 제품들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고효율의 냉동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 시스템은 냉매가 흐르는 관 주위를 액체로 하여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액체 열원(liquid-source) 냉동 시스템과 냉매가 흐르는 관 주위를 공기로 하여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공기 열원(air-source) 냉동 시스템으로 나뉜다.
공기 열원 냉동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열교환기인 증발기 표면 위에 형성되는 서리(frost)이다. 보다 상세히 말한다면, 증발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가면 증발기 주위의 수증기가 저온의 증발기 표면에 열을 빼앗겨 증발기 표면에 서리가 발생하는 착상(着霜)이 진행된다. 착상이 진행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서리가 자라 서리층이 형성되고, 서리층이 차가운 증발기 표면과 주위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사이에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열전달 성능이 저하되게 되고, 계속되는 서리층의 성장으로 인한 공기 유동 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증발기 주위에서 공기의 압력 강하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강하량의 증가는 증발기 주변에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기의 운전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되어 공기의 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즉, 저온의 열교환기인 증발기의 표면에 발생하는 착상으로 인하여 열전달 저항이 증가되고, 그 주변의 공기 유량이 감소하면 증발기의 열전달 성능을 감소시키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냉동 시스템 전반에 걸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 착상된 서리층을 녹여서 제거하는 제상(除霜) 과정이 주기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발생한다.
열교환기 표면에 형성되는 서리층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는 그동안 진행되어, 열교환기의 성능이 저하되면 서리층을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중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고온 가스 제상법과, 전기 제상법, 사이클리버싱(cycle reversing) 제상법 등이 있으며, 이 중 고온 가스 제상법은 압축기의 토출부의 고온 가스를 이용하여 열교환기 표면에 생성된 서리층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전기 제상법은 서리층이 형성된 열교환기 표면에 히터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서리층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사이클 리버싱 제상법은 일반 가정용 히트 펌프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난방 사이클을 운전하는 도중에 냉방 사이클로 운전을 전환하거나 그 역으로 운전을 전환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고온 가스 제상법은 서리가 두꺼울 경우에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전기 제상법은 조작과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온 가스 제상법에 비하여 제상 시간이 증가하고 저온의 열교환기 주변의 온도가 과다하게 상승할 염려가 높으므로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이클리버싱 제상법은 난방 또는 냉방 운전율 감소로 쾌적감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용덕이 고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5704호에 개시된 냉장고의 제상 장치는 고온의 부동액을 통과시키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가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역시 열교환기 주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안전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상 과정은 제상 작업 시간 동안 냉동 시스템의 운전을 중단 또는 불연속적으로 운전됨에 따른 증발기의 온도 상승으로 냉동 시스템의 연속적인 냉동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냉동 성능 측면과, 제상 작업을 위한 부가적인 열량 공급과 냉동 사이클의 재운전시 제상을 위한 열을 제거하는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저온의 열교환기 주변에 발생되는 서리층의 성장 속도는 열교환기의 위치, 주위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 양의 변화에 따른 열전달 물성치의 변화, 주위 공기의 온도, 열교환기 표면의 온도 및 상태, 주위 공기의 유속 등 다양한 변수들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적절한 제상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제상 후에도 녹은 물이 다시 증발하므로 증발기와 같은 저온의 열교환기 주위의 공기중으로 증발하여 다시 열교환기 표면에 재결빙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추가적인 에너지 손실 및 냉동 효율의 저감을 야기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착상 후에 제상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방법으로부터 벗어나 착상 자체를 지연시키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방안으로서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하거나, 압축기 출구측의 고온 냉매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히터를 설치함에 의하여 냉매에 열을 가하여 냉매와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서리 제거를 위한 부가적인 장치와 에너지를 또다시 필요하게 되므로 냉동기의 에너지 효율과 성능 저하는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또한, 윤점열이 고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0074702호에 개시된 흡수제를 이용한 무착상 냉장고는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기체 상태의 수분을 고체 상태의 흡수제를 사용하여 흡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는 흡수제의 흡착과 재생을 위한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고, 유입 공기와 재생에 필요한 공기를 흡수제로 통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소비되는 문제점과, 히트 펌프와 같은 대용량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해서는 흡착 장치가 대형화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열원 냉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물의 어느점인 0℃이하로 내려가는 저온의 열교환기 표면에 착상되는 서리층을 별도의 가열 장치 없이 서리 성장의 원인이 되는 서리결정핵을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제상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 표면에 발생하는 서리층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하는 부동액을 재사용하므로서 부동액의 사용량을 줄이고 추가적인 부동액 공급이 불필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부동액을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수분을 냉동 시스템의 가습에 필요한 공간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가습 장치의 역할을 아울러 갖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 열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갈 경우 공기 중의 수증기가 열교환기의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 부동액을 도포하는 부동액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수증기가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과포화액을 거쳐 서리 결정핵으로 성장하기 이전에, 상기 부동액을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표면 상에 형성된 과포화액을 상기 부동액과 혼합시켜 상기 열교환기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의 표면에 서리층이 형성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의 연속 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주위 공기의 압력 강하량 감소 등으로 인한 냉동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부동액은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과포화액과 혼합되고, 혼합된 상기 부동액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됨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과포화액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고농도 부동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상기 부동액이 표면에 쉽게 퍼질 수 있도록 친수성 표면 처리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부동액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상기 부동액의 공급구를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중력을 이용한 상기 부동액의 낙하로서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동액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분사 노즐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부동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도포된 상기 부동액의 재사용을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부동액을 회수하는 부동액 회수 장치와; 상기 부동액 회수 장치로부터 회수된 상기 부동액으로부터 상기 과포화액으로 형성된 수분을 제거하여 부동액의 농도를 높이는 부동액 재생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부동액을 재사용하므로서 연속 운전이 가능하므로 냉동 시스템의 냉동 효율을 증가시키고 냉동 시스템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부동액의 사용량을 줄이고 추가적인 부동액 공급이 불필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상기 부동액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상기 부동액으로부터 상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물만을 동결시켜 고농도 부동액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는 냉동기에 사용되는 증발기이고,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상기 부동액을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 표면에 공급하여 상기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수분은 가습에 필요한 공간에 공급하도록 하여 가습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가고, 공기 열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 주위의 공기 중의 수증기가 열교환기의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 부동액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표면의 제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증발기(3)와 같은 저온의 열교환기 표면의 서리층의 성장은 냉각 표면의 온도, 주위 공기의 유속, 주위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의 주변 조건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 서리층의 성장 과정은 결정(結晶) 생성기, 서리층 성장기, 및 서리층 성숙기의 3단계로 진행된다. 이를 보다 미시적으로 살펴보면, 주위의 수증기 분자들이 기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의 상변화를 지속적으로 하는 과정이며, 여기에는 과포화라는 필수적인 과정이 존재한다.
즉,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면, 과포화액 상태를 거쳐 동결하면서 서리 결정핵이 발생하고, 서리 결정핵을 중심으로 서리층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포화액이 동결하여 서리 결정핵이 되는 것을 막아준다면 증발기(3)와 같은 열교환기 표면에서의 서리의 생성과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부동액이란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등의 무기질 액체와 물을 혼합하거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질 액체와 물을 혼합한 것을 말한다. 순수한 물은 0℃에서 어는점이 형성되지만 무기질 액체 또는 유기질 액체가 혼합된 부동액은 어는점 내림 현상에 의하여 물 이외의 불순물이 혼합된 정도가 높을 수록 어는점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무기질 액체 또는 유기질 액체가 많이 혼합된 고농도 부동액은 적게 혼합된 저농도 부동액에 비하여 어는점이 더욱 낮아진다. 또한, 고농도의 부동액은 저농도 부동액에 비하여 농도 차이에 기인한 확산 효과에 의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된 과포화액과 더욱 잘 혼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는 전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저온의 열교환기의 표면에 생성되는 서리층의 발생 초기 단계인 서리 결정핵을 제거함으로써 서리층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자 구성된 것으로, 이는 냉동 시스템의 열교환기 중 하나인 증발기(3)와, 고농도 부동액(2)을 증발기(3) 표면의 전체에 걸쳐 얇게 도포하는 부동액 공급장치(1)와, 증발기(3) 표면에서 응축된 수분을 흡수하고 증발기(3) 하부로 떨어지는 저농도 부동액(4)을 모으는 부동액 회수 장치(5)와, 부동액 회수 장치(5)로부터 부동액 재생 장치(7)로 이송하는 저농도 부동액용 이송펌프(6)와, 저농도 부동액(4)으로부터 수분(10)을 제거하여 저농도 부동액(4)을 고농도 부동액(2)으로 변환시키는 부동액 재생 장치(7)와, 부동액 재생 장치(7)로부터 부동액 공급 장치(1)로 이송하는 고농도 부동액용 이송 펌프(8)와, 저농도 부동액용 이송 펌프(6)와 고농도 부동액용 이송 펌프(8)의 운전을 제어하는 이송 펌프 제어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3)는 그 표면에 미세 고체 입자를 친수성 바인더와 혼합하여 스프레이나 딥핑(dipping) 방법으로 표면에 도포한 후 큐어링(curing)과정을 거쳐 표면에 친수성 다공 구조를 코팅하여 증발기(3) 표면에 도포되는 고농도 부동액(2)의 양이 적고 도포 면적이 적어도 증발기(3)의 표면에 고농도 부동액(2)이 넓게 퍼질수 있도록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표면 처리로 인하여 증발기(3) 표면 전체에 걸쳐 고농도 부동액(2)이 퍼질 수 있게되며 국부적으로 서리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동액 공급 장치(1)는 증발기(3) 표면에 고농도 부동액(2)을 도포함으로써 증발기(3)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인데, 부동액 자체가 증발기(3) 표면에서의 또 다른 열전달 저항 성분이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얇은 부동액 막을 형성시키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증발기(3) 표면에 가능한 얇게 고농도 부동액(2)을 도포하기 위하여 브라인 장치로서 부동액 공급 장치(1)는 증발기(3) 상부에 부동액 공급구를 다수 설치하여 증발기(3)의 표면에 중력 등에 의하여 부동액(2)을 낙하시켜 골고루 뿌려주는 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부동액 공급 장치(1)로서 증발기(3)의 표면에 분사 노즐로 고농도 부동액(2)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농도 부동액(2)은 농도 차이에 기인한 확산 효과에 의하여 증발기(3) 표면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과포화액과 더욱 잘 혼합되도록, 증발기(3) 표면에 응축되어 형성된 과포화액과 혼합되고, 혼합되어 농도가 낮아진 저농도 부동액(4)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됨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과포화액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고농도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농도 부동액(2)은 증발기(3)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다.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7)는 부동액 회수 장치(5)에 모인 저농도 부동액(4)의 재활용을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분리막(separation membrane;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증기였던 수분(10)을 저농도의 부동액(4)으로부터 분리하여 고농도 부동액(2)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부동액 재생 장치(7)는 냉동 시스템 내에 별도의 가열 장치로 저농도 부동액(4)을 가열하여 수분(10)을 증발시킴으로써 분리할 수도 있으며, 적절한 온도로 동결시켜 어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저농도 부동액(2)으로부터 수분(10)을 분리하여 고농도 부동액(4)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증발기(3)가 냉동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인 경우에는, 증발기(3)에 사용되는 부동액 재생 장치(7)는 상기 부동액(4)을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 표면에 공급하여 수분(10)을 증발시킴으로써 수분(10)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증발기(3) 표면으로 부동액 공급 장치(1)의 다수개의 부동액 공급구로부터 고농도 부동액(2)을 도포시키면, 증발기(3) 표면 온도보다 낮은 고농도 부동액(2)은 증발기(3) 주위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증발기(3) 표면에 형성된 과포화액을 흡수하여 서리결정핵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농도 부동액(4)으로 된다. 그리고, 저농도 부동액(4)은 증발기(3)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에 의하여 부동액 회수 장치(5)로 낙하하게 된다. 부동액 회수 장치(5)에 모인 저농도 부동액(4)은 저농도 부동액 이송 펌프(6)에 의하여 부동액 재생 장치(7)로 이송되고, 부동액 재생 장치(7)에 의하여 저농도 부동액(4)으로부터 수분(10)을 분리하여 고농도 부동액(2)으로 재생시킨다. 그리고나서, 재생된 고농도 부동액(2)은 다시 고농도 부동액 공급 펌프(8)에 의하여 부동액 공급 장치(1)로 이송되어 증발기(3) 표면에 공급함으로써 연속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 때, 부동액 재생 장치(7)에서 분리된 수분(10)은 냉동에 의하여 건조해진 냉동 공간이나 가습이 필요한 공간에 공급함으로써 가습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 열원 냉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로 내려갈 경우 공기 중의 수증기가 열교환기의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 고농도 부동액을 도포하는 부동액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상기 수증기가 과포화액을 거쳐 서리 결정핵으로 성장하기 이전에 미리 과포화액과 고농도 부동액을 혼합시킴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연속 운전이 가능하며, 서리층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주위 공기의 압력 강하량 감소 등으로 인한 냉동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교환기 주변에 서리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음으로써 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고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 표면에 발생하는 서리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포하는 부동액을 재사용하므로서 연속 운전이 가능하므로 냉동 시스템의 냉동 효율을 증가시키고 냉동 시스템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부동액의 사용량을 줄이고 추가적인 부동액 공급이 불필요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부동액을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수분을 냉동 시스템의 가습에 필요한 공간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가습 장치의 역할을 아울러 갖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부동액 공급장치 2: 고농도 부동액
3: 증발기 4: 저농도 부동액
5: 부동액 회수 장치 6: 저농도 부동액 이송 펌프
7: 부동액 재생 장치 8: 고농도 부동액 이송 펌프
9: 이송 펌프 제어기 10: 수분

Claims (12)

  1. 공기 열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이하 인 경우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열교환기의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 표면 온도보다 낮은 어는점 온도를 갖는 부동액을 도포하는 부동액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부동액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쉽게 퍼질 수 있도록, 미세 고체 입자와 친수성 바인더가 혼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친수성 다공 구조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고체 입자와 상기 친수성 바인더는 혼합된 상태로 스프레이나 딥핑(dipping) 방법으로 표면에 도포한 후 큐어링 과정을 거쳐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은, 상기 수증기가 응축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형성된 과포화액과 혼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농도가 낮아진 상태로 이탈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 표면의 상기 과포화액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고농도 부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상기 부동액의 공급구를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중력을 이용한 상기 부동액의 낙하로서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분사 노즐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부동액을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과포화액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저농도 부동액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저농도 부동액을 회수하는 부동액 회수 장치와;
    상기 부동액 회수 장치로부터 회수된 상기 저농도 부동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고농도의 부동액으로 재생하는 부동액 재생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상기 저농도 부동액을 가열하여 상기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부동액으로부터 상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상기 저농도 부동액으로부터 상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물만을 동결시켜 상기 저농도 부동액으로부터 고농도 부동액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냉동기에 사용되는 증발기이고,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는 상기 저농도 부동액을 상기 냉동기의 응축기 표면에 공급하여 상기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냉동기에 사용되는 증발기이고, 상기 부동액 재생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수분은 상기 냉동기의 가습에 필요한 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12.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가 물의 어는점인 0℃ 이하로 내려가고, 공기 열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제상 방법으로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 주위의 공기 중 수증기가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부동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표면은 상기 부동액이 쉽게 퍼질 수 있도록, 미세 고체 입자와 친수성 바인더가 혼합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친수성 다공 구조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상 방법.
KR10-2003-0066646A 2003-09-25 2003-09-25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3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646A KR100533650B1 (ko) 2003-09-25 2003-09-25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JP2004278469A JP3943102B2 (ja) 2003-09-25 2004-09-24 着霜防止機能を有する熱交換器及びその表面の着霜防止方法
US10/950,768 US6988374B2 (en) 2003-09-25 2004-09-27 Frostless heat exchanger and defros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646A KR100533650B1 (ko) 2003-09-25 2003-09-25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01A KR20050030701A (ko) 2005-03-31
KR100533650B1 true KR100533650B1 (ko) 2005-12-06

Family

ID=3437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3650B1 (ko) 2003-09-25 2003-09-25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88374B2 (ko)
JP (1) JP3943102B2 (ko)
KR (1) KR100533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4580B2 (en) * 2004-06-22 2006-10-24 Crown Iron Works Company Sub-zero condensation vacuum system
EP2121088B1 (en) 2007-03-09 2016-07-13 Alexza Pharmaceuticals, Inc. Heating unit for use in a drug delivery device
US8091372B1 (en) 2009-03-11 2012-01-10 Mark Ekern Heat pump defrost system
FR2977834B1 (fr) * 2011-07-11 2015-06-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Installation de chauffage/climatisation de vehicule a moyens de pulverisation de liquide antigivre pour empecher le givrage de l'echangeur de chaleur
KR102054974B1 (ko) * 2011-08-16 2019-12-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빙축열 방식의 냉수기 및 이에 사용되는 빙축액
CN103574986B (zh) * 2012-08-06 2016-08-31 广州市华德工业有限公司 一种带防冻溶液再生装置的空调冷热水机组
CN103245025B (zh) * 2013-05-31 2016-01-20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组合式水膜蒸发空调冷却方法
US9513046B2 (en) * 2013-07-15 2016-12-06 Luis Carlos Gabino Barrera Ramirez Hot liquid wash defrosting methods and systems
US11162424B2 (en) 2013-10-11 2021-11-02 Reaction Engines Ltd Heat exchangers
CN105723177B (zh) * 2013-10-15 2018-08-31 株式会社Natomics 换热面保护方法以及湿空气冷却方法
CN105987549B (zh) * 2015-02-04 2018-10-30 广州市华德工业有限公司 自动添加防冻溶液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5299987B (zh) * 2015-10-13 2017-10-20 东南大学 基于超疏水翅片管换热器的空气源热泵喷淋除霜装置
JP2021511893A (ja) 2018-02-02 2021-05-13 アレクザ・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exza Pharmaceuticals, Inc. 電気式凝縮エアロゾル装置
US11371788B2 (en) * 2018-09-10 2022-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exchangers with a particulate flushing manifold and systems and methods of flushing particulates from a heat exchanger
CN109386932A (zh) * 2018-10-30 2019-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循环化霜系统、空调器及空调器的循环化霜方法
CN110542256B (zh) * 2019-09-10 2021-06-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冻控制方法、装置、热泵水系统以及存储介质
CN111735264A (zh) * 2020-07-31 2020-10-02 四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温库用冷风机融霜装置
CN117450740B (zh) * 2023-12-19 2024-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速冻控制方法、装置、速冻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291A (en) * 1876-03-28 Improvement in refrigerating processes and apparatus
US2672024A (en) * 1951-01-12 1954-03-16 Carrier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employing a hygroscopic medium
US2686407A (en) * 1952-09-05 1954-08-17 Ansul Chemical Co Method of elimination of refrigeration frost
US2776166A (en) * 1955-01-31 1957-01-01 Mendelson Morris Humidifier unit
US2798570A (en) * 1956-02-20 1957-07-09 Surface Combustion Corp Air conditioning
US3300993A (en) * 1964-02-25 1967-01-31 Alfred H Schlemmer Freezing apparatus and method
US3307618A (en) * 1964-03-09 1967-03-07 Whirlpool Co Temperature controlled storage unit
US3169381A (en) * 1964-04-13 1965-02-16 Frigoscandia Ltd Fluidized freezer
US3854302A (en) * 1972-09-13 1974-12-17 Sakura Refrigerating & Heating Defroster for a refrigerating system
US3828570A (en) * 1973-05-24 1974-08-13 Niagara Blower Co Heat exchange apparatus
JP2562639B2 (ja) * 1988-01-20 1996-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商品貯蔵ケースの温度制御方式
KR19990005704A (ko)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335380B1 (ko) 1999-05-25 2002-05-06 구자홍 흡수제를 이용한 무착상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88374B2 (en) 2006-01-24
JP3943102B2 (ja) 2007-07-11
US20050066681A1 (en) 2005-03-31
JP2005098692A (ja) 2005-04-14
KR20050030701A (ko)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650B1 (ko) 착상 방지 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및 그 제상 방법
JP5707491B2 (ja) 高純度液化炭酸ガス製造方法及び装置
CN106714937B (zh) 用于被压缩空气的冷却干燥器和对应的方法
CN201636994U (zh) 一种组合式除湿机
CN108507083B (zh) 蓄冰式热源塔热泵系统装置及方法
WO2020054603A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CN206145903U (zh) 空调装置
CA2722405A1 (en) High efficiency desiccant dehumidifier system
KR102046129B1 (ko) 효율적인 제상 운전이 가능한 복합식 냉각 시스템
JP2008045803A (ja) 省エネ空調システム
CN1563876A (zh) 一种蓄能除湿/空调机组的蓄能除湿/空调方法及设备
JP2002250573A (ja) 空調装置
JP3295748B2 (ja) 冷凍装置
JPH0515725A (ja) 溶剤濃縮回収装置
KR100300580B1 (ko) 액체흡습제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JPH0515724A (ja) 溶剤濃縮回収装置
CN113526601A (zh) 基于转轮深度除湿的海水淡化系统
JP7525172B2 (ja) 吸着剤再生装置および除去システム
JP7525173B2 (ja) 吸着剤再生装置および除去システム
JP4155797B2 (ja) 吸収冷凍機の運転方法
JP2025006078A (ja) 吸着剤再生装置および除去システム
CN222165009U (zh) 一种溶液深度除湿机组
JPH09243197A (ja) 吸収冷温水機の冷却水温度制御装置
JP2000258020A (ja) 冷凍冷蔵庫
KR102062862B1 (ko) 효율적인 제상 운전이 가능한 액펌프식 냉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