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4719B1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719B1
KR100474719B1 KR10-2001-0075309A KR20010075309A KR100474719B1 KR 100474719 B1 KR100474719 B1 KR 100474719B1 KR 20010075309 A KR20010075309 A KR 20010075309A KR 100474719 B1 KR100474719 B1 KR 10047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control information
data channel
packe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523A (ko
Inventor
허진우
배상민
조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719B1/ko
Priority to US10/307,643 priority patent/US7369527B2/en
Publication of KR2003004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6Pilot transmitters or receiver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or for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서킷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시에 사용한 정보비트 크기와 부호율과 변조방식과 월시부호의 수를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이동 단말은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로부터 알아낸 변조방식에 따라 상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메모리 부담을 감소시켜 소형화, 저전력화, 저가격화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Packet Data Channel: PDCH)을 통해 패킷 데이터(Packet Data)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UMTS(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및 CDMA2000 1xEV-DV(Evolution Data and Voice)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와,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ystem: BTS)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 단말 가입자에게 음성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였으나,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통신 및 인터넷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까지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은 통상 음성서비스를 위한 서킷(Circuit)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패킷(Packet) 채널을 분리하고, 상기 서킷 채널에 사용된 무선자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패킷 채널에 할당하여 운영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무선자원으로는 전력량과 월시부호의 수와 시간구간(타임슬롯)이 있다.
최근 패킷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 TDM)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기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모든 전력(power)량과 월시부호들(Walsh codes)을 일정 시간구간 동안 선택된 하나의 이동 단말에게 모두 할당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이동 단말들은 무선채널 품질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채널 품질 정보 및 각 이동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누적된 양 등을 고려하여 각 이동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율을 적어도 일정 수준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시스템 측면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도록 패킷 데이터를 송신할 최적의 이동 단말을 매 시간구간마다 선정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 가능한 기지국의 전력량 및 월시부호의 수는 서킷 채널에 사용되는 전력량 및 월시부호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한다. 1xEv-DV 표준안에 의해 정해진 바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 가능한 월시부호의 수는 최대 32칩 길이의 32-ary 월시 28개까지이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최소 시간 단위는 1.25ms로서 이를 1 타임슬롯(Time Slot: TS)이라 하고, 실제로 하나의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시간구간은 1-TS, 2-TS, 4-TS. 8-TS 중 하나이며, 이 시간구간동안 정해진 크기의 정보비트가 전송된다. 상기 정보비트는 기지국 송신기에서 부호기(Encoder)의 입력이 되기 때문에 부호화 패킷(Encoder Packet)이라고 불린다.
하나의 시간구간 동안에 전송 가능한 패킷 데이터 정보비트의 크기(Encoder Packet Size)로는 384, 768, 1536, 2304, 3072, 3840 비트가 있으며, 정해진 시간구간 동안의 정보비트 전송을 위하여 이들 중 하나의 정보비트 크기가 선택된다. 상기 정보비트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자원으로는 전력량, 월시부호 수, 전송 시간구간이 있으며, 상기 정보비트들은 부호화(encoding)되고 인터리빙(Interleaving)을 거쳐 변조(Modulation)된 후 월시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패킷 데이터 채널(Packet Data Channel: PDCH)을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정보비트의 크기와 상기 전송 시간구간을 이용하면 데이터 전송율이 계산된다. 예를 들어, 3840비트의 정보비트가 1.25ms의 1-TS 동안 전송되면, 데이터 전송율은 3072kbps가 된다.
한편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부호율 및 변조방식은, 정보비트 크기, 월시부호 수, 전송 시간구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기지국이 최적의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가지고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이동 단말에서는 상기 정보비트 크기와 월시부호 수, 전송 시간구간 등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사용한 부호율 및 변조방식을 알아낸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과 단말은 동일한 내용의 참조표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부호율과 변조방식을 미리 약속해야 한다. 즉, 기지국과 이동 단말은 통신을 개시하기 이전에, 사용 가능한 정보비트의 크기들 즉, 384, 768, 1536, 2304, 3072, 3840 비트들 각각에 대해서 하기의 <표 1>과 유사한 형태의 참조표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정보비트들의 가지수가 더 늘어난다고 가정할 때, 메모리 용량이나 크기에 큰 상관이 없는 기지국에서는 관계가 없지만 이동 단말에게 있어서 상기의 <표 1>와 같은 참조표를 정보비트 수 만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소형화, 저렴화의 구현에 문제가 된다. 하기의 <표1>은 정보비트의 크기가 3840 비트인 경우 사용 가능한 변조방식 및 부호화율의 일 예 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표 1>은 3840 비트 크기의 정보비트가 전송되는 경우 월시부호 수와,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 시간구간 등에 따라 사용되는 변조방식 및 부호율을 나타낸 참조표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이 3840 비트의 정보비트를 8-TS 동안 4개의 월시부호를 이용하여 전송할 때 사용되는 변조방식 및 부호율은 각각 4와 0.625가 된다. 상기 <표 1>에서 변조방식을 나타내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값에서 2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3은 8-PSK(8ary Phase Shift Keying)를, 그리고 4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한 정보비트의 크기와, 월시부호의 수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라 한다.)는 패킷 데이터 채널과는 별도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정보에 의해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시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부효율을 알아내고,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기의 <표 2>는 기존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정보필드 및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각 정보 필드(Field)를 설명하면, MAC_ID 정보는 각 이동 단말마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미리 할당되는 정보로서 패킷 데이터 채널의 어느 시간구간이 어떤 이동 단말을 위한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AC_ID는 6비트인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더 많은 이동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 2비트가 늘리는 방안도 3GPP2의 1x EV-DV 표준회의에서 논의가 되고 있다. ARQ Channel ID는 하나의 이동 단말에게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최대 4개의 패킷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Encoder Packet Size는 전송되는 정보비트 크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384,768,1536,2304,3072,3840 비트의 6가지를 구분하기 위해 3비트가 할당되어 있다. Sub-packet ID는 초기 전송과 재 전송 시 터보 부호기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심볼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또한 월시부호의 수는 일정 주기 또는 월시부호의 수가 변하는 경우마다 MAC_ID를 제외한 모든 필드들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지며, 이때 MAC_ID는 000000으로 설정하여 월시부호의 전송이 시작되는 위치를 표시하고 나머지 필드들을 이용하여 월시부호의 수를 나타낸다.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구간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전송 시간구간과 동일하므로, 수신단에서는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조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의 전송 시간구간을 알아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PDCCH)을 통해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3 비트의 제어정보(MAC ID, ARQ Channel ID, Encoder Packet Size, Sub-packet ID)에는 오류 검출 비트 부가기(110)에 의해 오류 검출을 위한 8 비트의 부호가 추가되고, 테일 비트(tail bit) 부가기(120)에서는 복호화시 특정 상태로의 수렴을 위해 8 비트가 추가된다. 길쌈 부호기(130)는 상기 테일 비트 부가기(120)로부터의 출력 비트들을 소정 부호율 R을 가지고 부호화하여 부호화 심볼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가 1-TS 구간(N=1이라고 함)동안 전송되면 상기 부호율은 1/2이고, 2-TS(N=2이라고 함) 또는 4-TS(N=4이라고 함) 구간 동안 전송되면 상기 부호율은 1/4이다.
상기 길쌈 부호기(130)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심볼들은 심볼 반복기(140)에 의해 제어정보의 전송 시간구간에 따라 적절하게 반복된다. 즉, 제어정보가 1-TS(N=1) 또는 2-TS(N=2) 동안 전송되면 상기 입력 부호화 심볼들은 반복되지 않으며, 4-TS(N=4) 동안 전송되면 1회 반복된다. 심볼 천공기(150)는 상기 반복된 부호화 심볼들을 입력받아 소정 천공 패턴에 따라 일부 심볼들을 제거하고 나머지 심볼들을 출력한다.인터리버(160)는 상기 심볼 천공기(150)로부터 입력된 심볼들의 개수에 따라 인터리빙 메모리의 크기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리빙 메모리를 이용하여 입력 심볼을 인터리빙한다. 변조기(170)는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소정 변조방식(예를 들어 QPSK)에 따라 변조하여 변조심볼들을 출력하며, 월시부호 확산기(180)는 상기 변조기(170)로부터의 변조심볼들을,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할당된 64칩 길이의 월시부호를 가지고 확산시킨다.
이동 단말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로부터 패킷 데이터 채널에 관련된 부호화 크기, 전송 시간구간, 월시부호의 수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시에 사용한 부호율 및 변조방식을 얻어 수신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패킷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이 정보비트수에 따른 복수개의 참조표를 서로 저장하고 있으면서, 기지국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부호율과 변조방식을 결정하여 전송하고, 이동 단말 또한 기지국과 동일한 참조표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부호율과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때 기지국과 이동 단말은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비트 크기에 대해 <표 1>과 같은 약속된 참조표를 각각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메모리 영역이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지국과 이동 단말에서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킨다. 특히 소형화, 저전력화, 저가격화되고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메모리 증가는 이동 단말의 칩 제작에 부담으로 자용한다.
게다가 이동 단말에서 수신한 패킷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여 동일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이 요구될 시, 기지국에서 재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는 이동 단말의 수신 효율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초기 전송과는 다른 변조방식과 부호율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초기 전송시와 재전송시에 서로 다른 참조표가 필요하게 되고 이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의 메모리 부담을 보다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의 메모리 부담을 줄이면서 초기 전송 및 재전송시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부호율을 이동 단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에서 별도의 참조표를 저장하지 않고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 변조방식을 알아내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신 방법은,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제어정보 내의 한 정보필드에 삽입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은,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삭제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내의 한 정보필드에서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방법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제어정보 내의 한 정보필드에 삽입하는 제어정보 생성기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는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정보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방법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기와,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내의 한 정보필드에서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 시 사용한 정보비트 크기, 월시부호의 수에 따라 변조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실어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지국은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 정보비트 크기, 월시부호의 수, 타임슬롯의 수에 따라 부호율과 변조방식을 결정하고, 패킷 데이터 정보비트를 상기 결정된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상기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뒤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패킷 데이터의 전송시에 사용된 정보비트 크기, 월시부호의 수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삭제
매 전송 시간구간마다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들(Coded Symbols)의 개수는,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변조방식과 전송 시간구간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하기의 표 3에는 패킷 데이터 채널에서 1.2288Mcps(Mega chips per second)의 칩속도(chip rate)를 사용하고 타임슬롯 길이가 1.25ms인 경우 변조방식과 전송 시간구간에 따라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Nw는 월시부호 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1xEV-DV 시스템의 경우 최대 28개이다. 예를 들어, 부호화 패킷을 28개의 월시부호들을 사용하여 1-TS 동안 QPSK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는 경우, 실제로 2688(=96*28)개의 부호화 심볼들이 전송된다. 만일 16-QA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면 5376(=192*28)개의 부호화 심볼들이 전송된다.
상기 표 3을 설명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의 송신절차를 역으로 설명하면, 1.2288Mcps의 표준 칩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의 월시부호 확산기가 1.25ms 시간구간(1-TS) 동안에 1536개의 칩들을 발생하여야 한다. 패킷 데이터 채널에서는 32칩 길이의 월시부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1.25ms(1-TS) 동안에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의 변조기가 발생하여야 하는 변조심볼들의 개수는 48(=1536칩/32칩)개이다. 이때 각 변조심볼에 매핑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는 QPSK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2개이며, 8-PSK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3개이고, 16-QAM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4개이다. 따라서 48개의 변조심볼들을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는, QPSK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96(=48*2)개이고, 8-PSK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144(=48*3)개이며, 16-QAM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192(=48*4)개가 된다.
타임슬롯 개수와 월시부호의 개수가 늘어나면 그에 비례하여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는 부호기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심볼들을 반복 및/또는 천공하여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로 맞춘다. 상기 표 3은 단지 변조방식과 타임슬롯 개수 및 월시부호 개수에 대응하여 실제로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지국과 이동 단말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이동 단말은 제어정보로부터 획득한 변조방식과 타임슬롯 개수 및 월시부호 개수를 이용하여 실제로 전송/수신되는 부호화 심볼들의 개수를 계산해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 사용한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포함하여 전송된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은 먼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호화하여, 패킷 데이터가 몇 개의 타임슬롯(1-TS, 2-TS, 4-TS, 8-TS 중 하나)에 실려 전송되는지를 알게 되고, 또한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알게 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앞서 설명한 표 2와 유사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시 사용한 변조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하기의 <표 4>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정보필드 및 크기를 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4>를 앞서 언급한 <표 2>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변조방식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정보필드(즉 변조방식 필드)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표 4에서, 기지국이 사용 가능한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8-ary Phase Shift Keying),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3가지이기 때문에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변조방식 필드에는 2비트가 할당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64-QAM가 더 사용되는 경우에도 변조방식을 구분하는 데에는 2비트로 충분하다. 만일 단지 2가지의 변조방식들만이 사용된다면, 상기 변조방식 필드에는 1비트만이 할당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는 패킷 데이터 채널에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만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할당된 시간구간을 공유하는 이동 단말들이 월시부호를 서로 나누어 가지는 TDM/CDM(Time Division Multiplexing / 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과, 이동 단말들이 할당된 시간구간을 보다 세밀하게 서로 나누어 가지는 TDM/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의 순방향 송신기에서 패킷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 210에서 데이터 서비스중인 모든 이동 단말들로부터 순방향 무선채널의 품질 정보, 구체적으로는 순방향 파일럿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Carrier to Interference: C/I) 측정치를 획득하고, 과정 220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할당하기 위한 전송전력 및 월시부호의 수를 계산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상기 계산된 월시부호의 개수에 대한 제어정보는, 그 값이 바뀌었을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모든 이동 단말들에게 통보된다.과정 230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러는 상기 획득된 무선채널 품질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들에게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 패킷 데이터 채널을 할당할 단말을 선택하고 부호화 패킷 크기를 결정한다. 과정 240에서는 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의 순방향 무선채널 품질 정보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할당된 상기 전송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시 사용하기 위한 타임슬롯 수, 변조방식, 부호율이 결정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부호화 패킷의 크기나 전송 시간구간의 길이나 월시부호의 개수에 관계없이, 부호율과 변조방식을 다양하게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부호율과 변조방식은 무선채널 환경과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율에 따라 결정된다.과정 250에서 상기 기지국의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는 정해진 크기의 부호화 패킷을 상기 결정된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하고 상기 결정한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한 다음, 상기 결정된 개수 만큼의 월시부호들을 가지고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과정 260에서 기지국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는 상기 부호화 패킷 크기와 상기 타임슬롯 개수 및 상기 변조방식에 대한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 변조, 확산 등을 거쳐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실어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의 순방향 수신기에서 패킷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과정 310에서 이동 단말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수신기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패킷 데이터 채널에 관련된 부호화 패킷 크기와, 타임슬롯 개수와, 변조방식에 대한 제어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부호화 패킷 크기와 변조방식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은 제어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타임슬롯 개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호하는 과정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동 단말은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월시부호 개수에 대한 제어정보를 이미 획득한 것으로 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또한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을 지시하는 MAC ID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MAC ID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과정 320으로 진행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를 가동한다.상기 과정 320에서는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는 패킷 데이터 채널의 매 타임슬롯마다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월시부호 수만큼의 월시부호들로 역확산하여 월시심볼 형태의 패킷 데이터를 수신다. 과정 330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는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타임슬롯 수만큼의 시간구간동안 수신한 월시 심볼들을 상기 변조방식에 의해 복조한다. 과정 304에서는 상기 복조된 심볼은 미리 정해지는 인터리빙 규칙 및 복호화 규칙에 따라 인터리빙되고 터보 복호화됨으로써 패킷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과정 350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는 상기 복호결과 얻어진 패킷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기지국에게 상기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류 검출 비트 부가기(410), 테일 비트 부가기(420), 길쌈 부호기(430), 심볼 반복기(440), 심볼 천공기(450), 인터리버(460), 변조기(470), 월시부호 확산기(480), 제어정보 생성기(400), 송신 제어기(490)로 구성된다.여기서 오류 검출 비트 부가기(410), 테일 비트 부가기(420), 길쌈 부호기(430), 심볼 반복기(440), 심볼 천공기(450), 인터리버(460), 변조기(470), 월시부호 확산기(480)는 상기 제어정보 생성기(400)에 의해 생성된 제어정보를 실제로 전송하는 제어정보 송신기를 형성하며, 상기 송신 제어기(490)는 상기 제어정보 송신기의 송신 블록들을 제어한다.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기지국의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중인 모든 이동 단말들로부터 획득한 순방향 무선채널 품질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이동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부호화 패킷 크기, 부호율, 변조방식, 전송 시간구간(타임슬롯 개수)을 결정한다.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월시부호의 개수는 이미 모든 이동 단말에게 브로드캐스팅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어정보 생성기(400)는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앞서 언급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ID 필드와 ARQ Channel ID 필드와 Encoder Packet Size 필드와 Sub-packet ID 필드와 Modulation Order 필드로 구성된 17비트 크기의 한 프레임의 정보이다. 송신 제어기(49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T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TDM/T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또는 TDM/C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각각에 대해 각 전송 블록에서 사용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지시한다. 여기에서는 TDM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정보 생성기(400)에서 생성된 상기 17비트의 제어정보는,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기(410)에서 8비트의 오류 검출 부호가 추가되고, 상기 테일 비트 부가기(420)에서 복호화시 특정 상태로의 수렴을 위한 8비트가 추가된다. 상기 길쌈 부호기(430)는 상기 테일 비트 부가기(420)로부터의 33비트 출력 비트들을 제어정보의 전송 시간구간에 따라 정해지는 부호율 R을 가지고 부호화하여 부호화 심볼들을 출력한다. 제어정보가 1-TS(N=1이라고 함) 동안 전송되면 상기 부호율은 1/2이고, 2-TS(N=2이라고 함) 또는 4-TS(N=4이라고 함) 동안 전송되면 상기 부호율은 1/4이다.
상기 길쌈 부호기(430)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심볼들은 심볼 반복기(440)에 의해 제어정보의 전송 시간구간에 따라 적절하게 반복된다. 즉, 제어정보가 1-TS 또는 2-TS 동안 전송되면(N=1 or 2) 입력 부호화 심볼들은 반복되지 않으며, 4-TS동안 전송되면(N=4) 1회 반복된다. 상기 심볼 천공기(450)는 상기 반복된 부호화 심볼들을 입력받아 소정 천공 패턴에 따라 일부 심볼들을 제거하여 나머지 심볼들을 출력한다.상기 인터리버(460)는 상기 심볼 천공기(450)로부터 입력되는 심볼들의 개수에 따라 인터리빙 메모리의 크기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리빙 메모리를 이용하여 입력 심볼들을 인터리빙한다. 상기 변조기(470)는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미리 정해지는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변조심볼들을 출력하며, 상기 월시부호 확산기(480)에서 상기 변조기(470)로부터의 변조심볼들을,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해 할당된 64칩 길이의 월시부호를 가지고 확산시킨다.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할당된 상기 월시부호는 패킷 데이터 채널에 할당되는 월시부호들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상기 월시부호 확산기(480)로부터의 출력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로부터의 월시 확산된 출력과 함께 의사잡음(Pseudo-random Noise: PN) 부호에 의한 확산 및 기저대역 필터링을 거쳐서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된 다음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 송신기로부터의 출력은 상기 결정된 부호화 패킷 크기만큼의 패킷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부호율에 의해 부호화하고 상기 결정된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한 뒤 상기 결정된 월시부호 수만큼의 월시부호들을 가지고 확산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월시부호 역확산기(510), 다중경로 심볼 누적기(520), 디인터리버(530), 역천공기(540), 연속 심볼 누적기(550), 복호기(560), 오류 비트 검출기(570), 그리고 수신 제어기(580)로 구성된다.제어정보의 수신 과정은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의 역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신 제어기(58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T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TDM/T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또는 TDM/CDM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각각에 대해 각 수신 블록에서 적용될 파라미터들을 정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송신단에서 TDM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월시부호 역확산기(5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해 할당된 월시부호를 가지고 역확산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월시부호 역확산기(510)는 다중 반사경로 각각에 대해 월시부호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월시부호 역확산기(510)에서 역확산된 심볼들은 상기 다중 경로 심볼 누적기(520)에 의하여 상기 다중 반사경로의 개수만큼 누적된다. 상기 누적된 심볼들은 상기 디인터리버(530)에서 기지국에서 사용한 인터리빙 규칙에 대응하는 디인터리빙 규칙에 따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되며, 상기 역천공기(540)에서는 기지국에서 사용한 천공패턴에 대응하는 역천공패턴에 따라 소정 개수개만큼의 '0' 심볼들을 상기 디인터리빙된 심볼들 사이에 채워 넣는다. 상기 역천공기(540)로부터 출력되는 심볼들은 상기 연속 심볼 누적기(550)에 의해, 기지국에서의 심볼 반복 동작에 대응하도록 누적된다. 즉 상기 연속 심볼 누적기(550)는 제어정보의 전송 시간구간이 4-TS인 경우(N=4)인 경우에만 입력 심볼들을 1회 누적한다.
상기 연속 심볼 누적기(550)에 의해 누적된 심볼들은 복호기(560)에 의해 소정 부호율 R을 가지고 복호된다. 상기 부호율은 N=1인 경우 1/2, N=2 또는 4인 경우 1/4가 사용된다. 상기 오류 비트 검출기(570)는 상기 복호된 정보비트들이 오류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오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복호된 정보비트들이 기지국에 의하여 송신된 제어정보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시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이동 단말은 상기 제어정보에서 추출된 MAC ID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만일 일치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를 가동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 수신기는 상기 제어정보에서 전송 시간구간(타임슬롯 개수), 변조방식, 부호율, 부호화 패킷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따라,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월시 역확산, 복조, 복호한다. 여기서 수신 데이터를 역확산하는데 필요한 월시부호의 개수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미 브로드캐스팅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과 이동 단말은 패킷 데이터 채널을 위한 부호화 패킷 크기, 월시부호 개수에 따라 변조방식과 부호율을 매핑시키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소형화, 저전력화, 저가격화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부호화 패킷 크기와 월시부호 개수와 전송 시간구간의 조합에 관계없이 변조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초기전송시와 재전송시에 무선채널 환경에 따라 변조방식과 부호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약 조건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SPDCCH)을 통해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의 순방향 송신기에서 패킷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의 순방향 수신기에서 패킷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순방향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순방향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2)

  1.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 시간구간과 동일한 시간구간 동안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제어정보 내의 한 정보필드에 삽입하여,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방식들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8-ary Phase Shift Keying),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64-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중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되는 부호화 패킷 크기와 부호율과 월시부호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소정의 전송 시간구간 동안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복조된 제어정보내의 한 정보필드에서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방식들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8-ary Phase Shift Keying),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64-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중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의 전송 시간구간과 동일한 시간구간 동안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제어정보 내의 한 정보필드에 삽입하는 제어정보 생성기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는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정보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방식들은, QPSK, 8-PSK, 16-QAM, 64-QAM 중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되는 부호화 패킷의 크기와, 월시부호의 수와, 부호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부호화 패킷을 소정 부호율에 따라 부호화하고 소정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한 후 적어도 하나의 월시부호들에 의해 확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파라미터들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기와,
    사용 가능한 복수의 변조방식들 중 상기 부호화 패킷을 전송할 시에 사용된 변조방식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내의 한 정보필드에서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방식들은, QPSK, 8-PSK, 16-QAM, 64-QAM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1-0075309A 2001-11-30 2001-11-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309A KR100474719B1 (ko) 2001-11-30 2001-11-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07,643 US7369527B2 (en) 2001-11-30 2002-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309A KR100474719B1 (ko) 2001-11-30 2001-11-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523A KR20030044523A (ko) 2003-06-09
KR100474719B1 true KR100474719B1 (ko) 2005-03-08

Family

ID=1971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309A KR100474719B1 (ko) 2001-11-30 2001-11-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69527B2 (ko)
KR (1) KR100474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79B1 (ko) 2004-09-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채널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220B2 (en) * 2001-05-07 2004-10-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packet data
KR100860023B1 (ko) * 2001-12-29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US7346094B2 (en) * 2002-12-13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within a wire 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04089027A1 (ja) * 2003-03-31 2004-10-14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フロー制御方法
US20050002529A1 (en) * 2003-06-17 2005-01-06 Rath Vannithamby Extended walsh code space for forward packet data channel in IS-2000 system
US20050047517A1 (en) * 2003-09-03 2005-03-03 Georgios Giannakis B. Adaptive modulation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s with partial channel knowledge
US7075906B2 (en) * 2003-09-30 2006-07-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identification in wireless data networks
KR101008623B1 (ko) * 2003-12-02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수신 확인 채널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수신확인 제어 방법
KR100770842B1 (ko) * 2003-12-1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역방향 채널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JP4583054B2 (ja) * 2004-03-05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および基地局
USD512029S1 (en) * 2004-06-28 2005-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ght-emitting diode
US7979561B2 (en) * 2005-03-10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multiplexing over an error-prone wireless broadcast channel
JP4689316B2 (ja) * 2005-03-28 2011-05-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の下りリンクチャネルを伝送する制御情報のエラー検出方法及び移動端末
JP4643330B2 (ja) * 2005-03-28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451266B (zh) 2005-04-26 2021-06-01 康文森无线许可有限公司 用于voip的固定hs-dsch或者e-dch分配
KR101358134B1 (ko) * 2006-02-17 2014-02-07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 자원들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구성된 공중-인터페이스 엔코더 패킷들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US8493973B2 (en) * 2006-04-04 2013-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in advanced-VSB (A-VSB) system in which transport packet without adaptation field is provided at fixed location in data field slices
US8566676B2 (en) 2007-01-05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FEC code and code rate selection based on packet size
CN101682919A (zh) * 2007-03-19 2010-03-24 株式会社Ntt都科摩 基站装置、移动台和无线通信系统以及通信控制方法
TWI413402B (zh) * 2007-12-13 2013-10-21 Altek Corp 具有影像加密功能之影像處理系統及方法
JP5127588B2 (ja) * 2008-06-23 2013-01-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7864683B2 (en) * 2008-08-15 2011-01-04 Alcatel-Lucent Usa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air-interface encoder packets configured for more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US9294219B2 (en) * 2008-09-30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00113021A1 (en) * 2008-10-31 2010-05-06 Nokia Corporation Association of Network Cells with Location Information
JP4898858B2 (ja) 2009-03-02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器、復号化器及び符号化方法
KR101042617B1 (ko) * 2010-11-15 2011-06-20 (주)체리루미 수족관용 조명장치
US9602594B2 (en) * 2012-07-31 2017-03-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ing requests
US9955467B2 (en) 2013-06-27 2018-04-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B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UE, and method and UE for handling control information
WO2015103746A1 (en) * 2014-01-08 2015-07-16 Qualcomm Incorporated Small mbsfn enhancement
EP3244652A4 (en) * 2015-01-29 2018-01-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L271457B2 (en) * 2017-11-09 2024-02-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determ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9592A1 (en) * 1998-03-24 1999-09-30 Vistar Telecommunications Inc. Tdm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17950A (ko) * 1999-08-16 2001-03-05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KR20010048000A (ko) * 1999-11-24 2001-06-15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KR20030028352A (ko) * 2001-10-13 200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736B1 (en) * 2000-04-04 2003-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radio link adaptation and base station sector sele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167461B2 (en) * 2001-10-15 2007-0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hared subpackets in a communication system
AU2002365332B2 (en) * 2001-11-30 2006-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information between base and mobile st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9592A1 (en) * 1998-03-24 1999-09-30 Vistar Telecommunications Inc. Tdm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17950A (ko) * 1999-08-16 2001-03-05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KR20010048000A (ko) * 1999-11-24 2001-06-15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KR20030028352A (ko) * 2001-10-13 200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79B1 (ko) 2004-09-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채널에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69527B2 (en) 2008-05-06
KR20030044523A (ko) 2003-06-09
US20030103481A1 (en) 200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71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01186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전송율 결정 장치 및 방법
AU767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urst pilot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283559B2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data ser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5455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4247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ting transmission of a data rate control channel in an hd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979562B1 (en) Rate and c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a wireless spread spectrum telecommunication system.
EP0903019B1 (en) Subscriber unit for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344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KR100389663B1 (ko) 확산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US6678311B2 (en) High dat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variable sized channel codes
AU746537B2 (en) A subscriber unit and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64575A (ko) 패킷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프리앰블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20030543A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 및 그에 의한신호 송신 방법
KR20020044526A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의 패킷채널 송신 전력 통보 장치 및 방법
KR20020039503A (ko)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에서효율적인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송신전력 제어 장치및 방법
KR20020031026A (ko)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적응적인 패킷 데이터의 전송율 및 변복조 파라미터 결정장치 및 방법
KR19990053173A (ko) 고속 데이터 통신용 멀티 밴드 코드분할 다중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