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7165B1 -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 Google Patents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165B1
KR100467165B1 KR10-2001-0003036A KR20010003036A KR100467165B1 KR 100467165 B1 KR100467165 B1 KR 100467165B1 KR 20010003036 A KR20010003036 A KR 20010003036A KR 100467165 B1 KR100467165 B1 KR 10046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an
sample
composition
fraction
calcium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356A (ko
Inventor
어중혁
박부수
주창헌
박종진
이복률
이금영
홍승서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KR10-2001-000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내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β-1,3-글루칸을 검출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및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칼슘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액, 또는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 존재하에서 곤충의 체액, 또는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얻고, 얻어진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검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상기 시료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칼슘 이온을 첨가하고, 상기 시료에서의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β-1,3-글루칸을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Composition for detecting β-1,3-gluca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agnostic kit detecting β-1,3-glucan}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암 환자나 장기이식 수술환자, AIDS 환자 등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전신 진균 감염증이나 프로토조아와 같은 원생동물의 감염이 증가되는 사실은 의료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도 점점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조기에 진균 감염 여부를 판단하여 적절한 항진균제를 투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조치이나 현재 조기 진균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많은 AIDS 환자가 주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으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하고 있고 최근 주폐포자충의 세포벽성분으로 β-1,3-글루칸이 존재함이 보고되고 있다 (Kottom et al., J. Biol. Chem. (2000), 275(51), pp. 40628-34).
환자 진단의 경우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진균 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진균학적 방법 즉,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배양을 통해 진균의 감염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배양 시간이 2-5일이 요구되어 치료시기를 맞추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진균이 가진 항원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진균의 대사산물을 이용한 진단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후자의 경우 여러 대사산물을 모두 분석해야 할 뿐 아니라 진균 대사산물의 빈번한 변이 유도에 의해 그 감도나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신 진균 감염의 초기 단계에 감염 환자의 혈액중에 미량 존재하는 β-1,3-글루칸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시스템을 찾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가재나 어패류의 인공 양식에서 곰팡이가 양식조에 감염되면 가재나 어패류가 다량 괴사하므로 이로 인한 양식업계의 경제적 피해가 심각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진균의 감염을 초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수산 양식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곤충에서의 멜라닌 형성은 체내에 존재하는 페놀성 물질의 산화로 시작되는데, 이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인 페놀옥시데이즈는 곤충의 체내에서 평상시에는 불활성 형태인 프로페놀옥시데이즈 형태로 존재하다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활성화되는 프로페놀옥시데이즈 연쇄 반응의 최종산물의 자극에 의해 최종 활성 형태인 페놀옥시데이즈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페놀옥시데이즈의 활성화는 미생물의 세포벽 성분인 β-1,3-글루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펩티도글리칸 등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완전변태 곤충의 생체 내에는 프로페놀옥시데이즈가 존재하며, β-1,3-글루칸 또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캐스케이드반응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로 활성화된다. 일련의 캐스케이드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 반응 시스템은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균이나 이물질, 혹은 자신의 혈구 세포의 탈과립화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내부인자 등에 의하여 쉽게 활성화되어 페놀옥시데이즈로 변화되어 카테콜아민류를 이용하여 멜라닌을 형성해 버린다. 따라서 이 반응 시스템을 생체 외로 분리하기 어려웠다.
Ashida 등은 미국특허 4,970,152에서 엔도톡신과는 반응하지 않고 펩티도글리칸 및 β-1,3-글루칸과는 반응하는 누에의 플라즈마로부터 얻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펩티도글리칸 또는 β-1,3-글루칸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특허에서는 친화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해 펩티도글리칸과 반응하는 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β-1,3-글루칸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Ashida 등은 Eur. J. Biochem, 188, 507-515(1990) 모기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β-1,3-글루칸을 인식하는 조성물을 제시하면서 프로페놀옥시데이즈의 활성에 2가 이온이 중요한 역활을 한다고 밝혔다.
미국특허 5,266,461에는 리물러스(Limulus) 혈구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β-1,3-글루칸을 인식하는 조성물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리물러스는 희귀동물로 대부 분의 국가에서 자연보호동물로 지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갈색거저리의 체액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칼슘 이온 및 β-1,3-글루칸 존재하에서의 반응시간에 따른 페놀옥시데이즈 활성 그래프이다.
도 2는 갈색거저리의 체액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β-1,3-글루칸 농도에 따른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의 표준곡선이다.
도 3은 갈색거저리의 체액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검출의 특이성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갈색거저리의 체액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펩티도글리칸에 대한 검출의 특이성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갈색거저리의 플라즈마, 혈구용혈물, 체액에서 각각 얻은 조성물이 β-1,3-글루칸에 의해 유도되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갈색거저리의 플라즈마에서 얻은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β-1,3-글루칸의 농도에 따라 나타나는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한국산 참검정풍뎅이 유충의 플라즈마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혈구용혈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β-1,3-글루칸에 대한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한국산 참검정풍뎅이 유충의 플라즈마에서 분리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과 혈구용혈물의 혼합물의 칼슘이온 및 β-1,3-글루칸 존재하에서 시간에 따른 페놀옥시데이즈 활성 그래프이다.
도 9는 암 환자의 혈액을 대상으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혈액을 대상으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칸디다증 환자를 대상으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시료내의 β-1,3-글루칸을 검출할 수 있는 조성물,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은 곤충 내에 존재하는,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로 활성화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은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 성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칼슘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곤충의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며, 그 예로 프로페놀옥시데이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β-1,3-글루칸을 바람직하게는 20pg/ml까지 검출할 수 있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β-1,3-글루칸을 검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체에 캔디다와 같은 진균의 감염 여부, 주폐포자충과 같은 프로토조아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곤충은 체내에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곤충을 의미하며, 완전변태 곤충이 바람직하다. 예로는 가재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 딱정벌레목(Coleoptesra)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딱정벌레목으로서 거저리과, 풍뎅이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슘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을 시료로 사용하고, 분리 공정 중 칼슘 이온의 생리적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β-1,3-글루칸에 의해 활성화되는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얻고, 얻어진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예는, 곤충의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에 혈구 용혈물 또는 부분 정제된 혈구 용혈물을 첨가하고,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필요한 경우,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에 혈구 용혈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곤충에 존재하는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이 β-1,3-글루칸에 의해 활성화될 뿐 아니라, 칼슘 이온에 의해서도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곤충으로부터 페놀옥시데이즈 시스템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β-1,3-글루칸 뿐 아니라 칼슘 이온에 의한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은 곤충 체액 또는 플라즈마와 혈구용혈물로부터,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 존재하에서 곤충으로부터 체액 또는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인 시료를 얻고, 얻어진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곤충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때, 체액 응고를 억제할 수 있는 항응고 완충액을 사용한다. 항응고 완충액은 곤충의 체액 응고를 억제할 수 있는 완충액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이트레이트 완충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을 시료로 사용함으로써,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특이적으로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밝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로부터 β-1,3-글루칸을 20pg/ml까지 검출할 수 있다.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은 곤충의 체액을 취한 후 플라즈마와 혈구를 분리하고 분리된 혈구를 용혈시켜 플라즈마에 혼합하거나, 혈구 용혈물 또는 부분 정제된 형구 용혈물을 부분 정제된 플라즈마에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체액 내의 혈구를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일부 또는 전부의 혈구를 용혈시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액 또는 분리한 혈구를 초음파분쇄 (sonication)하거나 고속원심분리함에 의해 혈구를 용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시료를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는 공정은 예를 들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시료 채취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로써, 종래에 알려져 있는 킬레이팅제는 특별한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EDTA, EGTA, 사이트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킬레이팅제의 양은 대상 곤충 시료나 컬럼의 종류, 사용 용매 등 분리 공정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곤충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된다. 따라서 이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들은 과도한 실험 없이 킬레이팅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 또는 완충액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pH가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6.5보다 높은 경우 페놀옥시데이즈 캐스캐이드 반응의 한 성분인 세린 프로테이즈가 활성화되어 프로페놀옥시데이즈를 페놀옥시데이즈로 활성화시켜버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곤충 시료를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로 처리하는 방법의 한 예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레진을 충진시킨 컬럼에 곤충 시료를 로딩한 후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로 용출시켜 분획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친화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별도의 까다로운 정제과정없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에 의해 β-1,3-글루칸을 20pg/ml까지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조성물을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할 수 있는 레진은 덱스트란을 원료로 하는 레진이나 비닐을 원료로 하는 레진이 바람직하다. 한 예로 세파덱스 또는 토요펄(Toyopear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β-1,3-글루칸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의 진단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검체에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검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상기 시료에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과 칼슘 이온을 첨가하고, 상기 시료에서의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 존재하에서 준비된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인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포함하는 용매로 처리하여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를 활성화시키는 분획을 선택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β-1,3-글루칸 검출 방법에서, 검체는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이거나 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일 수 있다. 한 예로, 검체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진균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양식업에서는 양식장의 물을 채취하여 진균과 같이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 진단의 특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경우 검체 시료에 존재할 수 있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제거하는 전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체 시료를 폴리믹신(polymyxin)과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특이적으로 결합하거나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침전시킬 수 있는 물질로 처리함에 의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균 감염의 진단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측정 방법은, 기존에 알려진 페놀옥시데이즈 측정 방법을 그대로 또는 변형시켜 이용할 수 있다. 한 예로 아래에 설명한 4-메틸카테콜/4-하이드록시프롤린에틸에스테르(4-MC/4-HP)를 이용한 발색 반응이나 도파민을 이용한 멜라닌 형성 반응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쉽게 초기 단계의 진균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는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함유한다. 한 예로, 본 발명에서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 존재하에서 준비된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 상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포함하는 용매로 처리하여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를 활성화시키는 분획을 선택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완충액 및 페놀옥시데이즈 활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항응고 완충액(pH 5.5): NaCl 15 mM, 트리소디움 사이트레이트 136 mM, 시트르산 26 mM, EDTA 20 mM
β-1,3-글루칸 용액: β-1,3-글루칸(curdlan,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10mg을 0.1N NaOH 1ml에 녹인 용액 10 μl과 20mM 트리스 완충액(pH 8.0) 990 μl을 혼합하여 만든 용액
4-MC/4-HP 발색 반응
농도별로 희석한 β-1,3-글루칸 용액 10 μl에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30 μl을 섞어 30 ℃에서 5분간 전반응시키고 20 mM 트리스 완충액(pH 7.5) 437.5 μl와 1M CaCl25μl, 250 mM 4-메틸카테콜(MC) 2μl, 62.5 mM 4-하이드록시프롤린에틸에스테르(HP) 16 μl을 넣어 총량이 500 μl이 되도록 한 후 30℃에서 30분 반응시킨다. 여기에 20% 초산 500 μl을 넣어 반응을 중지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멜라닌 생성 반응
희석한 β-1,3-글루칸 용액 10 μl에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30 μl을 섞어 30 ℃에서 10분간 전반응시킨 후 0.02M 트리스 완충액(pH 8.0) 405 μl, 1M CaCl25μl, 10mM 도파민 용액 50μl을 가하여 30℃에서 60 분 반응시킨다.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얻는다. 검체에서 채혈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장을 시료로 사용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곡선으로부터 시료내에 존재하는 β-1,3-글루칸의 양을 결정한다.
실시예 1.
딱정벌레목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유충을 얼음 위에서 마취시키고 25G 주사바늘이 연결된 5ml 멸균 주사기에 항응고 완충액을 채워 머리쪽 첫번째 마디에 찔러 유출되는 체액을 마리 당 3방울씩 모았다. 채취한 체액 60ml을 203,006g 속도로 4℃에서 4시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필트레이션(0.45um)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55ml을 모았다. 이것을 울트라필트레이션(cut off: 10,000)하여 3ml까지 농축하였다. 토요펄(Toyopearl) HW-55S 레진을 1 x 50 cm 컬럼에 충진시키고 충분한 양의 항응고 완충액으로 컬럼을 세척하였다. 농축된 시료를 로딩하고 항응고 완충액을 0.18ml/분의 속도로 흘려주면서 용출액을 3.8ml씩 모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사하면서 β-1,3-글루칸 용액을 사용한 4-MC/4-HP 발색 반응을 통해, β-1,3-글루칸이 있을 때 발색되는 분획만을 모아 1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3.8 ml을 얻었다. 얻어진 1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사용하여, Ca2+의 존재 또는 부존재 하에서 β-1,3-글루칸 검출 능력을 확인하였다.
1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3.8 ml을 다시 상기와 동일한 컬럼에 로딩하고, 항응고 완충액을 0.16ml/분의 속도로 흘려 주면서 용출액을 3ml씩 모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사하여 β-1,3-글루칸 용액을 사용한 4-MC/4-HP 발색 반응을 통해, β-1,3-글루칸이 있을 때 발색되는 분획만을 모아 2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얻고 이를 최종적으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로 하였다. 최종 Ca2+농도를 각각 0mM과 5mM로 되도록 하고, β-1,3-글루칸 용액 100ng/ml을 함유하는 용액 10ul을 사용하여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로 4-MC/4-MP 발색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시간에 따라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 : 완충액, -■- :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 :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Ca2+, -×- :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 Ca2++ β-1,3-글루칸).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이 β-1,3-글루칸이 존재하는 경우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β-1,3-글루칸의 농도에 따른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정하였다. β-1,3-글루칸의 농도 0 내지 200 pg/ml 에 대해 상기의 발색반응으로 30℃에서 1시간 반응시켜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농도와 활성의 상관계수가 0.9862로 나타나 극미량의 β-1,3-글루칸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이 β-1,3-글루칸에 대한 특이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와 펩티도글리칸에 대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였다. 50mM 트리스 완충액(pH 7.0)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시그마사)와 펩티도글리칸(시그마사)를 각각 현탁시켜 펩티도글리칸은 그대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2-3분동안 초음파파쇄한 후 기질로 사용하였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 200pg/ml, 20ng/ml, 20ug/ml의 농도의 기질을 사용하여 최종 Ca2+농도 5mM 및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로 4-MC/4-MP 발색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β-1,3-글루칸 20ng/ml을 기질로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 Ca2+를 첨가한 음성대조구 (이하 A), ▨ : A + 리포폴리사카라이드200pg/ml, ▧ : A + 리포폴리사카라이드 20ng/ml, ▤ : A + 리포폴리사카라이드 20ug/ml, ■: A + β-1,3-글루칸 20ng/ml(양성대조구)).
또한 펩티도글리칸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Ca2+를 첨가한 음성대조구 (이하 A), ▨ : A + 펩티도글리칸 200pg/ml, ▧ : A + 펩티도글리칸 20ng/ml, ▤ : A + 펩티도글리칸 20ug/ml, ■: A + β-1,3-글루칸 20ng/ml (양성대조구)).
이와 같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및 펩티도글리칸의 고농도, 즉 20ug/ml에 대해서도, 그 반응시간을 증가시켜도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본발명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은 β-1,3-글루칸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딱정벌레목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유충을 얼음 위에서 마취시키고 25G 주사바늘이 연결된 5ml 멸균 주사기에 항응고 완충액을 채워 머리쪽 첫번째 마디에 찔러 유출되는 체액을 마리 당 3방울씩 모았다. 채취한 체액 85ml을 372 g로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플라즈마로, 침전물을 혈구세포로 얻었다. 플라즈마 60ml을 203,006 g의 속도로 4℃에서 4시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필트레이션(0.45 um)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58ml을 모으고, 울트라필트레이션(cut off: 10,000)하여 3ml까지 농축하였다. 토요펄 HW-55S 레진을 1 x 50 cm 컬럼에 충진 시키고 충분한 양의 항응고 완충액으로 컬럼을 세척하였다. 농축된 시료를 로딩하고 항응고 완충액을 0.18ml/분의 속도로 흘려 주면서 용출액을 3.8ml씩 모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사하면서 β-1,3-글루칸 용액을 사용한 4-MC/4-HP 발색 반응을 통해, β-1,3-글루칸이 있을 때 발색되는 분획만을 모아 1차 정제된 플라즈마 유래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을 3.8 ml을 얻었다.
한편, 침전물인 혈구세포를 취하고 항응고 완충액으로 세척하여 원심분리하여 플라즈마 부분을 제거하였다. 이를 3회 정도 반복하고 혈구세포를 완전히 파괴하기 위해서 초음파분쇄를 실시한 후 372 g로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3ml을 혈구세포 용혈물로 얻었다.
부분정제된 플라즈마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혈구세포 용혈물 및 실시예 1의 체액으로부터 1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동일 단백질 함량(400ug)에 대해 Ca2+의 존재하에서 각각의 β-1,3-글루칸(농도 2ng/ml) 검출 능력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같이 체액으로부터 얻은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이 β-1,3-글루칸에 대해 검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의 플라즈마유래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를 사용하여 β-1,3-글루칸의 농도에 따른 β-1,3-글루칸 검출능력을 확인하였다. 도 6에서와 같이 플라즈마만에서 얻은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에 대해서는 β-1,3-글루칸과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이 β-1,3-글루칸을 특이적으로 검출하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다양한 당을 시료로 사용하여, 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멜라닌 생성 반응을 수행하였다.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은 β-1,3-글루칸 존재하에서만 유의성 있게 멜라닌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결합종류 흡광도 (400nm)
D(+) 글루코오스 0.211
셀룰로오스 β-1,4 0.240
말토오스 α-1,4 0.237
덱스트란 α-1,6 0.290
라미나린 β-1,3 β-1,6 0.292
자이모산 β-1,3 3.616
커들란 β-1,3 3.352
20 mM 트리스(pH 8.0) 0.208
실시예 4.
한국산 참검정풍뎅이(Holotrichia diomphalia) 유충에서 분리한 체액 50ml을 420 g 속도로 4℃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각각 플라즈마와 혈구세포로 얻었다. 먼저 침전된 혈구세포 5ml에 50mM 트리스 완충액/1mM EDTA (pH 6.5) 5ml를 가하여 초음파분쇄를 실시한 후 22,000 g 속도로 4℃에서 20분간 원심 분리시켜 상등액을 혈구세포 용혈물로 사용한다.
한편, 상등액의 플라즈마 50ml을 203,006 g 속도로 4℃에서 4시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울트라 필트레이션(cut off: 10,000)하여 3ml까지 농축하였다. 토요펄 HW 55S 레진을 1 X 50 cm 컬럼에 충진 시키고 50mM 트리스 완충액/20mM EDTA (pH 6.5)로 평형화시킨 후 농축된 플라즈마 3ml을 로딩하였다. 50mM 트리스 완충액/20mM EDTA (pH 6.5)를 0.16 mL/분의 속도로 흘리면서, 용출액을 약 3.2mL씩 모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사하고, 4-MC/4-HP 발색 반응을 통해 5mM Ca2+이 있을 때 발색되는 분획들을 각각 모았다. 이 분획들에 혈구용혈물과 β-1,3-글루칸의 존재하에서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모아 부분정제된 플라즈마액 (3.2ml)으로 하였다.
부분정제된 플라즈마액 (단백질함량 : 25 ug), 상기의 혈구용혈물 (단백질 함량 175ug) 및 이들의 혼합물인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단백질함량비 25ug : 175ug) 각각에 대한 β-1,3-글루칸에 대한 검출능을 측정하고 도 7에 나타내었다. 반응조건은 최종 Ca2+농도를 5mM로 하고, β-1,3-글루칸 농도 0.1 ug/ml을 함유하는 용액 10ul를 사용하여 30분동안 4-MC/4-HP 발색 반응을 수행하였다. 부분정제된 플라즈마액과 혈구용혈물의 혼합물이 β-1,3-글루칸이 있을 경우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β-1,3-글루칸의 검출능을 확인하고 도 8에 나타내었다 (: 최종 칼슘 농도 5 mM + β-1,3-글루칸 2 μg/ml, □―□: 최종 칼슘 농도 5 mM,: 20 mM 트리스 완충액, ▲―▲: β-1,3-글루칸 2 μg/ml). 칼슘 이온 및 칼슘 이온존재하에서의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5.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과 입원 중인 암환자 50명으로부터 채혈하였다. 혈액에 헤파린을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장을 β-1,3-글루칸 검출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환자로부터 얻은 혈장 10μl에 실시예 1의 1차 정제된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 10μl을 섞어 4-MC/4-HP 발색 반응을 수행하였다.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으로부터 시료에 존재하는 β-1,3-글루칸의 양을 구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11명)로부터 채혈한 혈장에서는 β-1,3-글루칸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항암치료로 인하여 면역성이 감소된 고형종양 (solid tumor)과 혈액종양 (hematogenic tumor)을 가진 환자들은 염증성 질환 환자들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β-1,3-글루칸 농도를 나타내었다(도 9, 괄호안의 숫자는 실행한 실험의 수를 나타내며 β-1,3-글루칸의 농도는 ug/혈청 ml로 나타내고 평균치±SEM임). 도 9에서 기타로 표시된 환자들은 염증성 질환만 가지고 종양은 없는 환자들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성 질환 환자들의 경우 β-1,3-글루칸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종양과 염증성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그 값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괄호안의 숫자는 실행한 실험의 수를 나타내며 β-1,3-글루칸의 농도는 평균치±SEM임). 후자의 경우는 종양만 있는 환자에 비해 종양과 염증성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의 면역성이 더욱 떨어져 진균 감염 정도가 높은 탓으로 추측된다.
칸디다증(Candidiasis)이 있는 것으로 확진된 환자의 경우 β-1,3-글루칸 농도는 더욱 높았고 칸디다증 환자 중 항진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서는 유의하게 β-1,3-글루칸 농도가 낮았다(도 11, 괄호안의 숫자는 실행한 실험의 수를 나타내며 β-1,3-글루칸의 농도는 평균치±SEM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료 내의 β-1,3-글루칸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유효성 있게 진균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 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다.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조기에 β-1,3-글루칸을 세포벽 성분으로 가지는 미생물 감염 여부를 판단하여 적절한 항균제를 투여함에 의해 미생물 감염으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으며, 수산 양식업 등에서 곰팡이 감염에 대해 조기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얻고, 얻어진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칼슘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활성화되는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β-1,3-글루칸을 최저 20pg/ml까지 검출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딱정벌레목 곤충인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딱정벌레목 곤충이 거저리과 또는 풍뎅이과 곤충인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지는 분획인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는 덱스트란을 원료로 하는 레진 또는 비닐을 원료로 하는 레진으로 충진된 것인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에 혈구 용혈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9. 곤충의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에 혈구 용혈물 또는 부분 정제된 혈구 용혈물을 첨가하고,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칼슘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활성화되는 페놀옥시데이즈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딱정벌레목 곤충인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딱정벌레목 곤충이 거저리과 또는 풍뎅이과 곤충인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지는 분획인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는 덱스트란을 원료로 하는 레진 또는 비닐을 원료로 하는 레진으로 충진된 것인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에 혈구 용혈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15. 사람을 제외한 검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상기 시료에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과 칼슘 이온을 첨가하고, 상기 시료에서의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β-1,3-글루칸 검출 방법.
  16. 곤충의 플라즈마와 혈구 용혈물의 혼합물인 시료를 얻고, 얻어진 시료를 상기 시료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 중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β-1,3-글루칸을 최저 20pg/ml까지 검출하는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딱정벌레목 곤충인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곤충의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및 분리 공정에 존재하는 칼슘이온을 킬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용매 또는 완충액으로 처리하여 분획을 얻고, 얻어진 분획에 혈구 용혈물 또는 부분 정제된 혈구 용혈물을 첨가하고, 칼슘 이온 존재하에서 β-1,3-글루칸에 의해 페놀옥시데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이 딱정벌레목 곤충인 β-1,3-글루칸 검출용 키트.
KR10-2001-0003036A 2000-01-20 2001-01-19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KR10046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036A KR100467165B1 (ko) 2000-01-20 2001-01-19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2542 2000-01-20
KR1020000002542 2000-01-20
KR10-2001-0003036A KR100467165B1 (ko) 2000-01-20 2001-01-19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56A KR20010076356A (ko) 2001-08-11
KR100467165B1 true KR100467165B1 (ko) 2005-01-24

Family

ID=2663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036A KR100467165B1 (ko) 2000-01-20 2001-01-19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47B1 (ko) * 2001-07-14 2005-04-2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0152A (en) * 1986-12-03 1990-11-13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Reagents for determining peptidoglycan and β-1,3-glucan
US5266461A (en) * 1990-06-21 1993-11-30 Seikagaku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1-3)-β-D-glucan
JPH07184690A (ja) * 1993-11-18 1995-07-25 Wako Pure Chem Ind Ltd プロフェノールオキシダーゼ活性化酵素の活性測定法およびその応用
JPH11178599A (ja) * 1997-12-22 1999-07-06 Wako Pure Chem Ind Ltd エンドトキシン又は/及びペプチドグリカン測定用試薬
KR100264366B1 (ko) * 1995-07-31 2000-08-16 다나까 모또아끼 미생물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0152A (en) * 1986-12-03 1990-11-13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Reagents for determining peptidoglycan and β-1,3-glucan
US5266461A (en) * 1990-06-21 1993-11-30 Seikagaku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1-3)-β-D-glucan
JPH07184690A (ja) * 1993-11-18 1995-07-25 Wako Pure Chem Ind Ltd プロフェノールオキシダーゼ活性化酵素の活性測定法およびその応用
KR100264366B1 (ko) * 1995-07-31 2000-08-16 다나까 모또아끼 미생물 검출 방법
JPH11178599A (ja) * 1997-12-22 1999-07-06 Wako Pure Chem Ind Ltd エンドトキシン又は/及びペプチドグリカン測定用試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56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Haemolymph parameters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nfected with Taura syndrome virus
Rocchi et al. Serum ferritin in the assessment of liver iron overload and iron removal therapy in porphyria cutanea tarda
EP0270039B1 (en) Reagents for determining peptidoglycan and beta-1,3-glucan
Smith et al. Cell cooperation during host defense in the solitary tunicate Ciona intestinalis (L)
US7507553B2 (en) Galleria mellonella derived composition for detecting peptidoglycan, a method for use thereof, and a diagnostic kit containing the same
Fearnley Fibrinolysis by adsorption
US6987002B2 (en) Composition for detecting β-1,3-glucan
Armstrong et al. The Limulus blood cell secretes α2-macroglobulin when activated
Tanaka et al. Advances in dermatophytes and dermatophytosis
JP6254585B2 (ja) Maldi−tof質量分析による侵襲性真菌感染症の体外診断法
KR100467165B1 (ko)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MUÑOZ et al. Catheter-related fungemia by Hansenula anomala
KR100485947B1 (ko) β-1,3-글루칸 검출용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β-1,3-글루칸 검출 키트
US4861754A (en) Bacteriocins and compositions thereof in anti-viral treatment
JPS58183627A (ja) 免疫生物学的調製物
KR100471308B1 (ko) 펩티도글리칸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펩티도글리칸 검출키트
Jacobson et al. Trichinosis in an immunosuppressed human host
Yoshino et al. Aminopeptidase activity in the hemolymph and body tissues of the pulmonate gastropod Biomphalaria glabrata
EP0219400B1 (fr) Glycopeptides et glycoprotéines, toute composition les contenant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anticoagulantes
EP0247873A2 (en) Bacteriocins and compositions thereof in anti-viral treatment
Chernin et al. Analysis of six serum components from rats infected with tetrathyridia of Mesocestoides corti
Hanker et al. Medusa cells: cytostructure and cytochemistry of amoeboid eosinophils with pseudopod-like processes
JP6341486B2 (ja) リポ多糖、ペプチドグリカン及び1,3−β−D−グルカンを検出するためのロブスター血球抽出物からの組成物
Patel et al. Comparative efficacy of two antibabesial treatment protocols against canine babesiosis in and around Navsari, Gujarat
Hussein et al. Oxidative stress indices and pathological changes in cattle with traumatic pericard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1021

Appeal identifier: 2004101003683

Request date: 2004081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8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2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