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3976B1 -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976B1
KR100473976B1 KR10-2002-0044469A KR20020044469A KR100473976B1 KR 100473976 B1 KR100473976 B1 KR 100473976B1 KR 20020044469 A KR20020044469 A KR 20020044469A KR 100473976 B1 KR100473976 B1 KR 10047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ssembly
housing
assembly
starter
bru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074A (ko
Inventor
김범래
유덕근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9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5Means for mechanical fixation of the brush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브러시 어셈브리를 모터 하우징과 브라켓의 사이에 조립하되, 상기 브러시 어셈브리의 브러시 홀더 또는 클램프 플레이트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가 하우징에 형성한 요홈부에 삽입된 채 조립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간단히 조립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우징(11) 및 전, 후 브라케트(12a)(12b)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13)와 정류자(14)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15)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16)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1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18)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19)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9a)로 이루어진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13)는 그 절연판(21) 체결용 클램프 플레이트(22)를 구비하되, 그 클램프 플레이트(22)의 외측으로 돌출편(22a)을 연장하고, 상기한 하우징(11)은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돌출편(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향홈(11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22a)이 상기 내향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BRUSH HOLDER ASS'Y FOR STARTER}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러시 어셈브리의 브러시 홀더 또는 클램프 플레이트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가 하우징에 형성한 요홈부에 삽입되어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조립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초기 구동시키기 위한 스타터(M)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 및 전, 후 브라케트(12a)(12b)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13)와 정류자(14)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15)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16)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1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18)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19)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9a)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는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중앙의 정류자(14)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이들 브러시를 내장 설치한 브러시 홀더(13b)와, 브러시 홀더의 외측에 클램프 플레이트(22)로써 고정되는 절연판(21)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이러한 브러시 어셈브리를 조립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상기 브러시 홀더(13b)에 나사구멍을 형성한 후, 그 나사구멍으로 나사(P)를 체결하여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방법은 별도의 부품인 나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나사 체결작업 때문에 작업 공수가 많아지고, 특히 나사 체결 불량시 또는 나세체결 누락시 모터 소손의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브러시 어셈브리를 모터 하우징과 브라켓의 사이에 조립하되, 상기 브러시 어셈브리의 브러시 홀더 또는 클램프 플레이트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가 하우징에 형성한 요홈부에 삽입된 채 조립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간단히 조립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우징 및 전, 후 브라케트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와 정류자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는 그 절연판 체결용 클램프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그 클램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편을 연장하고, 상기한 하우징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향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이 상기 내향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다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타터의 구성은 하우징(11) 및 전, 후 브라케트(12a)(12b)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13)와 정류자(14)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15)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16)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1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18)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19)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9a)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은 브러시 어셈브리(13)로 도 3에서와 같이 조립할 수 있는 제1실시예와, 도 4에서와 같은 브러시 어셈브리(13)를 도 5에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는 제2실시예가 있다.
제1실시예는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13)는 그 절연판(21) 체결용 클램프 플레이트(22)를 구비하되, 그 클램프 플레이트(22)의 외측으로 돌출편(22a)을 연장하고, 상기한 하우징(11)은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돌출편(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향홈(11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22a)이 상기 내향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러시 어셈브리는 절연판(21)이 클램프 플레이트(22)에 의해 브러시 홀더(13b)와 고정되어 있고, 그 절연판(21)의 클램프 플레이트(22)로부터 연장한 돌출편(22a)이 하우징(11)의 내향홈(11a)에 꼭 맞게 끼워진 채 후방 브라켓(12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용 나사가 필요치 않다.
또한, 제2실시예는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13)는 그 브러시 홀더(13b)의 외주면에서 복수의 돌출부(13a)들을 형성하고, 상기한 하우징(11)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13a)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내향홈(11a)들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3a)들이 상기 내향홈(11a)들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러시 어셈브리는 브러시 홀더(13b)에 형성된 2개 이상 복수 돌출부(13a)들이 역시 하우징(11)의 내향홈(11a)들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용 나사가 필요치 않다.
이상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브러시 홀더의 절연판 고정용 클램프 플레이트에서 연장한 돌출편들, 또는 브러시 홀더에서 직접 돌출시킨 돌출부들이 하우징에 형성한 내향홈에 끼워진 채 고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체결용 나사가 필요치 않게 되었고, 따라서 부품을 생략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고, 더 나가서 나사체결 누락으로 인한 불량 발생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타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러시 어셈브리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스타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브러시 어셈브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스타터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하우징 11a : 내향홈
12a : 전방 브라켓 12b : 후방 브라켓
13 : 브러시 어셈브리 13a : 돌출부
13b : 브러시 홀더 14 : 정류자
15 : 아마츄어 어셈브리 16 : 구동축
17 : 오버런닝 클러치 18 : 피니언
19 : 마그네트 스위치 19a : 레버
21 : 절연판 22 : 클램프 플레이트
22a : 돌출편

Claims (2)

  1. 하우징(11) 및 전, 후 브라케트(12a)(12b)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13)와 정류자(14)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15)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16)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1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18)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19)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9a)로 이루어진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13)는 그 절연판(21) 체결용 클램프 플레이트(22)를 구비하되, 그 클램프 플레이트(22)의 외측으로 돌출편(22a)을 연장하고,
    상기한 하우징(11)은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돌출편(2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향홈(11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22a)이 상기 내향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2. 하우징(11) 및 전, 후 브라케트(12a)(12b) 어셈브리의 내부에서 브러시 어셈브리(13)와 정류자(14)로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는 아마츄어(15)와, 상기 아마츄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16)과, 상기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1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의 피니언(18)을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 스위치(19)에 의해 작동하는 레버(19a)로 이루어진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한 브러시 어셈브리(13)는 그 브러시 홀더(13b)의 외주면에서 복수의 돌출부(13a)들을 형성하고,
    상기한 하우징(11)은 끝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13a)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내향홈(11a)들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3a)들이 상기 내향홈(11a)들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브라켓(12b)을 체결하므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KR10-2002-0044469A 2002-07-27 2002-07-27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47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69A KR100473976B1 (ko) 2002-07-27 2002-07-27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69A KR100473976B1 (ko) 2002-07-27 2002-07-27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74A KR20040011074A (ko) 2004-02-05
KR100473976B1 true KR100473976B1 (ko) 2005-03-10

Family

ID=3731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4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3976B1 (ko) 2002-07-27 2002-07-27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9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559A (ja) * 1982-12-29 1984-07-23 Nippon Denso Co Ltd モ−タ
JPS62145455U (ko) * 1986-03-05 1987-09-14
JPS62145454U (ko) * 1986-03-05 1987-09-14
JPS62149248U (ko) * 1986-03-14 1987-09-21
US4891539A (en) * 1986-10-31 1990-01-02 Mitsubishi Denki K.K. Brush device
JPH0464970U (ko) * 1990-10-17 1992-06-04
KR960002149U (ko) * 1994-06-24 1996-01-19 시동모우터의 브러쉬홀더어셈블리 플레이트
KR19990006821A (ko) * 1997-06-11 1999-01-25 가나이 쯔도무 영구 자기장 스타터 모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559A (ja) * 1982-12-29 1984-07-23 Nippon Denso Co Ltd モ−タ
JPS62145455U (ko) * 1986-03-05 1987-09-14
JPS62145454U (ko) * 1986-03-05 1987-09-14
JPS62149248U (ko) * 1986-03-14 1987-09-21
US4891539A (en) * 1986-10-31 1990-01-02 Mitsubishi Denki K.K. Brush device
JPH0464970U (ko) * 1990-10-17 1992-06-04
KR960002149U (ko) * 1994-06-24 1996-01-19 시동모우터의 브러쉬홀더어셈블리 플레이트
KR19990006821A (ko) * 1997-06-11 1999-01-25 가나이 쯔도무 영구 자기장 스타터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74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2111B1 (en) Brush holder arrangement of dc motor
KR100473976B1 (ko)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JP2009085217A (ja) エンジン始動装置の出力シャフト
US8069740B2 (en) Starter motor
KR930000928B1 (ko) 동축형 스타터
US6006618A (en) Starter motor with rear bracket elements fixed by through-bolts
US6269706B1 (en) Start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2004332704A (ja) 車両用スターターモーターのマグネットスイッチハウジング組立構造
KR100363143B1 (ko) 스타터
JPH0882273A (ja) スタータ装置
JP2001286095A (ja) ギヤードモータ
JP2606370B2 (ja) スタータ
JP6442031B2 (ja) 電動モータ
KR100525717B1 (ko)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KR100525715B1 (ko)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KR200142828Y1 (ko) 브러시레스 드럼모터의 로터 조립장치
JP3658864B2 (ja) スタータ
KR0135720Y1 (ko) 스타트모터
KR20040044046A (ko) 피니언 고정방법을 개선한 스타터 모터
KR100421096B1 (ko)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의 요크 어셈브리 구조
JP3690385B2 (ja) 直流電動機
KR200170605Y1 (ko) 시동전동기 모터의 레버 고정용 레버홀더
KR910007553Y1 (ko) 시동기
KR930001168B1 (ko) 동축형 스타터
JPH0615507Y2 (ja) 2つの出力ギヤを有する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