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4510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510B1
KR100474510B1 KR10-2002-0024984A KR20020024984A KR100474510B1 KR 100474510 B1 KR100474510 B1 KR 100474510B1 KR 20020024984 A KR20020024984 A KR 20020024984A KR 100474510 B1 KR100474510 B1 KR 10047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gate
nand gate
addr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800A (ko
Inventor
김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2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5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5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8Address generation devices; Devices for accessing memories, e.g. details of address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029/1202Word line control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시 메모리 셀 어레이의 각 섹터의 이븐 워드라인과 오드 워드라인으로 분리하여 한번의 프로그램으로 한 섹터의 1/2(즉, 이븐 워드라인 또는 오드 워드라인)을 프로그램 함으로써 프로그램 시간을 감소시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Test circuit of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크보드패턴(Check Board Pattern) 구조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를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은 메모리의 단위인 하나의 데이터 비트(Data Bit)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의 성능에 크게 의존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조될 때 메모리 셀의 동작 성능을 테스트(Test)하고, 테스트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소자 구조, 제조 공정 또는 회로 설계에 피드백(Feedback)하는 테스트 제조를 반복함으로써 상업적 제품에 요구되는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그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는 메모리 셀 어레이(미도시)의 각 워드라인(Word Line)(WLn)(여기서, n은 자연수)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X 어드레스 버퍼(X Address Buffer)(110), X 프리 디코더(X Pre-Decoder)(120) 및 X 디코더(X Decoder)(130)를 포함한다. 상기 X 어드레스 버퍼(110)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각 워드라인(WLn)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A<n>)를 입력받아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X 프리 디코더(120)는 X 어드레스 버퍼(110)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n>)(여기서, n은 자연수)를 프리 디코딩하여 X 디코더(130)로 출력한다. 상기 X 디코더(130)는 X 프리 디코더(1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A<n>)중 선택된 워드라인을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는 X 어드레스 버퍼(110)로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n>)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의 테스트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 회로는 체크보드패턴 구조로 배열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테스트하기 위해서 각 워드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프로그램 시간(Program Time)이 메모리 셀의 집적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회로를 이용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테스트 방법에서는 바이트(Byte) 또는 워드(Word) 단위로 데이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이 때문에 한 섹터(예컨대, 64바이트)를 프로그램할 경우 많은 프로그램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테스트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그 만큼 테스트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시 프로그램 시간을 감소시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X 어드레스 버퍼와,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노말 모드시에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워드라인 별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테스트 모드시에는 그룹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섹터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섹터 단위 내에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워드라인 중 이븐 또는 오드 번째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상기 섹터 내에 포함된 워드라인을 모두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프리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X 프리 디코더와, 상기 X 프리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리 디코딩 신호에 따라 워드라인 별로, 이븐 번째 워드라인 별로, 오드 번째 워드라인 별로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X 디코더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중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는 메모리 셀 어레이(미도시)의 각 워드라인(WLn)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A<n>)를 입력받아 임시로 저장하는 X 어드레스 버퍼(210)와, X 어드레스 버퍼(210)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n>) 및 테스트 워드라인 선택신호들(TALLWL, THALFWL)을 프리 디코딩하여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AR, XPREBL, XPREBR, XPRECL 및 XPRECR)(도 3a 내지 도 3c 참조)을 출력하는 X 프리 디코더(220)와, X 프리 디코더(220)로부터 출력되는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AR, XPREBL, XPREBR, XPRECL 및 XPRECR)을 디코딩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WLn)중 선택된 워드라인을 구동시키는 X 디코더(230)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상기 X 프리 디코더(220)는 X 어드레스 버퍼(210)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n>)와 외부로부터 테스트 워드라인 선택신호들(TALLWL, THALFWL)을 입력받고, 이 신호들(ADDRESS, TALLWL 및 THALFWL)에 따라 섹터 단위(도 4 참조)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섹터 단위에 포함된 워드라인(WLn)중 이븐 워드라인(Even Word Line)(WL0, WL2, WL4,..., WLn-2, WLn) 또는 오드 워드라인(Odd Word Line)(WL1, WL3, WL5,..., WLn-3, WLn-1) 단위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AR, XPREBL, XPREBR, XPRECL 및 XPRECR)을 출력한다.
상기에서, 테스트 워드라인 선택신호(TALLWL)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섹터 단위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X 프리 디코더(220)로 입력되는 신호(이하, '제1 선택신호'라 함)이고, 상기 테스트 워드라인 선택신호(THALFWL)는 섹터 단위에 포함된 워드라인을 이븐 워드라인 또는 오드 워드라인으로 분리하여 각각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X 프리 디코더(220)로 입력되는 신호(이하, '제2 선택신호'라 함)이다. 상기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BL 및 XPRECL)은 섹터 단위에 포함된 워드라인중 이븐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고, 상기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R, XPREBR 및 XPRECR)은 섹터 단위에 포함된 워드라인중 오드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X 프리 디코더(220)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븐 워드라인(WL0, WL2, WL4,..., WLn-2, WLn) 및 오드 워드라인(WL1, WL3, WL5,..., WLn-3, WLn-1)과, 비트라인(BL0 내지 BLn)을 포함하는 '512 ×1024' 크기를 가지는 섹터를 예로 들기로 한다. 또한, '512 ×1024'의 섹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8비트, 예컨대 A<7> 에서 A<14>(이하, 'A<7:14>'로 표시함)의 어드레스 신호를 사용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X 프리 디코더(220)(도 2 참조)는 어드레스 신호(A<7:9>), 테스트 모드신호(TNWL), 그룹신호(GROUP) 및 제1 선택신호(TALLWL)를 입력받아 논리조합하는 제1 논리조합부(221a)와, 어드레스 신호(A<10:11>)(A<6>), 그룹신호(GROUP),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THALFWL)를 논리조합하는 제2 논리조합부(221b)와, 어드레스 신호(A<12:14>), 그룹신호(GROUP) 및 제1 선택신호(TALLWL)를 논리조합하는 제3 논리조합부(22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논리조합부(221a)의 각 출력신호들을 디코딩하여 프리디코딩신호(XPREAL<0:7>, XPREAR<0:7>)(이하, '제1 프리디코딩신호"라 함)를 출력하는 제1 디코딩부(222a)와, 제2 논리조합부(221b)의 각 출력신호들(XAB<10>, XA<10>, XAB<11>, XA<11>, XAB<6>, XA<6>)을 디코딩하여 프리디코딩신호(XPREBL<0:3>, XPREBR<0:3>)(이하, '제2 프리디코딩신호'라 함)을 출력하는 제2 디코딩부(222b)와, 제3 논리조합부(221c)의 각 출력신호들(XCB<12>, XC<12>, XCB<13>, XC<13>, XCB<14>, XC<14>)을 디코딩하여 프리디코딩신호(XPRECL<0:7>, XPRECR<0:7>)(이하, '제3 프리디코딩신호'라 함)을 출력하는 제3 디코딩부(222c)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테스트 모드신호(TNWL)는 메모리 셀의 테스트 모드(Test Mode)와 노말(Normal) 모드(즉, 종래와 동일하게 메모리 셀 어레이의 각 워드라인을 하나씩 구동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고, 그룹신호(GROUP)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형성하는 메모리 셀들의 그룹(예컨대, 뱅크 또는 섹터) 단위로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논리조합부(221a)는 어드레스 신호(A<7>)와 테스트 모드신호(TNWL)를 입력받아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 Gate)(OR1)와, 오아 게이트(OR1)의 출력신호와 인버터(Inverter)(INV1)에 의해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이하, '제1 반전선택신호'라 함)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 Gate)(NAND1)를 포함한다. 그리고, 테스트 모드신호(TNWL)와 난드 게이트(NAND1)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2)와, 오아 게이트(OR2)의 출력신호와 제1 반전선택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2)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8>)와 제1 반전선택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와, 난드 게이트(NAND3)의 출력신호와 제1 반전선택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4)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9>)와 인버터(INV2)에 의해 반전된 그룹신호(GROUP)(이하, '반전그룹신호'라 함)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3)와, 오아 게이트(OR3)의 출력신호와 제1 반전선택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5)를 포함한다. 그리고, 난드 게이트(NAND5)의 출력신호와 반전그룹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4)와, 오아 게이트(OR4)의 출력신호와 제1 반전선택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디코딩부(222a)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NAND7 내지 NAND14)와, 다수의 인버터(INV3 내지 INV18)를 포함한다. 난드 게이트(NAND7)는 난드 게이트들(NAND1, NAND3, NAND5)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 및 INV4)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8)는 난드 게이트들(NAND2, NAND3, NAND5)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5 및 INV6)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9)는 난드 게이트들(NAND1, NAND4, NAND5)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7 및 INV8)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10)는 난드 게이트들(NAND2, NAND4, NAND5)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9 및 INV10)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11)는 난드 게이트들(NAND1, NAND3, NAND6)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11 및 INV12)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12)는 난드 게이트들(NAND2, NAND3, NAND6)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13 및 INV14)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13)는 난드 게이트들(NAND1, NAND4, NAND6)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15 및 INV16)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14)는 난드 게이트들(NAND2, NAND4, NAND6)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17 및 INV18)로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 및 INV4)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7)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0> 및 XPREAR<0>)를 출력한다. 인버터들(INV5 및 INV6)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8)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1> 및 XPREAR<1>)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7 및 INV8)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9)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2> 및 XPREAR<2>)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9 및 INV10)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1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2> 및 XPREAR<2>)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11 및 INV12)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1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3> 및 XPREAR<3>)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13 및 INV14)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12)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4> 및 XPREAR<4>)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15 및 INV16)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13)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6> 및 XPREAR<6>)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17 및 INV18)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14)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7> 및 XPREAR<7>)을 출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X 프리 디코더(220)의 제1 논리조합부(221a)와 제1 디코딩부(222a)의 구성을 토대로 그의 동작 특성을 하기의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9> A<8> A<7> NAND1 NAND2 NAND3 NAND4 NAND5 NAND6
0 0 0 1 0 1 0 1 0
0 0 1 0 1 1 0 1 0
0 1 0 1 0 0 1 1 0
0 1 1 0 1 0 1 1 0
1 0 0 1 0 1 0 0 1
1 0 1 0 1 1 0 0 1
1 1 0 1 0 0 1 0 1
1 1 1 0 1 0 1 0 1
A<9> A<8> A<7> NAND1 NAND2 NAND3 NAND4 NAND5 NAND6
0 0 0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0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상기에서, 표 1은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테스트 모드신호(TNWL)가 '0'이며,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1 내지 NAND6)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며, 표 2는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테스트 모드신호(TNWL)가 '1'이며,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1 내지 NAND6)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이러한 표 1 및 표 2를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7 내지 NAND14)의 출력값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한다.
상기의 수학식 1을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7 내지 NAND14)의 출력값을 구하면 하기의 표 3과 표 4와 같다. 여기서, 표 3은 표 1에 대응되는 값이며, 표 4는 표 2에 대응되는 값이다.
NAND7 NAND8 NAND9 NAND10 NAND11 NAND12 NAND13 NAND14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NAND7 NAND8 NAND9 NAND10 NAND11 NAND12 NAND13 NAND14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상기의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난드 게이트들(NAND7 내지 NAND14)의 출력값을 토대로 볼 때,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0:7> 및 XRPEAR<0:7>)은 하기 표 5와 표 6과 같다. 여기서, 표 5는 표 3에 대응되는 값이며, 표 6은 표 4에 대응되는 값이다.
XPREAL/XPREAR<0> XPREAL/XPREAR<1> XPREAL/XPREAR<2> XPREAL/XPREAR<3> XPREAL/XPREAR<4> XPREAL/XPREAR<5> XPREAL/XPREAR<6> XPREAL/XPREAR<7>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XPREAL/XPREAR<0> XPREAL/XPREAR<1> XPREAL/XPREAR<2> XPREAL/XPREAR<3> XPREAL/XPREAR<4> XPREAL/XPREAR<5> XPREAL/XPREAR<6> XPREAL/XPREAR<7>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즉, 상기의 표 5을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테스트 모드신호(TNWL)가 '0'이며,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일 경우에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0:7> 및 XPREAR<0:7>)은 각 어드레스 신호(A<7:9>)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즉, '1' 상태 출력)된다. 상기의 표 6을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테스트 모드신호(TNWL)가 '1'이며,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일 경우에 제1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0:7> 및 XPREAR<0:7>)은 각 어드레스 신호(A<7:9>)에 무관하게 모두 '1' 상태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테스트 모드(즉, 테스트 모드신호가 '1'일 경우)시 섹터 단위로 테스트 그룹(즉, 그룹신호에 의해 선택)이 선택되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일 경우에 모든 워드라인이 선택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논리조합부(221b)는 제1 선택신호(TALLWL)와 제2 선택신호(THALFWL)를 부정 논리합하는 노아 게이트(NOR Gate)(NOR1)와, 어드레스 신호(A<10>)와 인버터(INV19)에 의해 반전된 그룹신호(GROUP)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5)와, 오아 게이트(OR5)의 출력신호와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난드 게이트(NAND15)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그룹신호(GROUP)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6)와, 오아 게이트(OR)의 출력신호와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11>)와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17)와, 난드 게이트(NAND17)의 출력신호와 노아 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6>)와 인버터(INV20)에 의해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19)와, 난드 게이트(NAND19)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을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디코딩부(222b)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NAND21 내지 NAND28)와 다수의 인버터(INV21 내지 INV28)를 포함한다. 난드 게이트(NAND21)는 난드 게이트들(NAND15, NAND17, NAND19)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1)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2)는 난드 게이트들(NAND16, NAND17, NAND19)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2)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3)는 난드 게이트들(NAND15, NAND18, NAND19)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3)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4)는 난드 게이트들(NAND16, NAND18, NAND19)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4)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5)는 난드 게이트들(NAND15, NAND17, NAND20)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5)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6)는 난드 게이트들(NAND16, NAND17, NAND20)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6)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7)는 난드 게이트들(NAND15, NAND18, NAND20)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7)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28)는 난드 게이트들(NAND16, NAND18, NAND20)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28)로 출력한다. 인버터(INV21)는 난드 게이트(NAND2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L<0>)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2)는 난드 게이트(NAND22)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L<1>)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3)는 난드 게이트(NAND23)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L<2>)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4)는 난드 게이트(NAND24)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L<3>)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5)는 난드 게이트(NAND25)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R<0>)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6)는 난드 게이트(NAND26)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R<1>)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7)는 난드 게이트(NAND27)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R<2>)를 출력한다. 인버터(INV28)는 난드 게이트(NAND28)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2 프리디코딩신호(XPREBR<3>)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X 프리 디코더(220)의 제2 논리조합부(221b)와 제2 디코딩부(222b)의 구성을 토대로 그의 동작 특성을 하기의 표 7 및 표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6> A<11> A<10> NAND15 NAND16 NAND17 NAND18 NAND19 NAND20
0 0 0 1 0 1 0 1 0
0 0 1 0 1 1 0 1 0
0 1 0 1 0 1 0 1 0
0 1 1 0 1 1 0 1 0
1 0 0 1 0 1 0 0 1
1 0 1 0 1 1 0 0 1
1 1 0 1 0 1 0 0 1
1 1 1 0 1 1 0 0 1
A<6> A<11> A<10> NAND15 NAND16 NAND17 NAND18 NAND19 NAND20
0 0 0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0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A<6> A<11> A<10> NAND15 NAND16 NAND17 NAND18 NAND19 NAND20
0 0 0 1 1 1 1 1 0
0 0 1 1 1 1 1 1 0
0 1 0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0 0 1 1 1 1 0 1
1 0 1 1 1 1 1 0 1
1 1 0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상기에서, 표 7은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및 THALFWL)가 '0'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15 내지 NAND20)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표 8은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이고, 제2 선택신호(THALFWL)가 '0'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15 내지 NAND20)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표 9는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이고, 제2 선택신호(THALFWL)가 '1'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15 내지 NAND20)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7 내지 표 9를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21 내지 NAND28)의 출력값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구한다.
상기의 수학식 2를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21 내지 NAND28)의 출력값을 구하면 하기의 표 10 내지 12와 같다. 여기서, 표 10은 표 7에 대응되는 표이고, 표 11은 표 8에 대응되는 표이며, 표 12는 표 9에 대응되는 표이다.
NAND21 NAND22 NAND23 NAND24 NAND25 NAND26 NAND27 NAND28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NAND21 NAND22 NAND23 NAND24 NAND25 NAND26 NAND27 NAND28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NAND21 NAND22 NAND23 NAND24 NAND25 NAND26 NAND27 NAND28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상기의 표 10 내지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난드 게이트들(NAND21 내지 NAND28)의 출력값을 토대로 볼 때,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BL<0:3> 및 XRPEBR<0:3>)은 하기 표 13 내지 표 15와 같다.
XPREBL<0> XPREBL<1> XPREBL<2> XPREBL<3> XPREBR<0> XPREBR<1> XPREBR<2> XPREBR<3>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XPREBL<0> XPREBL<1> XPREBL<2> XPREBL<3> XPREBR<0> XPREBR<1> XPREBR<2> XPREBR<3>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XPREBL<0> XPREBL<1> XPREBL<2> XPREBL<3> XPREBR<0> XPREBR<1> XPREBR<2> XPREBR<3>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1 1
즉, 상기의 표 13을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및 THALFWL)가 '0'일 경우에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BL<0:3> 및 XPREBR<0:3>)은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즉, '1' 상태 출력)되게 된다. 상기의 표 14를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이며, 제2 선택신호(THALFWL)가 '0'일 경우에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BL<0:3> 및 XPREBR<0:3>)은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와 무관하게 모두 '1' 상태로 출력된다. 상기의 표 15를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이며, 제2 선택신호(THALFWL)가 '1'일 경우에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BL<0:3> 및 XPREBR<0:3>)은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에 따라 '1' 또는 '0' 상태로 출력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및 THALFWL)가 '0'일 경우에는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에 따라 순차적으로 워드라인(WLn)이 선택되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이고, 제2 선택신호(THLFWL)가 '0'일 경우에는 모든 워드라인(WL0 내지 WLn)이 선택되며,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이고, 제2 선택신호(THALFWL)가 '1'일 경우에는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에 따라 이븐 워드라인(WL0, WL2, WL4,..., WLn-2, WLn)이 선택되거나, 오드 워드라인(WL1, WL3, WL5,...WLn-3, WLn-1)이 선택된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논리조합부(221c)는 어드레스 신호(A<12>)와 인버터(INV29)에 의해 반전된 그룹신호(GROUP)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7)와, 오아 게이트(OR7)의 출력신호와 인버터(INV30)에 의해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29)를 포함한다. 그리고, 난드 게이트(NAND29)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그룹신호(GROUP)를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OR8)와, 오아 게이트(OR8)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13>)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1)와, 난드 게이트(NAND31)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A<14>)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를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3)와, 난드 게이트(NAND33)의 출력신호와 반전된 제1 선택신호(TALLWL)을 부정 논리곱하는 난드 게이트(NAND3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디코딩부(222c)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NAND35 내지 NAND42)와 다수의 인버터(INV31 내지 INV45)를 포함한다. 난드 게이트(NAND35)는 난드 게이트들(NAND29, NAND31, NAND33)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1 및 INV32)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36)는 난드 게이트들(NAND30, NAND31, NAND33)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3 및 INV34)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37)는 난드 게이트들(NAND29, NAND32, NAND33)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5 및 INV36)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38)는 난드 게이트들(NAND30, NAND32, NAND33)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7 및 INV38)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39)는 난드 게이트들(NAND29, NAND31, NAND34)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39 및 INV40)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40)는 난드 게이트들(NAND30, NAND31, NAND34)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41 및 INV42)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41)는 난드 게이트들(NAND29, NAND32, NAND34)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INV43 및 INV44)로 출력한다. 난드 게이트(NAND42)는 난드 게이트들(NAND30, NAND32, NAND34)의 출력신호들을 부정 논리곱하여 그 출력신호를 인버터들(INV44 및 INV45)로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1 및 INV32)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35)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0> 및 XPRECR<0>)를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3 및 INV34)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36)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1> 및 XPRECR<1>)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5 및 INV36)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37)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2> 및 XPRECR<2>)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7 및 INV38)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38)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3> 및 XPRECR<3>)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39 및 INV40)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39)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4> 및 XPRECR<4>)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41 및 INV42)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4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5> 및 XPRECR<5>)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43 및 INV44)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41)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6> 및 XPRECR<6>)을 출력한다. 인버터들(INV45 및 INV46)은 각각 난드 게이트(NAND42)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제3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7> 및 XPRECR<7>)을 출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X 프리 디코더(220)의 제3 논리조합부(221c)와 제3 디코딩부(222c)의 구성을 토대로 그의 동작 특성을 하기의 표 16 및 표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14> A<13> A<12> NAND29 NAND30 NAND31 NAND32 NAND33 NAND34
0 0 0 1 0 1 0 1 0
0 0 1 0 1 1 0 1 0
0 1 0 1 0 1 0 1 0
0 1 1 0 1 1 0 1 0
1 0 0 1 0 1 0 0 1
1 0 1 0 1 1 0 0 1
1 1 0 1 0 1 0 0 1
1 1 1 0 1 1 0 0 1
A<14> A<13> A<12> NAND29 NAND30 NAND31 NAND32 NAND33 NAND34
0 0 0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0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상기에서, 표 16은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29 내지 NAND34)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표 17은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일 경우에 각 난드 게이트(NAND29 내지 NAND34)의 출력값을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16 및 표 17를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29 내지 NAND34)의 출력값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구한다.
상기의 수학식 3을 토대로 각 난드 게이트들(NAND21 내지 NAND28)의 출력값을 구하면 하기의 표 18 및 표 19와 같다.
NAND35 NAND36 NAND37 NAND38 NAND39 NAND40 NAND41 NAND42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1 0
NAND35 NAND36 NAND37 NAND38 NAND39 NAND40 NAND41 NAND4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상기의 표 18 및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난드 게이트들(NAND21 내지 NAND28)의 출력값을 토대로 볼 때,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BL<0:3> 및 XRPEBR<0:3>)은 하기 표 20 및 표 21과 같다. 여기서, 표 20은 표 18에 대응되는 표이고, 표 21는 표 19에 대응되는 표이다.
XPRECL/XPRECR<0> XPRECL/XPRECR<1> XPRECL/XPRECR<2> XPRECL/XPRECR<3> XPRECL/XPRECR<4> XPRECL/XPRECR<5> XPRECL/XPRECR<6> XPRECL/XPRECR<7>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XPRECL/XPRECR<0> XPRECL/XPRECR<1> XPRECL/XPRECR<2> XPRECL/XPRECR<3> XPRECL/XPRECR<4> XPRECL/XPRECR<5> XPRECL/XPRECR<6> XPRECL/XPRECR<7>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즉, 상기의 표 20을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일 경우에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0:7> 및 XPRECR<0:7>)은 각 어드레스 신호(A<12:14>)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즉, '1' 상태 출력)되게 된다. 상기의 표 21을 참조해 볼 때, 그룹신호(GROUP)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일 경우에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CL<0:7> 및 XPREBR<0:7>)은 각 어드레스 신호(A<12:14>)에 무관하게 모든 워드라인을 선택한다.
지금까지 도 3a 내지 도 3c를 토대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X 프리 디코더(220)는 노말 모드시와 테스트 모드에 따라 그 동작 특성이 분리된다. 노말 모드시에는 테스트 모드신호(TNWL),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및 THALFWL)가 모두 '0'일 경우, 상기의 표 5, 표 13 및 표 20과 같이 제1 내지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AR, XPREBL, XPREBR, XPRECL, XPRECR)가 모두 각 어드레스 신호(A<6>, A<7:14>)에 따라 순차적으로 워드라인(WLn)을 선택한다. 테스트 모드시에는 다시 제1 및 제2 선택신호(TALLWL 및 THALFWL)에 따라 선택되는 워드라인(WLn)이 결정된다. 예컨대, 테스트 모드신호(TNWL) 및 제1 선택신호(TALLWL)가 '1'이고, 제2 선택신호(THALFWL)가 '0'일 경우, 상기의 표 6, 표 14 및 표 21과 같이 제1 내지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XPREAL, XPREAR, XPREBL, XPREBR, XPRECL, XPRECR)가 모두 '1'로 출력되어 섹터 내의 모든 워드라인(WLn)을 선택한다. 그러나, 테스트 모드신호(TNWL) 및 제2 선택신호(THALFWL)가 '1'이고, 제1 선택신호(TALLWL)가 '0'일 경우, 상기의 표 15와 같이 제2 프리디코딩신호들( XPREBL, XPREBR)가 각 어드레스 신호(A<6>, A<10:11>)에 따라 이븐 워드라인(WL0, WL2, WL4,..., WLn-2, WLn)이 선택되거나, 오드 워드라인(WL1, WL3, WL5,...WLn-3, WLn-1)이 선택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시 메모리 셀 어레이의 각 섹터의 이븐 워드라인과 오드 워드라인을 분리하여 한번의 프로그램으로 한 섹터의 1/2(즉, 이븐 워드라인 또는 오드 워드라인)을 프로그램 함으로써 프로그램 시간을 감소시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X 프리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세 회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례로 도시한 섹터의 간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X 어드레스 버퍼 120, 220 : X 프리 디코더
130, 230 : X 디코더 221a : 제1 논리조합부
221b : 제2 논리조합부 221c : 제3 논리조합부
222a : 제1 디코딩부 222b : 제2 디코딩부
222c : 제3 디코딩부

Claims (10)

  1.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X 어드레스 버퍼;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노말 모드시에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워드라인 별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테스트 모드시에는 그룹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섹터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섹터 단위 내에서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워드라인 중 이븐 또는 오드 번째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상기 섹터 내에 포함된 워드라인을 모두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프리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X 프리 디코더; 및
    상기 X 프리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프리 디코딩 신호에 따라 워드라인 별로, 이븐 번째 워드라인 별로, 오드 번째 워드라인 별로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워드라인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X 디코더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시, 상기 제1 선택신호는 상기 이븐 및 오드 번째 워드라인을 포함하여 모두 선택되도록 하는 신호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시, 상기 제2 선택신호는 상기 이븐 및 오드 번째 워드라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신호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 프리 디코더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노말 모드 또는 상기 테스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1 논리조합부;
    상기 제1 논리조합부의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1 디코딩부;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2 논리조합부;
    상기 제2 논리조합부의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2 디코딩부;
    상기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를 논리조합하는 제3 논리조합부; 및
    상기 제3 논리조합부의 출력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제3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조합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1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테스트 모드 신호를 논리합하는 제1 오아 게이트;
    상기 제1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 난드 게이트;
    상기 제1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2 오아 게이트;
    상기 제2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2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2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3 난드 게이트;
    상기 제3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4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3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3 오아 게이트;
    상기 제3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5 난드 게이트;
    상기 제5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4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제4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6 난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딩부는,
    상기 제1 논리조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 및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논리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부정 논리합하는 노아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4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5 오아 게이트;
    상기 제5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7 난드 게이트;
    상기 제7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6 오아 게이트;
    상기 제6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8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5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9 난드 게이트;
    상기 제9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0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6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1 난드 게이트; 및
    상기 제11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2 난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코딩부는,
    상기 제2 논리조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 및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논리조합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7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7 오아 게이트;
    상기 제7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3 난드 게이트;
    상기 제13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그룹신호의 반전신호를 논리합하는 제8 오아 게이트;
    상기 제8 오아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4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8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5 난드 게이트;
    상기 제15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6 난드 게이트;
    상기 어드레스 신호중 제9 어드레스 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7 난드 게이트; 및
    상기 제17 난드 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 선택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제18 난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코딩부는,
    상기 제3 논리조합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신호를 부정 논리곱하는 다수의 난드 게이트; 및
    상기 난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KR10-2002-0024984A 2002-05-07 2002-05-0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47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984A KR100474510B1 (ko) 2002-05-07 2002-05-0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984A KR100474510B1 (ko) 2002-05-07 2002-05-0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00A KR20030086800A (ko) 2003-11-12
KR100474510B1 true KR100474510B1 (ko) 2005-03-08

Family

ID=323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9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4510B1 (ko) 2002-05-07 2002-05-0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1B1 (ko) 2008-06-27 2010-03-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856B1 (ko) * 2006-08-10 2009-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장치
KR100878307B1 (ko) * 2007-05-11 2009-01-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 워드라인 테스트 제어 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994A (en) * 1993-03-20 1998-03-10 Hitachi, Ltd. Address multiplex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enabling testing of the entire circuit or for only partial components thereof
JP2001014892A (ja) * 1999-06-25 200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314035B1 (en) * 1999-07-19 2001-1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anifesting a short-circuit failure associated with column select line
JP2002063798A (ja) * 2000-06-07 2002-02-28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US20020101774A1 (en) * 2001-02-01 2002-08-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ontrollable operation timing of sense ampl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994A (en) * 1993-03-20 1998-03-10 Hitachi, Ltd. Address multiplex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enabling testing of the entire circuit or for only partial components thereof
JP2001014892A (ja) * 1999-06-25 200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314035B1 (en) * 1999-07-19 2001-1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anifesting a short-circuit failure associated with column select line
JP2002063798A (ja) * 2000-06-07 2002-02-28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US20020101774A1 (en) * 2001-02-01 2002-08-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ontrollable operation timing of sense ampl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1B1 (ko) 2008-06-27 2010-03-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00A (ko)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1810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burst access mode and multi-bit pre-fetch operation
JP6207748B2 (ja) アドレスデコードおよびアクセス線選択のための装置、メモリおよび方法
US529916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t circuit
KR100204810B1 (ko) 소거블럭사이즈를 가변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20091932A (ko) 선택적 배속동작 모드를 갖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639854B2 (en) Redundancy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200342940A1 (en) Circuit and method for at speed detection of a word line fault condition in a memory circuit
KR10096710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843193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コラム選択トランジスタのストレステスト方法
JP2000173265A (ja) 半導体メモリ
KR10047451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 회로
US5708623A (en) Semiconductor memory decoder device
US201502356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Level Shifting Decoder
JP4291239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テスト方法
KR10022842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엑스 디코더 회로
JP4125448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JP299947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4039220A (ja) 高速化疲労試験
US20110164463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Decoding Read Data-Bus With Column-Steering Redundancy
TWI416537B (zh) 半導體記憶體裝置和其字線驅動方法
KR100346452B1 (ko) 리던던트 워드라인 디스터번스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799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컬럼 어드레스 디코딩 회로
JP2001148193A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この装置の配置方法
KR100672104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0936798B1 (ko) 어드레스 디코더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