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58B1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5758B1 KR100485758B1 KR1020040067731A KR20040067731A KR100485758B1 KR 100485758 B1 KR100485758 B1 KR 100485758B1 KR 1020040067731 A KR1020040067731 A KR 1020040067731A KR 20040067731 A KR20040067731 A KR 20040067731A KR 100485758 B1 KR100485758 B1 KR 100485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dsole
- deformation
- shoe
- frame
- s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있어서 :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며, 발바닥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어 적어도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에 하부로 함몰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중창 ; 상기 프레임 중창의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 중창의 압축영구변형율보다 높은 압축영구변형율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판상의 변형용 중창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프레임 중창의 형태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신발의 골격을 비교적 동일하게 유지하되 변형용 중창은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신발을 착용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comprising: a frame midsole supporting an entire sole of a foot and having a support jaw protruding upward along the sole edge of the foot so as to have an insertion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at least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A plate-shaped deformation midsole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mpressive permanent strain higher than that of the frame midsol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frame midsole continuously maintains the same shape to maintain the shoe skeleton relatively the same, but the deformation midsole is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le to continuously wear the shoe If you do, you can provide a shoe that provides a more comfortable fit over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창이 프레임 중창과 변형용 중창으로 구분되어, 신발 착용시의 발바닥 압력에 의한 중창의 변형을 변형용 중창이 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pecifically, a midsole is divided into a frame midsole and a deformation midsole, and relates to a sho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deformation midsole absorbs deformation of the midsole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le when the shoe is worn.
일반적으로 신발은 최하측에 위치되는 바닥창과, 바닥창의 상측에 위치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상측에 위치되는 안창, 그리고 발을 감싸는 갑피 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shoe is composed of a sole which is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a midsol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an insol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dsole, and an upper surrounding the foot.
이중 중창은 착지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제일의 요구특성이며, 또한 도약시에 에너지 손실이 없도록 반발탄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Among the midsoles, absorbing the impact at the time of landing is the first required characteristic, and it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rebound elasticity so that there is no energy loss at the time of jumping.
중창의 재료로는 대부분 발포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발포우레탄계, 피브이씨계(P.V.C) 또는 티피알계(T.P.R)계, 그리고 이브이에이(E.V.A)계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Foam is most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midsole, and double foamed urethane, fibrous (P.V.C) or TPI (T.P.R), and E.V.A.
이중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수지가 중창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수지는 부드러운 촉감, 가공성, 물리적 특성, 고탄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진 반면에 고비중으로서 신발의 경량화에 문제가 된다.Polyurethane-based synthetic resins are most commonly used as midsoles. Polyurethane-based synthetic resins have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soft touch, processability, physical properties, and high elasticity, whereas high specific gravity is a problem in lightening shoes.
따라서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수지로 된 중창의 경우 신발의 경량화를 위하여 중창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midsole made of polyurethane-based synthetic resins,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midsole for lighter shoes.
이에 반해 이브이에이계열 합성수지의 경우 저비중으로서 신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구압축변형(compression set)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간 착용시 신발 자체의 구조가 뒤틀어진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YB-based synthetic resin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shoe itself is distorted when worn for a long time due to the compression set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shoe can be reduced due to low specific gravity.
즉, 신발은 지속적으로 발바닥으로부터 압축력을 받으며, 또한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축력은 보행 습관 등에 따라 대부분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발 자체는 균일 압축이 아닌 불균일 압축으로 인한 불균일 영구변형이 발생하며, 이는 신발의 부적절한 변형을 일으킴은 물론 신발의 부적절한 변형으로 인하여 신발의 착용감이 떨어짐은 물론 발 모양의 부적절한 변형이 야기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hoes continuously receive the compressive force from the soles, and the compressive force received from the soles tends to be deflect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lking habits, etc., and thus the shoes themselves are not uniformly compressed, but the non-uniform permanent deformation due to the non-uniform compression This causes not only the improper deformation of the shoe, but also the improper deformation of the shoe, which can lead to a deterioration of the fit of the shoe as well as an inappropriate deformation of the foot shape.
이러한 문제는 비단 이브이에이계열 합성수지만의 문제가 아니며 기본적으로 영구압축변형특성을 가지는 모든 합성수지계열 중창에 적용되는 문제이다.This problem is not only a YB-based synthetic resin but is a problem applied to all synthetic resin midsoles having a permanent compression set.
이와 같이 신발 중창의 구조적 변형을 야기하는 영구압축변형율의 측정방법은 ASTM D-3754 등에 규정되어 있다.Thus, the method of measuring the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causing structural deformation of the shoe midsole is specified in ASTM D-3754 and the like.
따라서 신발 업계의 경우 신발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동시에 영구압축변형이 적은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Therefore, in the shoe industry,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 material having a low compression set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sho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발상 자체를 전환한 것으로, 신발의 구조적 변형을 야기하는 영구압축변형을 그 단점으로서 개선되어야 될 것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가장 편안한 상태의 신발로 만들기 위한 장점으로서 이용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idea itself to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ermanent compression deformation causing the structural deformation of the shoe is not seen to be improved as its disadvantages, but rather as an advantage to make the most comfortable shoes To provide shoes to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중창을 상대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되는 프레임 중창과 상기 프레임 중창에 비하여 보다 높은 압축영구변형율 특성을 가지는 변형용 중창으로 구분 형성하여, 프레임 중창의 형태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신발의 골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되 변형용 중창은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하여 신발의 지속적인 착용으로 인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다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hoe midsole divided into a frame midsole that maintains its shape relatively and a deformation midsole having a higher compressive permanent strain characteristics than the frame midsole, the shape of the frame midsole is consistently the same shape Maintaining the same skeleton of the shoe by maintaining the deformation midsole is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le to provide a shoe that can be more comfortable to wear over time due to the continuous wearing of the sho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에 있어서 :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며, 발바닥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되어 적어도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에 하부로 함몰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중창 ; 상기 프레임 중창의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 중창의 압축영구변형율보다 높은 압축영구변형율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판상의 변형용 중창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e: supporting the entire sole, a support jaw protruding upward along the sole rim is formed so that at least the insertion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is formed. Frame midsole; A plate-shaped deformation midsole inserted into an insertion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mpressive permanent strain higher than that of the frame midso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변형용 중창은 원활한 압축변형을 위하여 전면에 걸쳐 다수의 변형용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변형용 중창에 어떠한 홈도 없다면 발바닥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변형용 중창은 그 판상구조로 인하여 발바닥 압력에 따라 제대로 변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In the above, the deformation midsole is preferably formed a plurality of deformation grooves over the front surface for smooth compression deformation. If there is no groove in the deformation midsole, even if the pressure of the sole is continuously acting because the deformation midsole due to its plate structure is difficult to deform properl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ole.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변형용 홈은 상기 변형용 중창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용 홈은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하부 또는 상부가 폐쇄되는 순수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변형용 홈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구멍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변형용 홈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보다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the above, the deforma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formation midsole. The deforma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re groove in which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is closed, but the deform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hav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to facilitate the processing of the deformation groove. In addition,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deformed more freely.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변형용 홈은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용 중창의 변형이 특히 필요한 부분은, 발바닥으로부터 압력을 많이 받는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이며, 따라서 이 부분에만 변형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소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작업 자체가 간편하게 된다.In the above, the deforma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only in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Particularly in need of deformation of the midsole for deformation is the heel part and the heel part which are highly pressured from the sole of the foot. Therefore, by forming the groove for deformation only in this part, the desired effect can be achieved and the processing work itself. Becomes easy.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변형용 중창은 EVA계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중창은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deformation midsole is made of EVA-based synthetic resin, the frame midsole may be made of polyurethane-based synthetic resin.
상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가 서로 구분되어 별개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용 중창은 발 뒤꿈치 부위에 삽입되는 발 뒤꿈치 변형용 중창과 발 앞꿈치 부위에 삽입되는 발 앞꿈치 변형용 중창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eformation midsole for heel transformation for insertion of the heel deformation inserted in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for insertion of the heel It may be divided into midsoles.
상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발 뒤꿈치 부위와 발 앞꿈치 부위가 서로 연결형성되어 발바닥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형용 중창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작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sole of the foot is formed by connecting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Therefore, the deformation midsole can be formed as one body and the manufacturing work is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조립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assembly stat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본 신발의 중창은 프레임 중창(100)과 변형용 중창(200)으로 구분된다.The midsole of the shoe is divided into a frame midsole 100 and a deformation midsole 200.
프레임 중창(100)은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도록 발바닥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신발의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어느 정도의 반발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 중창(100)은 기본적인 중창의 역할을 하여야 하며, 또한 신발의 골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여야 한다.The frame midsole 100 is formed over the entire sole of the sole to support the entire sole of the foot. The frame midsole 100 preferably maintains the shape of the shoe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a certain amount of shock and has a certain repulsive elasticity. That is, the frame midsole 100 should serve as a basic midsole and also have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skeleton of the shoe.
본 실시례의 프레임 중창(100)은 폴리우레탄 계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그 비중으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신발의 경량화에 문제가 된다.Frame midso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polyurethane-based synthetic resin, and therefore, due to its specific gravity, there is a problem in the weight of the shoe.
따라서 이를 위하여 프레임 중창(100)의 전면에 걸쳐 다수의 절결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홈(101)은 프레임 중창(100)의 무게를 줄여 신발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기술이다.Therefore,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101 are formed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midsole 100. Notch groove 101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frame midsole 10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hoe, a technique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프레임 중창(100)의 상부는 발바닥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턱(110)의 돌출로 인하여 지지턱(110)의 내측에는 하부로 함몰되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100 is formed with a support jaw 110 protruding upward along the sole rim, and the insertion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the support jaw 110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jaw 110. 120 is formed.
변형용 중창(200)은 상기 삽입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삽입부(120)에 삽입된다.The deformation midsole 200 is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변형용 중창(200)은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압축영구변형율이 높은 재료로 선정되어야 한다.Deformation midsole 200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likely to defo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le. In other words, it should be selected as a material with high compressive permanent strain.
또한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력은 대부분 발 뒤꿈치 및 발 앞꿈치가 위치한 부분에서 발생하며, 따라서 변형용 중창(200)은 적어도 발 뒤꿈치 및 발 앞꿈치에는 마련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le is mostly generated in the heel and the heel is located, so the deformation midsole 200 should be provided at least on the heel and heel.
본 실시례의 경우 삽입부(120)가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가 서로 연결형성되어 발바닥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변형용 중창(200)은 상기 삽입부(120)의 형상과 어울리는 오직 하나의 변형용 중창(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조립의 간편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formed over the front of the sole by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eformation midsol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the insertion portion 120 ) Consists of only one deformation midsole 200 to match the shape. This is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그러나 실시례에 따라서는 삽입부(120)를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가 서로 구분되어 별개로 형성되도록 하고(즉, 지지턱이 신발의 중간부에도 형성되도록 한 경우), 변형용 중창(200)은 발 뒤꿈치 부위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발 뒤꿈치 변형용 중창과 발 앞꿈치 부위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발 앞꿈치 변형용 중창으로 구분되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sertion part 120 is formed so that the heel part and the heel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when the support jaw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shoe), and the deformation midsole 200 ) May be divided into a heel deformed midso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eel portion and a heel deformed midso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eel portion.
변형용 중창(200)은 그 전면에 걸쳐 다수의 변형용 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례의 변형용 홈(210)은 변형용 중창(2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The deformation midsole 200 has a plurality of deformation grooves 210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thereof, and the deformation groove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eformation midsole 200 to form a hole. It is formed.
이는, 만일 변형용 중창에 어떠한 홈도 없다면 발바닥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변형용 중창이 그 판상구조로 인하여 발바닥의 압력에 따라 제대로 변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This is considered that if there is no groove in the deformation midsole, the deformation midsole is difficult to be proper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ole due to its plate structure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sole is continuously applied.
변형용 홈은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며 하부 또는 상부가 폐쇄되는 순수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변형용 홈이 상면과 하면이 관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변형용 홈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쉽게 변형이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deforma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re groove in which the upper or lower portion is opened and the lower or upper portion is closed, but the deform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penetrate, thereby facilitating the processing of the deformation groov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deformed.
상기와 같이 프레임 중창(100)의 삽입부(120)에 변형용 중창(120)이 삽입되면, 그 상부에 안창(400)과 봉합된 갑피(300)가 마련되어 접착제 등에 의하여 하부의 프레임 중창(100) 및 변형용 중창(200)의 상면과 접착된다.When the deformation midsole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of the frame midsole 10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300 sutured with the insole 4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100 by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eformation midsole 200.
상기와 같은 신발은 발바닥으로부터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경우, 프레임 중창에 비하여 변형용 중창의 압축영구변형율이 높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변형용 중창이 발바닥의 압력에 따라 변형이 된다.When the shoe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pressure from the sole, since the compression permanent strain of the deformation midsole is higher than the frame midsole, the deformation midsole is bas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ole.
따라서 지속적으로 신발을 착용할 경우 변형용 중창은 보행자의 보행습관 등에 따라 적절한 구조로 변형이 되며, 이러한 변형용 중창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중창은 기본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되어 신발의 골격 자체가 변형되지는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oes are continuously worn, the deformation midsole is deformed into an appropri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edestrian's walking habits, etc.In spite of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midsole, the frame midsole is basically maintained in shape so that the shoe skeleton itself is deformed. It won't be.
따라서 본 신발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행자의 보행습관 혹은 발바닥 모양 등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변형을 지속하게 되며, 이러한 변형에도 불구하고 신발의 기본적이 골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is shoe will continue to deform the shape most suitable for the pedestrian's walking habit or sole shape over time, and despite this deformation, the basic skeleton of the shoe can be maintained as it is, making it more comfortable over time. I can give a feeling of wearing.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례의 조립전 상태의 사시도이며, 이하에서 상기의 실시례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assembly stat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par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프레임 중창(100)의 전면에 걸쳐 다수의 절결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례의 경우 지지턱(110)의 상면에는 절결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101 are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rame midsole 10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out groove is no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110.
프레임 중창(100)의 상부는 발바닥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턱(110)의 돌출로 인하여 지지턱(110)의 내측에는 하부로 함몰되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100 is formed with a support jaw 110 protruding upward along the sole rim, and the insertion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the support jaw 110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jaw 110. 120 is formed.
변형용 중창(200)은 상기 삽입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작되며, 상기 삽입부(120)에 삽입된다.The deformation midsole 200 is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변형용 중창(200)은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에만 다수의 변형용 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변형용 홈(210) 또는 변형용 중창(200)의 상면과 하면을 연통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The deformation midsole 200 has a plurality of deformation grooves 210 formed only at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communic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groove 210 or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midsole 200 of this embodiment.
또한 본 실시례의 변형용 홈(210)은 발 뒤꿈치 부위 및 발 앞꿈치 부위에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eformation groove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ly at the heel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또한 본 실시례의 신발이 오른발에 착용하는 신발이기 때문에 주로 신발의 좌측(즉, 신체의 중심측)에 보다 많은 압력이 가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발의 좌측에 보다 많은 변형용 홈(210)을 형성하여 변형용 중창(200)의 보다 원활한 변형을 유도하였다. 마찬가지로, 왼발에 착용하는 신발의 경우 신발의 우측에 보다 많은 변형용 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ho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hoe worn on the right foot, more deformation is mainly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shoe (ie, the center side of the body). Formed to induce a more smooth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midsole 200. Similarly, in the case of shoes worn on the left foot, it is preferable that more deformation grooves 210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hoes.
상기와 같이 프레임 중창(100)의 삽입부(120)에 변형용 중창(120)이 삽입되면, 그 상부에 안창(400)과 봉합된 갑피(300)가 마련되어 접착제 등에 의하여 하부의 프레임 중창(100) 및 변형용 중창(200)의 상면과 접착된다.When the deformation midsole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of the frame midsole 10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300 sutured with the insole 4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midsole 100 by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eformation midsole 200.
본 발명은 신발의 중창을 지속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되는 프레임 중창과 상기 프레임 중창에 비하여 보다 높은 압축영구변형율 특성을 가지는 변형용 중창으로 구분 형성하여, 프레임 중창의 형태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여 신발의 골격을 비교적 동일하게 유지하되 변형용 중창은 발바닥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신발을 착용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and forms a shoe midsole into a frame midsole that maintains its shape continuously and a deformation midsole having a higher compressive permanent strain characteristic than the frame midsole, thereby maintaining the same shape of the frame midsole. Keeping the skeleton of the shoe relatively the same, but the deformation midsole is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sole to provide a shoe that can give a more comfortable fit over time when the shoe is continuously wor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조립전 상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before assembly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례의 조립전 상태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before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프레임 중창 110 : 지지턱100: frame midsole 110: support jaw
120 : 삽입부120: insertion unit
200 : 변형용 중창 210 : 변형용 홈200: deformation midsole 210: deformation groov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7731A KR100485758B1 (en) | 2004-07-29 | 2004-08-27 |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1602 | 2004-07-29 | ||
KR1020040067731A KR100485758B1 (en) | 2004-07-29 | 2004-08-27 | Sho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85758B1 true KR100485758B1 (en) | 2005-04-27 |
Family
ID=3730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7731A KR100485758B1 (en) | 2004-07-29 | 2004-08-27 |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57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8995A1 (en) * | 2012-01-16 | 2013-07-25 | Chang Jin Young | Shoe cushion and shock absorbing shoe comprising same |
KR101583568B1 (en) | 2015-08-26 | 2016-01-08 | 정수영 | Footwear sole |
-
2004
- 2004-08-27 KR KR1020040067731A patent/KR10048575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08995A1 (en) * | 2012-01-16 | 2013-07-25 | Chang Jin Young | Shoe cushion and shock absorbing shoe comprising same |
KR101583568B1 (en) | 2015-08-26 | 2016-01-08 | 정수영 | Footwear s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07108B2 (en) | Soles for sports shoes | |
US8590179B2 (en) | Shoe with protrusions and securing portions | |
KR100706610B1 (en) | Shiiso shoe sole | |
US4881329A (en) | Athletic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 |
US9125453B2 (en) | Shoe outsole having tubes | |
US7946058B2 (en)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n articulated midsole and outsole | |
JP4353959B2 (en) | Soles of footwear | |
US4614046A (en) | Shoe sole having a midsole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 |
US7200955B2 (en) |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 |
US8468720B2 (en) | Midsole el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EP2559350B1 (en) | Differential-stiffness impact-attenuating members and products including them | |
US9192211B2 (en) |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elements having different compressibilities | |
US7377057B2 (en) |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 |
US20110162232A1 (en) | Sole structure | |
WO2004098334A3 (en) | Footwear construction | |
EP3866636B1 (en) | Shoe designed to enhance the practice of physical activities | |
EP1962628A1 (en) | Footwear having shock-absorbing means | |
JP6722709B2 (en) | Sole structure and shoes | |
US20070051013A1 (en) | Shoe ventilation system | |
WO2009082164A1 (en) | High-heeled shoes for women | |
KR100485758B1 (en) | Shoes | |
US20200113281A1 (en) | Flexible sole unit | |
CN102302240A (en) | A kind of cushioning and shock-absorbing sole | |
KR200489122Y1 (en) | Bottom piece of hiking boots | |
CN219249303U (en) | Buffering type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