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223B1 - Portable phone - Google Patents
Portab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06223B1 KR100506223B1 KR10-2003-0026081A KR20030026081A KR100506223B1 KR 100506223 B1 KR100506223 B1 KR 100506223B1 KR 20030026081 A KR20030026081 A KR 20030026081A KR 100506223 B1 KR100506223 B1 KR 100506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ortable terminal
- antenna device
- lens
- housing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16—Brakes with two brake-blo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8—Lever-link mechanisms, e.g. toggles with change of forc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사용하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일체형으로 소정의 경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하우징들;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들의 단부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된 힌지축을 따라서 장착되는 렌즈 하우징; 및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회전성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venient for use.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housing; Second housings which exten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housing in a predetermined inclined direction and face each other; A lens housing mounted along a hinge axis provided in a direction transverse between the ends of the respective second housings; And a rotatable antenna device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housings and adjacent to the lens housing in a surface contact state and mounted coaxially with the lens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피디에이(PDA), 핸드 헬드 폰(HH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ellular phone, a PDA, a handheld phone (HHP), and the like.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국으로서,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도 하고, 주문형 비디오를 시청하기도 하며, 인터넷을 하기도 하고, 게임을 즐기기도 하며, 음악을 청취하기도 한다.The term "portable terminal"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a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station, which is a device that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tending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Currently, using a portable terminal, a user may make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watch an on-demand video, use the Internet, play a game, or listen to music.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테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the bar-type, 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무선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무선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착용 위치에 따라서 안경 타입(glass-type)으로 착용될 수도 있고, 헤드 폰 타입(head phone-type)으로 머리에 착용되기도 하고, 워크맨(WALKMAN:상표명)과 같이 허리에 착용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worn in a glasses-type according to a wearing position, or may be worn in a head as a head phone-type, or worn on a waist like a walkman (WALKMAN). Sometimes.
또한, 무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휴대용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판형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무선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Rotating-typ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plate-shaped housings facing each other face to face or move rotatably connec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is the two housings facing th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opening and closing in a near or far direction while maintaining one state. The variously classified wireless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보편화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universal portable terminal is being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Currently, the camera lens is adopt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been a tren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like.
상기 열거한 종래의 보편화된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와, 송수화부,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다.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universal portable terminal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 handset, an antenna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amera lens module is provided for a video call or a desired subject shooting.
공지의 데이터 입력 장치는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 터치 센시티브 패널, 음성 인식 장치 등이 사용된다. 공지의 데이터 출력 장치는 엘씨디 모듈이 사용된다. 그리고, 공지의 안테나 장치는 헬리컬 안테나, 휩 안테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Known data input devices include keypads, touch sensitive panels, voice recognition devices, and the like, arranged in an array of keys. As a known data output device, an LCD module is used. In the known antenna device, a helical antenna and a whip antenna are commonly used.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한 소형화를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안테나 장치를 하우징에 장착할 시, 상기 본체에서 돌출된 형식으로 장착해야 했으며, 특히 휩 안테나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휩 안테나의 인입/인출 공간을 본체에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 때문에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고, 아울러 안테나 장치에 의해 돌출성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the desired miniaturization in order to improve portability. That is,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to be mounted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when the antenna device is mounted in the housing, and in particular, when the whip antenna is moun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 body of the whip antenna has to have a lead / out space. Occurred. Due to such an antenna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related art causes a decrease in portability, and the portable device has a problem of inferior portability due to protrus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에 유리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convenient to us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제1하우징;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일체형으로 소정의 경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하우징;Second housings which extend in a predetermined inclined direction integrally from the first housing and face each other;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된 힌지축을 따라서 장착되는 렌즈 하우징; 및A lens housing mounted along a hinge axi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nd of each second housing; And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회전성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다.And a rotatable antenna devic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s and neighboring the lens housing in a surface contact state and mounted coaxially with the lens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제1하우징;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에서 길이 방향으로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성 하우징;A movable housing slidably mov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 상부쪽으로 일체형으로 소정의 경사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하우징들;Second housings that extend in a predetermined inclined direction and face each other toward the first housing;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공된 힌지축을 따라서 장착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이격된 렌즈 하우징; 및A lens housing mounted along a hinge axis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spective second housings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And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들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과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이격된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다. And an antenna devic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s and adjacent to the lens housing in a surface contact state, mounted coaxially with the lens hous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에서 일체형으로 소정의 경사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2하우징(12a,12b)들과, 상기 제2하우징들의 각각의 단부 사이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힌지축(A)을 따라서 장착된 렌즈 하우징(14)과,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12a,12b)들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면접촉 상태로 제공되는 안테나 장치(16)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하우징(10)을 중심으로 상부쪽으로 상기 제2하우징(12a,12b)들과,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상기 안테나 장치(16)가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안테나 장치(16)는 동일한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안테나 장치(16)는 힌지축(A)에 매달리게 장착되는 구성이다.1 to 5,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a predetermined inclined direction integrally from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first housing 10, respectively. A second housing 12a and 12b, a lens housing 14 mounted along a hinge axis A positioned in a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ends of the second housings, and the respective second housings It is composed of an antenna device 16 provided between the 12a, 12b and provid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with the lens housing 14.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the lens housing 14, and the antenna device 16 upwards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10. ) Is placed. In addition, the lens housing 14 and the antenna device 16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same hinge axis (A). That is, the lens housing 14 and the antenna device 16 is mounted to hang on the hinge axis (A).
상기 제2하우징(12a,12b)들은 상기 제1하우징(10) 상부쪽의 양 모서리에 위치하는 에지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면한다. 즉, 상기 제2하우징(12a,12b)들은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안테나 장치(1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들의 힌지 장치(도면에 미 도시됨)가 내장된다.Th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edges located at both corners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0, respectively, and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rotatably support the lens housing 14 and the antenna device 16, and at the same time, their hinge devices (not shown in the figure) are embedded.
상기 렌즈 하우징(14)은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12a,12b)들 사이를 가로지는 힌지축(A)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16)막대기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12a,12b)들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면접촉한 상태로 이웃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의 힌지축(A)과 동축으로 배치된다.The lens housing 14 is rotatably provided on a hinge axis A intersecting between the respectiv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antenna device 16 has a bar shape and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to be adjacent to the lens housing 14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inge shaft A of the lens housing. Arranged coaxially.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14)은 상기 각각의 제2하우징(12a,12b)들 중, 하나의 제2하우징(12b)과 면접촉한 상태로 이웃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16)는 상기 나머지의 제2하우징(12a)과 상기 렌즈 하우징(14)과의 사이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이웃한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14)은 상기 제1하우징(10)과 이격된 상태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16)도 상기 제1하우징(10)과 이격된다. 즉, 상기 렌즈 하우징(14)과 안테나 장치(16)는 상기 제1하우징(10)과 이격되어서, 그 사이에 개방된 공간(22)이 존재한다. 상기 개방 공간(22)은 도 5에 도시되었다.Specifically, the lens housing 14 neighbors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econd housing 12b of each of the second housings 12a and 12b, and the antenna device 16 is made of the remaining first. The two housings 12a and the lens housing 14 are in neighboring surface contact state. In addition, the lens housing 14 is dispos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antenna device 16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10. That is, the lens housing 14 and the antenna device 16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using 10, and there is an open space 22 therebetween. The open space 22 is shown in FIG. 5.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 장치(16)는 일단(162)이 상기 힌지축(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164)이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제1하우징(10)의 저면 소정위치에 안전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저면에는 배터리 팩(20)이 로커(20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팩(20)과 근접한 곳에 안테나 장치의 타단(164)이 안전하게 수용되는 요부(204)를 구비한다. 상기 요부(204)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타단(164)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하우징(10) 저면으로부터 단차진 형상의 홈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antenna device 16 has one end 162 rotatably disposed on the hinge axis A, and the other end 164 performs a rotational movement so that the antenna device 16 is sec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Are accep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s a battery pack 20 is detachably configured by the rocker 202, the main portion in which the other end 164 of the antenna device is securely received in close proximity to the battery pack 20 ( 204). The recess 20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164 of the antenna device, and preferably has a groove having a stepped shap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상기 렌즈 하우징(14)은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서, 그의 외주면(14a)에 카메라 렌즈(142)가 장착되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플래쉬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b)의 일측면(122)에는 이어폰 커버(124)가 배치되고, 타측면(122)에는 조작 버튼(126)이 위치한다. 상기 조작 버튼(126)의 누름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안테나 장치(16)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한다.The lens housing 14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hinge axis A direction, and the camera lens 142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a thereof.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lash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an earphone cover 124 is disposed on one side 122 of the second housing 12b, and an operation button 126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122. The antenna device 16 operates automatically or manually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ion button 126 is press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0)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을 수행하는 이동성 하우징(18)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성 하우징(10)은 상면(18a)에 표시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106)를 개폐시킨다. 아울러, 상기 이동성 하우징의 표시 장치(182)의 하부쪽에 마이크 장치(184)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키 어레이(106) 상측으로 스피커 장치(102)와 착신 램프(104)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housing 10 further includes a movable housing 18 that performs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able housing 10 has a display devic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18a and opens and closes a key array 106 formed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In addition, the microphone device 184 is disposed under the display device 182 of the movable housing. 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 102 and the incoming lamp 104 are disposed above the key array 106.
상기 이동성 하우징(18)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키 어레이(106)는 노출되거나 숨겨진다. 또한, 상기 키 어레이(106) 상측으로 착신 램프(104)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성 하우징(18)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82)와 마이크 장치(184)도 함께 이동한다. 상기 표시 장치(182)는 예를 들어 공지의 엘씨디 모듈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표시 장치(182)나 마이크 장치(184)는 미도시된 연성 회로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1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key array 106 is exposed or hidden as the movable housing 18 moves. In addition, an incoming lamp 104 is provided above the key array 106. As the movable housing 18 moves, the display device 182 and the microphone device 184 also move together. The display device 182 is preferably a known LCD modul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82 or the microphone device 18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first housing 10 using a flexible circuit (not shown).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하우징(14)은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고, 조작 버튼(126)의 누름으로 인한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16)도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고, 조작 버튼의 누름으로 인한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ens housing 14 may be manually rotated by a forcible force of a user, and may be automatically configur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126. 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16 can also be manually rotated by the force of the user, it can be configured automatically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렌즈 하우징과 안테나 장치를 동일한 힌지축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의지대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lens housing and the antenna device on the same hinge axis, and is configured to rotate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hereby achieving an advantage of convenience for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힌지축에 안테나 장치와 렌즈 하우징 순으로 배치되었으나, 상기 힌지축에 렌즈 하우징과 안테나 장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에 피사체 야간 촬영이 가능하도록 플래쉬와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하우징이나 안테나 장치가 수동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antenna unit and the lens housing on the hinge axis, but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lens housing and the antenna device on the hinge axis. In addition, a separate illumination device such as a flash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to enable night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and the lens housing or the antenna device need not be limited to being manually driven. It may be configured a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우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right sid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좌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seen from the left sid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저면과 안테나 장치가 회전된 상태를 좌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enna device is rotated from the left sid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된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ed antenna device loc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housing positioned on an upper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성 하우징이 열린 상태를 우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rom the right;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6081A KR100506223B1 (en) | 2003-04-24 | 2003-04-24 | Portab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6081A KR100506223B1 (en) | 2003-04-24 | 2003-04-24 | Portab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2593A KR20040092593A (en) | 2004-11-04 |
KR100506223B1 true KR100506223B1 (en) | 2005-08-05 |
Family
ID=3737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6081A KR100506223B1 (en) | 2003-04-24 | 2003-04-24 | Portab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062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3496B1 (en) * | 2003-09-30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
KR100770837B1 (en) * | 2006-11-15 | 2007-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tation limiting device of swing hinge using antenna |
-
2003
- 2003-04-24 KR KR10-2003-0026081A patent/KR1005062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2593A (en) | 2004-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162B1 (en) | Sliding and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532334B1 (en) |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78189B1 (en) | Tripod-mounted w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03495B1 (en) | Two-way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703418B1 (en) | Folding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 |
KR100640388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key | |
KR100663573B1 (en) | 3-axis rotary folder type portable device | |
KR100640342B1 (en) | 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 compensation mechanism | |
KR100663550B1 (en) | Folding Portable Device | |
KR101050634B1 (en) |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539934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50054367A (en) | Ear wearable-type teltphone | |
KR100703509B1 (en) | Sliding handheld mobile game console | |
KR100506223B1 (en) | Portable phone | |
KR20050075561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487223B1 (en) | Portable phone with direction-variable microphone | |
KR100532272B1 (en) |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442659B1 (en) | Portable phone with stereo sound | |
KR101058654B1 (en) |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1075648B1 (en) | Sliding/sw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 |
KR100663484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magnetic mounting function | |
KR100594025B1 (en) | Portable phone and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thereof | |
KR100469703B1 (en)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1119342B1 (en) | Mobile phone with folding-type receiver | |
KR100663506B1 (en) |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