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9579B1 - 슈 프레스용 벨트 - Google Patents

슈 프레스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579B1
KR100519579B1 KR10-2003-7013594A KR20037013594A KR100519579B1 KR 100519579 B1 KR100519579 B1 KR 100519579B1 KR 20037013594 A KR20037013594 A KR 20037013594A KR 100519579 B1 KR100519579 B1 KR 10051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gion
shoe
axial e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759A (ko
Inventor
아쯔오 와따나베
다까히사 히끼다
아쯔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8Pressure rolls
    • D21F3/086Pressure rolls having a grooved surfac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09Wet presses with extended press nip
    • D21F3/0218Shoe presses
    • D21F3/0227Belts or sleev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1Impermeable belts for extended nip pr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41Two or more non-extruded coatings or impregnations
    • Y10T442/2049Each major face of the fabric has at least one coating or impregnation

Landscapes

  • Pape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크랙의 발생 및 성장을 방지할 수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이 슈 프레스용 벨트는 프레스 롤 (1) 과, 벨트 (2) 와, 가압 슈 (3) 를 구비하고, 재료 웹 (5) 을 프레스하는 제지용 프레스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보강층 (6) 과, 제 1 탄성재료층 (7) 과, 제 2 탄성재료층 (8) 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탄성재료층 (7) 의 외주면 영역에 다수의 배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또는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어서의 배수 홈 (9a) 의 바닥이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 (9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슈 프레스용 벨트 {BELT FOR SHOE PRESS}
본 발명은 제지용 프레스 장치에 사용되는 슈 프레스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지(抄紙) 공정의 프레스 파트에 있어서, 습지(濕紙)의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펠트에 올려진 습지의 한쪽 면을 프레스 롤로 누르고, 다른쪽 면을 엔드리스 벨트를 통해 가압 슈로 가압하여 습지의 탈수를 실시하는 소위 슈 프레스가 보급되어 있다. 슈 프레스에 있어서는, 보강기재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재료를 일체화시키고, 엔드리스로 형성한 벨트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슈 프레스용 벨트의 전형적인 구조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基布)(101) 의 양면에 탄성재료 (102, 103) 를 형성하고, 더욱 탈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배수 홈 (104) 을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슈 프레스에 있어서는 프레스 롤과 가압 슈 사이에서 벨트에 대하여 가혹한 굴곡 및 가압이 반복되므로, 벨트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벨트의 외주 표면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일단 발생한 크랙은 벨트의 사용과 함께 큰 크랙으로 성장해 간다. 크랙이 성장하면, 벨트의 내주면과 가압 슈 사이의 윤활유가 외부로 새어 종이에 악영향을 주거나, 벨트의 층간 박리를 일으킨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슈 에지부 부근의 내크랙성을 개선하는 목적에서, 벨트 본체의 초폭 외역의 오목 홈의 깊이를 초폭 내역의 오목 홈보다 얕게 한 슈 프레스용 벨트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975 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슈 에지부 부근의 홈의 깊이를 초폭 내역의 홈보다 얕게 해도, 내크랙성을 개선하지 못하여 크랙이 발생, 성장하는 경우가 있었다.
도 1 은 슈 프레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개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있어서의 Ⅳ-Ⅳ 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배수 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배수 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슈 프레스용 벨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슈 프레스용 벨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슈 프레스용 벨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슈 프레스용 벨트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에, 초지기의 프레스 공정에서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슈 프레스 장치는 프레스 롤 (1) 과, 프레스 롤 (1) 에 대향하는 벨트 (2) 와, 벨트 (2) 의 내측에 위치하고 벨트 (2) 를 프레스 롤 (1) 측으로 누르는 가압 슈 (3) 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 (2) 와 가압 슈 (3) 사이에는 윤활유가 공급되고, 벨트 (2) 는 가압 슈 (3) 위를 미끄러질 수 있다. 벨트 (2) 와 프레스 롤 (1) 사이에는 펠트 (4) 에 겹쳐져 재료 웹 (5) 으로서의 습지가 통과된다. 벨트 (2) 의 외주면과 펠트 (4) 는 직접 접촉하고 있다. 벨트 (2) 는 펠트 (4) 와의 마찰에 의하여 가압 슈 (3) 위를 미끄러지면서 주행한다. 가압 슈 (3) 는 벨트 (2) 의 내주면 측으로부터 프레스 롤 (1) 을 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눌려져 있다. 이 누르는 힘에 의하여 재료 웹 (5) 이 프레스되어 탈수된다. 가압 슈 (3) 의 표면은 프레스 롤 (1) 의 표면에 대응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프레스 롤 (1) 과 가압 슈 (3) 사이에는 넓은 폭의 가압 탈수부 (P)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본 발명에 의한 슈 프레스용 벨트 (2) 를 이용한 슈 프레스 장치의 주행방향에서 본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벨트 (2) 는 엔드리스 보강기재 중에 탄성재료가 함침된 보강층 (6) 과, 보강층 (6) 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고, 보강층 (6) 의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1 탄성재료층 (7) 과, 보강층 (6) 의 내주면 측에 위치하고, 보강층 (6) 의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2 탄성재료층 (8)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층 (6) 을 구성하는 보강기재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섬유로 구성된 직포 등이 사용된다. 벨트 (2) 의 전체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벨트 (2) 중에 보강기재가 매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과,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을 포함하여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 도 2 에 나타나 있다.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어서는 배수 홈 (9a) 의 바닥은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 (9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는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과,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이 인접한 상태인데, 인접한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은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과,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을 함께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느 한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은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10) 로부터 벨트 내측과 벨트 외측으로 각각 300㎜ 확장된(퍼져 있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은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11) 로부터 벨트 내측과 벨트 외측으로 각각 300㎜ 확장된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도 3 은 벨트 (2) 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2) 의 외주면, 즉 제 1 탄성재료층 (7) 의 외주면에는 벨트 (2) 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 홈 (9) 이 형성되어 있다. 한 예시로서, 벨트 (2) 의 사이즈는 둘레 길이 4.9m, 폭 10m 이며, 외주면에 폭 1.0㎜ 의 배수 홈 (9) 을 10 개/인치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벨트 (2) 의 Ⅳ-Ⅳ 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있어서의 벨트 (2) 의 폭방향 (A) 에 상당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2) 의 배수 홈 (9) 에 있어서, 폭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a) 의 바닥이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배수 홈 (9b) 의 바닥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즉,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a) 의 바닥이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 (9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슈 프레스 장치에서는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10) 의 근방에 상당하는 영역 (S2), 또는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11) 의 근방에 상당하는 영역 (S1) 에서 벨트 (2) 의 외주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이러한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위치하는 배수 홈 (9a) 의 바닥을 다른 배수 홈 (9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서는 배수 홈 (9a) 의 바닥에서 보강층 (6) 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이 부분의 제 1 탄성재료층이 얇아져 휘어지기 쉬워져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설령 배수 홈 (9a) 의 바닥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배수 홈 (9a) 의 바닥에서 보강층 (6) 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크랙의 성장을 보강층 (6) 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에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a) 의 변형예로서 바람직한 형상을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낸 배수 홈 (9c) 은 벨트 폭방향 단면이 U 자 형상이며, 바닥부가 곡선이 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배수 홈 (9d) 은 벨트 폭방향 단면이 U 자 형상이며, 바닥부가 둔각이 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배수 홈 (9a) 을 도 6 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수 홈의 바닥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강기재는 탄성재료의 함침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극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에서, 보강기재로서 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로 3 중직, 세로 4 중직 등의 다중직 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보강기재로서 세로 4중직 직포 (12) 를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서, 직포 (12) 는 벨트 주행방향의 종사가 표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직경 0.35㎜ 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 (13), 3000d 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14), 직경 0.35㎜ 의 폴리에스테르모노필라멘트 (15), 직경 0.35㎜ 의 나일론모노필라멘트 (16) 의 4 층으로 이루어지며, 벨트 폭방향의 횡사가 직경 0.40㎜ 의 폴리에스테르모노필라멘트 (17) 로 이루어져 있다. 종사의 개수는 68 개/인치이며, 횡사의 개수는 56 개/인치이다.
다중으로 짜여진 직포 (12) 를 이용하는 것은 보강기재 자체의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탄성재료를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벨트 (2) 를 구성하는 탄성재료와 보강기재 사이에서 충분한 앵커 효과가 얻어지고, 층간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중으로 짜여진 직포 (12) 를 함유하는 보강기재 중에 탄성재료를 함침시켜 보강층 (6) 을 형성하고, 이 보강층 (6) 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재료층 (7) 을 보강층에 함침시킨 탄성재료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보강층에 의하여 크랙의 성장을 차단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탄성재료는 제 1 탄성재료층 (7), 보강층 (6) 및 제 2 탄성재료층 (8) 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재료는 일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주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엔드리스 직포 (12) 의 안팎을 뒤집어 둔다. 그리고, 직포 (12) 의 이면이 되는 면으로부터 탄성재료를 코팅하여 직포 (12) 의 약 절반까지 침투시키는 동시에, 직포 (12) 위에 제 2 탄성재료층 (8) 을 소정 두께가 수득되도록 형성한다. 이 코팅은 1 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코팅한 탄성재료를 소정 온도에서 경화시킨다. 그 후, 제 2 탄성재료층 (8) 을 소정 두께 (예를 들면, 0.5㎜∼2㎜) 가 되도록 절삭ㆍ연마한다.
이어서, 직포 (12) 를 뒤집어, 표면측으로부터 탄성재료를 코팅하고, 직포 (12) 의 나머지 공극을 채우면서 제 1 탄성재료층 (7) 을 소정 두께가 수득되도록 형성한다. 이 때, 보강기재 중에서 양면측으로부터 코팅한 탄성재료가 실질적으로 연속되도록 충분히 공극에 침투시킨다. 이 코팅도 1 회 또는 복수회에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전체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탄성재료를 경화시킨다. 그 후, 제 1 탄성재료층 (7) 을 소정 두께 (예를 들면, 0.5㎜∼2㎜) 가 되도록 절삭ㆍ연마한다. 마지막으로, 제 1 탄성재료층 (7) 의 표면에 배수 홈 (9 ; 9a, 9b) 을 형성한다.
이상은 보강기재의 양면측으로부터 탄성재료를 코팅하는 예인데, 탄성재료의 코팅은 보강기재의 편면측으로부터만 주형하고, 보강기재를 통과시켜 제 1 탄성재료층 (7) 과 제 2 탄성재료층 (8) 을 한번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낸 벨트 (21) 에서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배수 홈 (91b) 으로부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1a) 을 향하여 배수 홈의 깊이가 서서히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의 중심 부분에서 벨트 외측을 향함에 따라, 배수 홈 (91a) 의 바닥의 깊이는 다시 서서히 얕아진다.
이렇게 하여,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1a) 의 바닥이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배수 홈 (91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1)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에 나타낸 벨트 (22) 에서는 배수 홈의 깊이는 벨트 전체에 걸쳐 균일하다. 그러나, 제 1 탄성재료층 (72) 의 두께가 벨트 내부의 영역에서 양단부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을 향하여 서서히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2a) 의 바닥이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에 있는 영역의 배수 홈 (92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에 나타낸 벨트 (23) 에서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3a) 의 바닥이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는 배수 홈 (93b) 의 바닥보다 보강층 (63)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 (93a) 의 바닥은 보강층 (63) 중에 있다. 보강층 (63) 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섬유로 구성된 직포 등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재료가 함침된 것으로, 보강층 (63) 에 있어서는 크랙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배수 홈 (93a) 의 바닥이 보강층 (63) 중에 있으면, 크랙의 발생 및 성장을 보강층 (63) 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의 바닥은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제 1 탄성재료층 측으로 0.3㎜ 의 위치에서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보강층 측으로 0.3㎜ 의 위치 사이에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의 바닥이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제 1 탄성재료층 측으로 0.3㎜ 이내의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이 부분에서의 탄성재료층이 얇아져 휘어지게 쉽게 되므로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위치하는 배수 홈의 바닥이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보강층 측으로 0.3㎜ 이내의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크랙의 발생 및 성장을 보강층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강기재가 다중으로 짜여진 직포를 함유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서의 배수 홈의 바닥이 보강층 중에 있어도, 탄성재료를 보강기재에 충분히 침투시킴으로써 보강층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크랙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님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개시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될 것이 의도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랙이 잘 발생하지 않고, 또한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그것이 벨트 내부로까지 성장하지 않는 슈 프레스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프레스 롤과, 상기 프레스 롤에 대향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벨트를 상기 프레스 롤 측으로 누르는 가압 슈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와 상기 프레스 롤 사이에 재료 웹을 통하여 상기 재료 웹을 프레스하는 제지용 프레스 장치에 사용되는 슈 프레스용 벨트로서, 엔드리스 보강기재 중에 탄성재료가 함침된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1 탄성재료층과, 상기 보강기재층의 내주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2 탄성재료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탄성재료층의 외주면 영역에 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슈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또는 상기 프레스 롤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수 홈의 바닥이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보다 상기 보강층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은 상기 보강층 중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은 상기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탄성재료층 측으로 0.3㎜ 의 위치에서 상기 보강층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상기 보강층 측으로 0.3㎜ 의 위치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은 벨트 폭방향 단면이 U 자 형상인 동시에, 곡선 또는 둔각으로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상기 보강기재는 다중으로 짜여진 직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슈 프레스용 벨트는 보강기재 중에 탄성재료가 함침된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재료층과, 상기 보강기재층의 내주면 측에 위치하는 제 2 탄성재료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탄성재료층의 외주면 영역에 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슈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또는 상기 프레스 롤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수 홈의 바닥이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보다 상기 보강층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벨트의 외주 표면에서 발생하는 크랙은 벨트의 특정 장소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가압 슈의 축방향 단부 근방에 상당하는 영역, 또는 프레스 롤의 축방향 단부 근방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벨트에 대하여 굴곡, 뒤틀림 등의 복잡한 응력이 집중된다. 그리고, 이 부분에 상당하는 배수 홈의 바닥의 각부에서 크랙은 발생하기 쉽다.
상기 가압 슈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또는 상기 프레스 롤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수 홈의 바닥이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보다 상기 보강층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배수 홈의 바닥에서 보강층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수 홈의 바닥에서 보강층까지의 거리를 작게 하므로, 제 1 탄성재료층이 얇아져 휘어지기 쉬워져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령 배수 홈의 바닥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배수 홈의 바닥에서 보강층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크랙의 성장을 보강층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슈 프레스용 벨트는 가압 슈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또는 프레스 롤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단부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배수 홈의 바닥이 상기 단부 근방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의 바닥보다 보강층 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부 근방 영역에서 배수 홈의 바닥에서 보강층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이 부분의 탄성재료층이 얇아져 휘어지기 쉽게 되어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설령 단부 근방 영역에서의 배수 홈의 바닥에서 크랙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배수 홈의 바닥에서 보강층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크랙의 성장을 보강층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단부 근방 영역에 위치하는 배수 홈은 이 배수 홈의 바닥이 보강층 중에 있도록 한 경우에도 크랙의 발생 및 성장은 보강층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Claims (5)

  1. 프레스 롤 (1) 과, 이 프레스 롤에 대향하는 벨트 (2,21,22,23) 와, 이 벨트 (2,21,22,23) 의 내측에 위치하여 이 벨트 (2,21,22,23) 를 상기 프레스 롤 측으로 누르는 가압 슈 (3) 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2,21,22,23) 와 상기 프레스 롤 (1) 사이에 재료 웹을 통하여 이 재료 웹을 프레스하는 제지용 프레스 장치에 사용되는 슈 프레스용 벨트로서,
    엔드리스 보강기재 중에 탄성재료가 함침된 보강층 (6,61,62,63) 과, 이 보강층 (6,61,62,63) 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1 탄성재료층 (7,71,72,73) 과, 상기 보강기재층의 내주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기재 중에 함침된 탄성재료와 일체화된 제 2 탄성재료층 (8,81,82,83)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탄성재료층 (7,71,72,73) 의 외주면 영역에 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슈 (3)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2) 또는 상기 프레스 롤 (1) 의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어서의 배수 홈 (9a,9c,9d,91a,92a,93a) 의 바닥이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이외의 영역에 있는 배수 홈 (9b,91b,92b,93b) 의 바닥보다 상기 보강층 (6,61,62,63)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는 배수 홈 (93a) 의 바닥은 상기 보강층 (63) 내에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는 배수 홈 (9a,9c,9d,91a,92a,93a) 의 바닥은 상기 보강층 (6,61,62,63) 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탄성재료층 (7,71,72,73) 측으로 0.3㎜ 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보강층 (6,61,62,63) 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상기 보강층 측으로 0.3㎜ 의 위치 사이에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단부 근방 영역 (S3) 에 있는 배수 홈 (9a,9c,9d) 의 바닥은 벨트 폭방향 단면이 U 자 형상인 동시에, 곡선 또는 둔각으로 가공되어 있는 슈 프레스용 벨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기재는 다중으로 짜여진 직포를 함유하는 슈 프레스용 벨트.
KR10-2003-7013594A 2001-04-27 2002-04-08 슈 프레스용 벨트 KR100519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2232 2001-04-27
JP2001132232A JP3614793B2 (ja) 2001-04-27 2001-04-27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PCT/JP2002/003510 WO2002090649A1 (fr) 2001-04-27 2002-04-08 Courroie pour presse a sa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759A KR20040012759A (ko) 2004-02-11
KR100519579B1 true KR100519579B1 (ko) 2005-10-07

Family

ID=1898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594A KR100519579B1 (ko) 2001-04-27 2002-04-08 슈 프레스용 벨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97741B2 (ko)
EP (1) EP1382737A4 (ko)
JP (1) JP3614793B2 (ko)
KR (1) KR100519579B1 (ko)
CN (1) CN1236139C (ko)
AU (1) AU2002244973B2 (ko)
CA (1) CA2443656A1 (ko)
WO (1) WO2002090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830B2 (ja) * 2002-04-11 2005-01-26 ヤマウチ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プレス装置
JP3591833B2 (ja) * 2002-04-11 2004-11-24 ヤマウチ株式会社 プレスベル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プレス装置
JP3940325B2 (ja) * 2002-07-01 2007-07-04 イチカワ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ベルト
JP3825435B2 (ja) 2003-09-04 2006-09-27 ヤマウチ株式会社 プレスベルトおよびシュープレスロール
JP2005125028A (ja) * 2003-10-21 2005-05-19 Oizumi Corp 遊技媒体洗浄装置
RU2384663C2 (ru) * 2003-11-03 2010-03-20 Олбани Интернешнл Корп. Бесконечная лент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величиной желобков
US8080137B2 (en) 2003-11-18 2011-12-20 Albany International Corp. Shoe press belt having a grooved surface
DE4810980T1 (de) * 2003-11-18 2011-09-29 Albany International Corp. Schuhpressenband mit genuteter oberfläche
JP3946221B2 (ja) 2004-11-30 2007-07-18 ヤマウチ株式会社 製紙用弾性ベルト
JP2006274448A (ja) * 2005-03-04 2006-10-12 Yamauchi Corp プレスベルトおよびシュープレスロール
JP4827542B2 (ja) * 2006-01-31 2011-11-30 イチカワ株式会社 製紙機械用ベルト
JP4856475B2 (ja) * 2006-06-05 2012-01-18 イチカワ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JP5412028B2 (ja) * 2006-12-22 2014-02-12 ヤマウチ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JP2008202198A (ja) * 2007-02-23 2008-09-04 Ichikawa Co Ltd 抄紙用シュープレスベルト
JP4659891B2 (ja) 2009-04-10 2011-03-30 イチカワ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ベルト
JP4937330B2 (ja) * 2009-10-22 2012-05-23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JP5731773B2 (ja) * 2010-09-02 2015-06-10 ヤマウチ株式会社 プレスベルト及びシュープレスロール並びにプ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JP6674698B2 (ja) * 2015-04-07 2020-04-01 ヤマウチ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FI20156030A (fi) * 2015-12-30 2017-07-01 Valmet Technologies Oy Puristinhihna, järjestely pitkänipissä sekä menetelmä puristinhihnan valmistamiseksi
DE102018118603A1 (de) * 2018-08-01 2020-02-06 Voith Patent Gmbh Pressmantel, dessen Verwendung sowie Presswalze und Schuhpresse
JP7167080B2 (ja) * 2020-04-08 2022-11-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ロール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598U (ja) 1982-10-01 1984-04-10 市川毛織株式会社 抄紙機の広巾ニツププレス用加圧ベルト
JPS60224893A (ja) 1984-04-17 1985-11-09 ヤマウチ株式会社 エンドレスベルト
US4908103A (en) * 1985-10-03 1990-03-13 Beloit Corporation Bearing blanket for an extended nip press having laminates of different hardnesses
JP2889341B2 (ja) 1990-09-07 1999-05-10 ヤマウチ株式会社 脱水プレス用ベルト
DE4401580A1 (de) * 1994-01-20 1994-06-01 Voith Gmbh J M Langspaltpresse zum Auspressen einer laufenden Bahn, insbesondere einer Papierbahn
JP3053334B2 (ja) 1994-06-22 2000-06-19 市川毛織株式会社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US5543015A (en) 1994-10-18 1996-08-06 Tamfelt Corp. Groove configuration for a press belt in an extended nip press
DE4445472C2 (de) * 1994-12-20 2000-05-11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Preßmantel für eine Preßvorrichtung zur Entwässerung einer Papierbahn
DE19637477A1 (de) * 1996-09-13 1998-03-19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Preßmantel für eine Preßvorrichtung
JPH1112975A (ja) 1997-06-21 1999-01-19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
JP3787458B2 (ja) * 1998-08-06 2006-06-21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14793B2 (ja) 2005-01-26
CA2443656A1 (en) 2002-11-14
KR20040012759A (ko) 2004-02-11
JP2002327389A (ja) 2002-11-15
AU2002244973B2 (en) 2007-08-30
CN1505720A (zh) 2004-06-16
EP1382737A4 (en) 2006-09-13
US7097741B2 (en) 2006-08-29
EP1382737A1 (en) 2004-01-21
US20040112561A1 (en) 2004-06-17
WO2002090649A1 (fr) 2002-11-14
CN1236139C (zh)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579B1 (ko) 슈 프레스용 벨트
EP0420372B1 (en) Extended nip press belt
JP3096127B2 (ja) 長ニッププレスベルト
CA2065903C (en) Endless belt for dewatering press
EP1666664B1 (en) Press belt and shoe press roll
US5753085A (en) Textile substrate for a long nip press belt
KR100612637B1 (ko) 슈 프레스용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슈 프레스 장치
US6284102B1 (en) Shoe press b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49848B2 (ja) 可変な第一溝を有するベルト
JP4846593B2 (ja) 溝の表面を有するシュー型の圧力ベルト
US6929718B2 (en) Shoe press belt
KR100612636B1 (ko) 프레스 벨트 및 그것을 사용한 슈 프레스 장치
FI92738C (fi) Hihna
US7374640B2 (en) Grooved surface belt or roll and method of fabrication
CA1048323A (en) Wet press f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