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1706B1 - 선염사 - Google Patents

선염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706B1
KR100471706B1 KR10-2002-7015477A KR20027015477A KR100471706B1 KR 100471706 B1 KR100471706 B1 KR 100471706B1 KR 20027015477 A KR20027015477 A KR 20027015477A KR 100471706 B1 KR100471706 B1 KR 10047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dye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dyed
elong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408A (ko
Inventor
야마자끼히로시
오우에가즈또
야마모또미쯔유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7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Colo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되고, 10 % 신장시의 탄성 회복률이 60 % 이상이며,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직편물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선염사 {DYED YARN}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 선염사에 관한 것이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나일론 섬유가 지닌 유연성과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지닌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치성 (신장 용이성과 신장후의 회복 용이성) 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 섬유로, 의료 (衣料)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의료용 분야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 직편물은 직편물로 만든 다음에 염색이 실시된, 이른바 후염이 이루어져, 유연한 촉감이나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얻고 있다.
그러나, 후염에서는, 실과 실 사이에 배색을 바꿔 모양을 형성하는, 고급스러운 패션성이 우수한 직편물은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실을 염색한 후에 직편물로 만드는, 이른바 선염사에 의한 직편물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지만,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본래 갖고 있는 유연한 촉감이나 스트레치성을 충분히 살리고, 치수 안전성이 우수하며, 직편물 용도에 적합한 선염사는 지금까지 얻고 있지 못하다.
또, 후염에 의해, 가연 가공 등의 실 가공으로 권축을 부여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사용하여, 스트레치성, 벌키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얻고 있다. 그러나, 가연 가공 등의 실 가공으로 권축을 부여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은 선염사로는, 권축 신장률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직편물로 만들었을 경우, 후염에 의해 얻은 직편물에 비해 스트레치성, 벌키성이 떨어지는 직편물밖에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스트레치성, 벌키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는, 권축 신장률이 높은 선염사가 요망되었다.
한편,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는 우수한 흡습성, 독특한 촉감을 갖고 있어 염색된 실로서 요망이 높다. 그러나,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만으로는, 직편물로 만든 경우,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고 잘 주름진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8-170238 호 등에는 재생 셀룰로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조합함으로써 치수 안전성이나 주름 방지성은 개선되지만, 촉감이 뻣뻣해지고, 또 폴리에스테르의 촉감이 되는 등,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을 크게 손상시키고 스트레치성도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을 가지며,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이 우수한 선염사가 요망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염색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되고, 10 % 신장시 탄성 회복률이 60 % 이상이며,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2. 상기 실이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선염사.
3. 상기 실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이외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선염사.
4.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이외의 섬유가 셀룰로스계 섬유, 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선염사.
5. 상기 실이 0.8826 cN/dtex 하중하에서 신장도가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선염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 (1), (2), (3) 과 같다.
(1)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운 편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선염사를 제공하는 것,
(2) 특히, 권축사로 이루어진 선염사에서는, 추가로 권축 신장률이 높고 벌키성이 우수한 편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선염사를 제공하는 것,
(3)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의 혼용사에서는,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을 손상시키기 않는 편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선염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된 실을 염색할 때에, 특정 염색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란,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말하며,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약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 3 성분으로서 다른 산 성분 및/또는 글리콜 성분의 합계량이 약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범위로 함유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기능적 유도체와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기능적 유도체를 촉매의 존재하에서 적당한 반응 조건하에 결합시킴으로써 합성된다. 이 합성 과정에서, 적당한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제 3 성분을 첨가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과,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블렌딩하거나 복합 방사 (시스/코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등) 할 수도 있다.
복합 방사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공보 소43-19108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1-189923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239927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256918 호 등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성분으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제 2 성분으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을 사용하여,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을 병렬적 또는 편심적으로 배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또는 편심 시스ㆍ코어형으로 복합 방사한 것이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이나, 극한 점도가 상이한 2 종류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239927 호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극한 점도가 상이한 2 종류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며, 저점도측이 고점도측을 둘러싸도록 접합면 형상이 만곡되어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 방사한 것은, 고도의 스트레치성과 벌키성을 겸비하는 것으로 특히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제 3 성분으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아디프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소듐술포이소프탈산 등), 지방족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지환족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 방향족을 함유하는 지방족 글리콜 (1,4-비스(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 폴리에테르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ω-옥시카프론산 등), 방향족 옥시카르복실산 (p-옥시벤조산 등) 등이 있다.
또,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벤조산 등 또는 글리세린 등) 도,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등의 광택 소거제, 인산 등의 안정제, 아세트산코발트 등의 블루잉제, 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탈크 등의 결정화 핵제, 에어로질 등의 윤활제, 힌더드 페놀 유도체 등의 항산화제, 난연제, 제전제, 안료, 형광 증백제, 적외선 흡수제, 소포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방사에 대해서는, 1500 m/분 정도의 권취 속도로 미연신사를 얻은 다음에, 2∼3.5 배 정도로 연사하는 방법, 방사-연사 공정을 직결한 직연법 (스핀드로법), 권취 속도 5000 m/분 이상의 고속 방사법 (스핀 테이크업법), 방사후에 일단 수욕에서 냉각시키고 연신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섬유 형태는 장섬유이거나 단섬유일 수도 있고,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것이나 굵고 가는 것일 수도 있으며, 단면 형상은 환형, 삼각, L 형, T 형, Y 형, W 형, 팔엽형, 편평, 도그본형 등과 같은 다각형형, 다엽형, 중공형이나 부정형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실 형태로는, 원사, 가연사 (POY 의 연신 가연사를 포함함), 선연 가연사 (예컨대, S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600∼1000 T/m 선연하고, Z 방향 또는 S 방향으로 3000∼4000 T/m 가연한 것), 공기 분사 가공사, 링 방적사, 오픈 엔드 방적사 등과 같은 방적사나 멀티필라먼트 원사 (극세사를 포함함), 혼섬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색전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파단 강도 2.2∼4.0 cN/dtex, 파단 신장도 30∼55 %, 영률 14∼24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60∼95 %, 비등수 수축률 4∼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 섬도는 20∼550 dtex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20 dtex 이며, 또 단사 섬도는 0.1∼12 dtex 가 바람직하고, 특히 0.5∼5 dtex 가 유연한 촉감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적어도 2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wt%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wt%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20 wt% 이상이면, 스트레치성이 양호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을 구성하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이외의 섬유로는, 울, 면, 마, 견 등으로 대표되는 천연 섬유,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등과 같은 재생 셀룰로스 섬유,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아크릴로 대표되는 합성 섬유 등, 어떠한 섬유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10 % 신장시의 탄성 회복률이 60 % 이상이고, 60 % 이상 9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 이상 9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0 % 신장시의 탄성 회복률이 60 % 이상이면, 스트레치성이 양호한 편직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10 % 신장시 탄성 회복률이 95 % 를 초과하는 실을 실제로 얻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또, 비등수 수축률은 JIS-L-1013 의 열수 수축률 측정 B 법에 준하여, 열수 온도를 100 ℃ 로 하고 측정한 값이다.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이면, 편직물에 있어서의 그레이 편직물량과 피니쉬드 편직물량의 변화가 거의 없어 가공 관리가 쉽고, 편직물의 세탁에 의한 신축이 거의 없어 치수 안전성이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선염사는 타래나 치즈 등과 같은 상태로 염색된 실로, 특히 편직물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을 말하며, 제직이나 제편 등을 행한후에 포백 상태에서 염색하고 실로 분해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선염사를 얻기 위해서는, 이른바 치즈 염색 또는 타래 염색으로 실을 염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즈 염색의 경우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치즈의 권취 밀도는 0.1∼0.5 g/㎤ 가 바람직하고, 0.25∼0.4 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권취 밀도가 0.1 g/㎤ 이상이면, 치즈 형태가 안정적이어서, 치즈 염색기에 세팅하고 염색하는 경우,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실의 이완이 균일해져, 염색액이 균일하게 통과되고 염색된다. 또, 권취 밀도가 0.5 g/㎤ 이하이면, 정련, 염색 중에 실이 열수축되어도 치즈의 권취 밀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으므로, 염색액의 통액성이 양호하고, 치즈의 내외층에서의 염착 얼룩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등수 수축률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는다.
치즈 염색으로 균염성을 얻기 위해서는, 치즈의 권취 밀도를 0.1∼0.50 g/㎤ 로 하는 것 이외에도, 지관에 소프트 와인딩한 후, 치즈 염색시에 지관보다 외경이 작은 염색 튜브로 교체하여, 염색시 실 수축에 의해 치즈의 권취 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색 튜브로의 교체율은 5∼30 %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범위이며, 실의 수축률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또, 교체율 (%) 은 권취 지관의 외경을 A, 염색 튜브의 외경을 B 로 한 경우에, 다음 식으로 구한 값이다.
교체율 (%) = (1-B/A) ×100
치즈 염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즈 염색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련은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원사 오일제 등이 세정되는 조건이면 되고, 예컨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탄산소다 등의 존재하에 50∼90 ℃ 에서 10∼30 분간 행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분산 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을 채택하면 된다. 예컨대, 염색 온도는 90∼130 ℃, 시간은 15∼120 분 범위이면 되지만,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유리 전이점이 낮아서, 90∼120 ℃ 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경우보다 저온에서 염색해도, 우수한 발색성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 실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섬유를 통상 염색할 때의 염색 조건을 채택하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염색하기 전후 또는 동시에 염색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의 편물성,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오일링 오일제 (oiling agent) 등을 치즈 형태나 실에 부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타래 염색의 경우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타래 염색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공정을 채택하면 되고, 일반적으로는 타래 감기 →전처리 →정련 →염색 →탈수 →건조 →콘 감기 공정으로 실행된다.
타래 감기로는, 일반적인 타래기를 사용할 수 있고, 타래 길이가 1∼3 m 이고 50 g ∼ 2 ㎏ 인 타래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로서, 타래를 릴랙스시키기 위해서는, 열풍 건조기, 타래 연속 열처리기 등으로 바람직하게는 50∼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 에서 5∼30 분간 건열 처리하면 된다. 또, 오토클레이브, 스팀 세터, 스팀 박스 등으로 바람직하게는 60∼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10 ℃ 에서 5∼30 분간 증기 처리하면 된다.
정련, 염색은 회전백 염색기, 분사식 염색기, 패키지 염색기 등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정련은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원사 오일제 등이 세정되는 조건이면 되고, 예컨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탄산소다 등의 존재하에 50∼90 ℃ 에서 10∼30 분간 행하면 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분산 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을 채택하면 되고, 예컨대 염색 온도는 90∼130 ℃, 시간은 15∼120 분 범위이면 된다. 또, 실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섬유를 통상 염색할 때의 염색 조건을 채택하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염색하기 전후 또는 동시에 염색하면 된다.
탈수, 건조 공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행하면 된다.
콘 감기로는, 일반적인 권취기로 와인딩하면 되지만, 타래로부터의 권취 장력이 안정되지 않으면, 직편물로 만들었을 때에 경근이나 위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타래로부터 콘 감기한 다음에 다시 콘에 리와인딩하거나, 권취 장력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송출 롤러가 부착된 권취기로 콘 와인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의 편물성,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오일링 오일제 등을 타래 형태나 콘 감기시에 부여해도 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비해 올리고머가 많고, 이 올리고머 부착에 의해 선염사의 광택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련 공정에서 알칼리제를 사용 (예컨대,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을 0.5∼5 g/ℓ첨가함) 하거나, 알칼리 내성이 있는 분산 염료로 pH 8∼11 의 알칼리성측에서 염색하는 방법 등을 채택하여, 올리고머 부착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이 때, 배수는 정련, 염색 온도와 동일한 고온에서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50 % 이다. 권축 신장률이 이 범위이면, 스트레치성이나 벌키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진 권축사로 구성되어 있다.
권축사로는, 현재 (顯在) 권축 및/또는 잠재 권축을 갖는 복합 섬유사 (시스/코어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등으로 복합 방사한 실), 또는 가연 가공, 밀어넣기 가공, 니트 드 니트 가공 등으로 권축을 부여한 것이 예시된다.
권축사의 물성으로는,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권축 신장률이 이 범위인 실을 사용함으로써,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선염사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권축 신장률은 2.6 ×10-4 cN/dtex 의 하중하에서 90 ℃ ×15 분간 건열 처리하여 하룻동안 방치한 후, JIS-L-1090 신축성 시험 방법 (A 법) 에 준하여 측정한 것이다.
특히, 권축사로는, 높은 권축 신장률을 얻기 쉬운 가연 가공사가 바람직하다. 가연 가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핀 타입, 프릭션 타입, 닙 벨트 타입, 에어 가연 타입 등, 어떠한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 1 히터 가연, 2 히터 가연,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POY 의 연신 가연이어도 된다.
가연 히터 온도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제 1 히터의 출구 직후의 실 온도를 100 ℃ 이상 2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18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170 ℃ 이하의 범위이다.
또, 필요에 따라, 제 2 히터로 열세팅하여 2 히터 가연사로 만들 수도 있다. 제 2 히터 온도는 100 ℃ 이상 2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히터의 출구 직후의 실 온도에 대하여 -30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다. 제 2 히터내의 오버피드율 (제 2 오버피드율) 은 +3 % 이상, +3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수 T 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가연 가공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여도 되고,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가연수의 계수 K 값이 17600∼35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연 가공사에 의해 바람직한 가연수 T 가 결정된다.
T(T/m) = K/{가연 가공사의 섬도 (dtex)}0.5
또, 다른 바람직한 권축사로서, 현재 권축 및/또는 잠재 권축을 갖는 복합 섬유중에서도, 극한 점도가 다른 2 종류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며, 저점도측이 고점도측을 둘러싸도록 접합면 형상이 만곡되어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 방사한 복합 섬유를 사용하면, 가연 가공사와 동일한 정도의 높은 권축을 갖는 선염사를 얻을 뿐만 아니라, 가연 가공사 특유의 잔류 토크가 없어, 타래 염색 공정에서의 타래 취급성이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권축 부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비용의 합리화도 가능해진다.
또, 권축사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 80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w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t% 이하이고, 울로 대표되는 천연 섬유 등, 다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필라먼트 원사나 단섬유도 포함함) 를, 혼방 (사이로 필 등), 교착 혼섬 (고수축사와의 이수축 혼섬사 등), 교연, 복합 가연 (신장도차 가연 등), 2 피드 유체 분사 가공 등의 수단으로 혼용할 수도 있다.
또한, 권축사는 치즈나 타래 염색 공정에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권축사 1 개 또는 2 개 이상 (가연 가공사의 경우에는, 가연 방향은 같은 방향, 다른 방향 어느 것이어도 됨) 을 합쳐, 추가로 연사 (추가 가연) 를 50∼1000 T/m, 바람직하게는 50∼300 T/m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추가 가연을 행함으로써 실끼리 거의 얽히지 않고, 특히 타래 염색하는 경우에는, 콘 감기하는 공정에서 염색된 타래에서 실이 끊기는 것이 경감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연 방향이 한 방향만의 가연 가공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사 방향으로는, 가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사하면, 선염사의 권축 신장률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연사 장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탈리아 연사기, 링 연사기, 더블 트위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폴리아미드 섬유는 연사를 실시하면 연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토크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연사후에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한다. 그러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토크가 잘 경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열 수축이 높기 때문에, 긴장 상태에서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면 비결정 부분이 수축되고, 이 수축 응력에 따라 결정부가 확장된다. 이 결정부는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해도, 거의 완전 탄성체이므로 토크가 경감되지 않는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잔류 토크가 높은 실밖에 얻을 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유연하므로, 잔류 토크가 높은 실을 사용하여 타래를 제조하면, 토크가 국부적으로 집중됨으로써 이곳을 지점으로 스널 (부분적으로 실이 꼬이는 현상) 이 발생하고, 이 스널에 의해 실끼리 얽혀, 실 분리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경우, 연사수가 300 T/m 미만이면,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지 않고 타래를 제조해도, 실을 구성하고 있는 필라먼트에서 토크가 흡수되므로, 국부적으로 토크가 집중되지 않고, 스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타래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물성을 갖는 선염사를 얻기 위해서는,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사수가 많은 경우 등, 어떻게 해서라도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여 토크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긴장 상태에서는 트위스트 고정 세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을 이완시키면서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알루미늄제 테두리가 달린 실린더 내부층에 골판지제 더미 쿠션재를 감은후에 되감아, 실을 충분히 이완시키면서 트위스트 고정 세팅을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감기량으로는 사관 감기에서는 세팅을 함으로써 감기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로 하면 상관없다. 세팅을 충분히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0.1 cN/dtex 이하의 감기 장력으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팅을 하는 경우에는, 통상 진공 세터 등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충분한 세팅 효과와 권축 발현 및 에너지적인 효율면에서, 처리 온도는 60∼110 ℃ 가 바람직하고, 또 처리 시간은 통상 10∼60 분이 바람직하다.
또, 권축사는 실에서 잠재 권축을 현재화시켜 권축을 높이기 위해서, 연사하기 전후에 벌킹해도 상관없다. 특히, 치즈 염색에서는, 염색시에 충분히 권축사를 릴랙스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유효하다. 이와 같이 벌킹하는 장치로는, 예컨대 사카모토 렌센사 제조의 bulone 이나 Superba 사 제조의 연속 벌킹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가공 조건으로는, 오버피드율을 50∼200 % 행하면 되고, 릴랙스의 열원으로는, 건열, 증기 등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60∼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90 ℃ 에서 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벌킹을 실시한 실은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가 되고, 권축 신장률도 50 % 이상이 된다. 이것은, 치즈 염색시에 실 수축이 약간밖에 일어나지 않아, 수축에 따라 권축이 확장되지 않아, 높은 권축 신장률의 선염사를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정 권축 신장률을 갖는 실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타래 염색 방법의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염색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면 되지만, 타래 형상에서의 전처리 또는 추가로 정련, 염색 공정에서, 타래를 건열이나 습열 (증기, 열수) 로 릴랙스시키는 (장력을 되도록 가하지 않도록 하여 권축을 발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타래를 전처리에서 릴랙스시키는 경우에는, 열풍 건조기, 타래 연속 열처리기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50∼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 에서 5∼30 분간 건열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또, 오토클레이브, 스팀 세터, 스팀 박스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60∼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10 ℃ 에서 5∼30 분간 증기 처리하면 된다. 그러나, 타래를 틀축에 고정시키거나, 타래를 포대 등에 고밀도로 넣고 타래 그 자체를 구속한 상태에서 전처리하면, 권축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정련, 염색 공정에서 타래를 릴랙스시키는 경우에는, 타래에 텐션이 잘 가해지지 않는 회전 백, 분사식 염색기 등을 이용하여, 50∼130 ℃ 에서 5∼60 분간 열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사식 염색기는 타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하에 고정 바가 부착된 것도 있지만, 이와 같은 장치 경우에는, 처리시에 타래를 릴랙스시킬 수 있도록, 되도록 고정 바의 간격을 좁혀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즈 염색의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염색 방법에 준하여 행하면 되지만, 권축사의 잠재 권축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벌킹한 권축사를 사용하면, 높은 권축 신장률의 선염사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은, 특히 면, 마 등과 같은 천연 셀룰로스 섬유, 큐프라,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등과 같은 재생 셀룰로스계 섬유, 리오셀 (직접 방사 셀룰로스 섬유) 등과 같은 셀룰로스계 섬유, 양모, 알파카, 모헤어, 앙고라, 캐멀, 캐시미어 등과 같은 울 섬유를 혼용한 실이,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을 효과적으로 살리며, 또 치수 안정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선염사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큐프라나 비스코스 레이온 등과 같은 재생 셀룰로스 섬유 멀티필라먼트와 혼용한 것은, 직편물로 만든 경우, 재생 셀룰로스 섬유 멀티필라먼트의 광택감을 얻어 바람직하고, 특히 비등수 수축률이 -3∼5 % 인 재생 셀룰로스 섬유 멀티필라먼트를 혼용하면, 염색으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의 수축 차이가 커져, 셀룰로스의 촉감이 상실되고 스트레치성도 잘 발현되어 바람직하다.
재생 셀룰로스 섬유로는, 그 방사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행크법, 케이크법, 넷 프로세스법, 연방법 등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여도 되지만, 비등수 수축률이 -3∼5 % 인 재생 셀룰로스 섬유 멀티필라먼트를 얻기 위해서는, 행크법, 케이크법, 넷 프로세스법 등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실을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합사하거나 또는 교착시킬 수도 있고, 목적에 따라 산화티탄 등의 광택 소거제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사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1∼12 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dtex 의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를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혼용하면, 가공성이 우수하고 실의 촉감도 유연해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다른 섬유를 혼용하는 방법으로는, 각 섬유가 일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합연, 커버링, 가연, 유체 분사 가공, 정방 교연 등과 같은 수단으로 혼용할 수 있다. 커버링, 신장도차 가연, 2 피드에서의 유체 분사 가공과 같이 실이 시스/코어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코어사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사용하면 스트레치성을 쉽게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연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가연 가공기로서 벨트 닙, 프릭션, 핀의 어떠한 타입을 이용해도 되지만, 가연 온도로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융점을 고려하면 140∼180 ℃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을 실시한 실에는, 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50∼1000 T/m 의 추가 가연을 행할 수도 있다. 추가 가연 방향으로는, 가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추가 가연을 행하면 스트레치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 합연하는 경우의 합사수, 연수, 연사 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든 연사와 같이 포스트 트위스트와 세컨드 트위스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합연사의 잔류 토크가 남지 않도록 트위스트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2 자 연사의 경우, 포스트 트위스트 회수 1 에 대하여 세컨드 트위스트 회수를 0.6∼0.8 배로 하여, 되도록 트위스트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다른 섬유를 포스트 트위스트한 합연사를 다시 2 개 합쳐 합연한 모든 연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커버링하는 경우의 커버링 개수, 커버링 수, 커버링 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가연 가공사를 커버링사로 하고, 더블 커버링하는 경우에는, 커버링사의 잔류 토크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가연 방향이 다른 가연 가공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혼용된 실을 얻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를 합연하는 방법,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코어로 하여,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를 감도록 커버링하는 방법, 코어사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시스사에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로 유체 분사 가공하는 방법,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를 합사하여 가연하는 방법, 그리고 가연 가공전 또는 후에 인터레이스 노즐로 교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면이나 울 섬유 등의 단섬유의 경우에는, 방적 공정중의 정방 시점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복합한 정방 교연사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혼용 방법에서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1∼5 % 정도 신장시키면서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와 복합하면, 실의 스트레치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구성 비율은, 질량비로 80:20∼20:8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40:60 이다.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의 구성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치수 안정성,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0.8826 cN/dtex 의 하중하에서 신장도가 5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30 % 이하이다. 이 범위이면, 스트레치성이 양호한 선염사가 되고, 제편, 제직시에도 실 끊김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 등과 복합한 선염사에서는,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가 시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코어가 되는 시스/코어 구조로 되어,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 등이 지닌 촉감을 유효하게 살린 선염사가 된다.
또, 0.8826 cN/dtex 의 하중하에서 신장도가 20 % 이상인 경우에는, 혼용된 섬유가 이완을 갖는 일체성이 낮은 복합사 형태가 되므로, 포백의 표면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염색된 복합사를 더 50∼1000 T/m 추가 가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의 대표예로는, 재생 셀룰로스 필라먼트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라먼트의 질량 혼합율을 30:70∼60:40 으로 하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라먼트 가연사를 코어사로 하여 재생 셀룰로스 필라먼트를 권취사로 하여 커버링하거나, 또는 재생 셀룰로스 필라먼트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라먼트를 합사하여 인터리스 가공한 후에 가연 가공하고, 이어서 얻은 실을 권취 밀도가 0.1∼0.5 g/㎤ 인 치즈로 만들고, 염색 튜브로의 교체율을 10∼20 % 로 하여 치즈 염색하는 방법이나, 타래를 제조하여 분사 타래 염색기로 타래 염색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적어도 이음매 등이 없이 500 m 이상 연속된 실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 이상이다. 이와 같은 실이면, 직편물로 만드는 경우에 제직, 제편시에 실 끊김 등과 같은 문제가 없고, 결점이 없는 생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반경이 2 ㎜ 이상인 크림프가 2.54 ㎝ 당 5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크림프 수가 이 범위이면, 표면 품위가 우수한 편직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염사가 아니라, 일단 직편물로 만들고 염색하고, 그 다음에 이 직편물을 분해시켜 뽑아낸 실에서는, 이 크림프 수가 5 개를 넘는다.
또, 크림프 수는 JIS-L-1015 의 권축수에 준하여 측정한 것으로, 선염사 전체에 초기 하중을 0.18 mN/dtex 로서 2.54 ㎝ 사이에 있는 크림프를 조사하여, 반경이 2 ㎜ 이상인 크림프 수를 센다. 이것을 실 길이 방향으로 랜덤하게 10 점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선염사는 직물 (태피터, 트윌, 새틴 및 각종 변화 조직) 이나 편물 (경편, 환편, 횡편, 팬티스타킹편 등) 에 사용할 수 있고, 또 카펫 표면 (입모부) 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횡편용 실로 사용하면, 횡편지를 호프만 프레스 마무리로 세팅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편물 조직으로는, 평직 (plain stitch), 평직 모스 (plain stitch kanoko), 고무, 펄, 양면, 펀치 로마, 밀라노리브 및 이들 변화 조직 등을 들 수 있고, 제품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선염사는 횡편 (세터 등), 환편, 직물 (아우터, 이너 등), 레이스, 리브 톱이나 칼라부용 부속품, 브레이딩 머신, 몰사, 가는폭 테이프, 양말, 서포터, 팬티스타킹, 타이츠, 파일 직편물 (아우터, 카 시트 등), 카펫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 측정 방법, 평가 방법 등은 다음과 같다.
(1) 환원 점도 (ηsp/c)
중합체를 90 ℃ 에서 o-클로로페놀에 1 g/㎗ 농도로 용해시켜 수득된 용액을 오스트발트 점도관에 옮기고 35 ℃ 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ηsp/c = [(T/T0)-1]/C
(식에서, T 는 시료 용액의 낙하 시간 (초), T0 은 용제의 낙하 시간 (초), C 는 용액 농도 (g/㎗) 를 나타냄)
(2) 강신도 특성
토요 볼드윈사 제조의 텐시론을 사용하고, 시료 길이 20 ㎝, 인장 속도 20 ㎝/분 조건에서, 인장 강도 (cN/dtex), 인장 신장도 (%), 초기 탄성률 (cN/dtex) 을 측정한다. 또, 응력-변형 곡선에서 0.8826 cN/dtex 하중하에서 신장도 (%) 를 측정한다.
(3) 비등수 수축률
JIS-L-1013 열수 수축률 측정법 (B 법) 에 준하여 측정한다. 또, 열수 온도는 100 ℃ 로 한다.
(4) 권축 신장률
섬유에 2.6 ×10-4 cN/dtex 의 하중을 부가한 상태에서, 타바이사 제조의 퍼펙트 오븐에서 90 ℃ ×15 분간 건열 처리하고, 하루동안 방치한 후, JIS-L-1090 신축성 시험 방법 (A 법) 에 준하여 측정한다.
(5) 크림프 수
JIS-L-1015 의 권축수 측정법에 준하여 측정한다.
선염사 전체에 초기 하중을 0.18 mN/dtex 로 하고, 2.54 ㎝ 사이에 있는 크림프를 조사하여, 반경이 2 ㎜ 이상인 크림프 수를 센다. 이것을 실 길이 방향으로 랜덤하게 10 점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한다.
(6) 탄성 회복률
섬유를, 척간 거리가 20 ㎝ 이고 0.0294 cN/dtex 의 초기 하중을 부가하여 인장시험기에 넣고, 인장 속도 20 ㎝/분으로 신장률 20 % 까지 신장시키고, 1 분간 방치시킨다. 그 다음에, 다시 동일한 속도로 수축시켜 응력-변형 곡선을 그린다. 수축중에 응력이 0.0294 cN/dtex가 되었을 때의 신장도를 잔류 신장도 (A) 로 한다.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은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 = [(20-A)/20] ×100
또, 10 % 신장시 탄성 회복률은, 초기 하중 및 잔류 신장도를 판독하는 응력을 0.08826 cN/dtex 로 하고, 신장률을 10 % 까지로 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1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 = [(10-A)/10] ×100
(7) 횡편지의 스트레치성
JIS-L-1018 의 신장 탄성률 측정법 (A 법 : 정상 신장법) 에 준하여 실시한다.
자기 장치가 장착된 정속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며, 10 ㎝ 폭 ×15 ㎝ 길이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초기 하중 2.942 cN 을 부가한 후, 쥠 폭 2.5 ㎝, 쥠 사이의 거리 10 ㎝ 이고, 속도 10 ㎝/분으로 신장률 100 % 가 될 때까지 신장시키고, 1 분간 방치한다. 그 다음에, 재차 동일한 속도로 수축시켜 응력-변형 곡선을 그리고, 수축중에 응력이 초기 하중과 동일한 응력이 되었을 때의 잔류 신장을 L (㎜) 로 하여, 다음 식에 따라 회복률을 구한다.
회복률 (%) = [(100-L)/100] ×100
수득된 횡편지의 회복률로부터, 스트레치성을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랭킹을 매긴다.
◎ : 회복률이 90 % 를 초과함
○: 회복률이 85 % 이상 90 % 미만
△ : 회복률이 80 % 이상 85 % 미만
×: 회복률이 70 % 미만
(8) 횡편지의 유연성, 벌키성, 촉감
섬유 연구에 종사하는 10 명의 검사원의 손에 닿는 관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랭킹을 매긴다.
(유연성)
○: 부드러운 느낌
△ : 약간 부드러운 느낌
×: 뻣뻣한 느낌
(횡편지의 벌키성)
○: 벌키성이 있음
△ : 약간 벌키성이 있음
×: 벌키성이 없음
(촉감)
○: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 비슷한 촉감을 느낌
(드라이감, 흡습성, 드레이프성이 있음)
△ : 약간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울 섬유 비슷한 촉감을 느낌
×: 거의 셀룰로스계 섬유 비슷한 촉감을 느끼지 못함
(9) 횡편지의 치수 안정성
JIS-L-1018 수축률 측정법 (D 법) 에 준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랭킹을 매긴다.
○: 세로, 가로의 수축률이 -3.0∼5.0 % 이내임
△ : 세로 또는 가로 중 하나가 수축률이 -3.0∼5.0 % 를 초과함
×: 세로, 가로 모두 수축률이 -3.0∼5.0 % 를 초과함.
[실시예 1]
ηsp/c = 0.8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고,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200 m/분으로 미연신사를 수득한다. 이어서, 핫롤 온도 60 ℃, 열판 온도 140 ℃, 연신 배율 3 배, 연신 속도 800 m/분으로 연사하여, 167 dtex/72f 원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원사의 물성은, 강도 3.5 cN/dtex, 신장도 45 %, 탄성률 22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85 % 이다.
수득된 167 dtex/7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이탈리아 연사기로 1000 T/m 가연하여 실 (권축 신장률 0 %) 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을 카미츠사 제조의 소프트 와인더로 지관 직경이 81 ㎜ 인 지관에 권취 밀도 0.40 g/㎤ 로 1 ㎏ 감는다. 이 치즈를 외경이 69 ㎜ 인 염색 튜브로 교체하여 (교체율 14.8 %), 치즈 염색기 (히사카 제작소㈜ 제조, 소형 치즈 염색기) 에 세팅하고, 카오사 제조의 스코어롤 FC-250 (1 g/ℓ) 을 첨가하며, 유량 40 ℓ/분으로 상온에서 2 ℃/분의 승온 속도로 60 ℃ 까지 승온시키고, 60 ℃ 에서 10 분간 정련한다.
정련후, 탈수, 물로 세정하고, 분산 염료 (Dianix Blue AC-E) 1 % omf, 분산제 (디스퍼 TL) 0.5 g/ℓ를 첨가하고, 다시 아세트산으로 pH 5 로 조정한 후, 유량 40 ℓ/분으로 인-아웃으로 염색액을 순환시키고, 승온 속도 2 ℃/분으로 120 ℃ 까지 승온시키며, 120 ℃ 에서 30 분간 염색한다. 염색후, 탈수, 물로 세정하고 수산화나트륨 1 g/ℓ, 하이드로술파이트 1 g/ℓ, 선몰 RC-700 (닛카 화학사 제조) 1 g/ℓ로, 유량 40 ℓ/분, 승온 속도 2 ℃/분으로 80 ℃ 까지 승온시키고, 80 ℃ 에서 20 분간 환원 세정한다.
환원 세정후, 탈액, 중화수 세정하여, 실리콘계 유연제 (론사이즈 K-22, 잇포샤㈜ 제조) 를 5 % omf 첨가하고, 50 ℃ 에서 20 분간 오일링 처리한다. 탈수후, 건조시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는 치즈의 내외층에서의 균일 염색성이 우수하고,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물성을 갖는다.
횡편기 (코포㈜ 제조, 14 게이지) 를 사용하며, 상기에서 수득한 선염사를 3 개 합사하여, 24 코스, 20 웰의 평조직을 갖는 횡편지를 제조하고, 호프만 프레스기 (코베 전기 공업㈜ 제조, 코베 프레스) 로 스팀 마무리하여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이 우수하고, 촉감도 부드럽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167 dtex/7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이시카와 제작소㈜ 제조의 핀 가연기 IVF338 을 사용하여, 실 속도 190 m/분, 가연수 2280 T/m, 가연 가공 온도 170 ℃, 1st 피드 0.0 %, TU 피드 4.1 % 조건에서 가연 가공하여, 권축 신장률이 200 % 인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을 카미츠사 제조의 소프트 와인더로 외경이 69 ㎜ 인 염색 튜브에 직접 감아, 권취 밀도 0.25 g/㎤ 로 1 ㎏ 감은 치즈로 만든다. 수득된 치즈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즈 염색, 마무리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촉감도 부드럽다.
[실시예 3]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84 dtex/36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원사의 물성은, 강도 3.2 cN/dtex, 신장도 46 %, 탄성률 24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85 % 이다.
수득된 84 dtex/36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이시카와 제작소㈜ 제조의 핀 가연기 IVF338 을 사용하여, 실 속도 190 m/분, 가연수 3400 T/m, 가연 방향 Z, 가연 가공 온도 170 ℃, 1st 피드 0.0 %, TU 피드 4.1 % 조건에서 가연 가공한 후, 이탈리아 연사기로 S 방향으로 120 T/m 가연하여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의 권축 신장률은 156 % 이다.
수득된 실을, 이시카와 제작소사 제조의 타래기를 사용하여, 타래 길이 180 ㎝, 권취량이 250 g 인 타래를 제조한다. 이 타래를 열풍 건조기로 80 ℃ 에서 20 분간 건열 릴랙스 처리한 후, 패키지 염색기 (히사카 제작소㈜ 제조) 에 채워 세팅하고, 카오사 제조의 스코어롤 FC-250 (1 g/ℓ) 로 60 ℃ 에서 10 분간 정련한다.
정련후, 탈수, 물로 세정하고, 분산 염료 (Dianix Blue AC-E) 1 % omf, 분산제 (디스퍼 TL) 0.5 g/ℓ를 첨가하고, 다시 아세트산으로 pH 5 로 조정한 욕에서 110 ℃ 에서 30 분간 염색한다. 염색후, 탈수, 물로 세정하고, 수산화나트륨 1 g/ℓ, 하이드로술파이트 1 g/ℓ, 선몰 RC-700 (닛카 화학사 제조) 1 g/ℓ로, 80 ℃ 에서 20 분간 환원 세정한다. 환원 세정후, 탈액, 중화수 세정하여, 실리콘계 유연제 (론사이즈 K-22, 잇포샤㈜ 제조) 를 5 % omf 첨가하고, 50 ℃ 에서 20 분간 오일링 처리한다.
탈수후, 건조시킨 타래를 와인더로 콘에 감아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횡편기 (코포㈜ 제조, 14 게이지) 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수득한 선염사를 6 개 합사하여, 평조직의 횡편지를 제조하고, 호프만 프레스기 (코베 전기 공업㈜ 제조, 코베 프레스) 로 스팀 마무리하여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 벌키성이 우수하고, 촉감도 부드럽다.
[실시예 4]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방향이 Z 방향과 S 방향 2 종류인 84 dtex/36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가연 가공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2 종류의 가연 가공사 (Z 가연과 S 가연) 를 합사하고, 이탈리아 연사기로 S 방향으로 120 T/m 가연하여 합연사를 수득한다. 이 실의 권축 신장률은 184 % 이다.
수득된 실을 사용하며, 염색 온도를 98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수득된 선염사를 3 개 합사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 벌키성이 우수하고, 촉감도 부드럽다.
[실시예 5]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167 dtex/48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원사의 물성은, 강도 3.8 cN/dtex, 신장도 46 %, 탄성률 23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88 % 이다.
수득된 원사를 사용하며, 가연수를 2800 T/m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방향이 S 방향과 Z 방향의 2 종류인 가연 가공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가연 가공사 (Z 가연과 S 가연) 를 합사하고, 이탈리아 연사기로 S 방향으로 100 T/m 가연한 후, 함몰된 지관에 감고, 오토클레이브에서 110 ℃ 에서 20 분간 트위스트 고정 증기 세팅을 하여 합연사를 수득한다. 이 실의 권축 신장률은 78 % 이다.
수득된 실을 사용하며,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래를 제조하고, 이 타래를 분사식 염색기에서,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련, 염색, 환원 세정, 오일링 처리, 콘 감기를 행하여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수득된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이 우수하고, 약간 벌키성이 있으며, 촉감도 부드럽다.
[실시예 6]
실시예 4 에서 수득한, 가연 방향이 Z 방향과 S 방향의 2 종류인 84 dtex/36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의 가연 가공사를 2 개 합사하고, S 방향으로 120 T/m 가연하여 합연사로 만든 실을, Superba 사 제조의 연속 벌킹 장치로 실 속도 500 m/분, 오버피드율 160 %, 릴랙스 온도 90 ℃, 치즈 와인딩은 권취 밀도가 0.15 g/㎤ 이고 직경이 69 ㎜ 인 염색 튜브에 1 ㎏ 감는 조건에서 가공하여 치즈를 수득한다.
수득된 치즈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치즈 염색, 마무리하여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전성, 벌키성이 우수하고, 촉감도 부드럽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167 dtex/7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167 dtex/72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사 (아사히 화성㈜ 제조, 강도 3.9 cN/dtex, 신장도 35 %, 탄성률 97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25 %, 권축 신장률 0 %) 를 사용하며, 치즈 염색 온도를 13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이 떨어지고, 촉감도 뻣뻣하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서 167 dtex/7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155 dtex/48f 나일론66 원사 (아사히 화성㈜ 제조, 강도 4.2 cN/dtex, 신장도 36 %, 탄성률 27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65 %, 권축 신장률 0 %) 를 사용하여, 치즈 염색시 염료를 산성 염료, 염색 온도를 11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 안정성, 스트레치성 모두 실시예 1 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
[비교예 3]
실시예 3 에서 84 dtex/3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84 dtex/36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사 (아사히 화성㈜ 제조, 강도 3.9 cN/dtex, 신장도 35 %, 탄성률 97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25 %) 를 사용하며, 가연 조건을 실 속도 190 m/분, 가연수 3200 T/m, 가연 방향 Z, 가연 가공 온도 220 ℃, 1st 피드 0.0 %, TU 피드 4.1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 가공과 가연을 실시한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의 권축 신장률은 145 % 이다.
수득된 실을 사용하며, 염색 온도를 13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수득된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 안정성과 벌키성은 우수하지만, 스트레치성이 떨어진다.
[실시예 7]
실시예 5 에서 수득한 167 dtex/48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와 110 dtex/75f 큐프라 멀티필라먼트 원사 (아사히 화성㈜ 제조, 벰베르크 (등록 상표), 비등수 수축률 0.9 %) 를, 이시카와 제작소㈜ 제조의 핀 가연기 IVF338 을 사용하며, 인터레이스를 에어압 1.6 kgf/㎤ 로 에어 교착시킨 후, 실 속도 100 m/분, 가연수 1400 T/m, 가연 가공 온도 170 ℃, 1st 피드 0.0 %, TU 피드 4.0 % 조건에서 가연 가공한다. 이 가연사를 이탈리아 연사기로, 가연 방향과는 반대인 S 방향으로 300 T/m 추가 가연을 행한다. 이 실의 권축 신장률은 52 % 이다.
수득된 실을 카미츠사 제조의 소프트 와인더를 사용하며, 지관 직경이 90 ㎜ 인 지관에 권취 밀도 0.33 g/㎤ 로 1 ㎏ 감아 치즈를 수득한다.
이 치즈를 외경이 72 ㎜ 인 염색 튜브로 교체하여 (교체율 20 %),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련, 분산 염료 염색, 환원 세정을 실시한다. 환원 세정후, 탈액, 중화수 세정하고, 반응 염료 (Sumifix Supra Blue BRF) 에 망초 50 g/ℓ를 첨가하고, 유량 40 ℓ/분으로 인-아웃에서 염색액을 순환시키며, 승온 속도 2 ℃/분으로 60 ℃ 까지 승온시키고, 60 ℃ 에서 탄산나트륨 15 g/ℓ를 분할 첨가하면서, 45 분간 염색한다.
염색후, 탈액, 물로 세정, 소핑, 픽스, 물로 세정한 후, 고융점 왁스계 유연제 (론사이즈 N-700, 잇포샤㈜ 제조) 를 5 % omf 첨가하고, 50 ℃ 에서 20 분간 오일링 처리한다. 탈수후, 건조시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횡편기 (코포㈜ 제조, 14 게이지) 를 사용하며, 상기에서 수득한 선염사를 2 개 합사하여, 24 코스, 20 웰의 평조직을 갖는 횡편지를 제조하고, 호프만 프레스기 (코베 전기 공업㈜ 제조, 코베 프레스) 로 스팀 마무리하여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큐프라가 지닌 독특한 촉감을 갖고 있는 등 우수하다.
[실시예 8]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56 dtex/24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원사의 물성은, 강도 3.7 cN/dtex, 신장도 44 %, 탄성률 23 cN/dtex, 2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86 % 이다.
수득된 원사를 사용하며, 가연수를 3780 T/m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가연사와 110 dtex/40f 비스코스 레이온 멀티필라먼트사 (아사히 화성㈜ 제조, Silmax (등록 상표), 비등수 수축률 2.0 %) 를, 이탈리아 연사기로 Z 방향으로 800 T/m 가연하여 복합 가연사를 수득한다. 또한, 이 복합 가연사 2 개를 이탈리아 연사기로 S 방향으로 580 T/m 가연하여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의 권축 신장률은 35 % 이다.
수득된 실을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래 제조, 릴랙스 처리한 후, 분사 타래 염색기 (Sinko 사 제조) 를 사용하며,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산 염료로 95 ℃ ×45 분간 염색하고, 환원 세정, 물로 세정하고, 실시예 7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반응 염료에서 60 ℃ ×45 분간 염색하고, 소핑, 픽스, 오일링 처리하여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비스코스 레이온이 지닌 독특한 촉감을 갖고 있는 등 우수하다.
[실시예 9]
실시예 5 에서 수득된 167 dtex/48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가연 가공사를 코어사로 하고, 커버링기로 60 번수 (영국식 면 번수) 의 면 원사로 더블 커버링 (제 1 커버링 : S 가연 800 T/m, 제 2 커버링 가연 : Z 가연 650 T/m) 을 행하여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의 권축 신장률은 80 % 이다.
수득된 실을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래 염색하여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면이 지닌 독특한 촉감을 갖고 있는 등 우수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9 에서, 코어사를 60 번 (모 번수) 의 울 섬유, 커버링사를 실시예 3 에서 수득한 84 dtex/36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가연 가공사로 변경하여, 더블 커버링을 실시한 실을 수득한다. 수득된 실의 권축 신장률은 10 % 이다.
수득된 실을 사용하며,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며, 울이 지닌 독특한 촉감을 갖고 있는 등 우수하다.
[비교예 4]
실시예 7 에서, 167 dtex/48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비교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167 dtex/48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 안정성은 양호하지만, 스트레치성이 나쁘고, 촉감도 뻣뻣하며, 벰베르크가 지닌 독특한 촉감이나 광택감을 느낄 수 없다.
[비교예 5]
실시예 7 에서, 167 dtex/48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비교예 2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155 dtex/48f 나일론66 원사를 사용하고, 분산 염료를 산성 염료로, 염색 온도를 11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 안정성과 스트레치성이 떨어지고, 촉감도 뻣뻣하며, 벰베르크가 지닌 독특한 촉감이나 광택감을 느낄 수 없다.
[비교예 6]
실시예 2 에서, 167 dtex/72f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먼트 원사 대신에, 167 dtex/50f 비스코스 레이온 멀티필라먼트 원사 (아사히 화성㈜ 제조, 실맥스 (등록 상표), 비등수 수축률 2.1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연한 실을 수득한다. 이 실의 권축 신장률은 7 % 이다.
수득된 실을 분산 염료 염색, 환원 세정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7]
실시예 1 에서, 치즈 와인딩 조건을 외경이 69 ㎜ 인 염색 튜브에, 권취 밀도 0.55 g/㎤ 로 하고, 교체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염사를 수득한다. 수득된 선염사는 치즈의 내외층에서 염색 얼룩이 발생한다. 이 실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선염사를 사용하며,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횡편지를 수득한다. 수득된 횡편지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염사의 비등수 수축률이 4.5 % 이고, 횡편지의 치수 안정성이 떨어진다.
선염사의 물성 횡편지의 물성
10 % 신장시 탄성 회복률 (%) 권축 신장률 (%) 정하중하의 신장도 (%) 비등수 수축률 (%) 크림프수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 유연성 벌키성 촉감
실시예 1 84 1.1 10.0 1.5 0 × -
실시예 2 85 1.3 10.5 1.7 0 × -
실시예 3 82 91 11.0 0.6 0 -
실시예 4 86 120 11.3 0.9 1 -
실시예 5 84 24 10.1 0.7 0 -
실시예 6 80 66 10.7 0.5 0 -
비교예 1 30 0.5 4.5 0.6 0 × × × -
비교예 2 50 0.8 7.0 1.7 0 × -
비교예 3 29 75 8.5 0.5 1 × -
실시예 7 80 25 13.3 1.0 0
실시예 8 82 30 19 1.3 0
실시예 9 73 19 23 1.9 0
실시예 10 87 10 18 1.5 0
비교예 4 45 12 6.5 1.0 0 × × × ×
비교예 5 55 15 6.8 2.5 0 × ×
비교예 6 13 3 6.2 3.7 0 × × ×
비교예 7 85 0.5 7.2 4.5 0 × × -
주) 정하중하의 신장도란 0.8826 cN/dtex 하중하에서의 신장도를 말함.
본 발명의 선염사는 스트레치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운 염색된 실로, 직편물에 유용하다. 특히, 권축사로 이루어진 실에서는 권축 신장률이 높기 때문에, 벌키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와의 혼용사에서는 셀룰로스계 섬유나 울 섬유가 지닌 촉감을 효과적으로 살리므로, 스트레치성, 촉감이 우수한 직편물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6)

  1. 염색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구성되고, 10 % 신장시의 탄성 회복률이 60 % 이상이며, 비등수 수축률이 4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권축 신장률이 10 % 이상인 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이외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4.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이외의 섬유가 셀룰로스계 섬유, 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0.8826 cN/dtex 하중하에서의 신장도가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0.8826 cN/dtex 하중하에서의 신장도가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염사.
KR10-2002-7015477A 2000-05-18 2001-05-17 선염사 Expired - Fee Related KR100471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46184 2000-05-18
JP2000146184 2000-05-18
JP2001025879 2001-02-01
JPJP-P-2001-00025879 2001-02-01
PCT/JP2001/004173 WO2001088237A1 (fr) 2000-05-18 2001-05-17 Fil te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408A KR20030004408A (ko) 2003-01-14
KR100471706B1 true KR100471706B1 (ko) 2005-03-10

Family

ID=2659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4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1706B1 (ko) 2000-05-18 2001-05-17 선염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26962B2 (ko)
EP (1) EP1288356B1 (ko)
JP (1) JP3500392B2 (ko)
KR (1) KR100471706B1 (ko)
CN (1) CN1224742C (ko)
AU (1) AU2001256777A1 (ko)
DE (1) DE60138186D1 (ko)
ES (1) ES2322125T3 (ko)
HK (1) HK1054252A1 (ko)
MX (1) MXPA02011387A (ko)
TW (1) TW522180B (ko)
WO (1) WO20010882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81B1 (ko) * 2012-04-18 2013-10-08 윤진혁 기능성 원사의 편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023B2 (ja) * 1990-07-31 1997-12-17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多頭の主軸頭を有する工作機械の送り制御方法
ES2322125T3 (es) * 2000-05-18 2009-06-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lo teñido.
DE60238909D1 (de) 2001-04-17 2011-02-24 Teijin Fibers Ltd Falschdrahtgarn aus polyesterverbundfas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3020530A (ja) * 2001-07-05 2003-01-24 Asahi Kasei Corp 先染糸の製造方法
WO2003100143A1 (en) * 2002-05-27 2003-12-04 Huvis Corporation Polytrimethylene terephtalate conjugate fib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4506130B2 (ja) * 2003-09-05 2010-07-21 東レ株式会社 先染め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1885B2 (ja) * 2004-02-10 2011-06-01 東レ株式会社 先染め糸の製造方法
US20080073813A1 (en) * 2004-12-17 2008-03-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Trim Panel with Multiple Decorative Characteristics
US7310932B2 (en) * 2005-02-11 2007-12-25 Invista North America S.A.R.L. Stretch woven fabrics
PL1920096T3 (pl) * 2005-06-29 2013-08-30 Primaloft Inc Przędze zawierające silikonowane mikrodenierowe włókna poliestrowe
KR100687032B1 (ko) * 2006-04-14 2007-02-26 주식회사 효성 카펫용 3차원 크림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US20070297730A1 (en) * 2006-06-21 2007-12-27 Bringuier Anne G Optical fiber assemblies having one or more water-swellable members
US8408766B2 (en) * 2006-11-07 2013-04-02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Luminous interior trim material
KR100895513B1 (ko) * 2007-03-29 2009-04-3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고신율 사염사를 이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146338A1 (en) * 2007-09-26 2009-06-11 Hoe Hin Chuah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 fibers
FR2943691B1 (fr) * 2009-03-31 2011-08-19 Michelin Soc Tech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cable a trois couches du type gomme in situ
FR2943690B1 (fr) * 2009-03-31 2011-08-19 Michelin Soc Tech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cable a trois couches du type gomme un situ
CN101994195B (zh) * 2009-08-21 2013-06-12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弹性织物及其生产方法
EP2526222A4 (en) * 2010-01-19 2014-04-30 Mmi Ipco Llc VELVET FABRIC MIXED WITH WOOL
US8729399B2 (en) * 2010-05-31 2014-05-20 Hitachi Metals, Ltd. Flat cab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13161016A1 (ja) * 2012-04-25 2013-10-31 株式会社丸昌商店 弾性複合撚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同弾性複合撚糸を使ったパイル繊維製品
CN114402099B (zh) * 2019-10-16 2023-09-12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复合纱线及由其制得的面料
JP7080380B1 (ja) 2021-05-31 2022-06-03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織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2046T3 (es) 1994-02-21 1998-03-16 Degussa Procedimiento para teñir fibras de poli(tereftalato de trimetileno) asi como uso de fibras teñidas obtenidas segun este procedimiento.
JP3439553B2 (ja) 1994-12-15 2003-08-25 旭化成株式会社 複合捲縮糸
JPH1112902A (ja) 1997-06-23 1999-01-19 Asahi Chem Ind Co Ltd 交編物
JPH11107038A (ja) 1997-09-29 1999-04-20 Asahi Chem Ind Co Ltd 高熱応力ポリエステル繊維
JPH11172526A (ja) 1997-11-26 1999-06-29 Asahi Chem Ind Co Ltd 低熱応力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紡糸方法
US6284370B1 (en) * 1997-11-26 2001-09-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ester fiber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1999037837A1 (fr) * 1998-01-27 1999-07-29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Fil frise composite
US6109015A (en) * 1998-04-09 2000-08-29 Prisma Fibers, Inc. Process for mak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yarn
CN1147632C (zh) 1999-05-27 2004-04-28 旭化成株式会社 缝纫线、缝纫线的制造方法及缝制品
KR100629813B1 (ko) * 1999-06-08 2006-09-2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TW522179B (en) * 1999-07-12 2003-03-01 Asahi Chemical Ind Polyester yarn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6399194B1 (en) * 1999-09-28 2002-06-04 Toray Industries, Inc. Polypropylene terephthalate twisted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HK1049031A1 (zh) 1999-09-30 2003-04-25 旭化成株式会社 緯編織物
TW572927B (en) * 1999-12-15 2004-01-21 Asahi Chemical Corp Trimethyleneterephthalate copolymer
CN1192961C (zh) * 2000-03-17 2005-03-16 旭化成株式会社 拉伸丝纬纱管及其制造方法
ES2322125T3 (es) * 2000-05-18 2009-06-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lo teñid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81B1 (ko) * 2012-04-18 2013-10-08 윤진혁 기능성 원사의 편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7581A1 (en) 2003-09-11
AU2001256777A1 (en) 2001-11-26
DE60138186D1 (de) 2009-05-14
US6926962B2 (en) 2005-08-09
CN1224742C (zh) 2005-10-26
JP3500392B2 (ja) 2004-02-23
CN1429291A (zh) 2003-07-09
MXPA02011387A (es) 2003-04-25
EP1288356A4 (en) 2006-05-17
EP1288356B1 (en) 2009-04-01
ES2322125T3 (es) 2009-06-17
EP1288356A1 (en) 2003-03-05
TW522180B (en) 2003-03-01
HK1054252A1 (zh) 2003-11-21
KR20030004408A (ko) 2003-01-14
WO2001088237A1 (fr)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706B1 (ko) 선염사
US7310932B2 (en) Stretch woven fabrics
JP3801562B2 (ja) 紡績糸
KR100518920B1 (ko) 위편지
US6708529B2 (en) Undergarment
JP2021532276A (ja) コアファイバーとシースファイバーを有する複合ヤーン
JP4255473B2 (ja) 縫糸及び布帛縫製品
JP4292763B2 (ja) 複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13578A (ja) 先染め糸条
JP2008174848A (ja) コアーヤーン縫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54802B2 (ja) ハンカチ用布帛及びハンカチ
JPH1112902A (ja) 交編物
JP7683331B2 (ja) ストレッチ織物
JP2003096642A (ja) 複合布帛とその製造方法
JP2004244731A (ja) 紡績糸
JP4049574B2 (ja) 複合先染糸
JP2004225173A (ja) パイル織物
JP2002054058A (ja) ラッセルレース
JP2005256247A (ja) 筒状編地
JP2003155632A (ja) 先染糸の製造方法
JP2004256932A (ja) 複合糸
JP2003313757A (ja) 編み地
JP2004052206A (ja) 高密度織物
JP2004250826A (ja) 織物
JP2000282342A (ja) 刺繍柄表糸並びに刺繍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