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0843B1 - 전동식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전동식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843B1
KR100520843B1 KR10-2002-0027864A KR20020027864A KR100520843B1 KR 100520843 B1 KR100520843 B1 KR 100520843B1 KR 20020027864 A KR20020027864 A KR 20020027864A KR 100520843 B1 KR100520843 B1 KR 10052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guide rail
door
electric door
furnitur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937A (ko
Inventor
위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2-002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8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하부안내레일이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상기 가구본체의 폭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는 직선이동부; 및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부가 상기 직선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동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의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고 나아가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고품격 주택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식 수납가구{Cabinet having electric-powered door}
본 발명은 전동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와 가구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전동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주로, 책장, 장롱, 의자 및 책상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적당한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구 중 수납가구는 대표적으로 붙박이 장롱을 들 수 있는데, 수납가구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이불, 옷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본체와 가구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Door)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붙박이 장롱과 같은 수납가구의 가구본체에 이불, 옷 등을 꺼내거나 넣을 때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직접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서 도어를 열게 되며 반대로 옷, 이불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도어를 닫을 때에도 사람이 손으로서 직접 도어를 닫게 된다. 많은 기술분야에서 자동화가 적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아직 수납가구에는 수동식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거환경에 자동화를 접목한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연구 및 설계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적인 디자인을 위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도어를 채택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수납가구에도 자동화를 접목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붙박이 장롱 등과 같은 수납가구에 있어서는 일률적으로 사람이 직접 손으로 도어를 개폐하여야 하는 수동식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가정자동화와는 조화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미적인 디자인을 위해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을 수납가구에 적용 시에 도어의 중량이 많게 되어 도어를 열고 닫는데 힘이 들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최근 많이 채용되고 있는 이러한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을 적용하지 못하게 되어 고품격 주택인테리어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의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고 나아가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고품격 주택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는 전동식 수납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하부안내레일이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상기 가구본체의 폭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는 직선이동부; 및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부가 상기 직선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동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수납가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걸리어 상기 가구본체의 폭방향으로 주행하는 전동벨트; 상기 전동벨트의 일부 영역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동벨트의 주행에 따라 직선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롤러행거; 상기 롤러행거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행거와 상기 전동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도어홀더로 구성하며, 상기 가구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상부안내레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안내레일은 상기 전동도어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롤러는 회전축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안내레일의 측부에 구름접촉하는 것이 상기 전동도어 상단부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도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굴림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도어의 개폐 시 상기 전동도어의 진로를 방해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안전 상 유리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수납가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수납가구(1)는, 내부에 수납공간(16)을 형성하는 가구본체(10)와, 가구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가구본체(10)의 전면 측부에 설치되는 입력부인 개폐스위치(30)와, 개폐스위치(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구동모터(20)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가구본체(10)의 폭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40)와, 직선이동부(40)에 결합되어 직선이동부(40)의 이동에 따라 가구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동도어(50)를 포함한다.
가구본체(10)는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되고, 옷걸이(15)와 인출가능한 박스 형상의 수납장(14)을 마련하여 옷을 걸어 보관하거나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불을 포개어 보관할 수도 있다. 가구본체(10)의 전면 하단부에는 가구본체(10)의 폭방향으로 두 개의 하부안내레일(11)이 층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며, 가구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안내레일(13)이 설치된다.
가구본체(10)의 전면 측부에는 후술할 전동도어(50)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스위치(3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개폐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개폐스위치(30)의 신호에 따라 후술할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하여 후술할 직선이동부(40)가 전동도어(50)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동도어(50)를 개폐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0)는 전원에 연결되어 가구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회전축(21)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회전축(21)은 후술할 직선이동부(40)에 연결된다. 또한 가구본체(10)에는 감지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전동도어(50)의 개폐 시 전동도어(50)의 진로를 방해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며,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등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전동식 수납가구의 직선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동식 수납가구의 직선이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부(40)는,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에 걸리어 가구본체(10)의 폭방향으로 주행하는 전동벨트(41)와, 전동벨트(41)의 일부 영역에 고정결합되어 전동벨트(41)의 주행에 따라 직선이동하는 이동부재(43)와, 이동부재(43)에 결합되는 롤러행거(45)와, 롤러행거(45)의 하부에 마련되는 롤러(47)와, 롤러행거(45)와 전동도어(5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도어홀더(49)를 포함한다.
전동벨트(41)는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에 걸리어 주행하게 되는데, 전동벨트(41)의 일부 영역에는 한 쌍의 이동부재(43)가 고정결합되어 전동벨트(41)가 주행하게 되면 가구본체(10)의 폭방향으로 각 이동부재(43)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동부재(43)는 전동벨트(41)에 볼트결합되는 대략 'ㄴ'자형의 결합부재(43a)와 대략 'ㄹ'자형으로 이단 절곡되어 전면으로 돌출된 연결부재(43b)를 서로 맞대어 전동벨트(41)의 하부에서 볼트 결합된 것으로서, 연결부재(43b)는 후술할 롤러행거(45)와 볼트체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부재(43)를 결합부재(43a)와 연결부재(43b)를 볼트 결합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결합부재(43a)와 연결부재(43b)를 용접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롤러행거(45)는 일단이 이동부재(43)의 연결부재(43b) 단부와 볼트 결합되고 타단이 도어홀더(49)와 볼트결합되며, 롤러행거(45)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47)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롤러행거(45)에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홀더(49)는 하방으로 이단 절곡되어 전방측 단부에서 전동도어(50)의 상단부에 각각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전동도어(50)를 잡게 된다. 한편 롤러(47)는 가구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안내레일(13)의 측부에 구름접촉하는데 이에 의하여 전동도어(50)의 상단부가 앞으로 넘어지려는 힘을 롤러(47)가 상부안내레일(13)에 접촉되면서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도어홀더(49)에 의해 상단부가 결합되는 전동도어(50)는 하단부에 굴림바퀴축(53)이 돌출되어 결합되고 굴림바퀴축(53)에 굴림바퀴(51)가 마련되어 가구본체(10)의 각 하부안내레일(11)에 설치된다. 전동도어(50)의 수직하중은 대부분 하부안내레일(11)에서 지지하게 되며 상단부의 도어홀더(49)는 전동도어(50)의 개폐시키는 힘을 전동도어(50)에 가하게 된다. 전동도어(50)의 상단부가 앞으로 넘어지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47)가 상부안내레일(13)을 누르게 되면서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수납가구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불이나 옷을 넣거나 꺼내기 위하여 전동도어(50)를 열고자 할 때에 사용자는 개폐스위치(30)의 열림 버튼을 누르게 된다. 열림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미도시)는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20)가 작동하게 되면, 예를 들어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21)에 걸리어 있는 전동벨트(41)가 시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전동벨트(41)의 일부 영역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이동부재(43)가 가구본체(10)의 중심을 지나 반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동부재(43)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행거(45)도 이동하게 되는데 롤러행거(45) 하부에 마련된 롤러(47)는 가구본체(10)의 상부안내레일(13)의 측부에 구름접촉하여 롤러행거(45)의 이동을 원활히 하게 된다. 롤러행거(45)의 이동에 의하여 롤러행거(45)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홀더(49)가 이동하게 되고 도어홀더(49)는 전동도어(5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동도어(50)에 힘을 가하여 전동도어(50)를 열게 된다. 이 때 전동도어(50)의 하단부는 굴림바퀴(51)가 하부안내레일(11)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되므로 상단부의 롤러(47)와 함께 전동도어(50)의 열림을 원활히 하게 한다. 전동도어(5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구본체(10)에 옷을 걸거나 이불, 옷을 집어 넣어 보관할 수도 있고 가구본체(10)로부터 옷이나 이불을 꺼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동도어(50)를 닫으려면 사용자는 개폐스위치(30)의 닫힘 버튼을 누르면 된다. 닫힘 버튼이 눌러지면 개폐스위치(30)의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되고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모터(20)의 회전이 열림 버튼이 눌러진 때와는 반대로 구동모터(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이동부재(43), 롤러행거(45), 도어홀더(49)가 일체로 전동도어(50)를 닫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데 이 때 롤러(47)는 전동도어(50)가 닫힐 수 있도록 전동도어(50)에 힘을 가하게 된다. 롤러(47)는 상부안내레일(13)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이들의 이동을 원활히 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전동도어(50)의 개폐 시에 손가락이 전동도어(50)에 끼이거나 신체가 전동도어(50)에 닿게 되면 감지부(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제어부(미도시)가 구동모터(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등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20)를 이용하여 붙박이 장롱 등과 같은 수납가구의 전동도어(5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으로 고품격 주택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자동화의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직선이동부(40)가 전동벨트(41), 이동부재(43), 롤러행거(45), 롤러(47) 및 도어홀더(49)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의 단부에 기어 치형을 형성한 피니언과 전동도어(5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피니언에 연결되는 랙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입력부가 가구본체(10)의 전면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30)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리모콘으로 원격조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자동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식 수납가구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이탈되는 경우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전동도어(50)의 하단부에 굴림바퀴(51)가 부착되어 가구본체(10)의 하부안내레일(11)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전동도어(5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 부재를 부착하여 가구본체(10)의 하부안내레일(11)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의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고 나아가 넓고 두꺼운 도어 마감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고품격 주택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수납가구의 정면도,
도 2는 도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1의 측면도,
도 4는 전동식 수납가구의 직선이동부의 사시도,
도 5는 전동식 수납가구의 직선이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식 수납가구 10 : 가구본체
11 : 하부안내레일 13 : 상부안내레일
20 : 구동모터 21 : 회전축
30 : 개폐스위치(입력부) 40 : 직선이동부
41 : 전동벨트 43 : 이동부재
45 : 롤러행거 47 : 롤러
49 : 도어홀더 50 : 전동도어
51 : 굴림바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면 하단부에 폭방향으로 하부안내레일이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에 상기 가구본체의 폭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는 직선이동부; 및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부가 상기 직선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동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걸리어 상기 가구본체의 폭방향으로 주행하는 전동벨트; 상기 전동벨트의 일부 영역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동벨트의 주행에 따라 직선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롤러행거; 상기 롤러행거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행거와 상기 전동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도어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가구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상부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안내레일은 상기 전동도어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롤러는 회전축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안내레일의 측부에 구름접촉되며,
    상기 전동도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굴림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도어의 개폐 시 상기 전동도어의 진로를 방해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수납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수납가구.
KR10-2002-0027864A 2002-05-20 2002-05-20 전동식 수납가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64A KR100520843B1 (ko) 2002-05-20 2002-05-20 전동식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64A KR100520843B1 (ko) 2002-05-20 2002-05-20 전동식 수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37A KR20030089937A (ko) 2003-11-28
KR100520843B1 true KR100520843B1 (ko) 2005-10-11

Family

ID=3238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843B1 (ko) 2002-05-20 2002-05-20 전동식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59Y1 (ko) 2010-04-13 2013-08-29 이건무 곡면형 이중 도어가 구비된 욕실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55B1 (ko) * 2008-06-20 2010-10-01 구명화 텔레비젼 수납 가구
CN111714006B (zh) * 2020-06-15 2022-04-29 江苏华昇新材料科技有限公司 Smc壳体智能镜柜
KR102320233B1 (ko) * 2020-12-29 2021-11-02 주식회사 파스텔 붙박이장의 자동 미닫이 도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388A (ja) * 1988-10-12 1990-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ス自動引出し装置
JPH04363485A (ja) * 1991-01-31 1992-12-16 Okamura Corp 展示ケース等における引戸装置
KR970016023U (ko) * 1995-10-21 1997-05-23 주동찬 장롱문의 자동개폐장치
JPH11131894A (ja) * 1997-10-24 1999-05-18 Itoki Crebio Corp 展示ケースにおける透明扉装置
KR200274584Y1 (ko) * 2001-11-14 2002-05-08 정용배 손톱줄의 손잡이 자동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388A (ja) * 1988-10-12 1990-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ス自動引出し装置
JPH04363485A (ja) * 1991-01-31 1992-12-16 Okamura Corp 展示ケース等における引戸装置
KR970016023U (ko) * 1995-10-21 1997-05-23 주동찬 장롱문의 자동개폐장치
JPH11131894A (ja) * 1997-10-24 1999-05-18 Itoki Crebio Corp 展示ケースにおける透明扉装置
KR200274584Y1 (ko) * 2001-11-14 2002-05-08 정용배 손톱줄의 손잡이 자동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59Y1 (ko) 2010-04-13 2013-08-29 이건무 곡면형 이중 도어가 구비된 욕실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37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2496A1 (en) Motorized basket lifting mechanism
US7625052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ntainer moving system
US9377238B2 (en)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EP2299215A2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60006321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11224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200005120A (ko) 서랍형 냉장고
GB2398732A (en) Powere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drawers and doors
CN106343738B (zh) 翻转柜
AU2019283768B2 (en) Refrigerator
KR100520843B1 (ko) 전동식 수납가구
EP0864719B1 (en)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in furniture, rooms and the like
US12196020B2 (en) Restroom door assembly
JP4249118B2 (ja) 食器洗い機
JP2006296459A (ja) 食器洗浄機
KR100773887B1 (ko)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CN111319049A (zh) 推出翻转机构、机器人以及用于机器人的物品配送方法
US8104852B2 (en) Refrigerator
CN111850999B (zh) 衣物处理装置
WO2020074976A1 (en) System for activating/deactivating an electrical device of a piece of furniture
KR100286040B1 (ko) 냉장고
JP2007093078A (ja) 冷蔵庫
JPH0328307Y2 (ko)
JPH119355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CN111329245A (zh) 一种方便开门的移门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