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0535B1 - 잉크용기 - Google Patents

잉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35B1
KR100520535B1 KR1019970012137A KR19970012137A KR100520535B1 KR 100520535 B1 KR100520535 B1 KR 100520535B1 KR 1019970012137 A KR1019970012137 A KR 1019970012137A KR 19970012137 A KR19970012137 A KR 19970012137A KR 100520535 B1 KR100520535 B1 KR 10052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ight
housing
reflector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805A (ko
Inventor
케네스 더블유 알트파더
마이클 칼로타
스티븐 제이. 디에틀
도날드 엠. 스티븐스
프레드 에프. 3세 허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1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저 잉크 감지 시스템은 잉크젯 프린터를 더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 검출 시스템과 조합된다. 잉크를 연합된 프린트헤드에 공급하는 잉크 용기는 적합한 실시예에서 다면 프리즘과 루프 미러인 두 개의 광 지향 부재를 용기 하우징의 투과 벽에 합체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잉크 용기와 연합된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는 스캔 캐리지상에 장착된다. 주기적으로, 캐리지는 한 쌍의 광원들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스테이션으로 운반된다. 제 1 광원은 여자되고, 광 비임은 캐리지가 존재한다면 루프 미러가 위치되는 위치로 지향된다. 캐리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반사된 복귀 신호의 부족이 감지되어 캐리지가 삽입되어 있지 않음을 지시한다. 인쇄 작동은 캐리지가 삽입될 때까지 정지된다. 캐리지가 적합하게 삽입되면, 루프 미러는 캐리지의 존재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광 센서 입사광의 대부분을 복귀시킨다. 그런 다음, 제 2 광원은 여자되고, 용기 내부에서 잉크에 침지되거나 공기에 노출되는 다면 프리즘을 향해 지향된다. 후자인 경우라면, 광은 프리즘 파셋에 의해 광센서로 일체로 반사된다. 인쇄 작동이 진행되어 잉크 레벨이 고갈되면, 공통의 광센서는 강하거나 또는 약한 재지향 광 구성 요소를 검출하여 상태 체크를 개시하며 저 잉크 레벨의 적합한 표시 또는 잉크 고갈의 경고를 발생한다.

Description

잉크 용기
본 발명은 잉크젯(ink jet)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잉크 공급 용기의 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용기 내의 잉크 레벨이 소정 레벨에 있는지 또는 그 이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근접하게 이격된 도트의 제어 패턴으로 용지와 같은 인쇄 매체 상에 잉크를 분출한다. 컬러 이미지(화상)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중 그룹의 잉크젯들이 사용되고, 각 그룹에는 연합된 잉크 용기로부터 서로 다른 컬러의 잉크가 공급된다.
감열식(thermal) 잉크젯 인쇄 시스템은 잉크를 순간적으로 증발하고 요구시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 채널 종단 노즐들 또는 오리피스들 부근의 모세관형 충전 잉크 채널에 배치된 저항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사용한다. 각각 일시적인 기포는 잉크 방울을 방출하고 이것을 기록 매체를 향해 추진시킨다. 상기 인쇄 시스템은 캐리지형 프린터 또는 페이지폭(pagewidth)형 프린터중 어느 하나에 합체될 수 있다. 캐리지형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잉크 채널과 노즐을 포함하는 비교적 작은 프린트헤드(printhead)를 구비한다. 상기 프린트헤드는 통상 잉크 공급 용기에 밀봉식으로 부착되고, 조합된 프린트헤드와 용기는 용지와 같은 고정 유지된 기록 매체 상에 하나의 행(swath)의 정보를 일시에 인쇄하기 위해 왕복 이동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행이 인쇄된 후, 용지는 인쇄된 행의 높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줄-이동(step)되어, 다음 인쇄될 행이 용지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는 전체 페이지가 인쇄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와 반대로, 페이지 폭형 프린터는 용지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정지형 프린트헤드를 갖는다. 용지는 인쇄 공정 중에 일정한 속도로 프린트헤드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페이지 폭형 프린트헤드를 지나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이동 캐리지형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헤드와 함께 잉크 용기를 이동시키거나, 이동형 프린트헤드와 정지형 잉크 용기 사이에 가요성 잉크 공급 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페이지폭형 프린터는 인쇄 영역 외측에 위치되며 프린트바아(printbar) 잉크 채널에 직접 접속된 잉크 공급 용기를 갖는다.
이동형 캐리지 상의 부분 폭 프린트헤드 또는 페이지폭 프린트바아에 있어서, 인쇄 작업 중에 잉크가 고갈되지 않도록 잉크 용기를 교체하거나 또는 재충전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저 잉크 레벨(low ink level) 경고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플로팅(plotting)과 같은} 몇몇 용도에 있어서, 일부 사용자들은 출력 인쇄물에서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컬러가 나오지 않는 것 보다는 문제로 되는 용기를 교체하는 것이 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많은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새로운 인쇄 용기를 설치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잉크 공급 용기가 적합한 위치에 있는, 예를 들면, 연합된 프린트헤드에 유동적(流動的)으로 접속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하다. 몇몇 경우에, 고갈된 잉크 용기는 제거하지만, 대체 용기를 삽입하는 것을 소홀히 할 수 있다. 용기가 제거된 상태로 인쇄 작업을 하면, 연합된 프린트헤드를 심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잉크 공급 용기내의 잉크의 감소된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의 방법 및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342,042호에는 잉크 공급 저장조의 상부면으로서 작용하는 가요성 박막에서 반사되는 LED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포함하는 잉크 감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박막은 잉크가 고갈될 때 수축되고, LED 센서는 수축을 검출하여 저 잉크 레벨 신호를 발생시킨다.
미국 특허 제5,079,570호는 잉크가 폼(foam) 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2중 유동 표시기는 폼 저장조와 유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폼 내의 유체 레벨은 임의의 규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 트리거(trigger)된다.
미국 특허 제5,289,211호에는 잉크가 스며든 폼 저장조에 침지된 한 쌍의 전극들을 포함하는 저 잉크 검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극들은 2개의 전극들 사이에서 잉크의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브릿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414,452호는 방출되는 방울의 수를 계산하고, 그 수와 잉크 저장조내의 잉크의 공지된 값에 상당하는 방울의 최대수를 비교하는 논리 회로를 사용한다.
미국 특허 제5,434,603호에는 저장조의 측벽이 잉크 고갈 중에 내향으로 수축되어 표시기 스트립(stripes)의 방위를 변경하고 윈도우를 통하여 관찰자에게 컬러 가시성을 변경하는 가시 표시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386,224호에서는 잉크의 공급부내에 레벨 감지 탐침(probe)을 배치하여, 잉크의 전도성 변화를 감지한다.
미국 특허 제5,136,305호에는 서미스터(thermistor)가 잉크 공급부에 위치되어 주기적으로 여자되는 저 잉크 검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저장조의 잉크 고갈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잉크의 온도 상승이 측정되고, 소정 값과 비교된다.
미국 특허 제4,639,738호에는 카트리지의 상부 및 저부의 압력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카트리지에서 검출 포트와 합체되는 검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포트는 재충전 조건 신호를 발신하는 차압 센서에 결합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5-332812호에는 카트리지가 잉크 저장 탱크 표면의 개구에 설치되는 투명한 광학 경로 부재를 갖는 저 잉크 검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LED는 잉크 탱크 내로 안내되고 저 잉크 레벨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반사되어 센서에 도달하는 광 비임을 방출한다.
몇몇 종래 기술은 잉크 전도성의 측정 및 검출 또는 방울 검출 회로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어떠한 기술도 잉크 레벨 감지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잉크 탱크가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합된 프린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용기의 적합한 장착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용기 내의 저 잉크 레벨을 검출하고, 저 잉크 레벨 경고 신호를 제공하는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용기의 검출뿐만 아니라 저 잉크 레벨 검출 기능 모두를 수행하는 저비용 광학 검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 매체 상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감열식 프린터가 개시된다. 잉크는 프린트헤드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잉크 용기로부터 프린트헤드에 공급된다. 상기 프린트헤드와 용기는 인쇄 영역을 가로질러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캐닝(주사) 캐리지에 장착되고, 상기 프린트헤드는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방출한다. 2개의 광원과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은 캐리지의 이동 경로를 따라 견고하게 배치되고, 잉크 용기가 광학 시스템과 대향하게 위치될 때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잉크 용기로 지향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잉크 용기는 투과벽(transmissive wall)에 형성된 광학적 광 지향 부재를 구비한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투과벽을 통과하여 용기 내로 및 용기 상으로 지향되며, 계속하여 상기 광학 부재 상으로 지향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 지향 부재는 반사 프리즘이고, 상기 부재로부터의 광의 반사 또는 그 결핍은 용기의 유무 및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잉크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의 광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잉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잉크 용기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벽을 통과하는 잉크 출구와,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잉크 량과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 상에 위치하고 수용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광 지향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잉크 프린터용 잉크 용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잉크 용기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벽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 있는 액체 잉크와,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유체 연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제 1 벽을 통과하는 액체 잉크 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의 외부에서 제 1 및 제 2 반사기들을 구비하는 루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기는 상기 제 2 반사기를 향해 상기 제 1 반사기에 수용되는 광을 완전히 반사시키며, 상기 제 2 반사기는 상기 제 1 반사기에 수용되는 광의 경로와 평행하고 상기 경로로부터 편심된 광 경로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2 반사기에 수용되는 광을 완전히 반사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상에 장착되고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유무와, 상기 카트리지와 연합된 잉크 용기내의 잉크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광 감지 스테이션내로 광 비임을 지향하는 단계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부가 존재한다면 상기 광 비임을 가로챌 수 있도록 광 감지 스테이션내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부로부터 후방으로 재지향되는 광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와,
카트리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 기록 장치에서 잉크 카트리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프린트헤드와, 잉크를 상기 프린트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기록 매체에 제 1 컬러 각각을 인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와,
상기 프린트헤드에 제 1 컬러의 잉크를 제공하고, 서로 연합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부재를 갖는 벽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섹션을 갖는 연합된 잉크 공급 용기와,
상기 카트리지를 스캐닝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스캐닝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광원과 광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 감지 스테이션과,
상기 카트리지가 물리적으로 존재한다면 상기 반사 부재가 광원 출력에 대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스테이션내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광원을 여자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는 카트리지의 존재를 지시하여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원 출력 비임을 감지하거나, 또는 카트리지가 없음을 지시하는 반사된 광의 결핍을 감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 및 저 잉크 검출 시스템의 적합한 실시예를 구체화하는 감열식(thermal) 잉크젯(ink jet) 프린터(8)의 사시도이다. 상기 프린터(8)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감열식 잉크젯 프린터뿐만 아니라, 압전 프린터,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및 문서 래스터 입력 스캐너(document Raster Input Scanner)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다른 재생 장치로 실행할 수 있다. 프린터(8)는 캐리지 레일(14)에 의해 지지된 캐리지(12) 상에 장착된 잉크젯 프린트헤드 카트리지(10)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레일은 잉크젯 프린터(8)의 프레임(1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린트헤드 카트리지(1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용기(16)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프린터(8)의 콘트롤러(50; 도 4)로부터 전기 케이블(20)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기 신호의 제어하에서 잉크 방울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감열식 잉크젯 프린트헤드(18)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를 포함한다. 용기(16)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반사 부재(21, 22)가 장착되는 벽(17A)을 갖는 하우징(17)을 포함한다. 용기(16)는 프린트헤드(18)에 유동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며, 잉크가 고갈될 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카트리지는 특정 시스템 요구 조건에 따라 각각의 고갈시에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프린트헤드(18)는 용기(16)로부터 각 잉크 방출 오리피스들 또는 노즐들로 잉크를 운반하는 다수의 잉크 채널들을 포함한다. 인쇄시에, 상기 캐리지(12)는 화살표 23의 방향으로 캐리지 레일(14)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전체 폭의 횡단은 스캐닝 경로를 구성한다. 실제 인쇄 영역은 스캐닝 경로 내에 포함된다. 상기 프린트헤드 카트리지(10)가 인쇄 경로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용지 시트 또는 투명지와 같은 기록 매체(24)를 통과할 때, 잉크 방울은 용지 시트를 향해 프린트헤드 노즐들 중에 선택된 하나로부터 방출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캐리지(12)의 각각의 통과 중에, 기록 매체(24)는 고정되어 유지 된다. 각각의 통과 종료시에, 기록 매체(24)는 화살표 26 방향으로 줄-이동된다. 프린터(8) 작동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571,599호와 재발행된 미국 특허 제32,572호를 참조한다.
도 1에는 광학 감지 조립체(3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체(30)는 제 1 광원(34), 제 2 광원(36), 및 상기 2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이들과 함께 사용되는 광 센서(38)가 장착된 하우징(31)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들은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면에, 상기 광 센서(38)의 출력은 시스템 콘트롤러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용기(16)는 2개의 격실 유닛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조립체(30)는 캐리지 경로에 장착되므로, 용기의 하우징 벽(17A)이 조립체(30)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될 때, 광원(34)으로부터의 광은 광 지향 부재(21)를 향해 지향되며, 광원(36)으로부터의 광은 광 지향 부재(22)를 향해 지향된다. 광 센서(38)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 지향 부재(21 또는 22)로부터 지향되는 광을 검출하기 위해 위치된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프린트헤드 카트리지(10)의 단면도이며, 상기 용기에 부착된 하우징(17)과 프린트헤드(18)를 도시한다. 상기 프린트헤드(18)는 용기(16)에 유동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7)은 경량이지만 내구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하우징(17)은 벽(17B) 내에 형성된 공기 입구(32) 및 잉크 출구(35)를 갖는다. 상기 공기 입구(32)는 하우징(17)의 내부와 주위 사이에 공기를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다. 잉크 출구(35)는 잉크 용기(16)에 저장된 잉크를 하우징(17) 내부로부터 잉크젯 프린트헤드(18)로 유체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다. 매니폴드(37)는 여과된 잉크를 잉크 출구(35)로부터 프린트헤드(18) 내로 지향시키며, 기록 매체(24) 상에 잉크를 방출하기 위한 잉크 방출 오리피스로 지향시킨다.
하우징(17)은 분할 부재(44)에 의해 제 1 챔버(40)와 제 2 챔버(42)로 분할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분할 부재(44)는 하우징(17)의 일 측벽으로부터 하우징의 대향 측벽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챔버(42)가 제 1 챔버(40)보다 더 크도록 상기 하우징을 제 1 챔버(40)와 제 2 챔버(42)로 필수적으로 분할한다.
상기 제 1 챔버(40)는 액체 잉크를 유지하기 위해 통상 폼 재료로 제조되는 잉크 유지 부재(46)를 포함한다. 제 2 챔버(42)에 저장된 액체 잉크(48)는 실질적으로 잉크 유지 재료를 갖지 않는 제 2 챔버(42)로부터 분할 부재(44)에 의해 형성된 잉크 입구(41)를 통해 잉크 유지 부재(46)로 전달된다. 충전 포트(49)는 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도록 한다.
잉크(48)는 잉크 입구(41)를 통하여 잉크 유지 부재(46)로 통과하고, 인쇄하기 위해 프린트헤드(18)에 잉크를 공급하여 필요에 따라 잉크 출구(35)를 통해 방출한다. 프린트헤드(18)에 공급하기 적합한 양의 잉크를 잉크 유지 부재(46) 내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7)은 필요에 따라 상기 부재(46)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해 액체 잉크(48) 상부에 적합한 양의 공기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제 2 챔버(42)로부터 제 1 챔버(40)로 잉크를 전달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는 분할 부재(44)와 함께 공기 전달 통로(62)를 형성하는 지향 부재(63)를 포함하고, 이 공기 전달 통로(62)는 제 2 챔버(42)를 정적(유동이 없는) 상태로 가압하기 위해 통기 출구(66)에 결합된 통기 입구(64)를 갖는다. 상기 지향 부재(63)는 분할 부재(44)와 같이 한쪽 측벽으로부터 대향 측벽으로 연장하지는 않지만, 대신에 통기 튜브를 형성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용기(16)의 격실의 구성은 예시적이다. 프린트헤드 노즐로의 적합한 배압을 유지하면서 분할 섹션을 가진 잉크 공급 용기를 구성하는 다른 공지된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한 미국 특허 제5,138,332호와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제5,742,312호에 개시된 용기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작동 중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 확립된 압력 조건하에서 2개의 격실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챔버(42)로부터 챔버(40)로 잉크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을 위해 중요한 것은 챔버(42)의 후방을 형성하는 벽(17A)에 광 지향 부재들인 프리즘(21)과 루프 미러(22)를 도입함으로써 잉크 용기(16)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 지향 부재(21)는 벽(17A)의 하부 절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벽과 동일한 광 투과 재료, 예를 들면 적합한 실시예에선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는 반사기이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친수성 재료가 적합하다. 상기 프리즘은 격실(42)의 내부로 연장하여 약 82˚의 각도로 서로를 향해 각도진 파셋 표면(facet surface)(21A, 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즘은 파셋 표면(21C)에 의해 접속된 표면(21A, 21B)을 갖는 절두형 피라미드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리즘은 대형 섹션을 사출 성형할 시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오목한 자국(sink)을 회피하고, 또한 향상된 광 파이핑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좁은 파셋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 지향 부재(22)도 또한 벽(17A)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재(22)는 격실(42)의 내부로 연장하고 서로를 향해 각도져서 표면(22C)에 의해 접속된 2개의 파셋 표면(22A, 22B)을 갖는 프리즘이다. 상기 부재(22)는 표면(22A, 22B) 상에 반사 필름, 포일, 또는 테이프(22D, 22E)를 각각 배치시킴으로써 루프 미러로 형성된다.
벽(17A)의 일부만, 예를 들면 반사 부재(21)를 수용하는 부분만이 투과성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상기로부터 이해된다. 또한,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벽과 일체로 구성되는 반사 부재를 갖지만, 상기 부재는 벽(17A)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별도로 위치될 수 있다.
감지 시스템의 작동
반사 부재(21, 22)와 광학 조립체(30)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고려되는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은 인쇄 작업의 개시 또는 소정량의 인쇄물의 인쇄 후와 같은 특정 작업 후에 잉크 용기의 존재 및 저 잉크 레벨 체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체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는 잉크 용기가 조립체(3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일련의 검출 단계를 통해서 시퀀스되는 것을 요구하는 알고리즘에 따른다. 도 3은 사용될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잉크 용기 및 잉크 레벨 감지 시스템을 실행하는 제어 회로를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주 콘트롤러(50)는 CPU와, 완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OM, 및 RAM을 포함한다. 콘트롤러(50)는 캐리지(12)의 이동뿐만 아니라 하기에 설명되는 다른 프린터 기능을 제어한다.
라인 기록 작업이 실행될 때, 프린트헤드(18)에서의 분사(jet)와 관련된 각 저항기는 퍼스널 컴퓨터 P/C(52) 또는 다른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콘트롤러(50)에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콘트롤러(50)는 프린트헤드 히터 저항기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가열된 저항기와 관련된 분사로부터 잉크 방울을 방출되게 함으로써 기록 매체(24)의 표면상에 기록할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프린트헤드의 연속적인 작동으로, 용기(16)의 챔버(42)에 함유된 잉크는 저 잉크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점점 고갈된다.
설명을 위해, 감지 시스템은 먼저 인쇄 작업의 개시 시에, 그리고 프린터 작동의 미리 설정된 주기 후에 작동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인쇄 작업의 개시 시의 작동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P/C(52)로부터 콘트롤러(50)로의 이미지 신호는 시작 인쇄 시퀀스를 시작한다. 캐리지(12)는 용기(16)의 하우징 벽(17A)을 광학 조립체(30)에 인접하여 대면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해 감지 스테이션으로 이동된다. 콘트롤러(50)의 제어하에서, 먼저 전력원(56)은 광원(36)을 여자시킨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36)은 880 내지 94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LED이다. 광의 비임은 하우징 벽(17A)을 향해 지향되고, 용기가 존재한다면, 광은 루프 미러(roof mirror ; 22)의 반사 표면(22D, 22E)으로부터 반사되어 광 센서(38) 상에 충돌하도록 재지향된다. 상기 2개의 반사 표면은 검출기에서 수용 가능한 입사각 보다 높은 것을 회피하기 위해 비임을 수직하게 하향으로 계단식 이동하도록 한다. 광 센서(3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신호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콘트롤러(50) 내에서 논리회로에 전송된다. 그 후 콘트롤러는 제 1 광원(34)을 구동하기 위해 시퀀스된다.
용기(16)가 존재하지 않으면, 광원(36)의 광출력은 광 센서(38)로 반사되지 않을 것이다. 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의 결여는 "용기 부재(不在)" 상태로 컴퓨터에 인식될 것이다. 프린터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a) 부재 중인 탱크와 관련된 컬러의 인쇄를 방지하고, b) 프린트헤드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용기가 설치되어야 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주는 P/C 디스플레이(55)에서 경고 표시가 활성화될 것이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34)은 또한 광원(36)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LED이다. 광원(34)은 벽(17A)을 통하여 투과되며, 프리즘(21)의 파셋 표면(21A) 상에 입사되는 광 비임을 방출한다. 도 5A는 프리즘(21)의 단면도이고, 프리즘이 계속해서 잉크에 침지되어 있을 때의 광 비임의 경로를 도시하는 조립체(30)의 개략도이고, 따라서 잉크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저 레벨을 초과하고 있다.
저 잉크 검출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높은 굴절율로부터 낮은 굴절율까지(N으로부터 N '까지) 통과하는 광선이 사인(sine) N'/N 이상의 입사각을 가질 때 전반사가 발생된다. 임계각(Ic)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Ic = arc sin N'/N (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34)의 출력 광 비임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약 1.492의 굴절율을 가지며 거의 완전히 광을 투과시키는 벽(17A)을 통과하고, 입사광의 약 96%를 이를 통해 통과시키며, 약 45˚의 입사 각도로 파셋 표면(21A)상에 입사된다. 표면(21A)의 후방면이 약 1.33의 굴절율을 갖는 잉크에 침지되고 임계각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입사광의 약 99%가 약 51.4˚의 굴절각으로 잉크에 전달되고, 단지 대략 <1% 만이 파셋 표면(21B)에 반사된다. 파셋 표면(21B)의 내부 대향면이 또한 잉크에 침지되기 때문에, 상기 1%중에 >99%가 잉크에 전달된다. 원래의 입사 에너지 중 매우 소량(약 0.01%)만이 광 센서(38)를 향해 반사된다. 콘트롤러(50)에서 광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콘트롤러 메모리에 설정된 저 잉크 레벨 예비 설정(preset) 범위 외에 있는 낮은 광 레벨을 등록할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는 저 잉크 상태에 있다면 이전에 식별된 용기가 교체되거나 또는 재충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 신호를 이전 상태의 신호와 비교한다. 그런 다음에, 상태 로그(log)는 "비어 있지 않음" 레벨로 설정되거나 또는 재설정되고, 콘트롤러(50)에서 프린트헤드 구동 회로(61)는 인쇄 시퀀스를 시작하도록 프린트헤드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를 위한 저 잉크 레벨의 임계값은 용기의 충전 레벨의 20%로 설정된다.
지금까지의 감지 시스템의 작동을 요약하면, 잉크 용기의 존재가 확인된다. 또한, 용기내의 잉크는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것이 확인되며, 따라서 인쇄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잉크 레벨 감지 시스템 작동은 몇몇 소정의 작동 시간 후에 발생하도록 제 2 시간 설정에서 설명될 것이다.
프린트 작업 중의 작동
프린터(8)가 P/C(52)로부터의 이미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인쇄 작업을 인쇄하기 시작할 때에, 잉크는 격실(40)(도 2)내의 폼으로부터 흡인됨으로써 상기 폼의 포화를 감소시킨다. 격실(42)로부터의 잉크가 폼을 재충전하도록 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격실(42)내의 잉크 레벨은 프린터의 사용 중에 점점 감소된다. 저 잉크 체크는 각 인쇄 작업의 종료시 또는 최종 체크 이후에 어떤 하나의 컬러에 의해 소정 수의 화소(pixel), 예를 들면 7 ×106 수의 화소가 인쇄된 후에 시작될 것이다. 설명을 위하여, 인쇄 작업은 점선 80으로 도시된 소정의 이동점(trip point) 레벨 아래의 지점까지 격실(42)내의 잉크 레벨을 하강시킴으로써 종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저 잉크 레벨 감지 절차는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연속 인쇄가 중단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벽(17A)과 프리즘(21)이 감지 조립체(30)에 대향하는 위치로 캐리지(12)가 이동된다. 콘트롤러는 재차 광원들(34, 36)의 여자를 통하여 시퀀스한다(용기 검출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B는 광 비임에 미치는 저 잉크 레벨의 영향을 도시한다. 광원(34)으로부터의 광은 벽(17A)을 통과하여 약 45˚의 각도로 파셋 표면(21A)상에 입사된다. 잉크 레벨이 충전 레벨의 20% 미만으로 감소되면, 잉크는 1.0의 굴절율을 갖는 공기에 노출되는 파셋 표면(21A)의 후방면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42.9˚의 임계각은 파셋 표면상의 입사광에 의해 초과되며, 따라서, 입사광은 표면을 통해서 전달되지 않는다. 광선은 전체적으로 비임의 전반사(TIR)를 발생시키는 보다 조밀한 매체로 재반사된다. 입사 에너지 전체는 파셋 표면(21B)을 향해 반사된다. 상기 파셋 표면의 후방면이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에너지 전체는 광 센서(38)를 향해 후방으로 지향된다. 입사 에너지의 약 92%(마이너스 흡수)는 광 센서(38)에 충돌하기 위해 복귀된다. 광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저 잉크 레벨 범위내에 있을 때 콘트롤러 논리(logic)에 의해 인식된다. 콘트롤러는 이전의 상태로부터의 변경이 "비어 있지 않음"에서 "비어 있음" 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상태 체크를 실행한다. 이것은 일시적 예의 경우이기 때문에, 콘트롤러(50)의 상태 로그 메모리는 "비어 있음" 상태로 설정되고, 저 잉크 레벨 신호가 발생되어 P/C 디스플레이(55)에 표시된다. 저 잉크 신호는 시스템의 필요 조건에 따라, 저 잉크 레벨을 조작자가 단순히 표시하거나, 카트리지 재충전 또는 교체가 실행될 때까지 인쇄 작동을 중지하거나, 또는 적합한 실시예에서 작업을 계속 실행하던가 "저 잉크"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는 바로 체크한 잉크 용기의 잉크가 작게되어 있는 것을 규정하는 적합한 경고를 표시하는 신호를 P/C(52)에 보낸다. 각 잉크 용기는 잔여 화소(또는 방울)의 수에 상관될 수 있는 잉크의 잔여량을 포함한다. 이 수는 각 잉크 컬러마다 상이할 수 있다. 콘트롤러 논리에서 발생된 저 잉크 신호는 프린트헤드 분사로부터 방출된 화소(방울)의 수와 잉크 탱크내로 도입된 잉크의 감소를 카운팅하기 위해 카운터(60)를 사용한다. 미리 설정된 수의 화소가 카운트되었을 때에, 잉크 탱크는 잉크 고갈로 규정되어, 인쇄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프린트헤드와 그 잉크 채널 라인이 비어 있지 않도록 보장하고, 프린트헤드의 신뢰성을 위태롭게 하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탱크가 완전히 고갈되기 전(약 2 내지 5%의 레벨)에 종료가 이루어진다. 저 잉크의 제 1 검출과 잉크 고갈 판정 사이의 시간 동안에, 긴급 메시지는 P/C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잔류 잉크의 화소 값은 저 잉크 체크의 빈도수에 의존한다.
상기 시나리오는 프리즘(21)이 잉크에 완전히 침지되거나 또는 잉크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가정한 것이다. 이들 두 가지 경우 사이에는, 잉크 레벨에 의해 파셋 표면(21A)이 점차 단계적으로 많은 공기에 노출될 때에, 광 레벨을 LED(34)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 단조롭게 증가시킴으로써 나타나는 전이부가 있다. 도 6은 프린트헤드로 이송되는 잉크를 밀리리터(ml) 단위에 대한 볼트 단위의 센서 출력을 좌표화한 그래프이다. 이송된 잉크의 처음의 70%에 대해서, 센서 전류는 낮고, 콘트롤러(50)의 비교 회로를 가로지르는 전압 출력은 높다. 70%와 75% 사이의 고갈에서는, LED(34) 출력 비임이 프리즘(21)의 파셋 표면(21A, 21B)으로부터 전반사하기 시작하는 급속한 전이부가 발생하며, 따라서 센서(38)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증가시켜서 회로 내의 급속한 전압 강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완전 컬러 프린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잉크젯 인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완전 컬러 스캐닝형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열식 잉크젯 프린터(70)가 도시되어 있다. 일체로 부착된 감열식 프린트헤드들(76 내지 79)을 각각 갖는 다수의 잉크 공급 카트리지들(72, 73, 74, 75)은 병진 이동식 캐리지(77) 상에 장착된다. 인쇄 모드 중에, 캐리지(77)는 화살표 81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78)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예를 들면,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79)는 캐리지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고정되어 유지되고, 캐리지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기록 매체는 감열식 프린트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인쇄된 데이터의 줄무늬의 높이와 동일한 거리로 줄-이동된다. 각 프린트헤드는 캐리지의 왕복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된 직선 어레이 노즐들을 갖는다. 감열식 프린트헤드는 캐리지의 이동 중에, 정보를 인쇄하기 위해 방울이 요구될 때마다 기록 매체를 향해 잉크 방울(83)을 방출시킨다. 프린트헤드의 단자에 부착된 신호 전달용 리본 케이블은 명료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프린터(70)는 다수의 컬러로 인쇄되고, 각 카트리지(72 내지 75)는 다른 컬러 잉크 공급부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컬러 프린터 및 부가의 제어 상세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833,491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72 내지 75)의 일부를 형성하는 잉크 용기들 각각은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이고,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각 카트리지는 벽에 형성된 외향을 향하는 두 개의 프리즘 반사기들을 가지는 잉크 용기를 갖는다. 하나의 반사기는 카트리지 존재 검출과 관련되고, 다른 반사기는 저 잉크 검출과 관련된다. 카트리지(72)는 반사 부재들(82, 84)을 갖는 잉크 용기(8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들(73 내지 75)은 유사한 용기들과 반사 부재들을 갖는다. 단일 카트리지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지 조립체(90)는 제 1 광원(94)과 제 2 광원(96) 및 상기 두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된 광 센서(98)가 장착된 하우징(92)을 포함한다.
작동시에,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P/C(52)로부터 콘트롤러(50)로의 이미지 신호는 시작 인쇄 시퀀스를 개시한다. 캐리지(77)는 제 1 잉크 용기(80)를 갖는 카트리지(72)를 감지 조립체(90)에 대향하게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콘트롤러(50)의 제어하에서, 전력원(56)은 광 센서(98)의 출력을 측정하는 상태에서 광원들(94, 96)을 차례로 여자시킨다. 카트리지(72)의 시퀀싱 및 검출 작동은 카트리지(10)에 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광원(96)은 먼저 카트리지가 존재하는지를 {루프 미러(84)로부터 광 센서로의 반사광이 범위내에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여자되고, 이어서 광원(94)이 온되어, 용기 시스템 내의 잉크 레벨은 이전 상태와 비교된 후에 결정된다. {프리즘(82) 전방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은 광 센서(98)에 의해 감지된다.} 카트리지(72)의 검사가 종료되면, 캐리지(77)는 다음 카트리지(73)를 감지할 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된다. 선행하는 공정은 모든 카트리지가 제위치 있는지를 확인할 때까지, 그리고 조립체 잉크 용기 내의 모든 잉크 레벨이 허용 가능한 레벨 내에 있거나 또는 적합한 저 잉크 레벨 경고가 P/C에 표시될 때까지 각각의 카트리지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실시예가 적합하지만, 당업자들에게는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잉크 용기의 유무의 검출은 다른 광 지향 부재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 일예가 도 9에 도시한 광 파이프이다. 도 9는 하우징 벽(17A')의 외측에 배치된 광학 부재(22 ')를 갖는 용기(16' )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부재(22 ')는 광 입구 단부(22A')와 광 출구 단부(22B')를 광 센서(38' )로 재지향하기 위해 만곡된 광 파이프이다. 선택적으로, 광학 부재(22 ')는 광 파이버일 수 있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 도 2의 반사 부재(22)와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 용기가 존재하면, 높은 전류가 광 센서(38' )에서 발생된다.
광 투과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해 루프 미러(2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사 포일 또는 테이프가 프리즘 파셋 표면에 양호하게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몇몇 시스템에 대해 적합하다.
도 1의 광학 조립체(30)가 최적인 것으로 고려되지만, 조립체의 광 센서 및 광원의 다른 장치도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그 일예가 도 10에 도시된 하나의 광원과 두 개의 광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조립체(100)는 제 1 및 제 2 광 센서들(102, 104)을 포함하며, 상기 광 센서들의 출력은 콘트롤러에 의해 판독된다. LED 광원(106)은 전력원에 접속된다. 용기 검출 작동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광 레벨은 광 센서(104)에서 감지되어 적합한 신호가 콘트롤러에 전송된다. 유사하게, 저 잉크 판독은 센서(102)에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LED는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펄스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광원 및 센서가 도 1 및 도 2의 각각의 반사 부재(21, 22)와 관련하는 다른 효율적인 장치도 가능하다(도시 생략).
다른 예로서, 도 1 및 도 7의 실시예는 검출 스테이션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스캐닝 캐리지상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한 반면에, 상기 잉크 용기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가요성 잉크 공급 라인을 통해서 스캐닝 프린트헤드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에, 용기(16)는 광학 조립체(30)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가요성 튜브를 통해서 프린트헤드(18)에 접속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경우에, 4 개의 광학 조립체들이 연합된 잉크 용기로부터 대향하는 인쇄 영역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 카트리지들 각각은 가요성 잉크 커플링을 통해서 각각의 프린트헤드 카트리지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221,397호에 개시된 형태의 전체 폭 어레이 프린트헤드의 경우에, 멀리 이격된 잉크 용기는 전체 폭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접합된 다수의 입력 모듈과 잉크를 접속하는 잉크 매니폴드에 접속된다. 하나 이상의 광학 조립체는 변경된 잉크 용기에 대향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합된 프린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용기의 적합한 장착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잉크 용기 내의 저 잉크 레벨을 검출하고, 저 잉크 레벨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검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비용 광학 검출 시스템으로 잉크 용기 검출뿐만 아니라 저 잉크 레벨 검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잉크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와 저 잉크 레벨 감지 시스템을 합체한 잉크젯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은 용기의 유무뿐만 아니라 용기 내의 잉크의 레벨을 결정하여 체크를 시퀀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도 4는 감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5A는 충분한 레벨의 잉크를 갖는 프리즘 용기를 도시하는 카트리지내의 프리즘형 반사 부재의 단면도.
도 5B는 저 잉크 레벨 환경에서 반사 경로를 도시하는 도 5A의 프리즘의 단면도.
도 6은 카트리지로부터 고갈된 잉크의 체적에 대한 저 잉크 감지 출력 신호의 플롯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와 저 잉크 레벨 감지 시스템을 합체한 완전 컬러 잉크젯 프린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용기의 유무와 저 잉크 레벨 감지를 차례로 시퀀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도 9는 광 파이프와 합체되는 카트리지 검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학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트리지 16 : 용기
17 : 하우징 21, 22 : 반사 부재
24 : 기록 매체 30 : 광학 조립체
34, 36 : 광원 38 : 광 센서
50 : 콘트롤러 55 : P/C 디스플레이
70 : 프린터 72-75 : 카트리지
82, 84 : 반사 부재 92 : 하우징

Claims (10)

  1. 내부 공간(40, 42)을 둘러싸는 하우징(17)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벽(17B)을 통과하는 잉크 출구(35)와,
    상기 내부 공간(42) 내의 잉크(48)의 양과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17A) 상에 위치되며 광원(36)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여 광센서(38)로 지향시키는 광 지향 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광 지향 부재(22)는 서로를 향해 각도진 제 1 및 제 2반사 표면을 갖는 반사기인 루프 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는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의 외부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는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의 외부에 제 1 및 제 2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기는 상기 제 1 반사기에 수용된 광을 상기 제 2 반사기를 향해 완전히 반사시키며, 상기 제 2 반사기는 상기 제 2 반사기에 수용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17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히 반사시키는 잉크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의 적어도 일부(21)는 광 투과성인 잉크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지향 부재(22)는 복수의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들은 상기 반사기들 중 제 1 반사기에 입사된 제 1 경로 상의 광이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편심된 제 2 경로를 따라 상기 반사기들 중 제 2 반사기로부터 반사되도록 배치되는 잉크 용기.
  6. 내부 공간(40, 42)을 둘러싸는 하우징(17)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벽(17B)을 통과하는 잉크 출구(35)와,
    상기 내부 공간(42) 내의 잉크(48)의 양과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17A) 상에 위치되며 광원(36)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여 광센서(38)로 지향시키는 광 지향 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광 지향 부재(22)는 만곡된 광 파이프(2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용기.
  7. 내부 공간(40, 42)을 둘러싸는 복수의 벽(17A, 17B)을 갖는 하우징(17)과,
    상기 내부 공간에 있는 액체 잉크(48)와,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유체 연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제 1 벽(17B)을 통과하는 액체 잉크 출구(35), 및
    상기 하우징의 제 2 벽(17A)의 외부에서 제 1 및 제 2 반사기를 구비하는 루프 미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사기는 상기 제 1 반사기에 수용된 광을 상기 제 2 반사기를 향해 완전히 반사시키며, 상기 제 2 반사기는 상기 제 2 반사기에 수용된 광을 상기 제 1 반사기에 수용된 광의 광 경로와 평행하고 상기 광 경로로부터 편심된 광 경로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히 반사시키는 액체 잉크 프린터용 잉크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기 하우징의 상기 액체 잉크 출구에 접속되는 유체 도관과 잉크 방출 오리피스들을 갖는 프린트헤드(18; 또는 76 내지 79)를 부가로 포함하는 액체 잉크 프린터용 잉크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상기 용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액체 잉크 프린터용 잉크 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잉크 방출 오리피스들을 포함하는 프린트헤드(18; 또는 76 내지 79)에 대해 부착 가능한 액체 잉크 프린터용 잉크 용기.
KR1019970012137A 1997-03-27 1997-03-27 잉크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137A KR100520535B1 (ko) 1997-03-27 1997-03-27 잉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137A KR100520535B1 (ko) 1997-03-27 1997-03-27 잉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05A KR19980075805A (ko) 1998-11-16
KR100520535B1 true KR100520535B1 (ko) 2006-01-27

Family

ID=3717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535B1 (ko) 1997-03-27 1997-03-27 잉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007B2 (en) 2005-09-29 2009-06-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682004B2 (en) 2005-09-29 2010-03-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775645B2 (en) 2005-09-29 2010-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s of forming cartridges, such as ink cartridges
US7810916B2 (en) 2005-09-29 2010-10-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28421B2 (en) 2005-09-29 2010-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rrangements
US7837311B2 (en) 2005-09-29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8025376B2 (en) 2005-09-29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WO2021126189A1 (en) * 2019-12-18 2021-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pillary struc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9303B2 (en) * 2017-12-18 2021-1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ling level detection in a printing fluid waste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15A (ko) * 1992-07-24 1994-03-21 미타하리 하지메 잉크용기 및 이 잉크용기를 사용한 잉크제트기록장치
JPH07164626A (ja) * 1993-05-26 1995-06-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346534B1 (ko) * 1994-09-16 2002-11-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잉크젯형기록장치용잉크탱크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15A (ko) * 1992-07-24 1994-03-21 미타하리 하지메 잉크용기 및 이 잉크용기를 사용한 잉크제트기록장치
JPH07164626A (ja) * 1993-05-26 1995-06-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346534B1 (ko) * 1994-09-16 2002-11-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잉크젯형기록장치용잉크탱크카트리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007B2 (en) 2005-09-29 2009-06-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682004B2 (en) 2005-09-29 2010-03-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775645B2 (en) 2005-09-29 2010-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s of forming cartridges, such as ink cartridges
US7810916B2 (en) 2005-09-29 2010-10-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28421B2 (en) 2005-09-29 2010-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rrangements
US7837311B2 (en) 2005-09-29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8025376B2 (en) 2005-09-29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WO2021126189A1 (en) * 2019-12-18 2021-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pillary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805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603B1 (en)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presence of an ink container and level of ink therein
US6520612B1 (en)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presence of an ink container
MXPA96005882A (en) Detection system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ink container and its level of it
US6312083B1 (en) Printhead assembly with ink monitoring system
US6274880B1 (en) Fluid level sensing system and method having controlled surface pairs
US6494553B1 (en) Ink level sensing for ink printer
US6158837A (en) Printer having print mode for non-qualified marking material
JP3577011B2 (ja) インクの残量検出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460962B1 (en) Ink jet printer with sensing system for identifying various types of printhead cartridges
KR100520535B1 (ko) 잉크용기
EP2982516B1 (en) Liquid cartridge
JP2000043287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3577010B2 (ja) インクの残量検出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9744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108373A (ja) インク残量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95584A (ja) 光学流体レベル検出システム、再充填可能な流体容器、流体リザーバの流体レベルを決定するために使用できるセンサ、及び、流体リザーバを有する流体射出ヘッド
JP321019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32399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残量検知方法
JPH0918796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15843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それを具えた記録装置
JP330513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おけるインク残量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H0634008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インク漏れ検出方法
JP2002127454A (ja) インク残量検知方法及び記録装置
JP5842474B2 (ja) 液体容器
JP3133866B2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27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3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727

Appeal identifier: 2005101003330

Request date: 2005052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5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8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0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7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