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7526B1 -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526B1
KR100467526B1 KR10-2002-0045196A KR20020045196A KR100467526B1 KR 100467526 B1 KR100467526 B1 KR 100467526B1 KR 20020045196 A KR20020045196 A KR 20020045196A KR 100467526 B1 KR100467526 B1 KR 10046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
sikhye
rice
water
red pe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213A (ko
Inventor
조동인
Original Assignee
조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인 filed Critical 조동인
Priority to KR10-2002-004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5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5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3Bulgari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전통 안동식혜는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 지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겨울철 기호 식품으로서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온 효소가 쌀 전분을 분해하여 생성된 단맛과 숙성과정에서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온 효소가 쌀 전분을 분해하여 생성된 단맛과 숙성과정에서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산미와 맥아 향, 무, 고춧가루 및 생강의 맛과 향이 조화된 전통 발효 식품이다.
(2) 발명의 목적
전통 안동식혜는 현대인들의 건강 증진과 기호에 맞게 개발하였으며,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맛은 되살리고, 건강식품인 전통식혜를 개량하여 산업화 하여서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며 세계에 우리나라 음식의 우수성을 알려서 수출증진에 기여하는 조성물이다.
(3)발명의 구성
가.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은 12시간 침지 후 물빼기를 한다.
나. 물을 뺀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을 증자하여 식혜밥을 만든다.
다.맥아는 미지근한 물에 2∼3시간 교반후 5℃에서 9시간 정도 정치시킨 다음 천으로 걸러서 윗물을 얻는다.
라. 고춧가루는 여과된 엿기름, 물에 넣어 고춧물을 추출한다.
마. 이상과 같이 준비된 재료를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 엿기름: 무: 배(또는 사과):물: 생강: 고춧가루: 설탕의 중량비는 각각 80: 50: 70: 30: 500: 8: 4: 5 로한다. 이 것의 비율은 시험에 의해서 가장 맛이 뛰어나고 발효가 잘 되는 것으로 정하였다.
바. 따뜻한 식혜밥과 생강즙 고춧가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엿기름, 물을 넣어 조정하고, 설탕을 넣고, 당화 유산균과 효모를 1.0%첨가(L-bulgaricus 0.5%(V/V), S. cerevisiae 0.5%(V/V)) 40℃에서 4시간 당화시킨다.
사. 당화 후 잘게 썬 무와 배 (또는 사과)를 넣어 섞은 후 4∼5℃에 넣어 보관 발효시킨다. 먹기 직전에 땅콩이나 잣을 띄워 먹을 수 있다.(단, 어린이용은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는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유산균 식혜는 맛과 품질의 향상 및 유산균의 다량 함유로 인한 향미부여 등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유산균 식혜의 제조법에서 각 재료의 첨가비율은 안동사람이 아닌 타 지방인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얻은 비율이므로 기호성이 넓다. 또한 이 제조법은 바로 상업화 시킬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Description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Lactic Acid Bacteria sikhe and manufacturing process}
전통안동식혜는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 지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겨울철 기호 식품으로서 엿기름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온 효소가 쌀 전분을 분해하여 생성된 단맛과 숙성과정에서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산미와 맥아향, 무, 고춧가루 및 생강의 맛과 향이 잘 조화된 전통 발효 식품이다. 종래의 전통적 안동식혜의 제조방법은 찹쌀을 12시간 침지 후 증자하여 식혜밥은 만들고 맥아는 미지근한 물에 담가둔 후 상층액을 쓴다. 고춧가루는 상층액의 엿기름물에 넣어 추출한다. 준비된 따뜻한 식혜밥과 적당히 썬 무, 생강즙, 고춧가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엿기름물을 넣어 당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통 안동식혜에 우수 유산균과 효모를 첨가함으로써 식혜본연의 맛은 살리고 한차원 높은 맛과 향을 낼 수 있으며 유산균과 효모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전통 안동식혜에서 분리한 우수 유산균과 효모이므로 안동식혜본연의 맛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산균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유산균의 효능에 따른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비타민 작용으로는 안동식혜의 유산균들은 발효 과정 중에 비타민 B군을 생합성하며, 특히 비타민 B1, B2, B12, 나이아신 등 B그룹의 영양소들이 크게 증가된다. 그리고 일부 발효 체계에서는 비타민 C의 생합성역시 보고 되고 있다. 특히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고 신경통, 피로회복, 정력증강에 효과가 있다.
두 번째, 향미부여 효과로는 유산균 식혜에 첨가된 효모는 산도가 높아져 젖산균의 생육이 정지되어도 효모는 계속 생육을 하며 잔유당을 소비함으로써 발효 당의 이용능이 높아지며 당을 알코올로 전환시키며 젖산균의 단독 발효로 인해 생산되는 젖산량을 조절하여 주며 적정한 산도와 향미를 부여한다.
식혜라 하면 흔히들 밥알이 떠있는 단맛의 음청 류를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안동 식혜는 그런 단조로운 맛을 내지 않는다. 안동 식혜는 무와 고춧가루물이 들어가는 독특한 음청류이기 때문이다. 시큼한 맛과 함께 약간의 매운 맛 그리고 입 끝에 남는 단맛의 독특함이 있다. 자극적이고 풍부한 미각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당한 음식이라 할 수 있겠다. 양반과 선비의 고장에서 대대로 내려온 이유있는 맛이다. 안동식혜는 찹쌀에 무를 넣고, 향신료인 생강즙과 고춧가루 수침액을 넣어 버물고 여기에 맥아즙을 넣어 발효시킨 것이 기본이다. 매운맛을 싫어해서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백 식혜도 있다. 안동을 중심으로 안동권으로 분류되는 영주ㆍ봉화ㆍ영양ㆍ청송ㆍ의성ㆍ예천ㆍ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겨울철의 음청류이다. 그러나 집집마다 만드는 재료나 비율이 각각 다르고 그 맛 또한 다양하여 그 기준을 정하기 어렵고 안동지방을 제외한 타 지방의 기호를 무시한 제조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안동식혜 제조법과는 달리 유산균과 효모를 식혜에 첨하여 그에 따른 향미부여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각 재료의 혼합비율을 조정했으며 식혜를 대중적인 기호에 맞는 레시피를 만들어 냈다.
가.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은 12시간 침지 후 물빼기를 한다.
나. 물을 뺀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을 증자하여 식혜밥을 만든다.
다. 맥아는 미지근한 물에 2∼3시간 교반 후 5℃에서 9시간 정도 정치시킨 다음 천으로 걸러서 윗물을 얻는다.
라. 고춧가루는 여과된 엿기름, 물에 넣어 고춧물을 추출한다.
마. 이상과 같이 준비된 재료를 찹쌀(또는 맵쌀, 차조, 수수): 엿기름: 무: 배(또는 사과): 물: 생강:고춧가루:설탕의 중량비는 각각 80: 50: 70: 30: 500: 8: 4: 5 로한다. 이 것의 비율은 시험에 의해서 가장 맛이 뛰어나고 발효가 잘 되는 것으로 정하였다.
바. 따뜻한 식혜밥과 생강즙 고춧가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엿기름, 물을 넣어 조정하고, 설탕을 넣고, 당화 유산균과 효모를 1.0%첨가(L-bulgaricus 0.5%(V/V), S. cerevisiae 0.5%(V/V)) 40℃에서 4시간 당화시킨다.
사. 당화 후 잘게 썬 무와 배(또는 사과)를 넣어 섞은 후 4∼5℃에 넣어 보관 발효시킨다. 먹기 직전에 땅콩이나 잣을 띄워 먹을 수 있다.
(단, 어린이 용은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유산균 식혜는 맛과 품질의 향상 및 유산균의 다량 함유로 인한 향미부여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유산균 식혜의 제조법에서 각 재료의 첨가비율은 안동사람이 아닌 타 지방인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얻은 비율이므로 기호성이 넓다.

Claims (2)

  1. 찹쌀: 엿기름: 무: 배(또는 사과): 물: 생강: 고춧가루: 설탕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각각 80: 50: 70: 30: 500: 8: 4: 5 로 하는 식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식혜밥, 생강즙 및 고춧가루 추출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엿기름, 물 및 설탕을 넣은 혼합물에 L-bulgaricus 0.5%(V/V)와 S-cerevisiae 0.5%(V/V)를 첨가하여 40℃에서 4시간 당화시킨 후, 잘게 썬 무와 배(또는 사과)를 섞어 4℃∼5℃ 로 보관하여 제조되는 유산균 식혜의 제조 방법
  2. 삭제
KR10-2002-0045196A 2002-07-31 2002-07-31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6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96A KR100467526B1 (ko) 2002-07-31 2002-07-31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96A KR100467526B1 (ko) 2002-07-31 2002-07-31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13A KR20020089213A (ko) 2002-11-29
KR100467526B1 true KR100467526B1 (ko) 2005-01-24

Family

ID=2772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7526B1 (ko) 2002-07-31 2002-07-31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622B1 (ko) 2011-01-31 2012-09-05 안동시 식혜음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30B1 (ko) * 2005-04-29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6842B1 (ko) * 2015-02-17 2017-02-15 포항시 밥식해 및 그 제조방법
KR101885684B1 (ko) * 2016-09-09 2018-08-07 한국식품연구원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391882B (zh) * 2023-12-08 2024-03-15 山东农圣恒昌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辣椒叶酵素饮料的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5A (ko) * 1995-04-06 1996-11-19 손종업 음식물
KR20000024211A (ko) * 2000-01-28 2000-05-06 이명호 고추 식혜 제조 방법
KR20000066470A (ko) * 1999-04-16 2000-11-15 조선화 무식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10356A (ko) * 2001-07-26 2003-02-05 최청 젖산균과 효모균주를 이용한 발효식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955A (ko) * 1995-04-06 1996-11-19 손종업 음식물
KR20000066470A (ko) * 1999-04-16 2000-11-15 조선화 무식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24211A (ko) * 2000-01-28 2000-05-06 이명호 고추 식혜 제조 방법
KR20030010356A (ko) * 2001-07-26 2003-02-05 최청 젖산균과 효모균주를 이용한 발효식혜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문화학회지, 1988. Vol.3, No.1, pp.101-111 *
한국식문화학회지,1992.Vol.7,No.3, pp.259-270 참조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622B1 (ko) 2011-01-31 2012-09-05 안동시 식혜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13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7536B (zh) 富硒醋的生产方法
CN103114016B (zh) 一种营养丰富的全汁发酵枣酒的制备方法
CN104630010A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539146B1 (ko) 감식초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101133730B1 (ko) 숙취해소 기능을 갖는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CN101250470A (zh) 一种草莓白兰地的制备方法
KR101320580B1 (ko) 보리함유 마술의 제조방법
KR100467526B1 (ko)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194363B (zh) 南果梨酒及其制备方法
CN118415286A (zh) 一种红枣发酵液的制备方法
CN103060166A (zh) 一种黑藠头醋及其制备方法
CN110558541A (zh) 山黄皮酸梅辣椒酱的制作方法
KR20120131353A (ko) 생강 식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940007885B1 (ko) 어성초 드링크
JP2006129821A (ja) ハマナス成分含有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9557B1 (ko) 호박 해조주의 제조방법
CN107236640A (zh) 一种核桃酒及其制备方法
KR101133898B1 (ko) 발효곶감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65551B1 (ko) 감 시럽 첨가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8581B1 (ko) 야콘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주의 제조방법
CN103396912A (zh) 一种桂圆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41262B1 (ko) 사과 초지게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사과 초지게미
KR900003705B1 (ko) 오미자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1322931B1 (ko) 보리함유 머루술의 제조방법
CN107446735A (zh) 一种养生啤酒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0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