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7306B1 -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306B1
KR100507306B1 KR10-2003-0081495A KR20030081495A KR100507306B1 KR 100507306 B1 KR100507306 B1 KR 100507306B1 KR 20030081495 A KR20030081495 A KR 20030081495A KR 100507306 B1 KR100507306 B1 KR 10050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ail
seat
guide link
rail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716A (ko
Inventor
정찬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바닥판에 고정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홈(1a)이 형성된 레일부(1)와, 상부로 시트(5)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1)에 결합되어 이 레일부(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설치되어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록킹수단(3)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시트(5)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 상기 록킹수단(3)이 록킹플레이트(50)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레일부(1)의 록킹구멍(40)에 삽입되므로서 록킹, 해제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록킹플레이트(50)가 상, 하로 이동할 경우에 비하여 그 조작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일부(1)가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 없이 직접 차체의 바닥판에 체결수단(1c)으로 체결 고정되므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Long-Slide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트를 전 후로 이동시켜,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롱 슬라이드의 록킹 구조를 개선하여 조작력을 향상시키고, 그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아 탑승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시트는 슬라이드 장치에 고정되어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차체의 바닥판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바닥판에 고정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홈(1a)이 형성된 레일부(1)와;
상부로 시트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1)에 결합되어 이 레일부(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설치되어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록킹수단(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몸체의 중심부분이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 내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 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가이드 링크부재(4)와;
일단이 시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가이드 링크부재(4)의 일단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파지하여 작동하면 록킹가이드 링크부재(4)의 일단을 하강시키는 레버부재(80)와;
상기 록킹가이드 링크부재(4)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레일부(1)의 하부면에 삽입되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이동을 록킹시키는 걸림부(51)를 구비한 록킹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즉, 탑승자가 상기 레버부재(80)를 들어올려 작동하면, 이 레버부재(80)에 연결된 록킹가이드 링크부재(4)의 일단이 하강되면서 회동하여 타단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 타단에 연결된 록킹플레이트(50)가 승강하면서 레일부(1)에서 삽입된 걸림부(51)가 빠지면서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가 레일부(1)를 따라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나 탑승자는 옆에 있는 레버부재(80)를 조작하여 이동레일브라켓(2)을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므로서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레일부(1)는 하부에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미도시)가 구비되어 이 고정 브라켓트에 체결수단(미도시)을 결합하여 차체의 바닥판에 체결시키므로서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슬라이드 장치의 록킹수단은 슬라이드 레일부에 걸리는 록킹플레이트가 상, 하로 승강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를 록킹 또는 해제하므로, 록킹플레이트 자체 하중에 의한 부하로 인해 조작력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레일부를 차체 바닥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를 사용하므로, 이 고정 브라켓트의 중량이 차체 무게에 포함되어 차체 무게를 증대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록킹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좌, 우로 이동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의 전, 후 이동을 록킹, 해제하도록 록킹수단을 구성하여 그 조작력을 증대시켜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부에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 없이 차체의 바닥판에 체결 고정하여 차체의 무게를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바닥판에 고정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홈(1a)이 형성된 레일부(1)와;
상부로 시트(5)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1)에 결합되어 이 레일부(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설치되어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록킹수단(3)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기부(21)가 돌출된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와;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결합구멍(30)과;
상기 레일부(1)의 측면에 상기 결합구멍(30)과 대응되는 위치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형성되는 록킹구멍(40)과;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 하부면에 안착되며, 측단부에 상기 결합구멍(30)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록킹구멍(40)으로 결합되는 걸림부(51)가 돌출되어 있으며, 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의 돌기부(2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0)이 회전할 경우 돌기부(21)가 상기 가이드홈(52)을 따라 밀어 일측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51)가 록킹구멍(40)에 이탈되는 록킹플레이트(50)와;
상기 회전축(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와;
일단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에 접촉되어 회동될 경우 제 2 록킹가이드를 밀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와;
상기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에 케이블(81)로 연결되어 작동할 경우 케이블(81)에 의해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를 회동시키는 레버부재(80)와;
상기 회전축(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부재(80)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10)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9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탑승자가 상기 레버부재(80)를 작동하면, 케이블(81)에 의해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가 회동되어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를 밀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축(10)이 회전되면서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의 돌기부(21)가 록킹플레이트(50)의 가이드홈(52)을 따라 이동하여 록킹플레이트(50)를 이동시켜 록킹플레이트(50)의 걸림부(51)가 록킹구멍(40)에서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가 전, 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시트(5)의 위치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시트(5)를 위치한 후 레버부재(80)에 가해진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90)에 의해 회전축(10)이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록킹플레이트(50)가 결합구멍(30)으로 록킹구멍(40)에 결합되므로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시도로서 본 발명인 록킹수단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a 내지 도 3 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회전축이 회전되면 제 1 록킹 가이드링크의 돌기부가 록킹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록킹플레이트를 좌, 우로 이동시켜 걸림부를 결합구멍을 통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의 외측으로 돌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레버부재를 작동하면 시트를 전, 후로 이동되고, 레일부는 차체의 바닥판에 체결수단으로 직접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부(1)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홈(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 체결수단(1c)이 관통되는 체결구멍(1b)이 형성되어 이 체결구멍(1b)으로 체결수단(1c)을 관통시켜 차체의 바닥판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종래의 레일부(1)는 하부면에 별도의 고정브라켓트를 구비하여 차체에 고정되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부(1)의 하부에 체결구멍(1b)을 형성하여 직접 차체 바닥판에 체결하므로서 차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멍(1b)은 레일부(1)의 하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다수의 체결수단(1c)으로 차체 바닥판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1)의 측면에는 후술될 록킹플레이트(50)의 걸림부(51)가 삽입되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구멍(4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일부(1)의 슬라이딩 이동홈에 결합되어 이 슬라이등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전, 후 양측에는 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이 롤러가 레일부(1)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가 원할하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측면에는 후술될 록킹플레이트(50)의 걸림부(51)가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1)의 록킹구멍(40)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구멍(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상부에는 자동차의 시트(5)가 장착 고정되어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이동에 따라 전, 후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시트(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는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이동을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수단(3)이 설치되어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시트(5)의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한 후 록킹시켜 조정된 시트(5)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3)의 회전축(10)은 상단이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상부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돌출된 상단에는 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가 장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상부에는 타단이 상기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에 접하여 이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를 밀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는 케이블(81)에 의해 탑승자가 파지하여 작동하는 레버부재(80)에 연결되고, 이 레버부재(80)는 탑승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시트(5)의 측면에 장착된다.
즉, 탑승자가 상기 레버부재(80)를 작동하면, 케이블(81)이 당겨져 이 케이블(81)에 연결된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고, 이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가 회전되면서 접촉된 제 2 가이드링크부재의 일측을 밀어 이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에 고정된 회전축(1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에 접촉되는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의 단부에는 그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보조핀(71)을 구비하여,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가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를 미는 힘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10)의 하단에는 하부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기부(21)가 돌출된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하부면에는 측단부에 상기 결합구멍(30)을 통해 돌출되어 록킹구멍(40)에 삽입되는 걸림부(51)가 형성된 록킹플레이트(5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록킹플레이트(50)의 몸체에는 상기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의 돌기부(2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52)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가 회전축(10)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면, 돌기부(21)가 이 가이드홈(52)을 따라 록킹플레이트(50)를 밀어 결합구멍(30)을 통해 돌출되어 록킹구멍(40)에 삽입된 걸림부(51)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하부면에는 상기 록킹플레이트(5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a)을 장착하여 록킹플레이트(50)가 이 가이드판(2a)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구멍(30)을 통해 록킹구멍(40)에 삽입되고, 록킹구멍(4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즉,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상기 레버부재(80)를 작동하면, 케이블(81)에 의해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가 회동되어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를 밀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축(10)이 회전되면서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의 돌기부(21)가 록킹플레이트(50)의 가이드홈(52)을 따라 이동하여 록킹플레이트(50)를 이동시켜 록킹플레이트(50)의 걸림부(51)가 록킹구멍(40)에서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10)은 스프링부재(9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레버부재(80)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10)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90)는 일단은 상기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지지되는 제 1 리턴스프링(91)과;
일단은 상기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지지되는 제 2 리턴스프링(92)으로 구성된다.
즉,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시트(5)를 위치한 후 레버부재(80)에 가해진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90)에 의해 회전축(10)이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록킹플레이트(50)가 결합구멍(30)으로 록킹구멍(40)에 결합되므로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트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수단이 록킹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이동레일 브라켓트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레일부의 록킹구멍에 삽입되므로서 록킹, 해제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록킹플레이트가 상, 하로 이동할 경우에 비하여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록킹상태를 해제할 경우 그 조작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일부가 별도의 고정 브라켓트 없이 직접 차체의 바닥판에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므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과 제품의 상품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의 시트용 롱슬라이드 록킹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시도.
도 3 a 내지 도 3 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레일부 2 - 이동레일 브라켓트부
3 - 록킹수단 10 - 회전축
20 - 제 1 록킹 가이드링크 21 - 돌기부
30 - 결합구멍 40 - 록킹구멍
50 - 록킹플레이트 51 - 걸림부
52 - 가이드홈 60 - 제 2 록킹 가이드링크
70 - 제 3 록킹 가이드링크 80 - 레버부재
81 - 케이블 90 - 스프링부재
91 - 제 1 리턴스프링 92 - 제 2 리턴스프링

Claims (3)

  1. 차체의 바닥판에 고정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홈(1a)이 형성된 레일부(1)와;
    상부로 시트(5)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1)에 결합되어 이 레일부(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설치되어 이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록킹수단(3)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0)과;
    상기 회전축(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기부(21)가 돌출된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와;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결합구멍(30)과;
    상기 레일부(1)의 측면에 상기 결합구멍(30)과 대응되는 위치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형성되는 록킹구멍(40)과;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 하부면에 안착되며, 측단부에 상기 결합구멍(30)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록킹구멍(40)으로 결합되는 걸림부(51)가 돌출되어 있으며, 몸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록킹 가이드링크(20)의 돌기부(2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0)이 회전할 경우 돌기부(21)가 상기 가이드홈(52)을 따라 밀어 일측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51)가 록킹구멍(40)에 이탈되는 록킹플레이트(50)와;
    상기 회전축(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와;
    일단은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록킹 가이드링크(60)에 접촉되어 회동될 경우 제 2 록킹가이드를 밀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와;
    상기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에 케이블(81)로 연결되어 작동할 경우 케이블(81)에 의해 제 3 록킹 가이드링크(70)를 회동시키는 레버부재(80)와;
    상기 회전축(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부재(80)의 작동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10)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1)는 하부면에 체결수단(1c)이 관통되는 체결구멍(1b)이 형성되어 이 체결구멍(1b)으로 체결수단(1c)을 관통시켜 차체의 바닥판에 직접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브라켓트부(2)의 하부면에는 상기 록킹플레이트(5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a)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10-2003-0081495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0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495A KR100507306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495A KR100507306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16A KR20050047716A (ko) 2005-05-23
KR100507306B1 true KR100507306B1 (ko) 2005-08-10

Family

ID=3724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4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7306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292B1 (ko) * 2016-11-17 202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장치
CN109334994B (zh) * 2018-11-19 2023-09-01 山东太古飞机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飞机座椅滑轨的锁止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16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1431B2 (ja) ロングスライドレール
JPH0721389Y2 (ja) 車載用の補助座席
US6817646B2 (en) Vehicle seat
JPS5826818Y2 (ja) 車輌用シ−トにおけるニユ−トラルメモリ−付ウオ−クイン機構
US7665703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20230064716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US6715833B2 (en) Slide rail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US11993183B2 (en) Seat slide device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JP3681064B2 (ja) ロングスライドレール
JP4010155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4066891B2 (ja) 車両用シート
JP3462117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JP341656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H1025042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KR100501036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JPH0781469A (ja) 座席のウォークインアジャスタ機構
US20250206213A1 (en) Adjustable headrest for seatback
JPH06171414A (ja) 自動車の可倒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200101038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組込式シート
JP349484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