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8844B1 -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44B1
KR100458844B1 KR10-2001-0036909A KR20010036909A KR100458844B1 KR 100458844 B1 KR100458844 B1 KR 100458844B1 KR 20010036909 A KR20010036909 A KR 20010036909A KR 100458844 B1 KR100458844 B1 KR 10045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wedge
segment
region
adjustment mechanis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424A (ko
Inventor
쉴락크리스천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0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좌석용 조정 기구는 요동식 전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2개의 힌지부를 구비한다. 편심륜은 하나의 편심륜 세그먼트와, 이 편심륜 세그먼트를 보완하는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이 쐐기형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으로 중첩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의 두께를 가진다. 이 쐐기형 세그먼트는 하나의 공통 스프링에 의해 예인장되기 때문에, 이 쐐기형 세그먼트는 스프링의 예인장 상태에서 편심 영역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회전시에는 편심 영역이 축소되어 서로 정렬한 톱니 영역의 덜걱거림이 감소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밀린다.

Description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ADJUSTABLE FITTINGS FOR A SEAT BACKRES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의 좌석용 조정 기구,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조정 기구(독일특허제30 13 304호)에 있어서, 편심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테이퍼진 쐐기형 세그먼트가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하는 지지면 상에 위치한다. 양방의 쐐기형 세그먼트의 폭이 넓은 단부면 사이에서 장력을 받는 압축 스프링은 쐐기형 세그먼트를 상이한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며, 그 결과 편심율이 스프링의 작용 하에서 증가된다. 이러한 공지의 기구에 있어서, 쐐기형 세그먼트의 길이, 즉 유효 지지면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가 제한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한은 시스템에서 불가피한 것이다. 너무 큰 유효 길이는 회전 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쐐기가 구동하는 동안 원하는 방식으로 충분하게 톱니부를 해제시키지 못하며, 재차 상호 가압시키는 결과에 이른다. 실제, 이러한 이유로 양쪽 쐐기형 세그먼트에 있어서, 그 내측 지지면은 비교적 짧다. 비교적 짧은 지지면은 신속한 마모에 이르게 되며, 그 이유는 쐐기형 세그먼트가 지지면 상에서 경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것으로 전제된 형태의 조정 기구를 가능한 한 마모에 둔감하게 형성하고 매우 조용하게 작동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쐐기형 세그먼트를 서로 반경 방향 및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쐐기형 세그먼트의 유효 길이를 종래에 사용된 것 보다 더 길게 할 수 있어서 마모에 대하여 보다 내성이 있는 힌지식 조정 기구를 만들 수 있다. 게다가, 가능한 한 비교적 긴 쐐기 길이로 인하여, 전체 쐐기 길이를 이용하지 않고 지지면을 단지 양쪽 단부에만 각각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중앙 영역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정숙한 동작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1은 조정 기구를 제1 측면에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조정 기구를 제1 측면의 반대 측면에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평면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평면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힌지부
1a, 2a : 톱니부
3 : 회전 축선
4 : 편심륜
4a : 편심륜 세그먼트
4b, 4c : 쐐기형 세그먼트
5 : 베어링 링
6 : 베어링 슬리브
7 : 스프링
8 : 저널 영역
9 : 원판 영역
10 : 고정 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조정 기구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경사 조정 기구이다. 이 조정 기구는 도시되지 않은 좌석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형 힌지부(1)와, 역시 도시되지 않은 등받이와 결합되는 회전 가능한 가동형 힌지부(2)를 구비한다.
고정형 힌지부(1)는 톱니부(1a)를 구비한다. 이 톱니부(1a)는 가동형 힌지부(2)의 톱니부(2a)에 원주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톱니부(1a, 2a)는 요동식 전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힌지부(2)는 베어링 슬리브(6)의 후방 단부가 고정되는 계단형 수용 구멍(2b)을 구비한다. 이 베어링 슬리브(6)는 베어링 슬리브의 내측을 천공하여 내측 회전 베어링(6a)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4로 지시된 편심륜은 회전 축선(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편심륜(4)은 일체형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의 영역, 즉 저널 영역(8)을 구비하며, 이 저널 영역은 비원형의 중심 맞물림 구멍(8a), 원판 영역(9) 및 편심륜 세그먼트(4a)를 구비한다.
이 저널 영역(8)은 고정 부재(10)를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탄성 아암에 의해 원판 고정부로서 형성되고, 저널 영역(8)에 의해 관통된 베어링 슬리브(6)에 대하여 회전 축선(3)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는 힌지부(1) 속으로 압입되는 베어링 링(5)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회전 베어링(5a)의 내측에서 이동한다. 이 편심륜 세그먼트(4a)는 그 내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슬리브(6)의 우측 영역의 외주를 둘러싼다. 이 편심륜 세그먼트(4a)의 내외측 만곡면은 각각의 대향면으로부터 공극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는 그 외주에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4b, 4c)에 의해 보완됨으로써 완전한 편심륜으로 된다.
상기 만곡된 쐐기형 세그먼트(4b, 4c)는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들 쐐기형 세그먼트의 폭이 좁은 단부면(4g, 4h)은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4b, 4c)의 인접한 폭이 넓은 단부면에 밀착되게 위치한다. 이들 폭이 좁은 단부면(4g, 4h)은 서로 다른 쐐기형 세그먼트의 폭이 넓은 단부면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돌출한다.
만곡 스프링(7)은 회전 축선(3)을 둘러싸는 원형의 만곡 영역(7a)을 구비한다. 이 원형의 만곡 영역(7a)은 편심륜(4)의 회전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에 위치한다. 먼저, 이 원형의 만곡 영역에 내향 만곡 영역(7b)이 연속하고, 이 내향 만곡 영역에 직각으로 굽은 단부 영역(7c)이 연속한다. 이 직각으로 굽은 단부 영역(7c)은 쐐기형 세그먼트(4b)의 수용 슬롯(4i) 속으로 맞물리는 한편, 다른 하나의 직각으로 굽은 단부 영역이 다른 하나의 쐐기형 세그먼트(4c)의 수용 슬롯(4k) 속으로 맞물린다.
상기 스프링(7)은 2개의 수용 슬롯(4i, 4k)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려고 하는 예인장(pre-stressed)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그리고 쐐기형 세그먼트(4b, 4c)의 쐐기 형태로 인하여, 이들 쐐기형 세그먼트는 외측 회전 베어링(5a)의 베어링 표면과 도 3에서 우측 영역의 베어링 슬리브(6)의 원통형 외면(6b)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는 접촉면(4e) 또는 접촉면(4f)을 구비한다. 편심륜(4) 및 그 편심륜 세그먼트(4a)가 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접촉면(4e)은 스프링(7)의 힘에 반발하여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쐐기형 세그먼트(4c)의 돌출 단부면(4g)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편심륜의 정점 측에 위치하는 톱니부(1a, 2a) 영역의 맞물림이 느슨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부의 잠금을 비작동 상태에서 조정기구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장력이 회전 동안에 해제된다.
도 4에서 편심륜(4) 및 그 편심륜 세그먼트(4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부면(4h)에 접촉면(4f)이 접촉해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발생하는 쐐기형 세그먼트(4b)의 변위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회전 방향에 따라 톱니부(1a, 2a)의 예인장이 편심륜의 정점에서 해제되어, 조정 기구는 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과정이 완료되어 상기 부재들이 정지함과 동시에, 스프링(7)은 그 직각 방향으로 굽은 단부에 의해 쐐기형 세그먼트(4b, 4c)를 재차 서로 당기며, 그 결과 편심율이 다시금 증가되어 편심륜의 정점을 지나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 평면에서 상호 맞물린 톱니부 영역(1a, 2a)이 재차 상호 가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쐐기형 세그먼트(4b)의 내경부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베어링 슬리브(6)의 외경부에 배치된다. 도시 생략한 리세스가 양쪽 단부면에 인접하고 있는 지지면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쐐기형 세그먼트(4b)의 지지 영역을 외주(6b)에 대해 축소시키는 것은 별다른 어려움없이 가능하다. 쐐기형 세그먼트(4b)를 그 단부 영역에서 지지하면, 이 쐐기형 세그먼트의 부적절한 기울어짐이 어떠한 경우에도 방지된다.
요동식 전동 장치의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조정 기구는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도 역시 속하는 이러한 전동 장치에 있어서, 편심륜 또는 편심 원운동하는 영역은 회전 축선(3)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 가능한 구동 편심륜(4)은 외측 회전 베어링(5a)을 통해 하나의 힌지부(1)에 장착되고, 이 외측 회전 베어링(5a)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하는 내측 회전 베어링(6a)을 통해 다른 하나의 힌지부(2)에 장착된다. 톱니부(1a, 2a)는 힌지부(1, 2)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는 정밀 절단 방법으로 판재 부품으로부터 각각 가공된다. 이들 2개의 톱니부(1a, 2a)는 상이한 잇수 및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톱니부(1a)는 톱니부(2a) 보다 더 작은 직경과 더 적은 잇수를 가진다. 편심륜의 회전은 회전 축선(3)을 중심으로 힌지부(1)에 대해 힌지부(2)를 요동 운동시킨다. 이 편심륜(4)은 양자의 톱니부(1a, 2a)가 해당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편심륜의 정점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한다. 그 외의 영역에서, 양자의 가지런한 톱니부의 이빨이 다소 폭 넓게 서로 어긋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는, 쐐기형 세그먼트를 서로 반경 방향 및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그 유효 길이를 보다 더 길게 할 수 있어서 더 적은 마모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 조정 기구는 가능한 한 비교적 긴 쐐기 길이로 인하여 전체 쐐기 길이를 이용하지 않고 지지면을 단지 양쪽 단부에만 각각 제공할 수 있고, 중앙 영역은 틈새를 가질 수 있어서 정숙한 동작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8)

  1. 고정된 좌석 영역에 배치된 고정형 힌지부(1)와 이동 가능한 좌석 영역에 배치된 회전 위치 조정 가능한 힌지부(2)가 회전 축선(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편심륜(4)을 통해 결합되며, 이 편심륜은 외측 회전 베어링(5a)을 통해 하나의 힌지부(1)에 장착되고 이 외측 회전 베어링(5a)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하는 내측 회전 베어링(6a)을 통해 다른 하나의 힌지부(2)에 장착되며, 이들 2개의 힌지부(1; 2)는 요동식 전동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여 반경 방향으로 편심륜의 정점의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게 되는 톱니부(1a; 2a)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회전 베어링(5a) 내에서 지지하는 편심 영역은 구동하는 편심 영역과 일체인 편심륜 세그먼트(4a) 및 이 편심륜 세그먼트를 외주에서 보완하는 쐐기형 세그먼트(4b; 4c)에 의해 형성되며, 이 쐐기형 세그먼트는 예인장 상태에 있는 스프링(7)에 의해 편심륜(4)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 확대된 편심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예인장되고, 편심륜(4)이 구동하는 경우 축소된 편심 영역을 형성하며, 내경부(4d)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접촉면(4e; 4f)을 가진 편심륜 세그먼트(4a)가 편심륜(4)의 회전시에 쐐기형 세그먼트의 단부면(4g; 4h)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4b; 4c)는 반경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며, 이들의 두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증가하며,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4b; 4c) 중 하나의 폭이 좁은 단부면(4g; 4h)이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 중 다른 하나의 단부면을 통해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의 마주보는 접촉면(4e; 4f)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내측 쐐기형 세그먼트(4b)는 내측의 환형 지지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외측 쐐기형 세그먼트(4c)는 상기 외측의 편심 회전 베어링(5a)의 지지면 상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은 회전 축선을 둘러싸는 레그형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원형으로 만곡된 영역(7a)을 구비하며, 이 영역은 편심륜(4)의 회전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하고, 내측으로 만곡되는 영역(7b)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직각으로 굽은 단부 영역을 구비하며, 이 직각으로 굽은 단부 영역(7c)은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4b; 4c)의 수용 슬롯(4i; 4k) 속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는 내측 회전 베어링(6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저널 영역(8)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널 영역(8)는 비원형의 중심의 맞물림 구멍(8a)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 베어링(6a)은 베어링 슬리브(6)의 내측 구멍에 의해 형성되며, 이 슬리브는 그 길이의 일부분에 의해 힌지부(2)의 수용 구멍(2b)에 고정되고, 그 길이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상기 내측 쐐기형 세그먼트(4b)를 위한 원통형 베어링 영역의 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 상기 저널 영역(8), 그리고 상기 편심륜 세그먼트(4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저널 영역(8)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원판 영역(9)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 베어링(6a)에 강하게 맞물리는 저널 영역(8)은 고정 부재(10)에 의해 이 저널 영역(8)에 의해 관통된 베어링 슬리브(6)에 대해 회전 축선(3)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회전 베어링(5a)은 외부에 힌지부와 견고하게 결합된 베어링 링(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KR10-2001-0036909A 2000-07-11 2001-06-27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458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3666.3 2000-07-11
DE10033666A DE10033666C2 (de) 2000-07-11 2000-07-11 Verstellbeschla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insb.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essen Rückenleh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424A KR20020006424A (ko) 2002-01-19
KR100458844B1 true KR100458844B1 (ko) 2004-12-03

Family

ID=764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9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8844B1 (ko) 2000-07-11 2001-06-27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43851B2 (ko)
JP (1) JP3647398B2 (ko)
KR (1) KR100458844B1 (ko)
DE (1) DE1003366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27B1 (ko) * 2002-03-14 2004-08-3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3967971B2 (ja) * 2002-07-02 2007-08-29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自動車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232029B4 (de) * 2002-07-16 2006-09-1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Rückenlehnen von Kraftfahrzeugsitzen
DE10318894A1 (de) * 2003-04-22 2004-11-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idseitig wirkender Antrieb
DE10328300B4 (de) * 2003-06-23 2006-09-2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
DE10341498A1 (de) * 2003-09-06 2005-04-14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eststellen eines ersten Teils eines Kraftfahrzeugsitzes gegenüber einem zweiten Teil
DE102004013272B3 (de) * 2004-03-18 2006-01-26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JP4989869B2 (ja) * 2004-12-28 2012-08-0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ブラケットの角度調整装置
JP4676756B2 (ja) * 2004-12-28 2011-04-27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ブラケットの角度調整装置
WO2006088896A1 (en) * 2005-02-16 2006-08-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recliner
JP4653569B2 (ja) * 2005-06-09 2011-03-1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202005014192U1 (de) * 2005-09-09 2007-01-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beschlag
JP4895084B2 (ja) * 2005-09-15 2012-03-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25565B2 (ja) * 2006-04-06 2011-11-30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自動車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1070055B (zh) * 2006-05-11 2011-06-08 湖北中航精机科技股份有限公司 齿轮式座椅角度无级调节结构
JP4935423B2 (ja) * 2007-02-28 2012-05-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連結装置
DE202007012004U1 (de) * 2007-08-29 2009-01-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Übertragungselement sowie Verstellbeschlag
KR200451921Y1 (ko) * 2008-06-19 2011-01-19 김기완 이중으로 수맥을 차단하는 침대용 받침대
JP5077115B2 (ja) * 2008-07-15 2012-11-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歯車及びこの歯車を用いた連結装置
DE102009060344A1 (de) * 2009-12-24 2011-06-30 Sitech Sitztechnik GmbH, 38442 Verstellbeschlag
DE102010013091B4 (de) * 2010-03-22 2021-01-1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sitz-Beschlags und Beschlag
JP5781890B2 (ja) * 2011-10-17 2015-09-2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減速歯車機構
JP7615853B2 (ja) * 2021-04-12 2025-01-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3304C2 (de) * 1980-04-05 1983-05-11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Stellvorrichtung für Sitze und Fenster,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4327110A1 (de) * 1993-08-12 1995-02-16 Naue Johnson Controls Eng Drehgelenk für die Lehnenverstellung von Kraftfahrzeugsitzen
FR2743764B1 (fr) * 1996-01-22 1998-04-0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FR2786446B1 (fr) * 1998-12-01 2001-02-1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mecanisme d'artic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424A (ko) 2002-01-19
JP3647398B2 (ja) 2005-05-11
DE10033666C2 (de) 2003-02-20
DE10033666A1 (de) 2002-02-07
US6543851B2 (en) 2003-04-08
US20020043854A1 (en) 2002-04-18
JP2002058562A (ja) 2002-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844B1 (ko) 차량의 좌석 등받이용 조정 기구
JP4054001B2 (ja) 自動車座席用調節金具
US6749263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JP2756516B2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の継手金具
JP5433785B2 (ja) 車両シートのための取付構造
JP3540952B2 (ja) 車両用座席装置の調節及び固定装置
US4538855A (en) Adjusting arrangement for seat, particularly power vehicle seat
US7648203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JP2007136211A (ja) 自動車座席の背もたれ用傾斜調節金具
CA2135014A1 (en) Rotary recliner
US5336137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KR20120049171A (ko) 차량 좌석용 피팅
KR100380572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의 백래시 저감구조
EP0332340B1 (en) Seat reclining mechanism
KR100821100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US20070024099A1 (en) Device for fixing a first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relative to a second part
WO2007142057A1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220063390A (ko) 파워 리클라이너
JP747930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GB2311094A (en) Hinge assembly, e.g. for vehicle seat
JP3555185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2217259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23139715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24076707A (ja) タウメル機構を有する歯車及びこの歯車を使用した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1211950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