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703B1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9703B1 KR100469703B1 KR10-2003-0064043A KR20030064043A KR100469703B1 KR 100469703 B1 KR100469703 B1 KR 100469703B1 KR 20030064043 A KR20030064043 A KR 20030064043A KR 100469703 B1 KR100469703 B1 KR 100469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housing
- communication device
- digital communication
- portable digi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슬라이딩 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상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단차부를 구비하는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1돌출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제2돌출 영역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업 또는 다운 동작이 편리하다.Disclosed is a sliding 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The disclosed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body housing; A sliding housing mov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a first protrusion reg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reg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protrusion reg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means for facilitating sliding movement of the housing.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for sliding up or down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개폐 동작이 편리한 슬라이딩 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held phone (HHP), a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wrist.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 개폐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 개폐를 별도의 구성이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개폐 동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터와 기어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구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은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한 요인이 되는문제가 있다.However, among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he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is inconvenient. That is,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configuration or device for sliding opening and closing, not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inconvenient, but also provided with a separate motor and gear to automatically implement. This is a problem that is a factor in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돌출 영역을 구비한 슬라이딩 하우징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 동작이 용이한 슬라이딩 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easy to open and close by a sliding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reg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 동작이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convenient for sliding-up or sliding-down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 변경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by simply changing the structur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및A sliding housing mov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상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단차부를 구비하는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1돌출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제2돌출 영역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sliding housing includes a first protrusion reg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reg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protrusion region at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composed of means for facilita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또한,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Furthermore, in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및A sliding housing mov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상면에서 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 영역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Consists of a protruding reg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acilitat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housing.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liding-up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4는 도 1의 후면도.4 is a rear view of FIG. 1;
도 5는 도 1의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housing of FIG. 1 is slid up;
도 6은 도 1의 일측면도.6 is a side view of FIG. 1;
도 7은 도 1의 타측면도.7 is another side view of FIG.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8 and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업 타입이다. 상기 언급된 "슬라이딩 업"이란 슬라이딩 하우징(20)이 본체 하우징(10)에서 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업된 상태에서는 다운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업 또는 슬라이딩-다운 동작이 매우 편리한 통신 장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이 편리한 통신 장치이다.As shown in Figs. 1 to 7,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up type. The above-mentioned "sliding up" means that the sliding housing 2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up direction in the body housing 10. Of course, the down operation is reversed in the sliding up state.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very convenient for sliding-up or sliding-down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venient key operation using one or both hand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본체 하우징(10)(body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평행하게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20)(sliding housing)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편리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10 and a sliding housing 20 that slides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housing 10 faces in parallel. ) And means for facilita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housing 20.
상기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상면(20a)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S1,S2)(stepped portion)를 구비하는 제1돌출 영역(22)과, 상기 제1돌출 영역(22)에서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S3,S4,S5,S6)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돌출 영역(24a,24b)으로 구성된다.The means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20a of the sliding housing 20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protruding region 22 having at least one stepped portion S1 and S2, At least one second protruding region 24a, 24b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protruding region 22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t least one stepped portion S3, S4, S5, S6. .
상기 제1돌출 영역(22)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돌출 영역(24a,24b)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특히 상기 제2돌출 영역(24a,24b)은 상기 제1돌출 영역(22)의 양 측방향으로 각각 대칭으로 돌출된다.The first protruding region 2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housing 20. The second protruding regions 24a and 24b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housing 20,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protruding regions 24a and 24b extend in both lateral directions of the first protruding region 22. Each protrudes symmetrically.
아울러, 상기 제1돌출 영역(22)은 전후 방향에 각각 제1단차부(S1,S2)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2돌출 영역(24a,24b)도 각각 제2단차부(S3,S4,S5,S6)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은 슬라이딩 동작 동력원이 수동 또는 반수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원은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2돌출 영역(24a,24b)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측면(10c)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되어져야 한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ding regions 22 are provided with first step portions S1 and S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facilitate sliding, and the second protruding regions 24a and 24b also have second step portions, respectively. (S3, S4, S5, S6)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sliding operation. The sliding housing 20 may be configured as a manual or semi-manual sliding power sourc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wer source can be configured automatically. The second protruding regions 24a and 24b should be configured to protrude more than the side surface 10c of the body housing 10.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제1상면(10a)(top surface)과, 상기 제1상면(10a)에서 단차진 제2상면(10b)(stepped top surface) 및 측면들(10c)(side surfaces)과하면(10d)(bottom surface)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상면(10a)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02)(key array)가 설치된다. 상기 제2상면(10b)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104)가 배치된다. 상기 측면(10c)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 어레이(106)가 배치된다.The body housing 10 has a first top surface 10a, a stepped top surface 10b and side surfaces 10c stepped from the first top surface 10a. 10d (bottom surface). The first upper surface 10a is provided with a first key array 102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On the second upper surface 10b, a second key array 104 is formed, which is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that are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sliding housing 20 is sliding. On the side surface 10c, a third key array 106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is arranged.
따라서, 상기 제1,3키 어레이(102,106)는 외부로 항시 키 탑이 노출되고, 상기 제2키 어레이(104)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에 의해 그의 키 탑(key top)이 노출되거나 숨겨져서 보호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third key arrays 102 and 106 are always exposed to the key top, and the second key array 104 is exposed or hidden by the sliding housing 20. Are protected.
또한, 상기 제1,2상면(10a,10b) 사이에는 제3단차부(S7)가 제공된다. 상기 제3단차부(S7)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이동은 정지된다.In addition, a third step S7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rfaces 10a and 10b. Movement of the sliding housing 20 is stopped by the third step S7.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은 그의 상면(2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장치(201,202)와, 상기 스피커 장치(201,202)와 이웃하는 표시 장치(203)(display unit)와, 상기 표시 장치(203)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4키 어레이(20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203)와 상기 제4키 어레이(204)는 상기 제1돌출 영역(22)에 배치된다.The sliding housing 20 includes at least one speaker device 201, 202, a display unit 203 adjacent to the speaker device 201, 202, and the display device 203 on an upper surface 20a of the sliding housing 20. A fourth key array 204 is made up of an array of neighboring plurality of keys. The display device 203 and the fourth key array 204 are disposed in the first protrusion area 22.
이 때, 상기 표시 장치(203)와 상기 제4키 어레이(204)는 그의 양 측방으로 각각 상기 제2돌출 영역(24a,24b)이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스피커 장치(201,202)는 한 쌍으로 대칭으로 위치한다. 즉 상기 스피커 장치(201,202)의 각각은 서로 이웃하며, 상기 각각의 스피커 장치(201,202)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ding regions 24a and 24b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203 and the fourth key array 20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s 201 and 202 are located symmetrically in pairs. That is, each of the speaker devices 201 and 20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speaker devices 201 and 202 may provide stereo sound.
또한, 상기 표시 장치(203)는 엘씨디 모듈,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홀로그램 스크린(hologram screen)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은 2차원(2D) 또는 3차원(3D) 홀로그램 스크린이 표시 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203 may be an LCD module, a touch screen, or a hologram screen. The hologram screen may be a two-dimensional (2D) or three-dimensional (3D) hologram screen as a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제1,2돌출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외곽 모서리(E)(edge) 부분들 각각에는 다수 개의 키들이 각각 설치된 제5키 어레이(206)가 배치된다. 도면들에는 4개의 외곽 모서리가 제공되고, 상기 외곽 모서리(E) 각각에 키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5키 어레이(206)의 키들은 한손으로 조작가능한 키이며, 특히 볼륨 키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fifth key array 206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at each of the outer edge portions E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 regions. In the drawings, four outer edges are provided, and a key is provided at each of the outer edges E. At this time, the keys of the fifth key array 206 are keys that can be operated by one hand, and in particular, are composed of volume keys.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d) 소정 위치에는 제1힌지축(A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안테나 장치(108)와, 상기 안테나 장치(108)와 이웃함과 아울러 상기 제1힌지축(A1)과 수직인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10)가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10)의 카메라 렌즈(111)는 회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하면(10d)방향으로 향하게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111)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111)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단부에 배치되어 회전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노출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10)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 방향쪽으로 노출되게 위치하거나,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d) 방향쪽으로 노출되게 위치한다.이 때, 상기 제2힌지축(A2)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단쪽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향한다.The antenna device 108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A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10d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adjacent to the antenna device 108 and the first hinge axis ( A camera lens assembly 110 is rotatably mounted about a second hinge axis A2 perpendicular to A1). The camera lens 111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10 is selectively position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10d of the body housing 10 when the camera lens 111 is not rotated, and the camera lens 111 is rotated when the camera lens 111 is rotated. It is selectively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housing. The camera lens 11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mera lens assembly and is exposed at all times regardless of whether the camera lens assembly is rotated, and is positioned to be exposed toward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main body hous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10. Or the second hinge shaft A2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preferably sliding of the sliding housing 20. Fac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도 1과 같은 상태, 즉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키 어레이(102)와 상기 제4키 어레이(204)와 상기 제5키 어레이(206)의 두 개의 키가 이웃한다. 도 5와 같은 상태, 즉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제1키 어레이(102)와 상기 제2키 어레이(104)가 가장 이웃한다.1, that is, when the sliding housing 20 is closed in the main body housing 10, the first key array 102, the fourth key array 204, and the fifth key array ( Two keys of 206 are neighboring. 5, that is, when the sliding housing 20 is completely opened in the main body housing 10, the first key array 102 and the second key array 104 are most adjacent to each other.
도 8은 게임을 하거나 VOD(Video On Demand) 모드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양 손을 이용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통신 장치임을 알 수 있다. 한 손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의 좌측을 잡고, 다른 한손을 이용하여 키(102)를 조작하는 동작이 예시되었으며, 이는 키(102) 조작이 편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age state in a game or VOD (Video On Demand) mod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convenient communication device for use with both hands.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left sid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 one hand and manipulating the key 102 with the other hand is illustrated,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key 102 is convenient.
도 9는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하는 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한손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하우징을 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한손을 이용하여 개폐하거나 키(206) 조작이 매우 편리한 통신 장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206)는 볼륨 조절 키(volume control key)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9 is an exemplary view of making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housing can be moved up using one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is very convenient to open and close using one hand or to operate the key 206. Thus, the key 206 is preferably composed of a volume control key.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다수 개의 키 어레이를 본체 하우징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한 손 또는 양 손의 키 조작이 편리하고, 슬라이딩 하우징의 개폐가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y arranging a plurality of key arrays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sliding housing, the key operation of one or both hands is convenien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housing is convenient. Achieved.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4043A KR100469703B1 (en) | 2003-09-16 | 2003-09-16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4043A KR100469703B1 (en) | 2003-09-16 | 2003-09-16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1583A KR20040031583A (en) | 2004-04-13 |
KR100469703B1 true KR100469703B1 (en) | 2005-02-02 |
Family
ID=3733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40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9703B1 (en) | 2003-09-16 | 2003-09-16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97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7293Y1 (en) | 2004-08-05 | 2004-11-09 | 백남용 | Up and down direction slide mobile terminal |
-
2003
- 2003-09-16 KR KR10-2003-0064043A patent/KR1004697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1583A (en) | 2004-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162B1 (en) | Sliding and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532334B1 (en) |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78189B1 (en) | Tripod-mounted w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30067B1 (en) | PD A combined biaxial hing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78041B1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 rotating hinge means | |
KR100704031B1 (en) | Du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03496B1 (en) |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 |
KR100640388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key | |
KR100663573B1 (en) | 3-axis rotary folder type portable device | |
KR100640342B1 (en) | 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 compensation mechanism | |
KR20050038980A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50029666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 and pda | |
KR20050050334A (en) |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portable device with stick function | |
KR100539934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0689468B1 (en) | Sliding combined swing type portable device | |
KR20050080336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improved grip | |
KR20050075561A (en) |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469703B1 (en)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0557079B1 (en) | Sliding / Rotat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594091B1 (en) | Sliding/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0532272B1 (en) |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63484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magnetic mounting function | |
KR101075648B1 (en) | Sliding/sw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 |
KR20050023896A (en) | Sliding/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40506B1 (en) | Swing type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324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