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8541B1 - 전자기스위칭부재제어방법및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스위칭부재제어방법및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541B1
KR100478541B1 KR1019970010078A KR19970010078A KR100478541B1 KR 100478541 B1 KR100478541 B1 KR 100478541B1 KR 1019970010078 A KR1019970010078 A KR 1019970010078A KR 19970010078 A KR19970010078 A KR 19970010078A KR 100478541 B1 KR100478541 B1 KR 10047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oint
time
switching
window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408A (ko
Inventor
피셔 베르네르
쉬엔펠데르 디에트베르트
카알 빅토르
데 지오르지 데비드
바르베헨 카이-라르스
레셀 하르트뮤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06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31Control of the current by means of delays or monostable multivib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with means for determining actual opening or closing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using information of the actual current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과제)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new limit position)에 도달하는 시점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해결수단) 타임 윈도우 내에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타임 윈도우를 확대한다.

Description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member}
본 발명은 여자 권선과 이동 가능한 전기자를 가진 전자기 스위칭 부재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시점과 제 2 시점은 타임 윈도우를 정의하고, 이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류 특성 또는 전압 특성을 평가하여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스위칭 시점을 검출하는 방법 및/또는, 여자 권선과 이동 가능한 전기자를 가진 전자기 스위칭 부재의 제어 장치로서, 제 1 시점과 제 2 시점인 타임 윈도우를 정의하고, 이 시간 내에서 스위칭 시점을 식별하기 위해 전류 특성 또는 전압 특성을 평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시점에서는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형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스위칭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이와 같은 방법 및 장치는 DE-OS 34 26 799 (US 4,653,447)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디젤 내연 기관에 분사해야 할 연료량을 제어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여자 권선과 이동 가능한 전기자를 구비한다. 전기자를 운동시키기 위해 전류 또는 전압이 여자 권선에 인가된다. 제 1 값과 제 2 값으로 정해지는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류 특성 또는 전압 특성을 평가한다. 이는 전기자가 그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한 시점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은 연료 조절양의 정밀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시점을 확실하게 식별하고, 노이즈 신호로부터 구별하여야 한다. 타임 윈도우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노이즈 신호가 스위칭 시점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다. 타임 윈도우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스위칭 시점이 타임 윈도우 내에 있지 못하게 되는 동작 상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기술한 형태의 전자기 스위칭 부재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확실히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타임 윈도우 내에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타임 윈도우를 확대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 및 개선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하였다. 이하에서도 본 발명의 방법을 디젤 내연 기관에 분사해야 할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예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디젤 기관에 대한 새로운 연료 조절량 장치에서는 연료 계량(fuel metering)을 제어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 또는 개방할 시점은 연료 계량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정한다. 정밀한 연료 계량을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 시점 또는 개방 시점을 확실히 검출되어야 한다.
연료 계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회로 장치를 도 1에 간단히 표시하였다. 도 1에 중요한 요소만을 표시하였다. 도면 부호 100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코일이며, 도면 부호 110은 스위칭 수단이며, 도면부호 120은 측정 저항이다. 코일(100), 스위칭 수단(110) 및 전류 측정 수단(120)이 직렬로 공급 전압(Ubat)과 접지 사이에 접속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는 배터리 전압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칭 수단(110)은 코일(100)과 전류 측정 수단(1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00)을 배터리 전압과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 수단(120)을 스위칭 수단(110)과 코일(100) 사이에, 또는 코일(100)과 공급 전압(Ubat)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130)을 설치한다. 제어 유닛(130)이 코일(100)의 양 단자와 전류 측정 수단(120)의 양 단자와 접속한다. 또한, 제어 유닛(130)이 스위칭 수단(110)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서로 다른 측정된 동작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130)은 스위칭 수단(110)에 인가하는 제어 신호(A)를 계산한다. 이 제어 신호(A)에 의존하여 코일(100)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여러 다른 위치를 취하여 분사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제어 신호(A)와 코일에 흐르는 전류(I)가, 신호(t)에 대해 작도된다. 시점 t1에서 제어 신호(A)가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 스위칭 수단(110)에 전류가 흐른다. 코일(100)에 흐르는 전류는 이 시점에서 시간에 대해 소정 함수를 따라 상승한다.
시점 t2에서 자유로운 전류 상승을 중단하고 전류 제어에 이행한다. 이 시점에서 전류(I)가 유지 전류(IH)로 제어된다. 시점 t3에서 전류는 유지 전류(IH)에 도달한다. 이 전류 제어는 유리하게 스위칭 수단(110)의 클럭킹(clocking)을 통해 실시한다. 시점 t4에서 제어 신호(A)를 제거하고, 이에 따라 전류가 시점 t5까지 제로(0)로 강하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점 t1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그 새로운 스위칭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전류가 유지 전류 IH에 도달하도록 선택된다.
시점 t1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되는 전압의 평가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구한다. 이를 위해 타임 윈도우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타임 윈도우 내에 스위칭 시점이 있는 것이 예상된다. 이 타임 윈도우의 개시는 FB로서 도시되고, 종료는 FE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C 부분에는 측정 윈도우의 개시 및 종료 시점이 시점(t1)으로부터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화살표 TOF로 최후의 스위칭 시점이 식별된 시점이 표시되어 있다. 이 시점 TOF에 근거하여 측정 윈도우의 개시 FB는 시간 간격 VOR을 감산하여, 측정 윈도우의 종료 FE는 시간 간격 NACH를 가산하여 얻을 수 있다. 시점 FB는 시점 t1에 상당한다.
측정 윈도우의 개시 FB에서, 전류는 유지 전류로 조정되고, 동시에 스위칭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코일(100)의 전압 시간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개시된다. 이 평가는 측정 윈도우의 종료 FE에 의해 종료한다.
시점들 FB와 FE에 의해 정의되는 측정 윈도우 내에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으면, 적당한 측정이 개시되어야 한다. 스위칭 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하나는 타임 윈도우가 과도하게 작거나 또는 잘못된 시간 영역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전혀 실시하지 않았거나 또는 에러가 발생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측정 윈도우, 예를 들어 측정 윈도우의 개시 FB를 임의의 크기로 선택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측정 윈도우 FB의 개시는 전류가 유지 전류로 제어되는 시점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 시점을 과도하게 조기에 선택해 버리면 솔레노이드 밸브로 충분히 신속하게 스위칭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바뀌지 못하게 된다.
시점 t1 내지 t4가 측정 윈도우 내에 있으면, 이 시점은 스위칭 시점으로 검출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표시하였다. 제 1 단계(300)에서 제어 신호 A를 출력한다. 이어지는 단계(310)에서는 측정 윈도우의 개시 FB와 종료 FE가 정의된다.
윈도우 개시 시점 FB는 최후에 검출한 스위칭 시점의 시간 TOF에서 제 1의 이전 제어값(pre control value) VOR를 감산하여 얻어진다. 선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로 스위칭 시점을 식별하지 않으면 제어값을 계산하기 위한 대체값으로 사용한다.
윈도우 종료 시점 FE는 최후에 검출한 스위칭 시점 TOF에 제 2 이전 제어값 NACH를 가산하여 산출한다. 윈도우 개시 시점의 산출과 마찬가지로 시간 TOF에 대해 이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체값을 사용한다.
값 FB의 설정은 도 4A에 흐름도로 상세히 표시하였다. 이어지는 질문(320)에서 윈도우 FB의 개시 시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도달하지 않으면 새로 질문(320)을 행한다. 윈도우의 개시 시점 FB에 도달하고 있으면, 단계(330)에서 BIP라 표시한 스위칭 시점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전류가 소정의 값, 이른바 유지 전류 IH로 제어된다. 단계 330에서의 스위칭 시점의 제어는 윈도우 종료 시점까지 실행된다.
유지 전류 IH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순서값을 유지하는데 충분하도록 선정한다. 이 전류는 통상, 솔레노이드 밸브를 새로운 위치로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보다도 작다.
스위칭 시점 BIP를 검출하기 위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압을 평가한다. 전압의 시간에 대한 특성이 불연속성을 가지면, 즉시 BIP-IMP라 표시된 신호가 생성된다. 평가는 통상은 제어 유닛(130)의 일부인 출력단에서 행한다.
질문(340)은 BIP-IMP의 허용 여부를 검사한다.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350)에서 에러 FM를 식별한다. 허용되는 경우에는 다음 측정시에 프로그램 루프가 새로이 단계(300)로 갱신된다. 질문(340)은 도 4b에 상세히 표시하였다.
또한, 윈도우 종료 시점 FE까지 스위칭 시점이 값 FB와 FE로 정의하는 윈도우 내에서 식별되면 이 펄스가 그 타당성에 대해 검사된다. 진단 및 다른 평가를 위해 검사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위칭 시점 BIP-IMP의 타당성(reasonableness)을 검사하기 위해 도 4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시한다. 도 4b의 흐름도는 실시예의 하나의 가능성을 나타낸 것뿐이다. 예를 들어, 여러 단계를 생략하거나 부가하거나 또는 별도의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상태 메모리 SBS의 값은 다른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 1 질문(402)에서는 측정 윈도우에 스위칭 시점 BIP-IMP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발생하지 않으면, 질문(404)에서 이른바 MAB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 이 신호 MAB는 외부의 솔레노이드 밸브 차단 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지시한다. 이것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고 있지 않음을 지시하는 신호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신호 MAB가 존재할 경우에는 스위칭 시점을 검출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계(406)에서 다시 도 3의 메인 프로그램에 되돌아온다. 단계(406)에서 복귀할 때는 스위치 시점이 정상 동작으로 식별함이 없이 복귀한다.
MAB가 액티브가 아니면, 질문(408)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MV가 차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차단되어 있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단계(406)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질문(408)에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단되어 있지 않는 것이 식별되었다면 동작 조건에 의해 그 사실을 식별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스위칭 시점은 식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410)에서 상태 메모리 SBS에 상응하는 값이 설정된다. 이 값은 측정 윈도우에 스위칭 시점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을 지시한다. 계속 단계(412)에서 에러 카운터가 1만큼 높여진다.
계속 질문(414)에서 에러 카운터 FZ가 제 1 임계값 SW1보다 큰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크지 않으면 그 이상 응답함이 없이 단계(416)에서 제 3 도의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에러 카운터 FZ가 임계값 SW1보다 크면, 단계(418)에서 상태 메모리 SBS에 상응하는 값이 세트된다. 이 값은 이른바 BIP 탐색이 시작되어야함을 지시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의 제 3 위치가 1로 설정된다. 계속 질문(420)에서 상태 메모리 SBS의 제 2 위치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422)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질문(420)에서 상태 메모리 SBS의 제 2 위치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것은 윈도우가 최대의 크기임을 지시한다. 이 경우는 단계(424)에서 카운터 ZI가 1만큼 카운트 다운된다. 계속 질문(426)에서 에러 카운터가 제 2 임계값 SW2보다 큰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크면 프로그램이 단계(428)에서 종료하여 고장을 식별한다. 이 경우의 고장은 측정 시스템에 있다. 왜냐하면 윈도우 크기가 최대인데도 스위칭 시점 BIP-IMP를 식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질문(430)에서 스위칭 시점 BIP-IMP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차단 시점 t4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으면, 단계(432)의 뒤와 마찬가지로 질문(434)을 처리한다. 이 질문(434)은 스위칭 시점 BIP-IMP가, 주 전류로 스위칭되는 스위칭 시간 t3의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존재하고 있으면 단계(410)가 이어지고 이 단계에서는 상태 메모리 SBS에 상응하는 값을 설정한다. 존재하지 않으면 즉, 식별한 스위칭 시점 BIP-IMP가 시간 t3과 t4 사이에 없으면, 질문(436)을 실행한다.
질문(436)은 상태 메모리 SBS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는, 윈도우 탐색이 액티브가 아니거나, 또는 닫혀져 있음을 지시한다. 즉, 질문(436)은 상태 메모리 SBS의 제 3 위치의 값이 제로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제로이면 이는, 윈도우 탐색이 액티브가 아니거나 닫혀져 있음을 의미하며, 질문(438)을 실시한다. 질문(438)은 상태 메모리 SBS가 윈도우를 축소해야함을 지시하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직접, 단계(440)를 실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 즉, 윈도우 탐색이 액티브가 아니고, 또 윈도우가 축소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442)에서 신호 범위 체크(SRC; signal range check)를 실행한다. 이는 스위칭 시점의 값이 예상값과의 차이값보다도 작은지 여부의 검사를 의미한다. 예상값으로서 예컨대 값 TOF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차이값은 공급 전압에 의존하여 설정된다.
발견된 값이 예상값보다 적지 않으면, 단계 440을 실행하며 여기서 스위칭 시점이 액티브가 아니라고 식별된다. 단계(440)에 도달하면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식별된다. 단계 440에 이어서, 단계(444)에서 시점 TOF를 필터링에 의해 새로이 검출한다. 필터링은 소정의 수의 타당한 측정값에 대해 원활한 평균값을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 단계(446)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복귀는 예를 들어, 스위칭 시스템에 BIP 탐색없이 에러의 없음을 식별한 경우에 실행한다.
질문(436)에서 BIP 탐색이 액티브임을 식별하면 즉, 상태 메모리 SBS가 알맞게 설정되어 있으면, 질문(450)을 실행한다. 질문(450)은 BIP-IMP가 예상보다도 조기에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 일은 BIP-IMP가 윈도우 개시 시점 FB 보다도 앞에 있는지의 여부의 검사를 의미한다. 조기에 발생하면 단계(452)에서 상태 메모리 SBS가 탐색 윈도우가 확대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상태 메모리의 제 1 위치에 1을 설정함으로써 실행한다.
계속 단계(454)에서 통상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복귀시에 상태 메모리는 탐색 윈도우가 액티브이고 또한 윈도우를 확대하도록 설정된다.
질문(450)에서 스위칭 시점 BIP-IMP가 예상보다도 조기에 발생하지 않는 것이 식별되면 단계(450)에서 카운터 ZI가 1만큼 카운트업된다. 이 경우는 스위칭 시점이 발견되고, 값 FB와 FB로 정해진 측정 윈도우 내에 있는 경우이다. 카운터 ZI에서는 발견된 스위칭 시점의 수를 계산한다. 계속, 질문(458)에서 BIP 탐색이 아직 액티브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액티브가 아니면 단계(460)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질문(458)에서 BIP 탐색이 액티브임이 식별되면, 질문(462)에서 계수상태 ZI가 임계값 S 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크지 않으면 단계(460)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계수 상태 ZI가 임계값 S 보다도 크면 단계(464)에서 카운트업된다. 계속, 단계(466)에서 상태 메모리 SBS는 윈도우가 축소되도록 설정된다. 계속, 단계(460)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의 복귀를 실행한다.
도 4B에는 단계(340)의 서브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윈도우의 크기를 적응시키기 위한 것이다. 단계(500)에서의 스타트 후에 질문(501)을 실행한다. 이 질문은 상태 메모리가 값 제로를 취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값이 제로이면, 이는 윈도우 탐색이 액티브가 아님을 의미한다. 즉, BIP 윈도우가 발견되고 또한 최소의 크기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단계(502)를 실행한다. 이는 단계(502)에서 시간 TOF와 이전 제어값에 의해 윈도우 FB의 개시를 검출함을 의미한다. 상응하여, 윈도우 종료 시점 FE가 시간 TOF와 시간 NACH에 의해 설정된다. 이는 윈도우를 정의하는 양쪽 값 FE와 FB가 공칭값으로 설정됨을 의미한다. 계속, 단계(504)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의 복귀를 실행한다.
질문(501)에서 상태 메모리 SBS가 제로가 아님이 식별되면, 질문(506)을 실행한다. 이 질문은 상태 메모리 SBS의 제 4 위치가 값 1을 취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는 윈도우를 축소해야함을 지시한다. 값이 1이 아니면, 단계(508)를 실행한다. 여기서는, 상태 메모리 SBS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즉, SBS가 BIP 탐색이 액티브이며 윈도우를 확대해야함을 지시하도록 설정한다. 이는 상태 메모리 SBS의 제 1 및 제 3 위치를 1로 설정하므로써 실행한다.
단계(510)에서는 윈도우 개시시점이 소정의 값 D만큼 감소된다. 즉, 윈도우가 확대되고 윈도우 종료 시점을 최대값 FEMAX로 설정된다. 질문(512)에서 윈도우, 특히 윈도우 개시 시점이 최대값 FBMAX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도달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514)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의 복귀를 실행한다. 최대값에 도달하고 있으면, 단계(518)에서 상태 메모리 SBS에 다음과 같이 값을 설정한다. 즉 윈도우의 크기가 최대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도록 상태 메모리에 값이 설정된다. 이를 위해 제 2 메모리 셀이 1로 설정된다. 계속, 단계(514)에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이 처리에 따라 특히, 단계(510)와 단계(512)에 의해 타임 윈도우 내에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시점 FB가 서서히 최대값 FBMAX에 도달할 때까지 확대하도록 되며, 제 2 시점 FE는 직접 최대값 FEMAX까지 확대하도록 된다.
질문(506)에서 상태 메모리 SBS가 윈도우를 축소하여야한다고 설정되어 있으면, 이 축소는 단계(520)에서 실행된다. 여기서는, 윈도우 개시 시간에 대해 소정의 값 D가 가산되다. 계속, 질문(522)에서 윈도우 개시시간 FB가 시간 TOF-VOR 보다 큰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즉, 윈도우 개시시점 FB가 스위칭 시점에 충분히 가까운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가깝지 않으면, 단계(532)에서 메인 프로그램에 복귀한다.
가까우면 즉, 윈도우가 공칭값 TOF-VOR에 도달하고 있으면, 단계(524)에서 윈도우 개시시점 FB가 공칭값 TOF-VOR로 설정한다. 계속, 단계(526)에서 상태 메모리 SBS에 제로를 설정하고 단계(528)에서 카운터 ZI가 제로로 재설정된다. 계속, 단계(530)에서 윈도우 종료 시점 FE를 값 TOF+NACH로 설정된다. 이어서 단계(532)에서 복귀한다. 이 복귀시에는 윈도우가 공칭값을 가지며 탐색은 액티브가 아니다.
이 처리에 의해 특히, 단계(520)로부터 단계(530)에 의해,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 식별시에 제 1 시점 FB가 서서히 공칭값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되고, 제 1 시점 FB에 대한 공칭값에 도달한 때에 제 2 시점 FE가 공칭값으로 설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C는 시간에 대해 작도한 여러 신호 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간단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일부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코일 110 : 스위칭 수단
120 : 측정 저항 130 : 제어 유닛

Claims (10)

  1. 여자 권선과 이동 가능한 전기자를 갖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electromagnetic switching member)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점(FB)과 제 2 시점(FE)을 이용하여 시간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스위칭 시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시간 윈도우 내에서 전류 특성 및/또는 전압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타임 윈도우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치 부재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임 윈도우의 개시 시점을 정하는 제 1 시점(FB)을 최대값(FBMAX)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임 윈도우의 종료 시점을 정하는 제 2 시점(FE)을 직접 최대값(FEMAX)까지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확대한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시점(FB)을 서서히 공칭값(normal value)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FB)에 대한 공칭값에 도달할 때에는 상기 제 2 시점(FE)을 그 공칭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FB)을, 기억된 스위칭 시점(TOF)과 제 1 이전 제어값(VOR)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점(FE)을, 기억된 스위칭 시점과 제 2 이전 제어값(NACH)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된 스위칭 시점(TOF)을, 필터링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에 근거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감시 기능의 모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방법.
  10. 여자 권선과 이동 가능한 전기자를 갖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시점(FB)과 제 2 시점(FE)은 타임 윈도우를 정의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자가 새로운 제한 위치에 도달하는 스위칭 시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류 특성 및/또는 전압 특성을 평가하는 수단과,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허용 가능한 스위칭 시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타임 윈도우를 확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스위칭 부재 제어 장치.
KR1019970010078A 1996-03-26 1997-03-24 전자기스위칭부재제어방법및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78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1885A DE19611885B4 (de) 1996-03-26 1996-03-2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Schaltorgans
DE19611885.9 1996-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408A KR970067408A (ko) 1997-10-13
KR100478541B1 true KR100478541B1 (ko) 2005-08-09

Family

ID=778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0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8541B1 (ko) 1996-03-26 1997-03-24 전자기스위칭부재제어방법및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80920A (ko)
JP (1) JP4460657B2 (ko)
KR (1) KR100478541B1 (ko)
DE (1) DE19611885B4 (ko)
FR (1) FR2746955B1 (ko)
GB (1) GB23115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0272B4 (de) * 1998-12-24 2005-03-1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indern der Geräuschentwicklung bei elektromagnetisch betätigten Vorrichtungen
EP1430207B1 (de) * 2001-08-16 2008-02-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verbrauchers
JP2004139186A (ja) * 2002-10-15 2004-05-13 Toshiba Corp 電子機器
EP2060762A1 (en) * 2007-11-15 2009-05-20 Delphi Technologies, Inc. Glitch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glitch events
DE102009032521B4 (de) * 2009-07-10 2016-03-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stimmung des Schließzeitpunkts eines Kraftstoffeinspritzventils basierend auf einer Auswertung der Ansteuerspannung
DE102010018290B4 (de) 2010-04-26 2016-03-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 Ansteuerung eines Ventils basierend auf einer Kenntnis des Schließzeitpunkts des Ventils
DE102010022109B3 (de) 2010-05-31 2011-09-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stimmung des Schließzeitpunkts eines Einspritzventils basierend auf einer Auswertung der Ansteuerspannung unter Verwendung eines adaptierten Referenzspannungssignals
DE102010041320B4 (de) * 2010-09-24 2021-06-24 Vitesco Technologies GmbH Bestimmung des Schließzeitpunkts eines Steuerventils eines indirekt angetriebenen Kraftstoffinjektors
DE102011004309A1 (de) 2011-02-17 2012-08-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r Bestimmung eines Schaltzeitpunkts eines Magnetventils
DE102011005672B4 (de) 2011-03-17 2019-07-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zur elektrischen Ansteuerung eines Aktuators zur Bestimmung des Zeitpunkts eines Ankeranschlags
DE102011075521B4 (de) * 2011-05-09 2013-01-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s Schließzeitpunktes eines einen Spulenantrieb aufweisenden Ventils und Ventil
US8739096B2 (en) * 2011-12-15 2014-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cro-electro-mechanical structure (MEMS) capacitor devices, capacitor trimming thereof and design structures
DE102013112269A1 (de) 2013-11-07 2015-05-07 Niels Holm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Mikroalgen-Biomasse aus einem Abwasser
US9101038B2 (en) 2013-12-20 2015-08-04 Lam Research Corporation Electrostatic chuck including declamping electrode and method of declamping
US10002782B2 (en) 2014-10-17 2018-06-19 Lam Research Corporation ESC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gasket for uniform RF power delivery therethrough
US20210048225A1 (en) * 2019-08-14 2021-02-18 Ademco Inc. Gas valve operator drive circuit
DE102020213203A1 (de) * 2020-10-20 2022-04-2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Schaltzeitpunkts eines Magnetventi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6799A1 (de) * 1984-07-20 1986-01-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einer brennkraftmaschine einzuspritzenden kraftstoffmenge
US4970622A (en) * 1986-12-03 1990-11-13 Buechl Josef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magnet
IT1223943B (it) * 1988-11-25 1990-09-29 Marelli Autronica Circuito per il trattamento del segnale generato da un sensore elettromagnetico di rotazione del tipo a riluttanza variabile
DE3843138A1 (de) * 1988-12-22 1990-06-2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teuerung und erfassung der bewegung eines ankers eines elektromagnetischen schaltorgans
US5053911A (en) * 1989-06-02 1991-10-01 Motorola, Inc. Solenoid closure detection
DE4341797A1 (de) * 1993-12-08 1995-06-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Verbrauchers
DE4420282A1 (de) * 1994-06-10 1995-12-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Verbrauch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1559A (en) 1997-10-01
GB2311559B (en) 1998-04-08
DE19611885B4 (de) 2007-04-12
JP4460657B2 (ja) 2010-05-12
GB9705496D0 (en) 1997-05-07
FR2746955B1 (fr) 1999-01-29
US5880920A (en) 1999-03-09
FR2746955A1 (fr) 1997-10-03
KR970067408A (ko) 1997-10-13
DE19611885A1 (de) 1997-10-02
JPH1047197A (ja)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541B1 (ko) 전자기스위칭부재제어방법및제어장치
CA1279715C (en) Gas shutoff apparatus
US5784245A (en) Solenoid dr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solenoid operational status
EP0821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determining opening and closing times for automotive fuel injectors
US89643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magnetic valve
CN110514896B (zh) 具有螺线管组件的系统以及故障诊断和隔离方法
US5383086A (en)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n inductive consumer
US9046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jection valve
EP23750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jection time of a fuel injector
US6188224B1 (en) Process for the diagnosis of an ignition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501865A (ja) 電磁負荷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11111892B2 (en) Device for sensing the state of an injector
KR100857638B1 (ko) 전자기 소비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384539A (en) Process for monitoring inductive loads for faults on the control line using sampling techniques
US6853201B2 (en) Method for testing a capacitive actuator
US200301458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or reading out data of a fuel metering system
US5758494A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witch determination of exhaust gas sensors
EP0668963B1 (en) Fault diagnosis method for injecto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high-pressure injection systems
US200100480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n electromagnetic consumer
US11050421B2 (en) Electrical assembly
GB2377025A (en) A valve closure detection method and means
WO2007046714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perating a valve
US10775445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open load
JP2003049688A (ja) 負荷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3140740A (ja) 負荷の監視方法及び負荷の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3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