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1275B1 -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275B1
KR100521275B1 KR10-2003-0038826A KR20030038826A KR100521275B1 KR 100521275 B1 KR100521275 B1 KR 100521275B1 KR 20030038826 A KR20030038826 A KR 20030038826A KR 100521275 B1 KR100521275 B1 KR 10052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type thin
cmos
polysilic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084A (ko
Inventor
박지용
구재본
박혜향
이기용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275B1/ko
Priority to US10/754,543 priority patent/US7385223B2/en
Priority to CNB2004100032831A priority patent/CN100419816C/zh
Publication of KR2004010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2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2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having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10D86/425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having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having different crystal properties in different TFTs or within an individual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6/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 H10D86/02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comprising manufacture, treatment or patterning of TFT semiconductor bodies
    • H10D86/02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comprising manufacture, treatment or patterning of TFT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microcrystalline or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1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materials, geometry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2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having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10D86/427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having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in different TFTs

Landscapes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액티브 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기판 위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두께가 P형 박막 트랜지스터보다 N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더 두꺼우며,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가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보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사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문턱 전압의 절대값 및 전류 이동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평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CMOS THIN FILM TRANSIST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전류 이동도가 높은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CMOS 박막 트랜지스터(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transistor; CMOS TFT)를 사용하는 회로들은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 소자(Active Matrix LCD), 유기 전계 발광 소자(EL) 및 이미지 센서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TFT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은 단결정 반도체를 사용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보다 크다. 더욱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은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절대값과는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2V이면 P형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4V이다.
따라서,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이 매우 차이가 나는 것은 회로를 동작하는 데에는 바람직하지 않고, 특히, 구동 전압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커다란 장벽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문턱 전압의 절대값이 큰 P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낮은 구동 전압에서는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즉, P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레지스터와 같은 수동 소자로서 단지 기능하며, 충분히 빨리 동작하지는 않는다. P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수동 소자처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전압이 충분히 높을 필요가 있다.
특히, 게이트 전극이 일함수가 알루미늄과 같이 5 eV 이하인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게이트 전극과 진성(intrinsic) 실리콘 반도체 사이의 일함수의 차이가 -0.6 eV만큼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 값으로 쉬프트되는 것과 같이 되고,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0 V에 가깝게 된다. 그러므로, N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온-상태(on-state)인 것으로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N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단결정 반도체 집적 회로 기술의 경우, 문턱 전압은 1018 원자/㎤의 농도 이하인 매우 작은 농도에서 N 또는 P 타입 불순물 도핑을 사용하여 제어되어 왔다. 즉, 문턱 전압은 1015 내지 1018 원자/㎤의 농도의 불순물 도핑에 의하여 0.1 V 이하의 정밀도로 제어되어 왔다.
그러나, 단결정 반도체가 아닌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불순물이 1018 원자/㎤ 또는 그 이하의 농도로 첨가될지라도 문턱 전압의 쉬프트는 관측되지 않는다. 더욱이, 불순물의 농도가 1018 원자/㎤ 이상이면, 문턱 전압은 급속히 변화하고, 전도성은 p-타입 또는 n-타입이 된다. 이것은 다결정 실리콘이 많은 디펙트을 갖기 때문이다. 디펙트 농도가 1018 원자/㎤이므로 첨가된 불순물은 이러한 디펙트에 의해 트랩되고 활성화될 수 없다. 더욱이, 불순물의 농도가 디펙트의 농도보다 크며 과도한 불순물은 활성화되고 도전 타입을 n 또는 p 타입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번호 제6,492,268호, 6,124,603호 및 5,615,935호에서는 채널 길이를 달리 하여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를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보다 작게 제조한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도 채널 길이를 달리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 영역을 결정화할 때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여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전류 이동도가 높은 CMOS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액티브 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기판 위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두께가 P형 박막 트랜지스터보다 N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더 두꺼우며,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가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보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 실리콘막을 포함하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CMOS 박막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채널 영역 내에 포함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즉, 전류 이동도 및 문턱 전압 등에 영향을 주는 것에 착안하여 CMOS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되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CMOS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과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b)을 구비한 기판(10) 상에 먼저, 버퍼층(11)을 증착한다. 버퍼층(11)으로는 SiO2 등을 사용한다. 버퍼층(11)을 증착한 후 비정질 실리콘(12)을 버퍼층(11) 상부에 증착한다. 이때, 비정질 실리콘(12)은 500 내지 1,500 Å의 두께로 증착한다.
그리고 나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에는 비정질 실리콘(12) 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형성하고, 비정질 실리콘을 건식 식각한다. 그러면,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b)의 비정질 실리콘(12b)은 일정 깊이만큼 식각되어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12a)층과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12b)층은 두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P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남는 비정질 실리콘(12b)의 두께는 300 내지 800 Å 정도가 된다.
포토레지스트(13)를 제거한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폴리 실리콘으로 결정화시킨다. 이때,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12b)층의 두께가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12a)층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의 경우 거의 다 녹은 후 결정화되고,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은 상부 일부만이 녹은 후 결정화되게 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는 크게 되고,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보다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폴리 실리콘이 결정립 크기가 크기 때문에 결정립 경계가 포함되는 숫자가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보다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이 작게 된다.
한편, 레이저를 사용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시키는 경우 결정립 사이의 경계인 결정립 경계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정립 경계가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경우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 이동도 및 문턱 전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기 결정립 경계의 경우 전하 캐리어(electric charge carrier)에 대하여 트랩(trap)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3은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 크기에 따른 전류 이동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정립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전류 이동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경우에는 이러한 결정립 경계의 수가 적게 포함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서의 전류 이동도는 높아지게 되고, 문턱 전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과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 사이의 전류적 특성의 차이가 줄어들어 거의 없게 된다.
이때,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과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결정화 방법으로는 ELA(Laer Eximer Annealing)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레이저로는 320 mJ/㎠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실리콘 패턴을 형성한 다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도전성을 주기 위하여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10a)의 폴리 실리콘 패턴(12a)을 노출시킨 후 패턴된 포토레지스트(14)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N형 도판트로 채널 도핑을 시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 또는 오프-셋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DD 구조를 갖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하여 이하 공정을 설명한다.
이어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14)를 제거하고 상기 기판 (10)에 게이트 절연막(15)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게이트 전극 물질을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10) 상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 물질을 식각하여 N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6a, 16b)을 해당 영역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LDD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의 폴리 실리콘 패턴(12a)으로 N형의 저농도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게이트전극(16a)의 양측에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17)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17)이 형성된 기판(10)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으로의 불순물 이온주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 형성을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 마스크를 사용하여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b)의 폴리 실리콘 패턴(12b)으로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고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19)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다시 기판(10)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으로의 불순물 이온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2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크(20)를 이용하여 N형의 고농도 불순물을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의 폴리 실리콘 패턴(12a)으로 이온주입하여 고농도 소오스/드레인 영역(2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20)를 제거한 후, 기판(10) 전면에 층간 절연막(2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10) 상에 마스크를 위치시켜 N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19, 21)이 노출되도록 층간 절연막(22)을 식각하여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a) 및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b)에 각각 콘택홀(23a, 23b)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전면에 소오스/드레인 전극 형성을 위한 도전성 금속물질을 증착한 후,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도전성 금속 물질을 식각하여 N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24a, 24b)을 각각 형성한다.
이로써, LDD 구조를 갖는 N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P형 박막 트랜지스 영역과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폴리 실리콘 패턴(12a, 12b)에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방법을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먼저 기판 상에 P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이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10b)에 먼저, SiNx와 같은 절연층(25)을 형성한다. 그러고 나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 전면에 걸쳐 버퍼층(11)을 형성한다. 버퍼층(11)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SiO2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나서, 기판(10) 전면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이저로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시켜 폴리 실리콘 패턴(12a, 12b)을 형성한다.
이때,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하부에는 SiNx와 같은 절연층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에너지가 기판을 통하여 외부로 전도되는 양이 하부에 절연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보다는 작게된다. 즉, 열전도도가 P형 박막 트랜지스터가 작게 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비정질 실리콘에 영향을 주는 에너지 양이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 보다 많게 되므로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이 더 많이 녹게 되고, 따라서, 형성되는 결정립의 크기가 P형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이 크게 된다. 따라서,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의 전기적 특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거의 없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결정화 방법으로는 ELA(Eximer Laser Annealing) 법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레이저는 320 mJ/㎠의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후의 공정은 앞에서 설명한 도 1d 내지 도 1i와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채널 영역 내에 포함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가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의 크기보다 작은 CMOS 박막 트랜지스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사용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능동 소자형 LCD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이, COMS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N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채널 영역 내의 결정립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문턱 전압의 절대값 및 전류 이동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은 폴리 실리콘의 결정립 크기에 따른 전류 이동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1)

  1. 액티브 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기판 위에 형성되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폴리 실리콘의 두께보다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폴리 실리콘의 두께가 더 두꺼우며,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가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크기보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폴리 실리콘의 두께는 300 내지 800 Å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의 폴리 실리콘의 두께는 500 내지 1,500 Å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은 ELA(Eximer Laser Anealing) 결정화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MOS 박막 트랜지스터는 LDD 구조 또는 오프-셋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6.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 실리콘막을 포함하는 P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N형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CMOS 박막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P형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박막 트랜지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SiO2 이고, 상기 절연층은 SiNx로 형성되는 것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실리콘은 ELA(Eximer Laser Anealing) 결정화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MOS 박막 트랜지스터는 LDD 구조 또는 오프-셋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CMOS 박막 트랜지스터.
  10. 제 1항 또는 제 6항의 CMOS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표시 소자 또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3-0038826A 2003-04-24 2003-06-16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052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26A KR100521275B1 (ko) 2003-06-16 2003-06-16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US10/754,543 US7385223B2 (en) 2003-04-24 2004-01-12 Flat panel display with thin film transistor
CNB2004100032831A CN100419816C (zh) 2003-04-24 2004-02-03 具有薄膜晶体管的平板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26A KR100521275B1 (ko) 2003-06-16 2003-06-16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084A KR20040108084A (ko) 2004-12-23
KR100521275B1 true KR100521275B1 (ko) 2005-10-13

Family

ID=3738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8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1275B1 (ko) 2003-04-24 2003-06-16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352B2 (ja) * 2018-01-15 2022-06-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084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6103B2 (ja) 薄膜半導体装置
KR101491567B1 (ko) 픽셀 및 구동영역에서 상이한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장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제조하는방법
JP2002050764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液晶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20358A1 (zh) 低温多晶硅薄膜晶体管的制作方法及低温多晶硅薄膜晶体管
US8174053B2 (en) Semiconductor devic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6818967B2 (en) Fabricating method of low temperature poly-silicon film and low temperature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KR100776362B1 (ko)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521274B1 (ko) 씨모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KR10068633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평판표시장치
KR20040004177A (ko) 박막 트랜지스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표시 장치
JP2002134751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42989B1 (ko)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KR100521275B1 (ko)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KR20050052255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67066B1 (ko)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521273B1 (ko) 씨모스 박막 트래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디바이스
US7696029B2 (en) Method for forming thin film devices for flat panel displays
KR100815894B1 (ko) Ldd구조의 cmos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KR20050050490A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평판표시 장치
KR20050035806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3325996B2 (ja) 半導体装置作製方法
KR10056973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08852B1 (ko) 액정표시장치의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100488063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17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