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8820B1 -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820B1
KR100528820B1 KR1020040041730A KR20040041730A KR100528820B1 KR 100528820 B1 KR100528820 B1 KR 100528820B1 KR 1020040041730 A KR1020040041730 A KR 1020040041730A KR 20040041730 A KR20040041730 A KR 20040041730A KR 100528820 B1 KR100528820 B1 KR 10052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ilk
raising
strand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기
Original Assignee
유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기 filed Critical 유재기
Priority to KR102004004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4Weft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10Fabrics woven face-to-face, e.g. double velve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수 견사로 직조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100% 견사로써만 직조된 원단에 기모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순수 견사로 된 위사(B)를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1-10)의 상측과 하측을 교대로 통과시켜 고정부(L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L1)에 이어서 위사(B)를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의 경사(11-21)의 상측 또는 하측을 교차없이 그대로 통과시켜 경사(11-21)와 사이에 공간부(C)가 구비되게 기모형성부(L2)를 형성시킨 후, 상기 기모형성부(L2)에 이어서 위사(B)를 다시 적은 가닥수의 경사(22-34)의 상측과 하측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교차시켜 고정부(L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L3)와 기모형성부(L2)를 정해진 패턴에 따라 수회 반복시켜 견직물원단을 직조하고, 상기 견직물원단를 기모기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견직물원단의 기모형성부(L2)의 위사(B)를 절단하여 기모(N1,N2)를 형성한 후, 상기 견직물원단에 형성된 기모(N1,N2)를 전단기로써 일정한 길이로 전단하여 벨벳조직을 형성한 견직물원단이다.

Description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Silk fabrics with velvet tex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ilk fabrics }
본 발명은 순견사로 제직된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직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기모가 형성된 견직물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벨벳 원단은 편직 또는 편성된 원단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기모시켜 만드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벨벳원단은 대부분이 화학섬유로 제직 또는 편성하거나 아니면 화학섬유와 울(wool) 혹은 면사를 혼용하여 제직 또는 편성하고, 그렇게 제직된 원단을 기모기로써 기모작업을 하여 만들어진다.
그런데 화학섬유만을 사용하여 직조하여 벨벳원단을 만드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화학섬유는 천연섬유가 아니어서 피부에 여러가지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견사는 옷감원단으로서 여러가지 장점이 있으나 다른 화학섬유사나 혼섬사에 비하여 절사율이 높기 때문에 견직물로써 벨벳을 만들기 어려워 통상 벨벳원단을 만드는 데 견사만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인식되어 왔다.
종래 순수 견직물로써 벨벳원단을 만들기 위하여 제직할 때 경사에 철사선을 넣고 제직한 다음 철사선을 제거하고나면 형성되는 볼록한 고리형의 위사를 작업자가 일일이 칼로 절단하여 벨벳을 만드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직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가 비싼 단점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순수 견사만으로 직조하여 만든 견직물에 기모를 기계적으로 형성하여 견직물의 장점과 벨벳의 특징을 함께 갖춘 견직물원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면에 기모가 부분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 견직물 원단을 제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수 견사로 된 복수의 위사와 경사를 서로 교차시켜 직조된 견직물 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가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의 경사를 교착없이 위쪽으로 통과하여 경사와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기모형성부와, 상기 기모형성부의 양단에는 상기 위사가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의 위쪽과 아래쪽을 교대로 통과하여 교착됨으로써 상기 기모형성부의 위사의 양단을 고정해주는 고정부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반복형성되고, 상기 기모형성부의 위사는 기모기로써 절단되어 기모를 형성한 구조로 된 견직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견직물 원단 제직방법은 순수 견사로 된 위사를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를 상측과 하측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교차시켜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이어서 위사를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의 경사를 한꺼번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떠서 통과시킨 후 경사와 위사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에 이어서 위사를 다시 적은 가닥수의 경사의 상측과 하측을 교대로 통과하도록 교차시켜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 형성과정과 공간부 형성과정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수회 반복시켜 직조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직조된 견직물의 기모형성부의 위사를 절단하여 기모시켜 기모가 형성된 견직물을 제직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견직물 원단을 제직할 때 위사는 21데니아 견사를 6올을 합한 것(6합사)을 1가닥으로 사용하고, 4합 이하의 실은 벨벳조직을 만드는 데 기모의 촘촘함이 부적합하고, 8합 이상의 위사는 너무 굵어서 기모작업이 어렵다. 그리고 경사는 21데니아 견사 2올을 합하여 1가닥으로 한 2합사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의 밀도는 1인치당 250~320가닥이 적합하며, 위사의 밀도는 130 X 2(1인치당 130가닥을 2중직한 것을 지칭한다)이 가장 바람직하며, 110 X 2 이하에서는 위사가 빠질 확률이 높아 부적합하고, 140 X 2 이상의 경우는 너무 촘촘하여 제직 생산성이 낮아져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기모형성부의 경사수는 9~13가닥이 가장 적합하고, 8가닥 이하의 경우는 기모기의 바늘칼이 삽입되기에는 협소하여 기모형성과정에 불량율이 높고, 반면에 14가닥 이상이 되면 조직이 약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직물의 조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의장지에 부분 도시한 조직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사 1가닥의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부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먼저 제직하고자 하는 견직물 원단의 패턴을 의장지위에 디자인한다. 그리고나서 도 1에 도시된 조직도에 따라 경사(A)와 위사(B)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견직물을 직조한다.
위사(B)는 21데니아 견사를 6올을 합한 것(6합사)을 1가닥으로 사용하고, 4합 이하의 실은 벨벳조직을 만드는 데 기모가 너무 조밀하게 되어 부적합하고, 8합 이상의 위사는 너무 굵어서 기모작업이 어렵다. 그리고 경사(A)는 21데니아 견사 2올을 합하여 1가닥으로 한 2합사가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6합사로 된 1가닥의 위사(B)를 복수 가닥,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3가닥의 경사(11~21)들의 위쪽(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위쪽을 '경사의 위쪽', 도 2의 아래쪽을 '경사의 아래쪽으로 지칭한다)을 통과하여 그 경사(11~21)들과 사이에 후술하는 기모기의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C)가 구비되게 기모형성부(L2)를 형성하고, 이 기모형성부(L2)의 위사(B)의 양단을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1-10)(22-34)의 상하측을 교대로 통과시켜 기모형성부(L2)의 위사 양단을 고정해주는 고정부(L1,L3)를 구비하게 직조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위사(B)가 2가닥의 경사(1,2)를 아래쪽으로 통과하고나서 다시 인접한 2가닥의 경사(3,4)(5,6)와 3가닥의 경사(7-9)를 상하 교대로 통과하여 고정부(L1)를 형성한다. 이 고정부(L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모(N1)의 하단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위사(B)와 서로 교착하여 고정부(L1)를 이루는 경사의 가닥수는 불규칙적으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L1)의 의해 한쪽 선단이 고정된 위사(B)를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바람직하게는 9~13가닥)의 경사(11-21)의 위쪽을 교착없이 통과시켜 이들 경사(11-21)들과 사이에 공간부(C)가 구비되게 기모형성부(L2)를 형성시키고, 그리고나서 위사(B)를 다시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22-34)의 위쪽과 아래쪽을 교대로 통과시켜 서로 교착시킴으로써 상기 기모형성부(L2)의 다른 쪽 선단을 고정해주는 고정부(L3)를 형성하도록 직조한다. 이 고정부(L3)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모형성부(L2)의 위사가 절단되어 만들어지는 기모(N2)의 하단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모형성부(L2)를 구성하는 경사(11-21)의 가닥수는 8개 이하이면 공간부(C)가 너무 협소하여 후속하는 기모공정에서 기모기의 바늘칼이 삽입되기 어렵고, 14가닥 이상인 경우에는 공간부(C)가 너무 넓어서 조직이 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기모형성부(L2)의 경사의 가닥수는 9~13 가닥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모형성부(L2)의 실제길이는 1.12mm이다.
상기 기모형성부(L2)와, 이 기모형성부(L2)의 양단에 고정부(L1,L3)가 형성되도록 동일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소정의 패턴을 가진 견직물 원단을 직조한다. 이와 같이 직조된 견직물 원단의 예들이 도 4a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경사(A)의 밀도는 1인치당 250~320가닥이 적합하며, 위사(B)의 밀도는 130 X 2(1인치당 130가닥을 2중직한 것을 지칭한다)이 가장 바람직하며, 110 X 2 이하에서는 위사가 빠질 확률이 높아 부적합하고, 밀도가 140 X 2 이상이면 너무 촘촘하여 생산성이 낮아져 부적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조된 견직물 원단을 기모기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기모형성부(L2)의 위사(B)를 기모기(도시생략)의 바늘칼로써 절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모형성부(L2)마다 기모(N1,N2)를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모(N1,N2)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전단기(shearing machine)에서 원단의 기모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기모형성은 기모형성부를 원단에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도 4b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에 기모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기모형성부를 원단전체에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원단 전체에 기모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직조과정중에 경사나 위사를 다양한 색상의 견사를 사용하여 다양한 패턴을 가진 견직물 원단을 제직할 수 있고, 상기 견직물 원단을 상기 기모공정과 전단공정을 거쳐 만든 견직물 원단의 예들이 도 4b, 도 5b 및 도 6의 사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b와 도 5b는 각각 도 4a의 원단과 도 5a의 원단에 부분적으로 기모를 형성시킨 상태의 사진으로 각 도면에서 "X"는 기모가 형성된 벨벳조직이고, "Y"는 기모가 형성되지 않은 견직물 원단조직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0% 순수 견사로써만 제직되어 광택, 촉감, 통기성등이 우수한 천연섬유의 장점을 가지고, 특히 순수 견직물에 기모를 형성시킬 수 있어 부드러움과 다양한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기모공정을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의 조직도,
도 2는 도 1의 조직도의 조직구성을 부분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견직물에 기모를 형성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직조하고나서 기모를 형성시키기 전 상태의 견직물의 일례에 대한 조직확대사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기모를 형성하여 벨벳조직을 형성한 상태의 견직물의 조직부분 확대사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직조된 견직물의 다른 예로서, 기모형성전 상태의 조직확대사진,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기모를 형성하여 벨벳조직을 형성한 상태의 견직물의 조직부분 확대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원단 전체에 기모를 형성하여 벨벳조직을 형성한 상태의 견직물의 조직부분 확대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1,2....34: 경사 B: 위사
C: 공간부 L1,L3: 기모 고정부
L2: 기모형성부 N1,N2: 기모
X: 기모가 형성된 벨벳조직 Y: 기모가 없는 원단조직

Claims (4)

  1. 복수 가닥의 경사(A)와 위사(B)를 서로 교차시켜 직조된 직물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A)와 경사(B)는 순수 견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사(B)는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의 경사(11-21)의 위쪽을 통과하여 경사(A)와 사이에 공간부(C)를 구비하여 기모형성부(L2)를 형성하고, 이 기모형성부(L2)의 위사(B)는 기모기에 의해 절단되어 기모(N1,N2)를 형성하며, 상기 기모형성부(L2)의 위사(B)의 양단에는 상기 위사(B)가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1-10)(22-34)의 위쪽과 아래쪽을 교대로 통과하여 서로 교착됨으로써 상기 기모(N1,N2)의 하단이 고정된 벨벳구조를 가진 견직물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A)는 1인치당 250~320가닥이고, 상기 위사(B)는 21데니아 견사의 6합사를 사용하여 1인치당 130가닥의 밀도로 2중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구조를 가진 견직물원단.
  3. 순수 견사로 된 위사(B)를 상대적으로 많은 가닥수의 경사(A)의 상측 또는 하측을 교착없이 통과시킨 후 경사와 사이에 공간부(L2)가 구비되게 기모형성부(L2)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모형성부(L2)의 양측 선단에는 위사(B)를 상대적으로 적은 가닥수의 경사(A)의 상측과 하측을 교대로 통과시켜 교착시킴으로써 고정부(L1,L3)를 형성하는 과정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수회 반복시켜 견직물을 직조하는 견직물원단 직조단계;
    상기 견직물원단를 기모기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견직물원단의 각 기모형성부(L2)의 위사(B)를 기모기의 바늘로써 절단하여 기모(N1,N2)를 형성하는 기모형성단계; 및
    상기 견직물원단에 형성된 기모(N1,N2)를 전단기로써 일정한 길이로 전단하는 전단단계;로 이루어진 벨벳조직이 형성된 견직물원단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A)는 1인치당 250~320가닥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위사(B)는 21데니아 견사의 6합사를 사용하여 1인치당 130가닥의 밀도로 2중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구조를 가진 견직물원단 제조방법.
KR1020040041730A 2004-06-08 2004-06-08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KR10052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730A KR100528820B1 (ko) 2004-06-08 2004-06-08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730A KR100528820B1 (ko) 2004-06-08 2004-06-08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820B1 true KR100528820B1 (ko) 2005-11-21

Family

ID=3730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730A KR100528820B1 (ko) 2004-06-08 2004-06-08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8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196A (zh) * 2013-05-22 2013-10-02 海安县联发弘佳纺织有限公司 一种真丝丝绒面料
CN105755648A (zh) * 2016-04-14 2016-07-13 福建龙峰纺织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立体方块灯芯绒面料及其制造方法
KR102012685B1 (ko) 2018-05-17 2019-08-21 세창상사주식회사 천연복합방적사를 이용한 경편 트리코트 벨벳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196A (zh) * 2013-05-22 2013-10-02 海安县联发弘佳纺织有限公司 一种真丝丝绒面料
CN105755648A (zh) * 2016-04-14 2016-07-13 福建龙峰纺织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立体方块灯芯绒面料及其制造方法
KR102012685B1 (ko) 2018-05-17 2019-08-21 세창상사주식회사 천연복합방적사를 이용한 경편 트리코트 벨벳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753B1 (ko) 네프사를 이용한 이중겹지형 자카드 직물
JP2008261076A (ja) タオル地とその製造法
KR100528820B1 (ko)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CN109680385B (zh) 一种一次成型织物及其生产方法
KR100875433B1 (ko) 타월 직물
KR100340790B1 (ko) 부분 주름 직물의 직조방법
KR20210049730A (ko)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제조방법
JP5430163B2 (ja) 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357873U (zh) 一种织物
US7117899B1 (en) Pile mesh fabric
JP5443399B2 (ja) 浴用タオル
JP6938194B2 (ja) 立体構造経編地
KR101756056B1 (ko) 통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원단의 직조방법
KR101177235B1 (ko) 고수축사 직물의 조직구조
JP5106956B2 (ja) コーデュロイ編物
KR101974416B1 (ko) 신축성 커버링사와 직물 조직을 이용한 주름직물 및 제직방법
JP5142064B2 (ja) 身体支持用弾性経編布帛
KR20100137808A (ko) 폴리프로필렌사 직물층을 중간층으로 포함하고 상부 표면에 파일층을 형성한 인테리어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JP3132373U (ja) 経編両面パイル布帛
JP2001234455A (ja) レース地
CN111379062A (zh) 一种高密丝绒的生产工艺
JP6006616B2 (ja) 畳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0792B1 (ko) 양모 원사를 이용한 양털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CN212505250U (zh) 一种高密丝绒
CN217351690U (zh) 一种色织条格底牛仔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