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4574B1 - 컨텐츠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574B1
KR100524574B1 KR10-2003-0083666A KR20030083666A KR100524574B1 KR 100524574 B1 KR100524574 B1 KR 100524574B1 KR 20030083666 A KR20030083666 A KR 20030083666A KR 100524574 B1 KR100524574 B1 KR 10052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rogram
standard time
standard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13A (ko
Inventor
가토마사루
이에다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컨텐츠 수신 장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이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는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전에 튜너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파 시각을 취한다. 그 결과,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과 비교하여 늦어져 있는 경우, 그 지연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그 다음, 방송파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으로 됐을 때, 튜너의 스위치를 온으로 켜서 프로그램의 녹화를 시작한다.
그 다음, 지연된 로컬 시각이 방송 개시 시각으로 됐을 때부터 후속 재생을 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또한, 후속 재생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간이 아닐 때는 프로그램 종료까지 녹화를 계속하고, 녹화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종료 후에 본다.

Description

컨텐츠 수신 장치 {CONTENTS RECEIVER}
본 발명은 컨텐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에 적용되고, 로컬 시각을 새기는 시계 회로를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송신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에 관한다.
종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을 미리 등록해 두면, 휴대 단말은 내장되어 있는 클록이 나타내는 시각(로컬 시각)과는 관계없이, 방송파에 포함되어 있는 시각(표준 시각)에 근거하여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검출하여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을 시작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클록을 임의의 시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 양식으로 맞추어 의도적으로 로컬 시각을 방송파 시간으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 이같은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때에도,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의 튜너의 전원을 온으로 켜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도적으로 어긋나게 하지 않더라도,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과 비해 앞서고 있거나 늦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같이, 표준 시각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면, 휴대 시간이 방송파 시간에 비하여 늦어지는 경우, 이미 보고 싶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시작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처음 컨텐츠를 못보게 된다. 반대로,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프로그램 시작 이전에 튜너의 전원이 온으로 켜져서 그 상태에서 프로그램 시작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새로운 컨텐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준 시각과 로컬 시각의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기는 때라도 원하는 컨텐츠를 쾌적하게 감상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컬 시각을 새기는 시계 회로를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송신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도 앞서고 있을 때 송신 개시 시각에 메시지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 및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을 때 송신 개시 시각으로부터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기록을 시작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로컬 시각을 새기는 시계 회로를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송신되어 오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송신 개시 시각과 로컬 시각을 비교하고,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 앞서고 있을 때에는 사용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발송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녹화한 후에 보거나 할 수 있다. 한편,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을 때에는 방송 시작과 동시에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기록을 시작하기 때문에, 뒤이어 후속 재생하여 프로그램을 보거나 녹화한 후에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의 처음 컨텐츠를 간과하는 일이 없어진다.
컨텐츠 수신 장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에 앞서서 송신되어 오는 컨텐츠 신호에 포함된 표준 시각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한 표준 시각 정보에 포함된 표준 시각과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한다.
바람직한 컨텐츠 수신 장치는 휴대형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옥외에서 컨텐츠를 수신하여 즐길 수 있다.
바람직한 컨텐츠 수신 장치는 그 영상 컨텐츠를 출력한 영상 모니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컨텐츠 신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표준 시각과 로컬 시각과의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기고 있을 때라도 원하는 컨텐츠를 쾌적하게 감상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한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1 세그먼트 수신기)(10)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고, 시청, 녹화, 후속으로 재생 등을 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12)와, 상대방과 통화를 행하는 통화 회로(14)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16)로 구성되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12)는 안테나(18)가 수신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 신호를 수취하여, 그 중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1개의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2-TS)를 선택하는 튜너(20)를 포함한다. 튜너(20)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2)에 부여되고, 버퍼 메모리(22)는 부여받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소정량이 될 때까지 축적하고 소정량마다 디멀티플렉서(30)에 부여한다.
디멀티플렉서(30)는 부여받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로부터 PES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4)에 제공한다. 또, 디멀티플렉서(3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CPU(60)에 주고, CPU(60)는 헤더 정보로부터 표준 시각을 판독한다.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4)는 디멀티플렉서(30)로부터 PES 데이터를 수취하여 메모리 카드(26)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원하는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이 기록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26) 대용으로 DRA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해도 된다.
그 다음, 메모리 카드(26)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4)가 메모리 카드(26)로부터 PES 데이터를 판독하여 AV 셀렉터(32)에 제공한다.
AV 셀렉터(32)는 비디오 PES 패킷 및 오디오 PES 패킷을 비패킷화하여, 각각 비디오 ES 데이터 및 오디오 ES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비디오 ES 데이터 및 오디오 ES 데이터를 각각 MPEG4 비디오 디코더(34) 및 MPEG2-AAC 오디오 디코더(42)에 부여한다.
MPEG4 비디오 디코더(34)는 부여받은 비디오 ES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디오 데이터를 NTSC 인코더(36)에 제공한다. 이 비디오 데이터는 NTSC 인코더(36)에 의하여 합성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합성 비디오 신호는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모니터(38)에 출력된다. 이 결과, 원하는 프로그램의 영상이 모니터(38)의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MPEG2-AAC 오디오 인코더(42)는 부여받은 오디오 ES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변환기(44)에 의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46)에 출력된다. 이 결과 원하는 프로그램의 음성이 스피커(46)에서 나온다.
또한, 이 실시예의 휴대 단말은 1 세그먼트 수신기이기 때문에, 화상의 압축 부호화는 MPEG4 방식에 의하여 행해지지만, 텔레비전 수신기 등의 대형 장치에서 영상의 압축 부호화는 MPEG2 방식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경우에는 MPEG4 비디오 디코더(34) 대용으로 MPEG2 비디오 디코더를 사용한다.
또,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을 직접 시청하는 경우에는, 튜너(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시청을 희망한 1개의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2)를 이용하여 디멀티플렉서(30)에 부여한다.
디멀티플렉서(30)는 부여받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로부터 PES 데이터를 추출하여 AV 셀렉터(32)에 준다. AV 셀렉터에 부여받은 PES 데이터는 상술한 녹화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되어 합성 비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3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CPU(60)에 주고, CPU(60)는 그 헤더 정보로부터 표준 시각을 판독한다.
그 다음, 통화 회로(14)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성이 마이크로폰(48)에 입력되면, 이 음성은 마이크로폰(4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앰프(미도시)에 의하여 증폭되고, AD/DA 변환 회로(5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신호 처리 회로(52)에 의해 부호화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무선 회로(54)에 의해 변조 처리가 행해진다. 무선 회로(54)에 의하여 생성된 변조 음성 데이터는 안테나(56)로부터 발신된다.
한편,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변조 음성 데이터는 안테나(56)에 의해 수신되고, 무선 회로(54)에 의해 복조 처리가 행해지면서 동시에, 신호 처리 회로(52)에 의해 복호 처리가 행해진다. 신호 처리 회로(52)에 의하여 복호된 음성 데이터는 AD/DA 변환 회로(50)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신호는 앰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스피커(58)로부터 출력된다.
그 다음, 제어 회로(16)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어 회로(16)는 CPU(60) 및 CPU(60)에 접속된 클록(62), 조작 패널(64), 메모리(66), 알람(68)으로 구성된다.
CPU(60)는 도 1의 블록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튜너(20), 버퍼 메모리(22),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4), 디멀티플렉서(30), AV 셀렉터(32), MPEG4 비디오 디코더(34), NTSC 인코더(36), MPEG2-AAC 오디오 인코더(42), D/A 변환 회로(44), 신호 처리 회로(52), 무선 회로(54)의 각 회로를 제어하고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표준 시각을 취하고 있다.
클록(62)은 휴대 단말에 내장되고 있는 시계 회로에서 사용자의 행동 양식에 맞춰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도적으로 표준 시각을 벗어나게 하여, 이 클록(62)이 가리키는 시각인 로컬 시각을 보고 행동하는 사용자도 많다.
조작 패널(64)은 사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휴대 단말로 통화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 조작 패널(64)를 조작함으로써 CPU(60)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12)나 통화 회로(14)에 대하여 명령한다.
메모리(66)는 CPU(60)의 동작 프로그램,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등의 프로그램 정보, 로컬 시각과 표준 시각과의 어긋남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 알람(68)은 소정 시각이 되는 것을 소리나 진동을 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다음에, 도 2(a) 또는 도 2(b)에 나타낸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클록(62)이 가리키는 로컬 시각이 텔레비전 방송의 표준 시각에 대하여 늦어져 있는경우에 관한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12)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은 표준 시각으로 오후 8시에 시작하여 오후 9시에 종료하는 1 시간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또, 로컬 시각은 표준 시각보다도 5분 늦어져 있게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되는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미리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을 조작 패널(64)로 입력해 둔다. 이에 따라, 로컬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 15분 전인 오후 7시 45분이 됐을 때, CPU(60)는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희망하는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헤더 정보를, 버퍼 메모리(22)를 이용하여 수취한다. CPU(60)는 수취한 헤더 정보로부터 표준 시각을 판독하고,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에 대하여 5분 늦어져 있는 것을 검지하고, 로컬 시각과 표준 시각과의 어긋남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66)에 기억한 후, 다시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또한, 표준 시각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 15분 전에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켰지만,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할 시각은 프로그램 15분 전으로 한정하지 않고, 프로그램 시작전 5분~30분으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시각이 7시 55분이 됐을 때, CPU(60)는 메모리(66)에 기억하고 있는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에 대하여 5분 늦어져 있다는 정보를 고려하여,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프로그램의 녹화를 시작한다.
이 때, 사용자는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행동하기 때문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되는 것은 모르고, 그 후 휴대 단말에 표시되고 있는 시각 또는 알람(68)에 의하여 로컬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되는 것을 알고 프로그램의 시청을 시작한다. 이 때는,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되어 5분 경과하기 때문에 모니터(38)의 화면을 보아도 못보았던 컨텐츠를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녹화를 계속하면서, 녹화한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재생하여 보는, 이른바 후속 재생을 하면서 본다. 그리고,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됐을 때, CPU(60)는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녹화도 종료하지만 재생은 계속한다. 사용자는 그 후에도 시청을 계속하여 로컬 시각이 오후 9시가 됐을 때, 사용자는 녹화된 프로그램을 전부 보고 시청을 종료하기 때문에, CPU(60)는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또한, 녹화한 프로그램을 후속 재생하면서 시청할 때, 프로그램의 도중에 CM등을녹화하거나 녹음한 테이프를 빨리 돌리고 싶은 영상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패널(64)로 지시해서 그 부분을 녹화하거나 녹음한 테이프를 빨리 돌릴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이 종료될 때 프로그램이 아직 방송 중이라면, 사용자는 조작 패널(64)로 지시하여 프로그램 시청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도 2(b)의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람(68)에 의하여 프로그램 개시 시각이 되는 것을 알았을 때, 바빠서 프로그램을 못보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CPU(60)는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프로그램의 녹화를 시작할 때까지는 도 2(a)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알람(68)에 의하여, 사용자가 로컬 시각이 오후 8시가 된 것을 알았을 때에는, 이미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하고 녹화가 시작되고 있다. 사용자가 프로그램 방송 시간 동안 후속 재생에 의하여 프로그램을 못보는 경우, CPU(60)는 메모리 카드(26)에의 녹화를 계속하여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됐을 때 녹화를 종료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이 때 녹화한 프로그램은 후에 시간이 있을 때 재생하여 본다.
다음에, 도 3(a) 또는 도 3(b)의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클록(62)의 로컬 시각이 텔레비전 방송의 표준 시각에 대하여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관하여, 텔레비전 방송 수신 회로(12)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도 도 2(a) 및 도 2(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은 표준 시각으로 오후 8시에 시작하여 오후 9시에 종료하는 1 시간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또, 로컬 시각은 표준 시각 보다도 5분 앞서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의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미리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 개시 시 각, 방송 종료 시각을 조작 패널(64)로부터 입력해 둔다. 이에 따라, 로컬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의 15분 전인 오후 7시 45분이 됐을 때, CPU(60)는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희망하는 채널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헤더 정보를, 디멀티플렉서(30)를 이용하여 수취한다. CPU(60)는 수취한 헤더 정보로부터 표준 시각을 판독하고,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에 대하여 5분 앞서고 있다는 것을 검지하고 메모리(66)에 기억한 후, 다시 한번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또한, 이 경우도, 표준 시각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 15분 전에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켰지만,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켠 시각은 프로그램 시작 15분 전으로 한정하지 않고, 프로그램 시작 전 5분~30분으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로컬 시각이 오후 8시 05분이 됐을 때, CPU(60)는 메모리(66)에 기억하고 있는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에 대하여 5분 앞서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켠다. 사용자는 알람(68)에 의하여 이 시각을 알고 프로그램의 시청을 시작한다. 이 경우, 정확하게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지점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못보는 일 없이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됐을 때, CPU(60)는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도 3(b)의 타이밍 도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람(68)에 의하여 프로그램 개시 시각이 되는 것을 알 때, 바빠서 프로그램을 못보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표준 시각으로 오후 8시가 됐을 때, 사용자는 알람(68)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이 되는 것을 아는 것까지는 도 3(a)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알람(68)에 의하여, 사용자가 로컬 시각이 오후 8시가 된 것을 알았을 때,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CPU(60)는 녹화의 시작을 명령하고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됐을 때,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녹화를 종료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이 때 녹화한 프로그램은 후에 시간이 있을 때 재생하여 본다.
그 다음,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후속 재생, 녹화 및 시청하는 경우의 처리에 관하여 도 4 및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사용자는 조작 패널(64)로,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해 둔다. 그리고, 단계 S1에서 로컬 시각이 오후 7시 45분이 될 때까지 기다리고, 오후 7시 45분이 되면 단계 S3에서 CPU(60)는 튜너(60)의 전원을 온으로 켠다. 그리고, 단계 S5에서 안테나(18)가 수신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디멀티플렉서(30)를 통하여 취입하고, 표준 시각과 로컬 시각의 어긋남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66)에 기억한 후 단계 S7에서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그 다음, 단계 S9에서 CPU(60)는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늦어져 있다고 판단한 경우 후속 재생을 하기 위해, 하기에 기술한 플로우에 따라 처리한다. 또한, 로컬 시각측이 앞서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1에서,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될 때까지 기다리고, 오후 8시가 되면 CPU(60)는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녹화를 시작할 것을 명령한다. 또한, 단계 S15에서 로컬 시각이 오후 8시가 되는 것을 기다리고, 오후 8시가 됐을 때 단계 19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CPU(60)는 이미 방송이 시작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곧바로 시청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곧바로 시청하는 경우 단계 S19에서 CPU(60)는 녹화를 계속하면서 재생하되, 후속 재생을 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단계 S21에서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시각인 오후 9시가 될 때까지 후속 재생을 계속하여 오후 9시가 되면 단계 S23에서 CPU(60)는 녹화의 종료를 명령한다.
또한, 단계 S25에서 로컬 시각이 오후 9시가 될 때까지 재생만 계속하고, 오후 9시가 되면 단계 S27에서 CPU는 재생의 종료를 명령하고 튜너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또, 단계 19에서 이미 방송이 시작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내에 후속 재생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1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그 프로그램을 나중에 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나중에 본다고 판단한 경우,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될 때까지 녹화를 계속하고, 단계 S33에서 오후 9시가 되었다고 판단할 때, 단계 S35에서 CPU(60)는 녹화를 종료할 것을 명령하고, 튜너(20)의 전원을 오프로 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과 비교하여 뒤떨어질 경우지만, 다음의 도 5를 참조하여,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과 비교하여 진행되고 있는 경우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 9에서, CPU(60)가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과 비교하여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9에서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개시 시각인 오후 8시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단계 S39에서 오후 8시가 됐을 때 CPU(60)는 튜너(20)를 온으로 켜서 프로그램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단계 S41에서 알람(68)을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개시 시각이 되는 것을 알린다.
그 다음, 단계 S43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CPU(60)가 프로그램을 곧바로 시청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곧바로 시청한다고 판단할 때에는 계속하여 프로그램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S45에서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될 때까지 기다리고, 오후 9시가 되면 단계 S47에서 CPU는 튜너의 전원을 오프로 꺼서 처리를 종료한다.
또, 단계 S43에서 CPU(60)가 프로그램을 곧바로 시청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때에는, 단계 S49에서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프로그램을 녹화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표준 시각이 프로그램 종료 시각인 오후 9시가 될 때까지 녹화를 계속하여 단계 S51에서 오후 9시가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60)는 단계 S53에서 프로그램의 녹화 종료를 명령하고, 단계 S47에서 튜너(20)의 전원을 오프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클록(62)을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는 미리 튜너(20)로 선택한 컨텐츠 신호를, 버퍼 메모리(22)를 통하여 CPU(60)에 취입함으로써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한다. 그리고, 클록(62)이 나타내는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 앞서고 있을 때는 송신 개시 시각을 사용자에 대하여 알람(68)을 작동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 클록(62)이 나타내는 로컬 시각이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을 때는 송신 개시 시각에 튜너(20)의 전원을 온으로 켜서 녹화를 시작한다.
CPU(60)는 미리 보고 싶은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되기 전에 송신된 컨텐츠 신호인 디지털 방송 데이터로부터 헤더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헤더 정보에 포함된 표준 시각과 클록(62)이 나타내는 로컬 시각을 이용하여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한다. 이 특정된 송신 개시 시각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하거나 녹화를 시작한다.
컨텐츠 수신 장치는 휴대 전화등의 휴대 단말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옥외에서 컨텐츠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컨텐츠 수신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모니터(3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컨텐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항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실시예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실시예의 다른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Claims (6)

  1. 로컬 시각을 새기는 시계 회로를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송신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로컬 시각이 상기 표준 시각보다도 앞서고 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시각에 메시지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 및
    상기 로컬 시각이 상기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시각으로부터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기록을 시작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는 표준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에 앞서 송신되는 컨텐츠 신호로부터 표준 시각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표준 시각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과, 상기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하는 시각 특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는 휴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는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모니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
  5. 로컬 시각을 새기는 시계 회로를 구비하고, 표준 시각을 기준으로 송신되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방법은,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하는 특정 단계;
    상기 로컬 시각이 상기 표준 시각보다도 앞서고 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시각에 메시지를 발생하는 발생 단계; 및
    상기 로컬 시각이 상기 표준 시각보다도 늦어져 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시각으로부터 상기 원하는 컨텐츠 신호의 기록을 시작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는 표준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단계는, 원하는 컨텐츠 신호에 앞서 송신되는 컨텐츠 신호로부터 표준 시각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하여 검출된 표준 시각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과 상기 로컬 시각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개시 시각을 특정하는 시각 특정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방법.
KR10-2003-0083666A 2002-12-25 2003-11-24 컨텐츠 수신 장치 KR100524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4178 2002-12-25
JP2002374178A JP3857979B2 (ja) 2002-12-25 2002-12-25 コンテンツ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13A KR20040057913A (ko) 2004-07-02
KR100524574B1 true KR100524574B1 (ko) 2005-10-31

Family

ID=327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666A KR100524574B1 (ko) 2002-12-25 2003-11-24 컨텐츠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139479A1 (ko)
JP (1) JP3857979B2 (ko)
KR (1) KR100524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61B1 (ko) * 2007-02-13 2013-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1355675B (zh) * 2007-07-24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电信网节点设备时间同步的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488A (en) * 1997-09-05 2000-10-3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for recording television programs
US6433831B1 (en) * 1999-07-16 2002-08-13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 information in a multi-format digital television product
US6857129B2 (en) * 2001-04-16 2005-02-15 Ariel S. Rogson Signal receiving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8073304B2 (en) * 2002-11-16 2011-12-06 Gregory Karel Rohlicek Portable recorded television vie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9479A1 (en) 2004-07-15
KR20040057913A (ko) 2004-07-02
JP3857979B2 (ja) 2006-12-13
JP2004207975A (ja)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94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JP5222543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5265879B2 (ja) 受信機の放送データ再生方法
KR20050048514A (ko) 표시 장치, 쌍방향 통신 시스템 및 표시 정보 이용 방법
WO200804764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4110065A1 (ja) 受信装置および選局方法、ならびに、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
JP4024061B2 (ja) 携帯型視聴装置
JP2004193944A (ja) 携帯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装置によるテレビ放送の記録/再生方法
JP200510956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605572B2 (ja) 表示装置、通信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2130048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10233A (ko) 다기능 텔레비전 수상기
KR100524574B1 (ko) 컨텐츠 수신 장치
JP2003101921A (ja) 携帯型視聴装置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00862A (ja) 映像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4180088A (ja) 携帯型視聴装置
JP2009505512A (ja) 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をテレビジョンの内部チューナから遠隔装置へ経路指定する方法
JP4799182B2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WO2005114991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3333492A (ja) 番組の視聴・録画制御方法
JP2004241852A (ja) Tv、vtr及びtvとvtrのセット
JP4318645B2 (ja) 放送受信装置
JP2013197769A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72204B1 (ja) 放送受信装置、及び録画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