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0887B1 -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887B1
KR100510887B1 KR10-2003-0065896A KR20030065896A KR100510887B1 KR 100510887 B1 KR100510887 B1 KR 100510887B1 KR 20030065896 A KR20030065896 A KR 20030065896A KR 100510887 B1 KR100510887 B1 KR 10051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electrode
signal line
thin film
mass sensor
upper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260A (ko
Inventor
김동현
윤기완
임문혁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to KR10-2003-006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8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8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박막의 탄성파체적파 공진기를 이용한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시스템은, 기판 상에 임피던스 차이가 큰 물질을 교대로 증착하여 브래그 반사층을 형성한 후에 여러 형태로 제조 가능한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을 금속 박막을 이용해 형성하고,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압전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한 압전층을 형성한 탄성체적파 공진기를 이용하여 상부전극의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로 인한 전기장, 또 상부 전극의 신호선과 하부전극간의 전위차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장이 공진을 유발시켜 센서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반도체 기술을 센서의 제조시 적용하여 소형이면서 우수한 고감도 특성을 갖는 센서를 제조할 수 있고, 제작의 재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MASS-SENSITIVE SENSOR, AND ITS METHOD FOR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압전 박막의 탄성파체적파 공진기를 이용한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전 물질을 이용한 탄성파(acoustic wave) 소자는 필터 및 듀플렉서 같은 전자 소자로 통신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 아니라 다양한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 모니터링에 센서 및 변환기(transducer)로도 현재 연구되고 있다.
특히, 탄성파의 공진 현상에 기반을 둔 질량 센서(mass-sensitive sensor)들은 질량 변화에 대한 높은 민감도와 낮은 제조 단가에 대한 잠재성으로 인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전형적인 압전 탄성파 센서에는 탄성파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공진기 표면의 질량 변화에 응답해서 변화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BAW(Bulk Acoustic Wave) 센서와 SAW(Surface Acoustic Wave) 센서가 있다.
BAW(Bulk Acoustic Wave) 센서는 압전물질의 벌크(bulk) 내부를 전파하는 종단적 내지 전단파(longitudinal 내지 Shear Wave)를 이용한다.
수정미량저울(QCM)은 전형적인 BAW 타입의 센서로 수정 결정을 얼마나 얇게 연마할 수 있는가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는데, 연마하는 가공방식의 한계로 인해 대개 수 백 MHz 이하의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QCM은 상대적으로 낮은 동작 주파수로 낮은 질량 민감도(mass sensitivity)를 갖고, 사용되는 체적파가 두께 전단 모드(Thickness Shear Mode)로써 감쇠가 작으며, 안정적인 주파수 동작으로 인해 SAW 센서를 제치고 화학 증기와 가스센서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QCM은 신호 발생기(signal generator) 및 기준 시스템(reference system) 으로써 모든 종류의 전자소자에 응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바이오센서 응용을 위한 질량(mass-sensitive) 센서로도 주목 받고 있다.
QCM으로 알려져 있는 TSM(Thickness Shear Mode) 공진기는 외부 시료(analyte) 막의 질량이나 두께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화학적 생물학적 센서소자용의 전형적인 역학 변환기(transducer)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QCM은 생체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정량화시킬 수 있고 세포 시스템의 점탄성(visco-elastic) 성질들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이오 응용을 위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QCM은 항원-항체 반응과 단일 세포의 검출, DNA 인식 및 용액 속 분자들의 점탄성 특성들의 분석 등의 기능을 갖는 바이오센서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QCM은 몇 백 MHz의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므로 감도(sensitivity)가 좋지 못하고, 센서의 크기가 아직까지 수 cm 정도로 비교적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SAW 센서는 최근 단일 소자 기술(monolithic device technology)의 발전으로 인해 항법(navigation) 기술과 통신 신호 처리에 응용할 수 있다.
SAW 센서에서 표면파는 IDT(InterDigital Transceiver) 구조의 전극에 의해 발생되고 압전 기판의 표면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이러한 SAW 소자는 표면파의 진동에 필수적인 IDT가 요구하는 지연 라인(delay line)의 길이 때문에 크기를 줄이기가 상당히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QCM 이나 SAW 센서의 크기는 단일 세포의 검출과 같은 경우처럼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센서의 목적에서는 중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전 박막의 탄성파체적파 공진기를 이용하여 소형이면서 우수한 고감도 특성을 갖는 센서를 제조할 수 있고, 제작의 재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전박막의 탄성체적파 공진기 기술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질량 센서는, 기판의 상부에 임피던스 차이가 큰 산화막과 금속막을 일정 두께로 교대로 증착하여 형성된 브래그 반사층;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형성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의 상부에 압전 물질을 증착하여 공진 영역을 형성한 압전층; 상기 압전층의 상부에 일정 패턴을 갖는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신호선과 접지선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은 상 하부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실리콘 산화막(SiO2)과 텅스텐 박막이 교대로 다수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상기 압전층의 공진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판 쪽으로의 에너지 손실을 차단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증착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전체에 상기 금속 박막을 증착한 제1 하부전극, 또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일부에 상기 상부 전극의 신호선과 대칭되도록 상기 금속 박막을 증착한 제2 하부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전극은, 유동 접지(Floating ground)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전층은, ZnO, AlN, PZT와 같은 압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은, Al, Co, W, Mo와 같은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전극은, 상기 신호선과 하부전극간의 전위차, 또는 상기 신호선과 접지선간의 전위차인해 유발되는 공진 면적을 고려하여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신호선 양쪽의 접지선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공면 도파관(Coplanar Waveguid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은, A) 기판의 상부에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산화막과 금속 박막이 교대로 다층 증착되어 브래그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하부전극의 상부에 압전물질을 증착하여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압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형성된 압전층의 상부에 일정 패턴의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신호선과 접지선을 갖는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전체에 제1 하부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전극은 유동 접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전극에서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로 인한 측면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상기 상부전극과 대칭되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의 일부면에 제2 하부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부전극은 유동접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전극에서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로 인한 측면 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고, 상기 상부전극의 신호선과 하부전극 간의 두께 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부전극은 상기 상부전극과 대응되는 부분만 공진 영역이 되도록 패터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부전극은, 포토리소그래피로 상기 제2 하부전극 영역의 패턴을 정의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금속 박막을 증착한 후에, 리프트-오프(Lift-off)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시트를 제거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압전물질을 증착하고, 증착 조건은 320W의 RF 전원, 10mtorr 압력, 25%의 산소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판을 챔버(CHAMBER) 내에 넣고, 상기 챔버 내부의 베이스 압력을 TMP(Turbo Molecular Pump)를 사용하여 2×10-6 torr 이하로 유지한 다음, 고순도의 반응 기체를 상기 챔버 내부로 흘려주고, 상기 압전 물질을 일정 시간 동안 상온에서 정해진 두께만큼 증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상부 전극 영역의 패턴을 포토리소그래피로 정의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으로 금속박막을 증착한 후에, 리프트-오프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의 양쪽에 접지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는 실리콘 기판(10), 브래그 반사층(Bragg reflector)(20), 하부전극(30), 압전층(40), 및 상부전극(50)을 포함한다.
실리콘 기판(10)은 대략 6000Å 두께의 열 산화막을 갖는 4인치 p 타입이다.
브래그 반사층(20)은 기판(10)의 상부에 임피던스 차이가 큰 두 물질이 교대로 증착된 다층 박막이고, 하부전극(30)은 유동 접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브래그 반사층(20)의 상부에 금속박막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압전층(40)은 공진영역을 형성하도록 하부전극(30)의 상부에 압전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부전극(50)은 압전층(40)의 상부에 금속박막으로 신호선(51)과 접지선(52, 53)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센서의 제조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그 반사층(20)은 실리콘 기판(10)의 상부에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각각 0.6㎛ 및 0.55 ㎛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SiO2)(21)과 텅스텐(W)(22) 박막을 교대로 4층을 적층시킨다.
브래그 반사층(20)은 압전 공진 영역으로부터 실리콘 기판 쪽으로 가능한 에너지 손실을 차단시키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위에서, 브래그 반사층(20)은 물리적으로 실리콘 산화막(21)과 텅스텐 박막(22)이 증착되었으므로 박막의 계면 간에 포함되어 있는 결함들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anneal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브래그 반사층(20)에 증착되는 물질을 실리콘 산화막(SiO2)과 텅스텐(W)을 대략 0.6 ㎛ 및 0.55㎛로 하고 있지만, 임피던스 차이가 큰 두개의 증착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브래그 반사층(20)에 증착되는 증착물질의 두께는 제작되는 소자의 구조에 맞게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층으로 제작된 브래그 반사층(20)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는 상부의 커패시터 구조의 FBAR가 지지를 받으므로 SMR(Solidly Mounted Resonator) 타입이라고 한다.
한편, 하부전극(30)이 브래그 반사층(20)의 상부에 반무한(semi-infinite)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유동 접지(floating ground) 역할을 수행하도록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금속 박막을 증착한다.
이러한 하부전극(30)으로 인해, 상부전극(50)에서 신호선(51)과 접지선(52, 53)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장이 측면 방향(Lateral Field Excitation) 인가되고, 이 전위차는 압전체 내부에 체적 탄성파를 발생시켜 공진을 일으키므로, 질량 센서는 단일 공진 주파수 특성이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압전층(40)은 RF/DC 마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압전물질을 증착하는데, 압전물질로 Zn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물질로 ZnO를 사용하는 경우에, 증착 조건은 320W의 RF 전원, 압력은 10 mtorr, 25%의 산소(O2)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ZnO의 타겟(target)은 지름 4인치, 두께 1/8인치, 순도는 99.999%의 제품을 사용한다.
FBAR 소자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압전층의 품질이 가장 중요하므로, 압전물질을 증착하기 전에 가능한 한 챔버(chamber) 내부의 많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TMP(Turbo Molecular Pump)를 사용하여 베이스 압력을 2×10-6 torr 이하로 유지하고, 고 순도의 반응 기체를 챔버 내부로 흘려준다.
그 후, ZnO 박막은 대략 113분 동안 상온에서 실리콘 기판(10) 상에서 1.5 ㎛의 두께로 증착되어 압전층(40)을 형성한다.
이때, 압전층(40)의 균일성을 위해 6rpm으로 실리콘 기판(10)이 회전하고 기판(10)과 타겟 간의 거리는 6.5 c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전극(30)은 대략 0.13㎛ 두께의 얇은 금속 전극 막, 압전층(40)은 대략 1.5㎛ 두께를 갖고, 이러한 하부전극(30) 및 압전층(40)은 평행 판 커패시터 구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전극(50)은 CPW(Coplanar Waveguide) 구조로 제작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로 상부전극 영역의 패턴을 정의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금속 박막을 증착한 후에, 리프트 오프 (lift-off)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신호선(51)과 신호선 양쪽의 접지선(52, 53)을 동시에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하지만 상부전극의 구조가 달라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전극(50)의 신호선(51) 길이가 접지선(52, 53)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신호선(61)이 신호선(61)과 멀리 떨어진 활성영역(70)까지 도달하도록 접지선(62, 63)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전극(60)의 구조는 상부전극(60) 위로 놓이는 분석 물질로 인해 신호선(61)과 접지선(62, 63)이 쇼트(short)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활성영역(70)과 하부전극(30)의 겹침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진 면적 상에 분석물질이 놓이더라도 신호선과 접지선에 아무런 영향이 없도록 한다.
이때, 공진면적과 상부전극(60)의 패턴 간격은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부전극이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달리 하부전극(31)을 유한한 크기의 면정이 정의되도록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량센서는 하부전극(31)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31)이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서 패터닝되어 유한한 크기를 갖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상부전극(70)과 오버랩(overlap) 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공진 영역을 정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하부전극(31)으로 인해, 상부전극(70)의 신호선과 접지선에 의한 측면 전압 인가(Lateral Field Excitation), 및 상부전극(70)의 신호선과 하부전극(31) 간의 두께 전압 인가(Thickness Field Excitation)에 의해 유발된 탄성파들이 결합되어 이중 공진을 유발시키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31)은 상부전극(70)과 겹쳐지는 부분만 공진영역이 되도록 포토리소그래피로 하부전극 영역의 패턴이 정의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금속 박막을 증착한 후에, 리프트 오프 (lift-off)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여 제작된다.
고 9에 나타나 있듯이, 하부전극(31)은 상부전극(70)의 신호선과의 겹침 (overlap)에 의해 공진 영역이 형성되도록 신호선과 대칭적인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질량 센서는, 상부전극(70)은 유한 접지 형태의 CPW의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가 발생하여 측면 전압 인가(Lateral Field Excitation)로 인한 전단 모드 전기장(shear mode Electric field), 및 신호선과 유한 면적을 갖는 하부전극(31)간의 전위차가 발생하여 종단 모드 전기장이 커플링되어 이중 공진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중 공진 모드 특성을 갖는 질량 센서는 소자의 민감도 (sensitivity)가 작은 경우라면 로딩 효과에 의한 주파수 변화를 명확하게 관찰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유한 크기의 면적이 정의되는 하부 전극(32)의 상부에 압전층(40), 압전층(40) 위에 하부전극(32)과 겹쳐지도록 상부전극(80)의 신호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전극(80)은 상기한 제2 및 제3 실시예의 상부전극에서 변형된 형태를 갖는데, 이외에도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에서의 Fabry-Perot 간섭계(interferometer) 역할을 하는 브래그 반사층, 평행 판 커패시터 구조의 하부전극과 압전층이 형성된 SMR(Solidly Mounted Resonator) 타입의 FBAR를 이용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에 의해서 초소형이고, 신뢰성 및 재현성 있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의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시스템으로 집적화가 가능한 초고감도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FBAR (Film Bulk Acoustic Resonator)를 이용하므로 기존의 수정 공진기를 이용한 QC (Quartz Crystal Microbalance) 소자에 비하여 105 이상의 큰 등급순(order of magnitudes)을 갖는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질량 센서는 적절한 생리활성 물질의 도입을 통해 바이오센서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임피던스 차이가 큰 물질을 교대로 증착하여 브래그 반사층을 형성한 후에 금속 박막의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압전층을 형성한 탄성체적파 공진기를 이용하여 소형이면서, 우수한 고감도 특성을 갖는 센서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은 반도체 공정을 적용하여 소자의 소형화, 제작이 재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질량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20)

  1. 기판의 상부에 임피던스 차이가 큰 산화막과 금속막을 일정 두께로 교대로 증착하여 형성된 브래그 반사층;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형성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의 상부에 압전 물질을 증착하여 공진 영역을 형성한 압전층;
    상기 압전층의 상부에 일정 패턴을 갖는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신호선과 접지선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선은 상 하부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전극
    을 포함하는 질량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실리콘 산화막(SiO2)과 텅스텐 박막이 교대로 다수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상기 압전층의 공진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판 쪽으로의 에너지 손실을 차단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증착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전체에 상기 금속 박막을 증착한 제1 하부전극, 또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일부에 상기 상부 전극의 신호선과 대칭되도록 상기 금속 박막을 증착한 제2 하부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유동 접지(Floating ground)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ZnO, AlN, PZT와 같은 압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은,
    Al, Co, W, Mo와 같은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상기 신호선과 하부전극간의 전위차, 또는 상기 신호선과 접지선간의 전위차인해 유발되는 공진 면적을 고려하여 상기 신호선, 및 상기 신호선 양쪽의 접지선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공면 도파관(Coplanar Waveguid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
  9. A) 기판의 상부에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갖는 산화막과 금속 박막이 교대로 다층 증착되어 브래그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에 금속 박막을 증착하여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하부전극의 상부에 압전물질을 증착하여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압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형성된 압전층의 상부에 일정 패턴의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신호선과 접지선을 갖는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면 전체에 제1 하부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전극은 유동 접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전극에서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로 인한 측면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기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방식에 의해 상기 상부전극과 대칭되는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부의 일부면에 제2 하부전극이 형성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전극은 유동접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상부전극에서 신호선과 접지선의 전위차로 인한 측면 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고, 상기 상부전극의 신호선과 하부전극 간의 두께 전압 인가에 의해 공진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전극은 상기 상부전극과 대응되는 부분만 공진 영역이 되도록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전극은,
    포토리소그래피로 상기 제2 하부전극 영역의 패턴을 정의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금속 박막을 증착한 후에, 리프트-오프(Lift-off)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시트를 제거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압전물질을 증착하고, 증착 조건은 320W의 RF 전원, 10mtorr 압력, 25%의 산소 농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판을 챔버(CHAMBER) 내에 넣고, 상기 챔버 내부의 베이스 압력을 TMP(Turbo Molecular Pump)를 사용하여 2×10-6 torr 이하로 유지한 다음, 고순도의 반응 기체를 상기 챔버 내부로 흘려주고, 상기 압전 물질을 일정 시간 동안 상온에서 정해진 두께만큼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상부 전극 영역의 패턴을 포토리소그래피로 정의하고, RF/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으로 금속박막을 증팍한 후에, 리프트-오프 방식으로 불필요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여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의 양쪽에 접지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03-0065896A 2003-09-23 2003-09-23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96A KR100510887B1 (ko) 2003-09-23 2003-09-23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96A KR100510887B1 (ko) 2003-09-23 2003-09-23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260A KR20030081260A (ko) 2003-10-17
KR100510887B1 true KR100510887B1 (ko) 2005-08-30

Family

ID=3238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0887B1 (ko) 2003-09-23 2003-09-23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635B1 (ko) * 2016-02-05 2019-07-18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
CN116263342A (zh) * 2021-12-14 2023-06-16 苏州汉天下电子有限公司 一种体声波传感器及其制造方法
CN115014478A (zh) * 2022-06-27 2022-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全金属结构的固态装配型微质量传感器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260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692B2 (en) Piezo-on-diamond resonators and resonator systems
EP0602666B1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with interdigital transducers formed on a holding substrate thereof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Yantchev et al. Thin film Lamb wave resonators in frequency control and sensing applications: a review
US10270420B2 (en) Surface elastic wave device comprising a single-crystal piezoelectric film and a crystalline substrate with low visoelastic coefficients
US7592739B2 (en) Tunable bulk acoustic wave MEMS micro-resonator
JP6025850B2 (ja) 微細加工された垂直構造上に形成された周期的強誘電分極を有する電気−音響トランスデューサ
AU2021407849B2 (en) Frequency-tunabl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3514224B2 (ja) 圧電共振子、フィルタ及び電子機器
FR2974691A1 (fr) Dispositif electromecanique a ondes acoustiques comprenant une zone de transduction et une cavite etendue
Shao et al. Low loss Al 0.7 Sc 0.3 N thin film acoustic delay lines
JP2001044794A (ja) 圧電共振子
EP2425468A1 (en) Monolithic fbar-cmos structure such as for mass sensing
KR100510887B1 (ko) 질량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16633305B (zh) 声表面波谐振器、mems设备
JP2000278078A (ja) 圧電共振子
US11716070B2 (en) Film bulk acoustic sensors using thin LN-LT layer
JP3723697B2 (ja) 圧電共振子
JP2644241B2 (ja) 圧電体多層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421559B2 (en) Interface acoustic wave device
WO2022203057A1 (ja) 検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検出システム
Ramotti Optimization of shear mode Solidly Mounted Resonators based on fully-dielectric acoustic reflectors for biosensing applications
WO2023188760A1 (ja) 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4128765A (ja) センサ
CN116915204A (zh) 用于提高耦合的具有厚介电层的横向激发薄膜体声学谐振器
JP2007036914A (ja) 薄膜共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08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82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