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5875B1 -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875B1
KR100465875B1 KR10-2002-0031911A KR20020031911A KR100465875B1 KR 100465875 B1 KR100465875 B1 KR 100465875B1 KR 20020031911 A KR20020031911 A KR 20020031911A KR 100465875 B1 KR100465875 B1 KR 10046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d
output
internal memory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667A (ko
Inventor
전순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875B1/ko
Priority to US10/299,446 priority patent/US7134059B2/en
Publication of KR2003009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8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48Arrangements in static store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by means external to the store, e.g. using direct memory access [DMA] or using auxiliary access pa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12Data reordering during input/output, e.g. crossbars, layers of multiplexers, shifting or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시스템 온 칩내의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그러한 구조는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신호 라인들중 서로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끼리는 하나의 공통 패드를 각기 할당하고, 상기 공통 패드와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신호 라인들 사이를 대응되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함에 의해, 복합 메모리 소자의 입출력 패드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은 물론, 테스트 동작에서 프로빙 횟수의 감소에 따른 패드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pad connection structure in embedded memory device}
본 발명은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온 칩내의 내장 메모리 소자(embedded memory device)들의 패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반도체 제품 가운데에는 여러 종류의 메모리 예컨대 DRAM, SRAM, 플래쉬 메모리 등을 단일 칩에 내장한 복합 메모리 소자(memory merged logic)가 잘 알려져 있다. 시스템 온 칩으로 개발된 복합 메모리 소자에서, 내장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1M비트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리던던시 메모리 셀을 갖는 복합 멀티 메모리 시스템 온 칩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복합 메모리 소자들은 출하 전에 EDS 공정에서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메모리 셀의 결함유무를 체크하는 테스트를 받게 된다. 메모리 테스트 시에 테스터에 연결된 프로브(probe)는 프로빙 패드를 통해 상기 복합 메모리 소자 내의 내장 메모리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래의 테스트 수행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DRAM,SRAM,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내장 메모리 소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테스트가 행하여진다. 즉, 종래에는 내장 메모리 소자의 종류 별로 핀의 용도 즉, 입력, 출력, 입/출력 핀의 구별없이 핀을 할당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내장 메모리 소자에 대한 개별적인 테스트 만이 가능하였다. 그러한 EDS 테스트의 수행에 따라 프로브는 프로빙 패드와 여러 번 접촉한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프로빙 횟수는 패드 손상을 유발하고 그에 따라 반도체 제품의 조립 불량율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패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이퍼 레벨 테스트시 프로빙 패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메모리 소자의 입출력 패드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패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테스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패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 가운데 일부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aspect)에 따라, 시스템 온 칩내의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는, 상기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이 각기 다른 종류의 메모리인 경우에도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신호 라인들중 서로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끼리는 하나의 공통 패드를 각기 할당하고, 상기 각 공통 패드와 상기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사이를 대응되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각기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라인들은 입력라인, 출력라인, 및 입/출력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장치적 구성에 따르면, 복합 메모리 소자의 입출력 패드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은 물론, 프로빙 횟수의 감소에 따른 패드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복합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테스팅 시간이 감소되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도
도 2는 도 1중 입력 및 출력 멀티플렉서의 구현 일예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동작 타이밍도
도 4는 도 1중 입/출력 멀티플렉서의 구현 일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의 제어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들은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DRAM, SRAM, 플래쉬 메모리 등을 내장 메모리 소자로서 탑재한 복합 메모리 소자를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패드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내장 메모리 소자들에 각기 배치되어 있던 입력패드, 출력패드, 입/출력 패드를 제거하는 대신에 각각의 공통 패드를 설치한다. 예컨대, SRAM의 제1 입력패드와 DRAM의 제1 입력패드와 플래쉬 메모리의 제1 입력패드를 하나의 공통 입력패드로 대치하고, 입력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복수의 입력패드들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SRAM의 제n 입력패드와 DRAM의 제n 입력패드와 플래쉬 메모리의 제n 입력패드는 제n 공통 입력패드로 대치하고, 제n 입력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한다.
또한, SRAM의 제1 출력패드와 DRAM의 제1 출력패드와 플래쉬 메모리의 제1출력패드를 하나의 공통 출력패드로 대치하고, 출력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한다. 유사하게, SRAM의 제1 입/출력패드와 DRAM의 제1 입/출력패드와 플래쉬 메모리의 제1 입/출력패드를 하나의 공통 입/출력패드로 대치하고, 입/출력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서,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100,200,300)의 패드 연결구조는,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100,200,300)의 신호 라인들(L1-L9)중 서로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끼리(L1-L3, L4-L6, L7-L9)는 대응되는 멀티플렉서들(10,20,30)을 통해 각기 하나의 공통 패드(PD1,PD2,PD3)에 연결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내장 메모리 소자의 내부에 있던 패드들은 제거되므로, 제1 메모리(100)의 입력단(IN)은 더 이상 입력 패드가 아닌 입력 버퍼의 입력단이며, 출력단(OUT)은 출력 패드가 아닌 출력버퍼의 출력단이고, 입/출력단(I/O)은 입/출력 버퍼의 입/출력단이다. 결국, 상기 신호라인(L1)은 입력 멀티플렉서(10)와 상기 입력 버퍼사이에 패드 없이 연결되는 입력라인이다. 마찬가지로 신호라인들(L2-L9)도 패드를 통함이 없이 연결되는 라인들이다.
상기 입력 멀티플렉서(10)는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i)에 응답하여 신호라인들(L1-L3)중 하나를 입력 패드(PD1)와 연결하며, 출력 멀티플렉서(20)는 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OCONi)에 응답하여 신호라인들(L4-L6)중 하나를 출력 패드(PD2)와 연결하고, 입/출력 멀티플렉서(30)는 입/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OCONi)와 입출력 제어신호(IO_CTL)에 응답하여 신호라인들(L7-L9)중 하나를 입/출력 패드(PD3)와 연결한다.
도 2는 도 1중 입력 및 출력 멀티플렉서(10,20)의 구현 일예도로서, 입력 멀티플렉서(10)는 공통의 입력 패드(PD1)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단으로 각기 수신하는 삼상태 버퍼들(B1,B2,B3)과, 상기 삼상태 버퍼들(B1,B2,B3)의 각각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풀다운 저항들(R1,R2,R3)로 구성된다. 여기서, 삼상태 버퍼부(12)내의 상기 삼상태 버퍼들(B1,B2,B3)은 상기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i:MICON1,MICON2,MICON3)의 논리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인에이블되어 상기 입력 패드(PD1)에 인가된 입력 신호를 신호라인들(L1,L2,L3)로 제공한다.
입력 멀티플렉서(10)는 공통의 입력 패드(PD1)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단으로 각기 수신하는 삼상태 버퍼들(B1,B2,B3)과, 상기 삼상태 버퍼들(B1,B2,B3)의 각각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풀다운 저항들(R1,R2,R3)로 구성된다. 여기서, 삼상태 버퍼부(12)내의 상기 삼상태 버퍼들(B1,B2,B3)은 상기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i:MICON1,MICON2,MICON3)의 논리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인에이블되어 상기 입력 패드(PD1)에 인가된 입력 신호를 신호라인들(L1,L2,L3)로 제공한다.
출력 멀티플렉서(20)는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출력신호 라인(L4-L6)에 각기 제공되는 출력신호를 공통의 출력 패드(PD2)에 인가하기 위한 삼상태 버퍼들(B6,B7,B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삼상태 버퍼들(B6,B7,B8)은 상기 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OCONi:MOCON1,MOCON2,MOCON3)의 논리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인에이블되어 상기 출력신호 라인(L4-L6)에서 제공되는 출력신호를 공통의 출력 패드(PD2)에 인가한다.
도 3에는 도 2에 따른 동작 타이밍도가 도시된다. 상기 공통 입력 패드(PD1)에 신호파형 PD1과 같은 입력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1)가 "로우"상태로 인가되고, 나머지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들(MICON2,MICON3)이 "하이"상태로 인가된 경우라고 가정하면, 삼상태 버퍼(B1)만이 인에이블되어 신호라인(L1)에는 상기 신호파형 PD1과 같은 입력신호가 그대로 나타난다. 이 때, 상기 삼상태 버퍼들(B2,B3)는 모두 디스에이블 되고 신호 라인들(L2,L3)에는 풀다운 저항들(R2,R3)에 의해 모두 "로우"상태가 나타난다. 상기한 경우는 제1 메모리 예컨대 SRAM(100)의 입력버퍼에 연결된 신호라인(L1)으로 테스트를 위한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만약, 제2 메모리의 입력버퍼에 연결된 신호라인(L2)으로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2)만이 "로우"상태로 인가된다. 상기 입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CONi)는 테스트 모드에서는 테스트 장비의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신호임이 바람직하고, 노말 동작 모드에서는 시스템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신호라인(L4)에 도 3의 신호파형(L4)와 같은 출력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OCON1)가 "로우"상태로 인가되고, 나머지 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들(MOCON2,MOCON3)이 "하이"상태로 인가된 경우라고 가정하면, 삼상태 버퍼(B6)만이 인에이블되어 출력패드(PD2)에는 상기 신호파형 L4과 같은 출력신호가 그대로 나타난다. 이 때, 상기 삼상태 버퍼들(B7,B8)는 모두 디스에이블 되고 신호 라인들(L5,L6)의 논리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상기한 경우는 제1 메모리 예컨대 SRAM(100)의 출력버퍼에 연결된 신호라인(L4)의 출력신호를 공통의 출력 패드(PD2)로 출력하는 경우이다.
도 4는 도 1중 입/출력 멀티플렉서(30)의 구현 일예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출력 패드(PD3)에는 삼상태 버퍼들(BU1,BU3,BU5)의 출력단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고, 삼상태 버퍼들(BU2,BU4,BU6)의 입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삼상태 버퍼들(BU2,BU4,BU6)의 출력단과 접지사이에는 풀다운 저항들(R1,R2,R3)이 각기 연결된다. 상기 삼상태 버퍼들(BU1-BU6)의 제어단에는 각기 오아 게이트들(OR1-OR6)이 대응연결되고, 오아 게이트들(OR1,OR3,OR5)의 일측입력단에는 입/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OCONi:MIOCON1,MIOCON2,MIOCON3)가 각기 인가되고, 타측입력단에는 입출력 제어신호(IO_CTL)가 공통으로 인가된다. 오아 게이트들(OR2,OR4,OR6)의 일측입력단에는 입/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OCONi:MIOCON1,MIOCON2,MIOCON3)가 각기 인가되고, 타측입력단에는 각기 대응되는 인버터들(IN1,IN2,IN3)을 통해 반전된 입출력 제어신호(IO_CTL)가 공통으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OCON1)의 논리가 "로우"이고, 상기 입출력 제어신호(IO_CTL)가 "로우"이면, 오아 게이트(OR1)의 출력만이 "로우"가 되어 삼상태 버퍼(BU1)만이 인에이블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메모리(100)의 신호 라인(L7)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가 입/출력 패드(PD3)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멀티플렉싱 제어신호(MIOCON1)의 논리가 "로우"이고, 상기 입출력 제어신호(IO_CTL)가 "하이"이면, 오아 게이트(OR2)의 출력만이 "로우"가 되어 삼상태 버퍼(BU2)만이 인에이블된다. 이 경우에는 입/출력 패드(PD3)에 인가된 입력 신호가 제1 메모리(100)의 신호 라인(L7)을 통해 입/출력버퍼에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패드 연결 구조에 따르면, 패드의 배치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하나의 공통 패드 프로빙하여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를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같은 종류의 핀 끼리를 멀티플렉서에 연결한 것과 같은 패드 구조를 가지므로, 모드 선택을 통해 각각의 내장 메모리 소자의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테스트 장비의 변경없이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되는 페일 정보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포맷하면, 결함 메모리 셀을 리던던시 메모리 셀로 대치하는 레이저 리페어시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에 대한 각각의 리페어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한꺼번에 리페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에 걸리는 시간 뿐만 아니라 레이저 리페어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테스트의 제어 흐름도로서, S50단계 내지 S58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구비한 복합 메모리 소자에서 도 1과 같은 패드 연결 구조를 갖도록,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에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된 공통 패드를 준비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메모리 테스트를 진행 시 시간이 가장 짧게 걸리는 SRAM(100)부터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그 테스트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고,가장 마지막에 플래쉬 메모리(300)까지 테스트를 진행 한 후, 최종 페일 어드레스 정보를 정해진 규칙에 의거하여 발생시킨다.
S50단계 내지 S52단계는 상기 SRAM(100)에 대한 테스트 제어 플로우에 관한 것으로, S50단계에서 테스트 프로세서는 내부의 저장용 메모리 영역에 제1 메모리(100)의 페일 어드레스 메모리를 셋팅하고,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1 메모리(100)내의 메모리 셀들에 대한 페일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S51단계에서 SRAM(100)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완료되었으면, S52단계에서 페일 어드레스 메모리에 저장된 페일 어드레스에 따라 리던던시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S52단계가 완료되면, 제2 메모리 예컨대 DRAM(200)에 대한 테스트가 프로빙의 변경없이 이어서 진행된다.
S53단계 내지 S55단계는 상기 DRAM(200)의 테스트를 거쳐 플래쉬 메모리(300)에 대한 테스트 제어 플로우에 관한 것으로, 테스트 대상 메모리만 변경되었을 뿐, 상기 S50단계 내지 S52단계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S55단계가 완료되면, 이제 모든 내장 메모리 소자들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된 것이므로, S56단계 내지 S58단계가 실행된다.
S56단계는 제1 메모리에서 제n 메모리 까지의 리던던시 어드레스가 조합되어 저장이 되는 단계이고, S57단계에서 저장 동작이 완료되면, S58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S58 단계는 바이닝(Binning)실행 단계로서, 여기서 리던던시 어드레스는 레이저 리페어 공정에서 레이저 리페어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정 코드로 포맷된다. 예컨대 제1 내장 메모리 소자의 바이닝은 X0000000- X00FFFFF 코드로 되면, 제2 메모리의 바이닝은 X0100000 - X01FFFFF 코드로 되고, 제3 내장 메모리 소자의 바이닝은 X1000000 - X10FFFFF 코드로 될 수 있다. 여기서, "00","01","10"은 내장 메모리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코드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공통 패드를 통해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에 대한 테스트를 차례로 한꺼번에 진행하여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 각각의 결함 어드레스 처리 및 리페어 공정이 한꺼번에 수행되도록 하면, 복합 메모리 소자의 입출력 패드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은 물론, 프로빙 횟수의 감소에 따른 패드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테스팅 시간이 감소되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면,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장비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회로의 세부나 멀티플렉서의 세부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메모리 소자의 입출력 패드수를 대폭적으로 줄임은 물론, 프로빙 횟수의 감소에 따른 패드 손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테스트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복합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테스팅 시간이 감소되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시스템 온 칩내의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장 메모리 소자들이 각기 다른 종류의 메모리인 경우에도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신호 라인들중 서로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끼리는 하나의 공통 패드를 각기 할당하고, 상기 각 공통 패드와 상기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호라인들 사이를 대응되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각기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들은 입력라인, 출력라인, 및 입/출력 라인 중의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라인은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입력버퍼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라인은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출력버퍼와 연결되며, 상기 입/출력 라인은 상기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입/출력 버퍼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연결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내장 메모리 소자들은 스태틱 랜덤 억세스 메모리,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연결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02-0031911A 2002-06-07 2002-06-07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11A KR100465875B1 (ko) 2002-06-07 2002-06-07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US10/299,446 US7134059B2 (en) 2002-06-07 2002-11-19 Pad connection structure of embedded memory devices and related memory tes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11A KR100465875B1 (ko) 2002-06-07 2002-06-07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67A KR20030094667A (ko) 2003-12-18
KR100465875B1 true KR100465875B1 (ko) 2005-01-13

Family

ID=2970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9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875B1 (ko) 2002-06-07 2002-06-07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34059B2 (ko)
KR (1) KR100465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062A (ja) * 2002-06-20 2004-01-22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735527B1 (ko) * 2006-02-1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2개의 패드 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66386B1 (ko) * 2006-10-13 2007-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
US7945827B1 (en) * 2006-12-28 2011-05-17 Marvell International Technology Ltd. Method and device for scan chain management of dies reused in a multi-chip package
KR100887417B1 (ko) * 2007-04-11 200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의 공유적사용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패쓰 억세스블 반도체 메모리장치
US8427891B2 (en) * 2007-04-17 2013-04-23 Rambus Inc. Hybrid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a shared interface circuit
KR100921221B1 (ko) * 2007-10-23 2009-10-12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시스템의 mcp 디바이스 테스트방법
US9500700B1 (en) * 2013-11-15 2016-11-22 Xilinx, Inc. Circuits for and methods of testing the operation of an input/output port
US9570446B1 (en) 2015-10-08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652802B1 (ko) * 2016-11-01 2024-04-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웨이퍼 번인 테스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20240418778A1 (en) * 2023-06-14 2024-12-19 HCL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blocks within device under test (dut) using reconfigurable test logi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056A (ko) * 1997-07-07 1999-02-05 윤종용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회로
KR0123061Y1 (ko) * 1991-12-24 1999-02-18 문정환 멀티 입출력 메모리장치
KR20020000702A (ko) * 2000-06-28 2002-01-05 박종섭 복합메모리소자의 테스트 장치
KR20020045641A (ko) * 2000-12-09 2002-06-20 박종섭 반도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603A (en) * 1980-07-31 1985-01-22 Varshney Ramesh C Test system for segmented memory
US4602210A (en) * 1984-12-28 1986-07-22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plexed-access scan testable integrated circuit
US4782283A (en) * 1986-08-22 1988-11-01 Aida Corporation Apparatus for scan testing CMOS integrated systems
US5260649A (en) * 1992-01-03 1993-11-09 Hewlett-Packard Company Powered testing of mixed conventional/boundary-scan logic
US5815512A (en) * 1994-05-26 1998-09-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testing device
EP0801401B1 (en) * 1996-04-02 2003-08-27 STMicroelectronics, Inc. Testing and repair of embedded memory
US5841784A (en) * 1996-04-02 1998-11-24 Stmicroelectronics, Inc. Testing and repair of embedded memory
US5920515A (en) * 1997-09-26 1999-07-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gister-based redundancy circuit and method for built-in self-repair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11317100A (ja) * 1998-05-06 1999-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978304A (en) * 1998-06-30 1999-11-02 Lsi Logic Corporation Hierarchical, adaptable-configuratio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JP4601737B2 (ja) * 1998-10-28 2010-12-22 株式会社東芝 メモリ混載ロジックlsi
US6686759B1 (en) * 2000-11-28 2004-02-03 Cadence Design Systems, Inc. Techniques for testing embedded cores in multi-core integrated circuit desig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061Y1 (ko) * 1991-12-24 1999-02-18 문정환 멀티 입출력 메모리장치
KR19990009056A (ko) * 1997-07-07 1999-02-05 윤종용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장치의 메모리 테스트 제어회로
KR20020000702A (ko) * 2000-06-28 2002-01-05 박종섭 복합메모리소자의 테스트 장치
KR20020045641A (ko) * 2000-12-09 2002-06-20 박종섭 반도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34059B2 (en) 2006-11-07
US20030229831A1 (en) 2003-12-11
KR20030094667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924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having a pin to activate the self-test and repair instructions
KR100559022B1 (ko) 테스트 및 리페어를 위한 방법 및 회로
US7478301B2 (en) Partial good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testing same
US7237154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a repair signature
US6662133B2 (en) JTAG-based software to perform cumulative array repair
US7509543B2 (en) Circuit and method for error test, recordation, and repair
KR970010658B1 (ko) 번-인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그 번-인방법
EP0206486A2 (en) Memory test circuit
JPH11316264A (ja) 半導体装置の並列テスト回路
KR100465875B1 (ko) 내장 메모리 소자들의 패드 연결구조
JP3804733B2 (ja) ストレス用電圧を用いてメモリをテストする機能を有する集積回路
JP2001006395A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テストモード時の読出方法
JP4889792B2 (ja) 試験装置
JP2001210095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JPH1116393A (ja) テスト回路
KR100850270B1 (ko) 페일비트 저장부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493840B1 (en) Testability architecture for modularized integrated circuits
US81763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access memory testing of an integrated circuit
US6175936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faults in multiple computer memories
KR20020068768A (ko) 내장 메모리를 위한 빌트 인 셀프 리페어 회로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KR100429095B1 (ko) 집적회로의랜덤액세스메모리및이를테스트하는방법
US6088274A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serial access memory device through a main memory
TWI884726B (zh) 具有內置同步直接寫入冗餘的記憶體及其相關測試方法
KR20030054198A (ko) 다중 메모리의 테스트를 위한 bist 회로 및 그것을구비한 집적회로 장치
KR01829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웨이퍼 번-인 테스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