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0413B1 - 일체형 방향키 - Google Patents

일체형 방향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413B1
KR100490413B1 KR10-2002-0063847A KR20020063847A KR100490413B1 KR 100490413 B1 KR100490413 B1 KR 100490413B1 KR 20020063847 A KR20020063847 A KR 20020063847A KR 100490413 B1 KR100490413 B1 KR 10049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split
centra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13A (ko
Inventor
곽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4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22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elastic, e.g. flexible sha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일체형 방향키는, 중앙키와, 중앙키의 외곽을 둘러싸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사분할된 분할키들과, 중앙키와 분할키들을 수납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분할키들은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주된 기능을 작동시키는 키들을 통합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체화된 방향키를 미리 조립해둘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방향키{Integrated navigation key}
본 발명은 일체형 방향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및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 등 각종 전자제품의 작동 패널 또는 리모콘에 사용하는 일체형 방향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작동 패널에는 전자제품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키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키들은, 전자제품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나 도전성 고무스위치 등의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전기적인 접점을 누르거나 슬라이딩시켜 상호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키들은 전자제품의 각 기능에 대응되는 단일키들이 작동 패널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자제품, 특히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주요 기능이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대표적인 기능이 재생, 기록, 빨리감기, 되감기, 정지로서 이들 키가 상호 독립적이기보다는 상호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키를 작동패널에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것보다는 집중시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호 연관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들 기능들은 정방향, 역방향 등의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식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키들의 배치에 있어서도 이러한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네비게이션키(navigation key)라고도 한다.
이 때에도 각 키를 따로 제작하여 작동패널에 각각 배치한다면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키의 집중화를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제한된 공간내에 각 키들을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키들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한된 공간내에 전자제품의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키들을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일체형 방향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방향키는, 중앙키; 상기 중앙키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사분할된 분할키들; 상기 중앙키와 상기 분할키들을 수납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키들은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의 외곽으로 상기 분할키의 대각선방향에 위치되는 네 개의 방향키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일체형 방향키는 몸체(100)와, 제1분할키(200)와, 제2분할키(300), 및 중앙키(400)를 포함한다.
제1분할키(200)와 제2분할키(300)는 중앙키(400)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이 사분할된 것으로서, 중앙키(40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두 분할키를 한 쌍으로 하는 두 쌍의 분할키를 각각 지칭한다. 도 1에서, 횡방향(X)으로 위치된 두 개의 분할키(201)(202)를 제1분할키(200)라 하고, 종방향(Y)으로 위치된 두 개의 분할키(301)(302)를 제2분할키(300)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중앙키(400)와 이를 둘러싸는 원형고리를 사분할한 제1분할키(200)와 제2분할키(300)를 사용하고 있으나, 원형키(400) 및 제1분할키(200)와 제2분할키(300)의 형상은 디자인과 기구적 배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몸체(100)는 제1분할키(200), 제2분할키(300), 및 중앙키(400)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제1분할키(200)와 제2분할키(300)를 둘러싸는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의 중앙부를 도 2의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중앙지지부(120)를 구비한다.
제1분할키(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몸체(10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120)로부터 횡측 양방향으로 텐션아암(203)(204)이 연장되어 있고, 그 단부에 제1분할키(200)로서 분할키(201)(202)가 각각 형성된다. 이 때, 텐션아암(203)(20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텐션아암(203)(204)의 폭이 넓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분할키(201)(202)를 누를 때의 누름압력이 세지므로, 적절한 누름압력을 가지도록 텐션아암(203)(204)의 폭과 두께를 결정한다. 도 4를 보면, 분할키(201)(202)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205)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키(201)(202)의 상면을 누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120)에 연결된 텐션아암(203)(204)의 일측 단부를 힌지로 하여 분할키(201)(202)가 하방으로 눌러진다. 그러면, 접촉아암(205)이 그 하방에 설치된 전기접점(미도시)을 눌러 전자제품을 작동시키게 된다. 분할키(201)(202)를 다시 놓으면, 전기접점의 복원력 및/또는 텐션아암(203)(204)의 복원력에 의해 분할키(201)(202)가 제자리로 돌아온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분할키(300)의 평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5의 B-B'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보면, 제2분할키(300)는 대면되게 위치된 두 분할키(301)(302)와, 이들을 연결하는 텐션아암(303)과, 텐션아암(303)(304)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편(305)과, 돌출편(305)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기준보스(306), 및 몸체(100)에 고정되는 후크부(307)를 구비하며, 몸체(100)에 결합된다. 두 분할키(301)(302)의 외측으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310)가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308)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텐션아암(303)(304)이 종방향으로 위치된 두 분할키(301)(302)를 연결한다. 돌출편(305)은 텐션아암(303)(304) 사이에 위치되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편(305)은 텐션아암(303)(304)과 연결된다. 돌출편(305)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기준보스(306)가 형성된다. 후크부(307)는 몸체(100)와 제2분할키(300)를 결합하는 수단의 일 예로서, 수평부(31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307)는 수평부(3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단부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중앙지지부(120)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몰입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롯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슬롯부(130)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관통된 기준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기준홀(140)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의 양쪽에는 분할키(301)(302)의 접촉아암(308)이 통과되는 2개의 관통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부(150)의 좌우측에는 프레임(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돌출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제, 제2분할키(300)를 몸체(100)에 결합한다. 기준보스(306)가 기준홀(140)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몸체(100)의 상측으로부터 제2분할키(300)를 결합한다. 돌출편(305)이 슬롯부(130)에 안착되면, 후크부(307)의 단부가 가이드부(160)의 하측에 걸려 제2분할키(300)가 몸체(100)에 고정된다. 수평부(310)는 가이드부(16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분할키(301)(302)를 누르면, 돌출편(305)과 텐션아암(303)(304)과의 연결부를 힌지로 하여 텐션아암(303)(304)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촉아암(308)이 그 하방에 위치된 전기접점(미도시)을 누른다. 분할키(301)(302)을 다시 놓으면 전기접점의 복원력 및/또는 텐션아암(303)(304)의 복원력에 의해 분할키(301)(302)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중앙키(400)의 평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각각 도 8의 C-C'단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보면, 중앙키(400)는 버튼부(401)와 한 쌍의 텐션아암(402)과 안착부(도 10의 403)를 포함한다. 버튼부(401)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텐션아암(402)은 제1분할키(200) 중 우측 분할키(202)를 에워싸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하나의 텐션아암만으로도 가능하다. 텐션아암(402)의 단부는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안착부(403)와 후크부(404)가 종방향으로 각각 2개소씩 형성된다. 버튼부(40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촉아암(405)이 형성된다.
도 3을 보면, 프레임(110)의 우측 변(111)의 종방향 양단부쪽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몰입된 지지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변(111)의 내측벽에는 2개의 돌출부(1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제, 중앙키(400)를 몸체(100)에 결합한다. 이 때, 제2분할키(300)는 이미 몸체(1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분할키(300)와 중앙키(400)를 차례로 적층한 후에 함께 몸체(10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분할키(300)를 먼저 몸체(100)에 결합한 후에 중앙키(400)를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 제2분할키(300)가 몸체(100)에 결합되면 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 제1분할키(200)와 함께 고리형상의 4개의 분할키(201)(202)(301)(302)의 중앙부는 중앙키(400)의 버튼부(40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먼저 버튼부(401)를 4개의 분할키(201)(202)(301)(302)의 중앙부에, 한 쌍의 텐션아암(402)을 분할키(202)(301) 및 분할키(202)(302) 사이의 틈새에 위치시킨다. 접촉아암(405)은 중앙지지부(120)로부터 분할키(201)로 연장된 한 쌍의 텐션아암(20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중앙키(400)를 하방으로 밀어넣으면 안착부(403)가 지지부(도 3의 113)에 안착되고, 후크부(404)가 돌출부(도 3의 112)에 걸리면서 중앙키(4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401)를 누르면 지지부(113)를 힌지로 하여 텐션아암(402)이 변형되면서 접촉아암(405)이 그 하방에 위치된 전기접점(미도시)을 누른다. 버튼부(401)를 다시 놓으면 텐션아암(402)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버튼부(401)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몸체(100)에 제1분할키(200)를 일체로 형성하고 다시 제2분할키(300)와 중앙키(400)를 결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방향키가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될 경우에 분할키(201)(202)(301)(302)를 각각 정방향 재생, 역방향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기능으로 각각 정의하고, 중앙키(400)를 정지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주된 기능을 작동시키는 키들을 통합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중앙키(400)를 제외한 분할키(201)(202)(301)(302)들은 텐션아암이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힌지점이 중앙쪽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분할키(201)(202)(301)(302)를 눌렀을 때 각 분할키(201)(202)(301)(302)들이 중앙키(40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중앙키(400)의 작동을 위한 틈새를 제외하고는 중앙키(400)와 분할키(201)(202)(301)(302)와의 틈새를 거의 없앨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합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 기능키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하여 미리 서브 어셈블리(subassembly)작업을 해 둘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는 몸체(100)의 외곽에 제1분할키(200) 및 제2분할키(300)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네 개의 방향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외곽에 제1분할키(200) 및 제2분할키(300)와 대각선 방향에 네 개의 방향키(500)가 위치된다. 이들 방향키(500)는 프레임(110)의 중앙지지부(120)의 양쪽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01)로부터 다시 횡방향으로 연장된 텐션아암(502)의 단부에 형성된다. 텐션아암(502)은 방향키(500)를 지나서 횡방향으로 약간 더 연장되며, 그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촉아암(50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4개의 방향키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좀 더 많은 기능을 가진 키들을 통합적으로 일체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4개의 방향키(500)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3의 D-D'단면도를 도시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510)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510)에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체(5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투명체(520)의 하방에 발광체(미도시)를 두면 투명체(520)를 투과한 빛이 방향키(500)의 상면으로 비치게 되므로 전자제품의 특정 기능의 작동여부 등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자제품의 주된 기능을 작동시키는 키들을 통합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분할키들이 중앙키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작동되므로 중앙키와 분할키와의 틈새를 거의 없앨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셋째, 통합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 기능키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하여 미리 서브 어셈블리(subassembly)작업을 해 둘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향키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몸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분할키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분할키의 정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중앙키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C'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3의 D-D'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 200......제1분할키
300......제2분할키 400......중앙키
500......방향키 201,202,301,302......분할키
110......프레임 120......중앙지지부
130......슬롯부 140......기준홀
150......관통홀 160......가이드부
203,204,303,304,402,502......텐션아암
205,308,405,503......접촉아암 510......삽입홀
520......투명체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앙키;
    상기 중앙키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사분할되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분할키들;
    상기 중앙키와 상기 분할키들을 수납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두 쌍의 분할키들 중 한 쌍인 제1분할키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한 쌍의 분할키인 제2분할키와 상기 중앙키는 차례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분할키들을 에워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할키의 각 분할키는 상기 중앙지지부로부터 횡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제1텐션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각 분할키에는 전기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키는,
    두 분할키를 연결하여 두 분할키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텐션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몰입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롯부와 자웅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텐션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돌출편;
    상기 중앙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기준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준보스;
    전기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각 분할키의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텐션부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두 분할키를 연결하는 한 쌍의 텐션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한 쌍의 텐션아암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7. 삭제
  8. 중앙키;
    상기 중앙키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사분할되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분할키들;
    상기 중앙키와 상기 분할키들을 수납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두 쌍의 분할키들 중 한 쌍인 제1분할키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한 쌍의 분할키인 제2분할키와 상기 중앙키는 차례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분할키들을 에워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할키의 각 분할키는 상기 중앙지지부로부터 횡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제1텐션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각 분할키에는 전기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키는,
    두 분할키를 연결하여 두 분할키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텐션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몰입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된 슬롯부와 자웅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텐션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돌출편;
    상기 중앙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기준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준보스;
    전기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각 분할키의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키는,
    상기 몸체의 중앙에 위치되는 버튼부;
    전기접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버튼부의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아암;
    상기 버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3텐션부;
    상기 제3텐션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텐션부가 탄성변형될 때 힌지가 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텐션부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두 분할키를 연결하는 한 쌍의 텐션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한 쌍의 텐션아암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텐션부는 상기 제1분할키의 일측 분할키를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중앙키;
    상기 중앙키의 외곽을 둘러싸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사분할되며, 상기 중앙키를 중심으로하여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작동되는 분할키들;
    상기 중앙키와 상기 분할키들을 수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곽으로 상기 분할키의 대각선방향에 위치되는 네 개의 방향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분할키들을 에워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키들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방향키들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텐션아암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고 여기에 투명체가 삽입되어 있어 빛이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향키.
KR10-2002-0063847A 2002-10-18 2002-10-18 일체형 방향키 KR10049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847A KR10049041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방향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847A KR10049041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방향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13A KR20040035113A (ko) 2004-04-29
KR100490413B1 true KR100490413B1 (ko) 2005-05-17

Family

ID=3733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847A KR100490413B1 (ko) 2002-10-18 2002-10-18 일체형 방향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4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272U (ja) * 1992-04-28 1994-09-22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方向キー
JPH07335082A (ja) * 1994-06-14 1995-12-22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ントロールキー装置
KR19980023257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19980061748U (ko) * 1997-03-27 1998-11-16 배순훈 일체형으로 된 전자제품 작동용 원형 키스위치
JPH117867A (ja) * 1997-06-13 1999-01-12 Hosiden Corp 多方向スイッチ
JP2001185004A (ja) * 1999-12-27 2001-07-06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1195956A (ja) * 2000-01-07 2001-07-19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272U (ja) * 1992-04-28 1994-09-22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方向キー
JPH07335082A (ja) * 1994-06-14 1995-12-22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ントロールキー装置
KR19980023257U (ko) * 1996-10-31 1998-07-25 배순훈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19980061748U (ko) * 1997-03-27 1998-11-16 배순훈 일체형으로 된 전자제품 작동용 원형 키스위치
JPH117867A (ja) * 1997-06-13 1999-01-12 Hosiden Corp 多方向スイッチ
JP2001185004A (ja) * 1999-12-27 2001-07-06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1195956A (ja) * 2000-01-07 2001-07-19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13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4222B2 (ja) Pcカード用フレームキット及びpcカード
KR100490413B1 (ko) 일체형 방향키
JP2004171162A (ja) コントローラ
JPH0142897Y2 (ko)
US6263544B1 (en) Knob for a stick switch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JP5191952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6639164B2 (en) Switch having depressible member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200259990Y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00316007B1 (ko) 전자 시스템을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
JP3041023U (ja) キーボードのキー
JPH0630224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KR0138940Y1 (ko) 팩시밀리의 핸드셋트 크래들 결합구조
US6377534B1 (en) Optical disk drive assembly having a control panel mounted movably thereon
KR100743867B1 (ko) 다방향 입력 장치
KR20010113446A (ko) 키이보드
KR890000696B1 (ko) 키이보드의 키이 스위치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KR890007830Y1 (ko) 전자 오르간의 건반구조
JPH0539024Y2 (ko)
JP2601074Y2 (ja) 照光小形スイッチ
KR200371189Y1 (ko) 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
KR200145516Y1 (ko) 모니터용 4방향 콘트롤보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412

Appeal identifier: 2005101000235

Request date: 2005011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7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1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