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456B1 -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9456B1 KR100499456B1 KR1019970080720A KR19970080720A KR100499456B1 KR 100499456 B1 KR100499456 B1 KR 100499456B1 KR 1019970080720 A KR1019970080720 A KR 1019970080720A KR 19970080720 A KR19970080720 A KR 19970080720A KR 100499456 B1 KR100499456 B1 KR 100499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tion data
- caption
- display
- data
- addr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04N7/08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ubtit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션 데이터를 세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세로 방향의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폰트 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킴에 의해 세로 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영상 정보가 적은 좌측 또는 우측에 세로로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영상 정보가 캡션 데이터에 의해 가려지는 시각적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가로 방향/세로 방향 캡션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그대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폰트 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킴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vertically displaying caption data. In particular, when the caption data is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ion data transmitted by being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ption data can be displayed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verting to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address for accessing the data of the font ROM in the display ord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caption information vertically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where there is little image information, thereby reducing visual inconvenience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covered by the caption data.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horizontal / vertical caption data display. If the user wants to display the caption dat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ion data is output as it is and the font ROM data is accessed according to the display order. Caption data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generating an addr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션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션 데이터를 세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vision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caption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vertically displaying caption data.
클로즈드 캡션(Colsed Caption)은 청각 장애자를 위해 방송국에서 엔코딩한 문자 자막을 말하며, NTSC 비디오 신호의 수직 블랭크 구간동안 필드 1(예컨대, 홀수 필드)의 라인 21에 엔코딩된 캡션 데이터 신호를 도 1의 형태로 전송한다.Closed caption refers to a character caption encoded by a broadcaster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shows a caption data signal encoded in
도 1을 보면, 캡션 데이터는 NRZ(Non-Return Zero) 코드의 형식으로 7비트의 ASCII 코드를 사용하고 에러 검출을 위하여 1 비트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나 한글의 경우 2 바이트 완성형 코드(KSC-5601)로 전송하므로 패리티 비트는 사용할 수 없다.Referring to FIG. 1, the caption data uses a 7-bit ASCII code in the form of a non-return zero (NRZ) code and adds a 1-bit parity bit for error detection, but in the case of Korean, a 2-byte completion code (KSC-5601). Parity bit cannot be used.
데이터 신호의 내용은 캡션 패리티 형태와 디스플레이될 문자에 대한 명령 및 어드레스등의 정보로 구성된 캡션 코드와 캡션 문자 자막 정보가 실려있다. 여기서, 캡션 코드와 데이터는 완전한 2바이트 형태로 전송된다.The content of the data signal includes a caption code and caption character caption information composed of caption parity forms and information such as a command and an address for a character to be displayed. Here, the caption code and data are transmitted in the form of complete two bytes.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은 도 2에서와 같이 15행 32열의 동일 높이와 폭을 갖고 수직적으로는 43라인에서 시작하여 195 라인의 높이로 237라인까지 비월주사로 디스플레이한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area has the same height and width of 15 rows and 32 columns, and is vertically displayed starting at 43 lines and interlaced to 237 lines at a height of 195 lines.
도 3은 이를 위한 종래의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캡션 데이터 추출부(31)는 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클럭 런 인(Clock Run In ; CRI)의 평균 레벨을 기준으로 캡션 데이터의 각 비트를 판단한다. 즉, CRI의 평균 레벨보다 높으면 하이, 낮으면 로우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버퍼(32)를 통해 램(34)에 저장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caption
그리고, 마이콤(33)은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캡션에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소프트웨어와 문자 폰트가 상주되어 있는 롬(35)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Then, the
즉, 상기 마이콤(33)은 램(34)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 폰트를 롬(35)에서 읽어 와 OSD부(37)로 출력한다.That is, the
이때, 위상 정보 출력부(36)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에 동기되어 캡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부(37)가 디스플레이할 캡션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 후 OSD부(37)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phase
상기 OSD부(37)는 위치 정보에 따라 수평 동기신호(H_SYNC)에 동기되어 롬(35)에서 리드되는 문자 폰트에 해당하는 R,G,B 신호를 출력하고, 오아 게이트(38)는 상기 R,G,B 신호를 합성하여 멀티플렉서(39)로 출력한다.The
상기 멀티플렉서(39)는 캡션 온이면 상기 오아 게이트(38)에 통해 출력되는 캡션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고, 캡션 오프이면 캡션 데이터 추출부(31)를 통해 출력되는 일반 영상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The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는 영상 화면과 함께 캡션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디스플레이된다.Therefore, the caption data is multiplex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video scree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그러나, 상기된 도 1의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는 캡션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때 가로 쓰기로만 디스플레이하므로 특히, 16:9 TV에서 캡션 데이터를 가로로 디스플레이할 경우 영상 정보의 많은 부분이 캡션 데이터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TV 시청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displays only the horizontal writing when displaying the caption data on the screen, in particular, when the caption data is displayed horizontally on a 16: 9 TV, a large part of the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caption data.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obstructed to watch TV.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캡션 데이터를 가로 쓰기, 또는 세로 쓰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caption data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a user's sel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는, 세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세로 방향의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폰트 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킴에 의해 세로 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you want to display the caption data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verts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aption data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nt according to the display order Caption data is displayed at a desired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generating an address for accessing the data of the ROM.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가로 방향/세로 방향 캡션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그대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폰트 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킴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 vertical caption data display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nd if display of caption data is desi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pla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ion data is output as it is and the data of the font ROM is accessed according to the display order. The caption data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generating an address for generating the addr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복합 비디오 신호로부터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캡션 데이터 추출부(41), 추출된 캡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42), 상기 버퍼(42)에서 출력되는 캡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44), 세로 디스플레이 온/오프 신호에 따라 캡션 데이터에 들어있는 위치 정보를 세로 디스플레이에 맞게 변환하는 위치정보 변환부(43), 문자 폰트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45), 캡션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콤(46), 세로 디스플레이 온/오프 신호에 따라 롬(45)에 있는 문자 폰트를 읽어오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디코더(47), 캡션 데이터에 들어있는 위치 정보를 그대로 출력하는 위치정보 출력부(48), 롬(45)에서 리드된 문자 폰트를 OSD 처리하여 R,G,B 신호로 출력하는 OSD부(49), 상기 OSD부(49)에서 출력되는 R,G,B 신호를 합성하는 오아 게이트(50), 및 캡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캡션 데이터 추출부(41)를 통해 출력되는 일반 영상 신호 또는 오아 게이트(50)를 통해 출력되는 캡션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세로 디스플레이 온/오프나 캡션 온/오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은 리모콘의 특정 버튼이나 화면의 메뉴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콘이나 메뉴 화면을 통해 캡션 데이터의 가로 방향/세로 방향 디스플레이도 선택할 수 있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캡션 데이터 추출부(41)는 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CRI의 평균 레벨을 기준으로 캡션 데이터의 각 비트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버퍼(42)를 통해 램(44)에 저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위치정보 변환부(43)는 세로 디스플레이 온 신호가 입력되면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Row and Column Position)를 세로 디스플레이에 맞도록 변환한다.In this case, when the vertical display on signal is input, the
예를 들어, 전송된 위치 정보를 (x',y')라고 하면, 위치 정보 변환부(43)는 도 5에서와 같이 램(44)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읽어와 세로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좌표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변환한다.For example, if the transmitted position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x ', y'), the position
y = x' ± βy = x '± β
여기서, α, β는 상수로서, 세로 디스플레이시 캡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나타내며, 마이콤(46)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Here, α and β are constants, which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caption display in the vertical display, and are selected by the
만약, 도 6의 A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캡션 정보가 왔다면 위치정보 변환부(43)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B로 변환한다.If the caption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in the area A of FIG. 6, the
즉, 위치정보 출력부(48)는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위치정보 변환부(43)는 상기 위치 정보 출력부(48)의 위치 정보와 반대 방향의 위치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멀티플렉서(52)를 이용하여 가로로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위치정보 출력부(48)에서 출력되는 위치 정보를 OSD부(49)로 출력하고, 세로로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위치정보 변환부(43)에서 출력되는 위치 정보를 OSD부(49)로 출력하면 된다.That is, the location
한편, 어드레스 디코더(47)는 상기 위치정보 변환부(43)에서 정의된 디스플레이 위치정보와 램(44)에 저장된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롬(45)의 폰트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만든다.On the other hand, the
예를들어, 디스플레이할 폰트의 어드레스가 도 7a와 같다고 할 때, 가로로 디스플레이를 할 경우의 롬(45)의 억세스 순서는 도 7b와 같다.For example, when the address of the font to be displayed is as shown in Fig. 7A, the access procedure of the
즉, 0x00, 0x10, 0x20,...That is, 0x00, 0x10, 0x20, ...
0x01, 0x11, 0x21,... 0x01, 0x11, 0x21, ...
. .
. .
. .
0x0F, 0x1F, 0x2F,... 0x0F, 0x1F, 0x2F, ...
0x30, 0x40,... 0x30, 0x40, ...
0x31, 0x41,... 0x31, 0x41, ...
. .
. .
. .
0x3F, 0x4F,... 0x3F, 0x4F, ...
0x50, 0x60,... 0x50, 0x60, ...
0x51, 0x61,... 0x51, 0x61, ...
. .
. .
. .
0x5F, 0x6F,... 가 된다. 0x5F, 0x6F, ...
또한, 세로로 디스플레이할 경우의 롬(45)의 억세스 순서는 도 7c와 같다.In addition, the access procedure of the
즉, 0x00, 0x30, 0x50,...That is, 0x00, 0x30, 0x50, ...
0x01, 0x31, 0x51,... 0x01, 0x31, 0x51, ...
. .
. .
. .
0x0F, 0x3F, 0x5F,... 0x0F, 0x3F, 0x5F, ...
0x10, 0x40, 0x60,... 0x10, 0x40, 0x60, ...
0x11, 0x41, 0x61,... 0x11, 0x41, 0x61, ...
. .
. .
. .
0x1F, 0x4F, 0x6F,... 0x1F, 0x4F, 0x6F, ...
0x20,... 0x20, ...
0x21,... 0x21, ...
. .
. .
. .
0x2F,... 가 된다. 0x2F, ...
이와 같이 사용자가 캡션 데이터의 가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면 도 7b와 같은 순서로 억세스된 폰트 데이터가 OSD부(49)를 통해 출력되고, 세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면 도 7c와 같은 순서로 억세스된 폰트 데이터가 OSD부(49)를 통해 출력된다.As such, when the user selects the horizontal display of caption data, the font data accessed in the order shown in FIG. 7B is output through the
이때, 도 8a와 같이 좌측 우선 디스플레이를 할지, 도 8b와 같이 우측 우선 디스플레이를 할지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display the left priority display as shown in FIG. 8A or the right priority display as shown in FIG. 8B.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는, 캡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반대 방향의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순서에 맞게 메모리의 폰트 데이터를 억스세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시각적으로 영상 정보가 적은 좌측 또는 우측에 세로로 캡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영상 정보가 캡션 데이터에 의해 가려지는 시각적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converts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ion data into position inform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generates an address for accessing the font data of the memory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order. By displaying caption information vertically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where there is little im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visual inconvenience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covered by the caption data.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로/세로 방향 캡션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므로 서비스면에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caption display by the user's selection, the user can display the caption data in the desired direction, which is convenient for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도 1은 엔코딩된 복합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캡션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aption data signal included in an encoded composite video signal.
도 2는 캡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형식을 나타낸 도면2 shows a display format of caption data;
도 3은 종래의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션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cap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위치정보 변환부와 위치정보 출력부의 위치 정보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for selectively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nvert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utput unit of FIG. 4; FIG.
도 6은 도 4의 위치정보 변환부에 의한 디스플레이 영역 변환의 예를 보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 area conversion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unit of FIG. 4.
도 7a는 롬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에 할당되는 어드레스의 예를 보인 도면Fig. 7A shows an example of an address allocated to font data stored in the ROM.
도 7b는 가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도 7a의 롬의 억세스 순서를 보인 도면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n access order of the ROM of FIG. 7A when displaying caption dat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7c는 세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도 7a의 롬의 억세스 순서를 보인 도면FIG. 7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sequence of the ROM of FIG. 7A when displaying caption data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도 8a, 도 8b는 우측의 세로 방향으로 캡션 데이터 디스플레이시 디스플레이 순서의 예를 보인 도면8A and 8B show examples of display order when caption data is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ight sid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1 : 캡션 데이터 추출부 42 : 버퍼41: caption data extraction section 42: buffer
43 : 위치정보 변환부 44 : 램43: location information converter 44: RAM
45 : 롬 46 : 마이콤45: Romans 46: Micom
47 : 어드레스 디코더 48 : 위치정보 출력부47: address decoder 48: lo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49 : OSD부 50 : 오아 게이트49: OSD unit 50: Ora gate
51,52 : 멀티플렉서51,52: Multiplexe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0720A KR100499456B1 (en) | 1997-12-31 | 1997-12-31 |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0720A KR100499456B1 (en) | 1997-12-31 | 1997-12-31 |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0493A KR19990060493A (en) | 1999-07-26 |
KR100499456B1 true KR100499456B1 (en) | 2006-03-23 |
Family
ID=3717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80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9456B1 (en) | 1997-12-31 | 1997-12-31 |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994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8866B1 (en) * | 1998-12-30 | 2004-03-1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aption character processing method in atv system |
KR20070081657A (en) * | 2006-02-13 | 2007-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p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6164A (en) * | 1992-05-20 | 1994-03-25 | Samsung Electron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subtitles by making use of on-screen display |
KR940020805A (en) * | 1993-02-26 | 1994-09-16 | 김광호 | Combination type on screen display character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
KR970014194A (en) * | 1995-08-08 | 1997-03-29 | 문정환 | On-screen display |
KR970014195A (en) * | 1995-08-10 | 1997-03-29 | 김광호 | Subtit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Image Processing System |
KR970025008A (en) * | 1995-10-31 | 1997-05-30 | 배순훈 | OSD overlap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during TVCR playback |
KR970078480A (en) * | 1996-05-03 | 1997-12-12 | 김광호 | Method of selecting and receiving subtitle for viewers and receiving method |
-
1997
- 1997-12-31 KR KR1019970080720A patent/KR1004994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6164A (en) * | 1992-05-20 | 1994-03-25 | Samsung Electron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subtitles by making use of on-screen display |
KR940020805A (en) * | 1993-02-26 | 1994-09-16 | 김광호 | Combination type on screen display character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
KR970014194A (en) * | 1995-08-08 | 1997-03-29 | 문정환 | On-screen display |
KR970014195A (en) * | 1995-08-10 | 1997-03-29 | 김광호 | Subtit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Image Processing System |
KR970025008A (en) * | 1995-10-31 | 1997-05-30 | 배순훈 | OSD overlap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during TVCR playback |
KR970078480A (en) * | 1996-05-03 | 1997-12-12 | 김광호 | Method of selecting and receiving subtitle for viewers and receiv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0493A (en) | 1999-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3880B1 (en) | Cap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0486086B1 (en) | Method of modulating the scroll rate of displayable text information | |
KR950005937B1 (en) | Caption Subtitle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JP4843872B2 (en) | Television receiver | |
KR100212134B1 (en) | Soft scrolling method of subtitle display by viewers | |
KR100499456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ion data | |
JPH0946657A (en) | Closed caption decoder | |
KR0169230B1 (en) | Selective subtitle broadcasting method with dual metabolic subtitle transmission function | |
KR10024211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tal tv cldsed caption data by osd function | |
JP3311834B2 (en) | Captio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H06217199A (en) | Caption decoder device | |
KR100261443B1 (en) | How to display subtitles on a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captions at stop | |
KR100403510B1 (en) | Cap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television | |
KR930011593B1 (en) | TV left and right on-screen display method | |
KR100188275B1 (en) | Televiewer option captio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 method possible two-words display | |
WO2000064149A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tion of video equipment | |
KR20000036293A (en) | closed caption display system having real time electronic dictiona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50056441A (en) | Display apparatus | |
KR0181894B1 (en) | Addition information transformation and icon display methode of viewer selecting caption broadcasting | |
KR200163771Y1 (en) | Closed caption decoder having closed caption re-display function | |
KR200176654Y1 (en) | Closed caption display system having real time electronic dictionary | |
KR100287864B1 (en) | Learning caption TV and its control method | |
JPH066705A (en) | Text broadcasting receiver | |
KR970010944B1 (en) | V-Cal's stationary caption display device | |
KR100188279B1 (en) | Televiewer option caption broadcasting, receive apparatus & method with dual-words caption transmit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