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1472B1 -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472B1
KR100511472B1 KR10-2003-0006895A KR20030006895A KR100511472B1 KR 100511472 B1 KR100511472 B1 KR 100511472B1 KR 20030006895 A KR20030006895 A KR 20030006895A KR 100511472 B1 KR100511472 B1 KR 10051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vinyl
plastic bag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715A (ko
Inventor
이혁훈
Original Assignee
에덴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덴산업(주) filed Critical 에덴산업(주)
Priority to KR10-2003-000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4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4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12Applying patches, strips or strings on sheets or webs
    • B31B70/8123Apply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연속생산이 가능한 묶음끈이 점착된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비닐부재이고, 하단부 및 폭방향으로의 양측 단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포함하는 비닐봉투에 있어서, 점착제와, 상기 비닐벽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형상의 비닐부재이고, 일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일면이 상기 비닐벽 외면에 맞닿도록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상기 비닐벽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점착된 묶음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은 봉투원단의 외면에 띠모양의 묶음끈원단을 점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묶음끈원단이 점착된 봉투원단의 비닐벽을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봉투원단 및 상기 묶음끈원단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 생산장치는 봉투원단생산장치와, 점착장치와, 열융착장치, 및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VINYL ENVELOP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연속생산이 가능한 묶음끈이 점착된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투는 소정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최근에는 생산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비닐봉투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비닐봉투에 쓰레기나 세탁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는 경우에는 냄새가 나는 것을 막거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비닐봉투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비닐봉투의 입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끈이나 테이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비닐봉투 입구의 양귀퉁이를 잡아당겨 매듭지어 비닐봉투의 입구를 밀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닐봉투의 입구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비닐봉투에 내용물이 담을 수 있는 용적이 많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많이 담긴 경우에는 매듭을 짖기가 어렵고 그 매듭이 쉽게 풀리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단점은 별도의 묶음용 부재로 비닐봉투의 입구를 동여 매는 방법에 의해 극복이 가능하다. 특히, 비닐봉투의 입구를 별도의 묶음용 부재로 묶을 때마다 묶음용 부재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1991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451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145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11500호, 및 미국특허 제5980109호에는 묶음용 부재가 비닐봉투에 일체로 구비된 비닐봉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는 비닐봉투(50)의 외면에 띠모양의 묶음끈(53)이 그 양단(53a,53b)만을 각각 상기 비닐봉투(5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열융착시킨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1991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451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1459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11500호에 개시된 비닐봉투는 묶음용 부재가 비닐봉투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잡한 형상의 채널에 삽입 설치되거나, 비닐봉투의 입구를 복잡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묶음용 부재를 입구에 돌출 형성시키거나 또는 묶음용 부재가 비닐봉투의 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비닐봉투의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비닐봉투의 연속생산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한편, 미국특허 제5980109호에 개시된 비닐봉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나, 상기 비닐봉투는 묶음용 부재로 사용되는 비닐봉투의 일부가 절취되고 그 가장자리가 열융착된 부위에는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작은 힘에 의해서도 잘 찢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비닐봉투는 상기 묶임끈이 상단 및 하단만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묶임끈의 고정이 불완전하여 생산장치에 걸리거나 상기 묶임끈이 늘어지거나 꼬이는 등 연속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묶음용 부재가 일체로 구비된 종래의 비닐봉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봉투 자체를 절취하거나 기타 변형시키지 않고 별도의 묶음끈을 비닐봉투의 외면에 점착시킴으로써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 찢어지는 부위를 갖지 아니하는 비닐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비닐봉투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비닐봉투의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비닐부재이고, 하단부 및 폭방향으로의 양측 단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포함하는 비닐봉투에 있어서, 점착제와, 상기 비닐벽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형상의 비닐부재이고, 일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일면이 상기 비닐벽 외면에 맞닿도록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상기 비닐벽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점착된 묶음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기 묶임끈이 길이 방향으로 전체가 상기 비닐벽의 외면에 부착되어 완전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에 걸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연속생산에 의해 생산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봉투 자체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잘 찢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점착제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비닐벽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상기 비닐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닐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상기 점착제는 상기 묶음끈의 일면에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만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묶음끈의 폭방향으로의 가장자리는 상기 비닐벽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묶음끈을 상기 비닐벽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손으로 상기 묶음끈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은, 폭방향으로의 양측 단부 각각이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갖는 봉투원단의 상기 비닐벽 외면에 띠모양의 묶음끈원단을 점착제로 상기 봉투원단의 길이 방향으로 점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묶음끈원단이 점착된 봉투원단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폭방향으로의 열융착선을 따라 상기 한쌍의 비닐벽을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열융착선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절단선을 따라 상기 봉투원단 및 상기 묶음끈원단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연속적으로 생산되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 생산장치는, 폭방향으로의 양측단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갖는 길이가 긴 봉투원단을 생산하는 봉투원단생산장치와, 상기 봉투원단의 폭방향으로의 열융착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비닐벽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장치와, 상기 열융착장치에 의해 열융착된 봉투원단을 상기 열융착선과 일정 간격 이격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에 있어서,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 주위보다 깊은 면을 갖는 일정한 폭의 점착제도포부가 형성되고,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점착제도포로울러와, 점착제가 수용되며, 개구된 상부 입구쪽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 외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 하부에 설치된 점착제용기와,
외면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외면에 맞닿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로울러와,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폭방향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외면에 맞닿게 설치된 점착제주걱과,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에 의해 점착제가 도포된 묶음끈원단의 점착제가 도포된 면을 상기 봉투원단생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봉투원단의 상기 비닐벽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구비한 점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닐봉투의 생산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를 연속적으로 생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일시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비닐봉투(10)는 한 쌍의 비닐벽(11a,11b)과 묶음끈(13) 및 점착제(13a)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비닐벽(11a,11b)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이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와 같은 비닐로된 시트(Sheet)부재로서 일정한 폭과 일정 길이의 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상기 비닐벽(11a,11b)은 하단부와 양측 단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닐봉투(10)는 상단에 개구된 입구를 갖고 바닥 및 측벽을 갖는 용기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비닐벽(11a,11b)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사각형의 네변중 세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비닐벽(11a,11b)으로 이루어진 용기는 폭방향으로의 양측단 각각이 일체로 결합된 봉투원단(도 3참조)을 폭방향으로의 절단선(16)을 따라 일정 길이의 부재로 절단하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절단선(16)과 일정 간격 떨어진 열융착선(15)을 따라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것이다(또는 상기 열융착선을 따라 열융착된 봉투원단을 상기 열융착선과 일정 간격 이격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점착제(13a)는 상기 묶음끈(13)을 상기 비닐벽(11a,11b)의 외면 사이에 도포되어 이들을 서로 점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점착제(13a)로 상기 묶음끈(13)이 상기 비닐봉투(10)의 생산 도중에 상기 비닐벽(11a,11b)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묶음끈(13)을 상기 비닐벽(11a,11b)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외력만 가하면 상기 묶음끈(13)이 상기 비닐벽(11a,11b)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가진 것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묶음끈(13)이 상기 비닐벽(11a,11b)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상기 묶음끈(13)에 일부가 잔류되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13a)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묶음끈(13)에 잔류된 점착제(13a)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비닐봉투(10)의 입구를 묶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묶음끈(13)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이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와 같은 비닐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닐봉투의 입구를 묶기 위한 띠모양의 비닐부재로서, 상기 비닐벽(11a,11b)의 외면에 점착제(13a)에 의해 점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13a)는 적당한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묶음끈(13)을 비닐봉투의 상단 입구를 묶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묶음끈(13)을 손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비닐벽(11a,11b)과 상기 묶음끈(13)이 손상되지 않고 상기 비닐벽(11a,11b)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한편, 상기 묶음끈(13)을 상기 비닐벽(11a,11b)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묶음끈(13)을 손으로 파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묶음끈(13)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리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비닐벽(11a,11b)에 점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점착제(13a)는 상기 묶음끈(13)의 일면에 폭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묵음끈(13)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비닐벽(11a,11b)에 점착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는 그 양측 가장자리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묶음끈원단(도 3참조)이 상기 봉투원단(도 3참조)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봉투원단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되기 때문에 상기 묶음끈(13)의 길이는 상기 비닐벽(11a,11b)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비닐벽(11a,11b)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접혀 양측 단부가 4겹으로 접힌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10)의 일실시예는 상기 묶임끈(13)이 길이 방향으로 전체가 상기 비닐벽의 외면에 부착되어 완전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에 걸리지 않아 연속생산에 의해 생산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닐봉투(10)은 비닐봉투 자체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잘 찢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점착제(13a)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비닐벽(11a,11b)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상기 비닐벽(11a,1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닐벽(11a,11b)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닐봉투(10)는 하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에 의해 생산되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10)를 생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의 일실예를 이루는 점착장치(30)에 의해 비닐봉투원단에 묶음끈원단이 점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은 묶음끈원단을 봉투원단에 점착시키는 단계(S10)와, 일정 위치에서 상기 봉투원단을 열융착시키는 단계(S20), 및 일정 길이로 상기 봉투원단을 절단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묶음끈원단을 봉투원단에 점착시키는 단계(S10)는 폭방향으로의 양측 단부가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49a,49b)으로 이루어진 봉투원단(49)의 상기 비닐벽(49a,49b) 외면에 띠모양의 묶음끈원단(39)을 점착제(31a)로 상기 봉투원단(49)의 길이 방향으로 점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묶음끈원단(39)은 띠모양의 부재로서 주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이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투원단(49)은 상기 HDPE나 LDPE를 원료로 하여 양측 단부가 결합된 관로를 형성하도록 원단생산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연속적으로 생산된다. 한편, 상기 묶음끈원단(39)은 하술하는 점착장치(30)에 의해 상기 봉투원단(49)에 점착된다. 상기 점착장치(3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봉투원단을 열융착시키는 단계(S20)는 상기 묶음끈원단(39)이 점착된 봉투원단(49)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폭방향으로의 열융착선(15)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비닐벽(49a,49b)을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비닐벽(49a,49b)이 열융착되면 그 부분은 막히게 되며, 상기 열융착은 열융착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봉투원단을 절단하는 단계(S30)는 상기 봉투원단(40)의 일측 말단 반대쪽에서 상기 열융착선(15)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절단선(16)을 따라 상기 봉투원단 및 상기 묶음끈원단을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묶음끈원단의 절단은 비닐절단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10)는 하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해 생산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는 봉투원단생산장치와, 열융착장치와, 절단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봉투원단생산장치(도면에 미도시)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이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와 같은 원료로부터 폭방향으로의 양측단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갖는 길이가 긴 봉투원단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상기 열융착장치(도면에 미도시)는 상기 봉투원단의 폭방향으로의 열융착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비닐벽을 열융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절단장치(도면에 미도시)는 상기 열융착장치에 의해 열융착된 봉투원단을 상기 열융착선과 일정 간격 이격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봉투원단생산장치, 열융착장치 및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비닐봉투의 생산장치는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가 갖는 특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는 상기 봉투원단생산장치에 의해 생산된 봉투원단의 외면에 묶음끈원단을 점착시키는 점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가 갖는 점착장치(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점착장치(30)는 점착제도포로울러(32)와, 점착제용기(31)와, 가압로울러(33)와, 점착제주걱(34), 및 밀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1)는 묶음끈원단(39)의 일면에 점착제(31a)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1)는 하술하는 점착제용기(31)에 담긴 점착제(31a)에 외면이 접촉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31a)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1)의 외면에 뭍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맞닿아 지나가는 상기 묶음끈원단(39)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31a)가 도포되게 된다. 한편,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는 묶음끈원단(39)의 일면의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만 상기 점착제(31a)가 도포되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 일정한 폭의 점착제도포부(32a)가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점착제도포부(32a)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깊은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점착제도포부(32a)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깊은 면을 갖도록 일정한 깊이로 절취되거나 널링 가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제도포부(32a)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깊은 면을 갖기 때문에 하술하는 점착제주걱(34)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을 긁게 되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에 뭍은 점착제(31a)는 제거되지만 상기 점착제도포부(32a)에 뭍은 점착제(31a)는 제거되지 않게 되며, 상기 묶음끈원단(39)의 일면에는 상기 점착제도도포부(32a)에 뭍은 점착제(31a)만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 도포된다.
상기 점착제용기(31)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뭍는 점착제(31a)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된 상부 입구쪽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 외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압로울러(33)는 상기 묶음끈원단(39)을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면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맞닿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점착제주걱(34)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 외면에 뭍은 점착제(31a)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폭방향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맞닿게 설치된다.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와 상기 가압로울러(33)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에 의해 점착제(31a)가 도포된 묶음끈원단(39)의 점착제가 도포된 면을 상기 봉투원단생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봉투원단(49)의 상기 비닐벽(49a 또는 49b)의 외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봉투원단(49)과 상기 점착제(31a)가 일면에 도포된 묶음끈원단(39)를 원단와인더보빈(42)에 동시에 감아 상기 묶음끈원단(39)을 봉투원단(49)에 점착시키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은 맞닿아 회전하는 로울러 사이를 상기 묶음끈원단(39)과 상기 봉투원단(49)이 동시에 지나면서 압착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점착장치(3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묶음끈원단(39)은 공급보빈(35)으로부터 점착제도포로울러(32)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상부에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와 맞닿아 회전하는 가압로울러(33)의 사이로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하부에 위치된 점착제용기(31)에 담긴 점착제(31a)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표면에는 그 회전과 함께 상기 점착제(31a)가 묻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표면에 묻은 상기 점착제(31a)는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와 가압로울러(33)의 사이를 지나는 상기 묶음끈원단(39)의 일면에 칠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주면의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는 외주면을 일주하는 점착제도포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주걱(34)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회전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부(32a)를 제외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32)의 외면에 묻은 점착제(31a)는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31a)는 상기 묶음끈원단(39)의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만 도포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는 상기 묶음끈(13)이 폭방향으로의 중앙부만이 상기 비닐벽(11a,11b)에 점착된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착제(31a)가 도포된 묶음끈원단(39)은 테션로울러(36)를 지나 상기 원단생산장치(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생산되어 텐션로울러(44)를 거쳐 지나온 상기 봉투원단(49)과 상기 원단와인더보빈(42)에 동시에 감김으로써 상기 봉투원단(49)에 점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묶임끈이 부착된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묶임끈이 부착된 비닐봉투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는 비닐봉투 자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별도의 묶음끈을 비닐봉투의 외면에 점착시킴으로써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 찢어지는 부위를 갖지 아니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점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묶임끈이 부착된 비닐봉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비닐봉투 11a,11b 비닐벽
13 묶음끈 13a 점착제
15 열융착선 16 절단선
30 점착장치 31 점착제용기
32 점착제도포로울러 33 가압로울러
34 점착제주걱 42 원단와인더

Claims (4)

  1. 삭제
  2.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비닐부재이고, 하단부 및 폭방향으로의 양측 단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포함하는 비닐봉투에 있어서,
    점착제와,
    상기 비닐벽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띠형상의 비닐부재이고, 일면에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일면이 상기 비닐벽 외면에 맞닿도록 상하 방향으로 포개져 상기 비닐벽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점착된 묶음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묶음끈의 일면에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부분만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3. 삭제
  4. 폭방향으로의 양측단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된 한 쌍의 비닐벽을 갖는 길이가 긴 봉투원단을 생산하는 봉투원단생산장치와, 상기 봉투원단의 폭방향으로의 열융착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비닐벽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장치와, 상기 열융착장치에 의해 열융착된 봉투원단을 상기 열융착선과 일정 간격 이격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비닐봉투의 생산장치에 있어서,
    폭방향으로의 중앙부에 주위보다 깊은 면을 갖는 일정한 폭의 점착제도포부가 형성되고,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점착제도포로울러와,
    점착제가 수용되며, 개구된 상부 입구쪽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 외면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 하부에 설치된 점착제용기와,
    외면이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외면에 맞닿도록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로울러와,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폭방향으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의 외면에 맞닿게 설치된 점착제주걱과,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점착제도포로울러에 의해 점착제가 도포된 묶음끈원단의 점착제가 도포된 면을 상기 봉투원단생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봉투원단의 상기 비닐벽의 외면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구비한 점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생산장치.
KR10-2003-0006895A 2003-02-04 2003-02-04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1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895A KR100511472B1 (ko) 2003-02-04 2003-02-04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895A KR100511472B1 (ko) 2003-02-04 2003-02-04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715A KR20040070715A (ko) 2004-08-11
KR100511472B1 true KR100511472B1 (ko) 2005-08-31

Family

ID=3735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8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1472B1 (ko) 2003-02-04 2003-02-04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83B1 (ko) 2019-04-10 2019-10-21 이혁훈 인쇄내용을 갖는 비닐봉투용 반제품 제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83B1 (ko) 2019-04-10 2019-10-21 이혁훈 인쇄내용을 갖는 비닐봉투용 반제품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715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2109B1 (en) Wet sheet pack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RU2091279C1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4134062B2 (ja) パック用シート包装体及びパック用シート包装方法
EP1013567A1 (en) Rubbish bag
KR100511472B1 (ko) 비닐봉투와 그 생산방법 및 장치
US20050111765A1 (en) POM PT one step with a cross directional ripping-strip
JPH06191522A (ja) 包装物と包装用オーバーラップフィルム原反へのカッ トテープ接着方法
JPH11343003A (ja)
JPH0776354A (ja) 易開封テープ貼り密封袋
JP3452259B2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JP2767213B2 (ja) 包装体
JP3013724U (ja) 携帯用ゴミ袋
JPH0331735Y2 (ko)
JP2004042918A (ja) 把手付き手提げ袋
JP4634361B2 (ja) 手提げ付き袋及び該手提げ付き袋に用いる吊り下げ具
WO1999023000A1 (en) A multi-wall sack
JP4135851B2 (ja) ひだ付き紙袋
JP3711037B2 (ja) フィルム内袋入り紙袋
JP2004238083A (ja) ニードルパッケージ及びニードルポーチ並びにニードルパッケージ法
JPH11170403A (ja) 袋状容器の製造方法及び袋状容器
KR20110023144A (ko) 샌드위치 백 및 그 제조방법
JPH03664A (ja) 包装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116125U (ja) 直方体用包装袋
JPH0924954A (ja) 閉鎖用フラップ付袋体
JP3924173B2 (ja) 商品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