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5135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135B1
KR100455135B1 KR10-2001-0079542A KR20010079542A KR100455135B1 KR 100455135 B1 KR100455135 B1 KR 100455135B1 KR 20010079542 A KR20010079542 A KR 20010079542A KR 100455135 B1 KR100455135 B1 KR 10045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icrophone
main body
portable terminal
upp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351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1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1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음파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본체부 상부케이스의 마이크 통공 저부에 위치한 마이크와, 수신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폴더부 상면케이스의 스피커 통공 저부에 위치한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의 위치를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입출력되는 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마이크 도파관과 스피커 도파관을 각각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의 음성입출력 장치의 자유로운 배치와 이에 따른 입력 신호의 레벨 및 출력 신호의 효율성을 위해 음파 신호의 유로를 위한 도파관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 부품의 배치가 자유로워지고, 휴대 단말기의 공간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동시에 성능을 최적화 시키는 효과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나 스피커의 부품배치에 있어서, 도파관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파관은 마이크로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 이상의 전기 에너지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의 일종인데 구리 등의 전기 도체로 된 관 내부를 전자기파가 지나가게 한 것이다. 일종의 고역 필터 성질이 있으며, 차단 파장보다도 긴 파장의 전파는 전할 수 없다. 또 도파관의 축을 따라 전하는 파동의 파장은 관내 파장이라 불리며 여진파장보다도 길다.
저주파수에서는 보통 2개의 구리선에 의한 전송로가 사용되지만, 고주파수가 되면 구리선의 저항이 증가하고 주위 절연물 등의 유전체 손실도 증가하므로, 전송 손실이 많아져서 사용할 수 없다. 한편, 도파관은 전파를 가두어 넣고 전송하므로 주위의 도체에 전기가 직접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저항 손실이 적다
또, 관의 내부는 보통 속이 비어 있고 공기로 채워져 있을 분이므로 유전체 손실도 적다 관의 단면 형성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것이 많고, 내면은 금이 나 은으로 도금되어 있다.
현재는 피시(PC) 통신의 입출력용 헤드셋에 외형적인 미를 살리기 위해 구리선 대신에 투명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한 도파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고속버스나 항공기 등에서 승객용 헤드셋에서도 도파관을 이용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부(110)와 폴더부(120), 그리고 본체부(110)의 상부면 일단에 복개 가능하게 폴더부(120)가 힌지(130)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입과 접하는 위치하여 발신 음파을 받아들이기 위한 마이크 통공(115)을 갖는 상부케이스(1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저면 위치하고 다수개의 버튼돌기를 갖는 키패드(113)와, 그 저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마이크 통공(115)에 대응하게 위치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116)를 구비한 피시비(PCB; PRINTED CIRCUIT BOARD)(114)와, 상기 키패드(113)와 상기 피시비(114)를 수용하도록 상부케이스(111)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12)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 일 측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가시화창(124)과 스피커 통공(125)을 갖는 전면케이스(121)와, 상기 가시화창(124)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운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엘시디(LCD)(126)와, 그 상측에 상기 전면케이스(121)의 스피커 통공(125)과 대응하게 위치된 음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7)를 구비한 에프피시(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23)와, 상기 에프피시(123)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전면케이스(121)와 결합되는 후면케이스(1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116)나 스피커(127)의 부품의 배치는 사용자의 입과 귀에 각각 최단거리로 배치하여 상기 스피커(127)의 출력이 피드백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116)의 입력 레벨을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10)의 음파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116)와, 상기 폴더부(120)의 수신된 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스피커(127)는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사용자의 입과 귀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 부품의 효율적인 배가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음성입출력 장치의 자유로운 배치와 이에 따른 입력 신호의 레벨 및 출력 신호의 효율성을 위해 음파 신호의 유로를 위한 도파관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 부품의 배치가 자유로워짐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공간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동시에 성능을 최적화 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본체부 11: 상부케이스
15: 마이크 통공 16: 마이크
20: 폴더부 21: 전면케이스
25: 스피커 통공 27: 스피커
31: 마이크 도파관 32: 스피커 도파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 통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가지는 본체부와; 스피커 통공이 형성된 상면케이스를 가지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폴더부에 구비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폴더부 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마이크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타 일단은 사용자의 입과 근접하도록 본체부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마이크 통공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마이크 도파관과, 일단은 상기 스피커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타 일단은 사용자의 귀와 근접하도록 상기 폴더부 상면케이스에 형성된 스피커 통공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폴더부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도파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그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파관을 이용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본체부(10)와 폴더부(20), 그리고 본체부(10)의 상부면 일단에 복개 가능하게 폴더부(20)가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사용자의 입과 근접한 위치에 마이크 통공(15)을 구비한 상부케이스(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저면에 위치하여 다수개의 버튼돌기를 갖는 키패드(13)와, 그 저부에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마이크 통공(15)에 대응하게 위치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16)를 구비한 피시비(14)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피시비(14)를 수용하도록 상부케이스(11)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장을 상기 상부케이스(11) 마이크 통공(15)을 통하여 상기 피시비(14)의 일 측에 구비된 상기 마이크(16)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입과 근접한 위치에 접하게 배치되지 않더라도 입력 레벨을 높이기 위한 마이크 도파관(31)을 상기 상부케이스(11) 케이스의 마이크 통공(15)과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폴더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면 일 측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가시화창(24)과 스피커 통공(25)을 갖는 전면케이스(21)와, 상기 가시화창(24)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운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엘시디(26)와, 음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7)를 구비한 에프피시(23)와, 상기 에프피시(23)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전면케이스(21)와 결합되는 후면케이스(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귀에 접하도록 형성된 스피커 통공(25)에 상기 스피커(27)에서 출력되는 출력음을 전달하도록 스피커 도파관(32)을 상기 에프피시(23)의 일측에 결합된 스피커(27)와 상기 폴더부(20)의 전면케이스(21)의 스피커 통공(25)과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입에서 출력되는 음파는 사용자의 입과 근접하게 형성된 상기 본체부(10) 상부케이스(11)의 마이크 통공(15)에 연통되게 형성된 도파관을 통하여 사기 마이크(16)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폴더부(20)의 스피커(27)에서 출력되는 음파는 상기 스피커(27) 도파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형성된 상기 폴더부(20) 전면케이스(21)의 스피커 통공(25)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소형화되어 가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스피커(27)와, 마이크(16)의 위치가 자유롭게 배치된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음성입출력 장치의 자유로운 배치와 이에 따른 입력 신호의 레벨 및 출력 신호의 효율성을 위해 음파 신호의 유도하기 위한 도파관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 부품의 배치가 자유로워지고, 휴대 단말기의 공간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동시에 성능을 최적화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마이크 통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가지는 본체부와; 스피커 통공이 형성된 상면케이스를 가지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폴더부에 구비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 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폴더부 내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마이크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타 일단은 사용자의 입과 근접하도록 본체부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마이크 통공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마이크 도파관과,
    일단은 상기 스피커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타 일단은 사용자의 귀와 근접하도록 상기 폴더부 상면케이스에 형성된 스피커 통공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폴더부 내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도파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KR10-2001-0079542A 2001-12-14 2001-12-14 휴대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5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42A KR100455135B1 (ko) 2001-12-14 2001-12-14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42A KR100455135B1 (ko) 2001-12-14 2001-12-1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351A KR20030049351A (ko) 2003-06-25
KR100455135B1 true KR100455135B1 (ko) 2004-11-06

Family

ID=2957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5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5135B1 (ko) 2001-12-14 2001-12-1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1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178A (en) * 1996-05-03 1999-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icrophone in a speech communicator
JPH11261679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電話機
JP2000032106A (ja) * 1998-04-20 2000-01-28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無線通信端末
JP2001313706A (ja) * 2000-04-28 2001-11-09 Hitoshi Isobe 携帯電話用送話パイプ
KR20020008855A (ko) * 2000-07-20 2002-02-01 유춘열 긴 관을 이용한 이동통신기기의 송수신부
KR20030027465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스피커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178A (en) * 1996-05-03 1999-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icrophone in a speech communicator
JPH11261679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電話機
JP2000032106A (ja) * 1998-04-20 2000-01-28 Alcatel Alsthom Co General Electricite 無線通信端末
JP2001313706A (ja) * 2000-04-28 2001-11-09 Hitoshi Isobe 携帯電話用送話パイプ
KR20020008855A (ko) * 2000-07-20 2002-02-01 유춘열 긴 관을 이용한 이동통신기기의 송수신부
KR20030027465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351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370A (en) Cellular portable radiotelephone
RU2137266C1 (ru) Карманное передающее и/или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151118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FI113511B (fi) Suunta-antennilla varustettu laite johdottomaan radioviestintään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20527310A (ja) アンテナ及び移動端末
KR101037898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채택한 디바이스용 전자파 적합성 장치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4661180B2 (ja) 携帯無線端末及びアンテナ電流のアース方法
KR19980081204A (ko) 통신 장치의 현저한 전화 장치
JP4312100B2 (ja) 携帯通信端末
CN101809812A (zh) 无线通信装置
CN1965561A (zh) 折叠式便携无线设备
KR1004551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089473B1 (ko) 폴더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JP2008227560A (ja) 携帯無線機
JP2006166225A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2008153801A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
CN210042379U (zh) 一种穿戴设备
JP3662978B2 (ja) マルチポジション・アンテナ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83743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안테나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 단말기
KR1004257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01180A (ja) 携帯通信機器
KR20080111978A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